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병 리 학 임미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병 리 학 임미란."— Presentation transcript:

1 병 리 학 임미란

2 병리학이란 ? 병리학(Pathology)은 질병의 원인, 발병기전, 임상 발현의 양상, 질병으로 인한 결과를 과학적으로 연 구하는 학문 인체의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과 기전을 규명 질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조직과 장기의 형태학적 변화, 기능적 변화, 질병의 진행과정, 증상 징후, 및 합병증을 규명 기초의학의 한 분야

3 병리학의 분류 1. 인체 병리학 : 질병으로 사망한 자(부검)나 질병을 앓고 있는 자(생검)에게서 얻은 인체 재료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 - 임상 병리학 : 환자로부터 채취된 검사물을 생물학적, 화학적 방법으로 검사하여 진단, 치료에 도움을 주며 임상검사를 기초로 하고 있는 체계적인 학문 - 해부 병리학 : 부검 또는 생검 재료, 탈락 세포 등을 이용하여 질병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는 것 2. 실험 병리학 : 동물이나 배양세포 등을 재료로 하여 질병을 연구하는 것.

4 병리학의 역사 악마설과 신벌설 고대의 원시시대 악마에 의해 병이 발생한다는 악마설 신이 벌로 질병을 준다는 신벌설

5 액체병리설과 고체병리설 액체 병리학설(humoral pathology) 고체 병리학설(solidary pathology)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460~375 BC)는 질병의 증후를 객관적 으로 관찰한 기록을 남기고 질병의 본태를 4가지 체액(혈액, 점액, 황색 담즙, 흑색담즙)의 균형이 깨어져 일어난다고 주장 - 갈레누스(Galenus, 129~201 AD)는 생명을 유지하는 근본물질을 영기(pneume)라고 하였으며 히포크라테스의 4가지 체액 중에서 특 히 혈액의 기능저하가 병의 큰 원인이 된다고 함. 고체 병리학설(solidary pathology) - 아스크레피아데스(Asklepiades, 124~208 BC) 는 우주는 원자의 이합집산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질병도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변성에 의해 일어난다고 주장

6 의학의 문예부흥기 생물학과 의학의 연구에 혁명을 일으킴. 직접 해부했을 때 관찰한 것을 기초로
그리스시대를 지나 중세 봉건사회는 의학의 암흑기 베살리우스(해부학의 아버지) 인체에 대한 자세한 해부학적 묘사로 생물학과 의학의 연구에 혁명을 일으킴. 직접 해부했을 때 관찰한 것을 기초로 해부학에 관한 최초의 포괄적인 교과서 를 쓰고 삽화를 넣음

7 병리학의 아버지 _ 모르가니 모르가니(Morgagni, )는 질병에 따 라 특정한 장기나 조직에 일정한 자리, 즉 병소 (lesion)를 형성하며 이 병소 때문에 임상증상 이 나타난다고 주장(장기 병리학설(organ pathology) <해부로 인하여 검색된 질병의 위치와 원인, 1761>이라는 저서 출판

8 조직병리학설과 세포병리학설 조직 병리학설(histopathology)
삐샤(Bichat, )는 조직을 단위로 인체를 관찰한 후 결합조직, 혈관, 골, 연골 등으로 조직을 분류하여 질병을 관찰할 때 장기보다 조직을 단위 로 관찰해야 함을 주장 세포병리학설(cellular pathology) 비르효(Virchow, )는 질병은 1개의 세포 또는 세포군의 장애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주장.

9 전자현미경의 발견과 발전 최근에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세포의 초미세한 구조(ultrastructure) 를 확인하였고, 세포학의 연구는 질병을 세포 및 분자수준 까지 발전함. 분자생물학을 이용한 유전학적 방법이 도입되어 유전자와 질병과의 관계를 밝히는 데 이용됨. 면역학 발전으로 과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에 대해 활발한 연구 진행 중임.

10 병인론 외인(extrinsic factor) 내인(intrinsic factor) 영양 장애 물리적 원인 병원체 화학적 인자
사회, 환경적 요인 내인(intrinsic factor) 소인-연령, 성별, 인종, 유전

11 질병의 분류 선천적 질환 후천적 질환 출생 전에 유전자에 의해 발생 급성질환 : 비교적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병
아급성질환 : 급성보다는 덜한 것 만성질환 : 보통 6개월 혹은 1년 이상 계속되는 질병

12 세포 손상 및 적응

13 세포 적응의 형태 가역성 세포손상(reversible cell injury) = 세포적응(cellular adaptation)
위축(atrophy) 비대(hypertrophy) 과다형성(hyperplasia) 변성(degeneration) 화생(metaplasia) 비가역성 세포손상(irreversible cell injury) 괴사(necrosis)

