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14장 자연어 이해 95604 전산정보학과 권혁민 9831079 전산정보학과 홍인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14장 자연어 이해 95604 전산정보학과 권혁민 9831079 전산정보학과 홍인표."—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14장 자연어 이해 95604 전산정보학과 권혁민 전산정보학과 홍인표

2 14.1 자연언어이해란? 자연 언어 자연언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특정언어에 대한 언어지식과 거론되는 주제에 관련된 일반적 지식 모두를 요구한다. 언어이해 프로그램 어떠한 것을 이해한다는 것은, 이를 한 표현(근원표현)으로부터 다른 표현(목적표현)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뜻한다.

3 14.2 자연어이해의 문제점 # 이해문제의 난이성을 유도하는 세 가지 주요요소
정합(matching)이 행해지는 목적표현의 복잡 변환(mapping)의 유형: 일 대 일, 다수 대 일,일 대 다수, 다수 대 다수 근원표현(source representation)의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의 정도

4 14.2 자연어이해의 문제점 목적표현의 복잡성 (Complexity of the target Representation) - 핵심단어색출 시스템 이용 I want to read all about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 (SEARCH KEYWOEDS = ELECTION ^ PRESIDENT) * 그러나 현재 영어 문장들이, 어떠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그러한 사건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때는 간단하지 않다.

5 Bill told Mary he would not go to the movies with her.
Her fillings were hurt.

6 14.2 자연어이해의 문제점 변환의 유용(Type of mapping)

7 14.2 자연어이해의 문제점 요소들간의 상호작용 정도

8

9 14.3 단일문장의 이해 14.3.1 단어이해 (1) 단어이해의 어려움
- 중의어의 문제점 ex) 다이아몬드 -> 4개의 동일 길이의 변을 가진 기하학적 구조 -> 야구구장 -> 매우 단단하고 값엋티 있는 보석 # 각 단어의 정확한 뜻을 결정하는 과정을 단어의미 명확화(word sense diambiguation) 또는 단어의미 명확화(lexical diambiguation)라고 한다 . 이 과정은 어휘록에 있는 각 단어에, 각 단어의 의미가 나타낼 수 있는 문맥들에 관한 정보들을 연관시킴으로써 행하진다.

10 14.3 단일문장의 이해 14.3.1 단어이해 (2) 의미 특징표 -> PHYSICAL–OBJECT
14.3 단일문장의 이해 단어이해 (2) 의미 특징표 -> PHYSICAL–OBJECT -> ANIMATE–OBJECT -> ABSTRACT-OBJECT (3) 선호 의미 - 선호의미 : 비교적 부분(local)정보에 의존하고 있는 방법 이는 LOCATION이란 목적물이 고정적인 것들이 아니라 가정에 의존하고 있다. 오히려 이들은 선호한다는 의미가 된다.

11 14.3 단일문장의 이해 문장이해 (1) 구조분석 (2) 의미분석 (3) 실용분석

12 14.4 핵심단어 정합 (keyword Matching)
언어이해문제를 해결하는 언어문제를 위한 간단한 방법은 모근 필요한 작업들을 한 단계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입력문장들을 핵심단어들을 위한 간단한 형태에 정합시킴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 방법의 주요한 장점은 그 문법이 특이한 문장 또는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문장들조차 인식되게끔 한다는 것이다. 문장에서 널리 알려진 단어들은 알아내고 나머지는 무시된다. 이는 근접정합(approximate matching)의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시도는 영어로 주어진 입력문장들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에서 이용되었다.

13 14.5 구조분석 (Syntactic Analysis)
-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윟란 어떠한 세부적인 부분도 빠뜨리지 않고 검토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의미모형의 세부적인 부분들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떄는 특정언어의 문법을 이용하여 파싱(parsing)을 하여 스트링(string) 모형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문법이 주어졌을 떄 문법관계를 조사하는 과정(parse)은 각각의 문법적인 문장의 모형을 줄 수 있다. 이런 모형은 파스트리(parse tree)라 한다.

14

15 14.6 의미분석 모든 종류의 구조적 의미지식을 문법형태에 맞게 일련의 법칙으로 합성화한 의미문법(semantic grammar) 문법 고나계를 조사함으로써 이루어진 모형이 어떠한 의미정보를 포함하는 격문법(case grammar) ex) (나는) (너를) (사랑한다. ) -> "사랑한다”가 "나는”(주어)과 “너를”(목적어)를 포함한다. (3) 구조분석에 의해 발생된 파스(parse)들의 의미여과(semantic filtering) 이를 행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파스’들이 지나감에 따라 부분적으로 이들을 여과한다. B. 완전한 ‘파스’들이 발견될 때까지 기다려서 이들을 의미학적 합리성에 대해 평가한다. (4) '파싱'을 덜 강조하고 구조지식보다는 의미지식에 의한 과정을 유도한다.

16 14.7 복수문장이해 (Understanding Multiple Sentences)
동일 물체들(Identical Objects) Ex) Bill had a red balloon. John wanted it. -> ‘it’가 ‘red balloon’을 지칭 - 어구참조(anaphoric)또는 어구반복(anaphora) (2) 물