14 세포 적응의 형태 세포적응(cellular adaptation) 위축(atrophy) 비대(hypertrophy)
과다형성(hyperplasia) 화생(metaplasia) 형성이상(dysplasia)

15 위축(Atrophy) 위축은 세포성분의 상실로 신체나 조직의 일부가 축소 되어 크기가 감소되는 것 위축의 원인 혈액공급의 감소
위축은 세포성분의 상실로 신체나 조직의 일부가 축소 되어 크기가 감소되는 것 위축의 원인 혈액공급의 감소 영양상태의 불량 운동량의 감소 노화 정상 위축

16 비대(Hypertrophy) 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여 장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 원인에 따른 분류 작업 비대 내분비성 비대
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여 장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 예1) 임신 중의 자궁의 증대 자궁 평활근의 크기 증대 예2) 고혈압 환자의 심장 증대 원인에 따른 분류 작업 비대 내분비성 비대 위비대 심장의 좌심실 근육 비대

17 과다형성(Hyperplasia) 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장기의 크 기가 증대된다. 생리적 과다형성 병적 과다형성
호르몬성 증식 :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세포가 증식 되는 것으로서, 임신 중 유방의 관상피세포와 자궁평 활근 세포의 증식 대상성 증식 : 장기의 일부에 손상이 있는 경우 남아 있는 부분에서 증식이 일어나는 것 병적 과다형성 호르몬이나 성장인자의 과잉분비에 의해 발생

18 화생(Metaplasia) 정상적인 자궁경부 한 형태의 성숙세포가 다른 형태의 성숙세포로 대치되는 현상으로서, 특정 스트레스에 대해 감수성을 가진 세포가 내성을 갖는 세포로 바뀌는 것이다. 예) 기관지 및 자궁경부 내막 상피는 원주상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만성 자극에 의해 편평 상피로 변하게 됨. 편평상피 화생

19 형성이상,이형성증(dysplasia) 비정상적인 발달(atypical hyperplasia)
세포의 분화와 성숙에 이상이 나타나 세포의 크기와 모양이 불규칙할 뿐만 아니라 구성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세포학적 변화가 나타나 암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은 전암성 병변이다. 자궁경부, 위점막, 기관지 점막 등에서 관찰 현미경적으로 세포와 핵의 크기 및 모양 등이 다양해지고 핵의 염색 정도가 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20 세포 손상 세포 손상의 원인 세포는 신진대사가 끊임없이 일어나는 생 명의 기본 단위
세포는 한정된 범위 내의 구조적 또는 기 능적 변동을 보이나 곧 안정상태로 돌아오 는 항상성을 가짐 말초혈관수축, 어지럼, 정신착란, 무호흡, 심부전, 동맥경화증이나 혈전에 의해 혈액공급감소하는허혈 세포 손상의 원인 저산소증, 물리적 인자, 화학적 물질과 약물, 감염성 인자 유전자 손상, 영양의 불균형, 면역 또는 염증반응

21 세포 손상 반응 세포 내 물질축적 괴사(necrosis) 세포자멸사 가역성 세포손상(reversible cell injury)
세포종창 지방변화 비가역성 세포손상(irreversible cell injury) 괴사(necrosis) 세포자멸사 세포 내 물질축적 가역적-세포가 손상받은 후 원상으로 회복, 비가역성-괴사.지속시간이 길며 핵의 변화를 일으킴, 세포가 죽은 후 형태변화

22 가역적 손상 세포가 손상 받아서 세포조직의 비정상적 구조변화나 이상물질이 침 착 되는 것 세포종창(cellular swelling) 손상된 세포막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이 세포질 내로 들어와서 정상보다 수분 및 전해질의 양이 많아짐으 로써 세포가 커져 있는 상태 지방변화(fatty change or fatty metamorphosis) 지방성분이 없는 세포 내에 지방 소적(fat droplet)이 축적되는 것으로 지방대사의 장애로 인해 형성된다. 지방변화는 간, 신장, 심장 등에서 흔히 관찰됨.

23 괴사(necrosis) 괴사란 ? 치명적인 손상을 받은 세포에 지속적인 효소의 파괴작 용에 의해서 사망하는 것
괴사 과정(형태학적 변화) 핵농축(pyknosis) : 크기가 감소되고 핵이 응축되며 덩어리로 변형된다. 핵붕괴(karyorrhexis) : 핵이 농축된 후 작은 입자로 쪼개진다. 핵융해(karyolysis) : 세포 내에서 핵이 용해되고 염색질이 가수 분해된다. 괴사 원인 혈액순환장애, 물리화학적 작용, 독소, 감염, 비정상적인 면역반 응

24 응고괴사(coagulative necrosis)
혈액공급 감소로 세포 내 단 백이 응고되며 주로 동맥폐 색으로 인해 효소가 불활성 화 될 때 단백질 변성이 급격 히 일어난다. 심근 경색 시 핵은 소실되고 세포질은 변성된 단백질로 되면서 윤곽만 남는다.

25 액화괴사(liquefactive necrosis)
세포는 자신을 소화시키는 분해효소를 갖고 있는데 조 직이 사망하면서 죽은 세포 가 자가용해를 일으켜 액체 를 내놓아 연화되어 혼탁한 액체로 변화된다. 액화괴사의 흔한 예는 농양 이다.

26 지방괴사(fat necrosis) 지방분해효소의 작용에 의 해서 지방조직에 일어난다.
효소성 췌장 괴사(소화성 지 방괴사) : 췌장염 때 자체의 소화효소에 의해 지방이 괴 사되며 칼슘과 결합되어 나 타나는 것

27 치즈괴사,건락성 괴사(caseous necrosis)
괴사조직에 지방과 유지 방 물질이 형성되어 치즈 처럼 짙은 황색의 모양을 나타내며, 만성결핵증에 서 볼 수 있다. 응고괴사와 액화괴사가 합쳐진 괴사

28 괴저성 괴사(gangrenous necrosis)
부패를 수반하는 괴사로 괴사의 합병증임. 괴사에 부패성 유기체가 작용하여 괴사조직이 외부의 영향으로 부패하는 현상이며 혈액공급이 중단되어 생김. 습성 괴저(wet gangrene) : 괴사조직에 세균의 감염으로 액화괴사 가 일어나 세균의 증식으로 악취가 나고 붓고 차가우며, 당뇨병 시 다리 동맥의 폐쇄 건성 괴저(dry gangrene) : 괴사 부위에 응고 괴사 소견이 우세하 며 괴사부위에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되며, 신생아의 탈락한 제대 가스 괴저(gas gangrene) : clostridium wellchii에 의하여 큰 상처 부위에서 화농성 병변으로 발생됨.

29 세포 자멸사(Apoptosis) 세포사의 특수한 형태로 세포 증식과 소멸에 있어서 생리학적으로 중요함
성인 장기의 크기 유지, 배아의 기관발생과 재구성, 생리적 위축 등과 연관됨. 세포 자멸사의 억제는 암세포의 성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 조직학적으로 세포 자멸사는 하나하나의 세포를 침범하고 염색질이 핵막 주변으로 응집되고 핵자체는 분절되어 조각으로 나누어짐. 후에 자멸사체를 형성하여 대식세포들에 의해 탐식된 후 리소좀에 의해 분해됨.

30 세포 내 물질축적 지방축적 지방대사와 관계가 깊은 간 지방변성이 주로 일어나는 간, 심장, 이자에서 흔히 발생
예) 죽상경화증, 황색종

31 세포 내 물질축적 단백질 축적 글리코겐(당원) 축적 토리쪽곱슬세관의 콩팥상피세포와 형질세포 내(작은 물방울모양으로 관찰)
단백뇨가 계속될 때 단백질을 흡수하여 세포질내 단백질 축적 글리코겐(당원) 축적 포도당이나 글리코겐의 대상이상으로 세포 내에서 축적됨 예) 당뇨병, 글리코겐축적병(유전적으로 글리코겐 분해 효소가 없음)

32 세포 내 물질축적 복합지질 및 탄수화물의 축적 지질과 탄수화물이 대사를 하지 못해 축적
예) 점액다당류증, 고쉐병, 데이-삭스병, 니만피크병

33 세포 내 물질축적 외인성 색소침착 : 석탄가루, 탄분, 카로틴, 규소 등(예 진폐증, 규폐증, 은증, 납중독 등)

34 세포 내 물질축적 내인성 색소(pigments) 침착 지방갈색소(리포푸신) : 지질색소나 노화색소로 지방성분이 소화될 때 변성된 물질이 남아서 만들어짐(간, 심근세포에 존재) 멜라닌 : 피부, 모발, 각막 등에 있으며, 햇빛, 엑스선 조사에 의해 형성이 촉진됨(예, 몽고리안 반점, 임신선과 유두착색)

35 세포 내 물질축적 내인성 색소(pigments) 침착 혈철소 : 혈색소에서 유도된 철을 포함한 황금색 또는 황갈색의 과립 결절상의 색소로, 국소 출혈(타박상), 대량 수혈 후에 간, 비장 등에 침착 빌리루빈 : 간에서 쓸개즙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주된 색소로 피부, 점막 등이 황색으로 변하는 황달

36 기타 변화 석회화(calcification) 비정상조직 석회화 : 괴사 또는 퇴행성 조직에 칼슘염이 병적으로 쌓인 상태(예로 결핵병소, 심한 죽종성 동맥경화의 병소) 전이석회화 : 칼슘염이 건강한 조직에 침착되는 병리적 과정으로 만성콩팥기능상실, 비타민 D중독증,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Download ppt "병 리 학 임미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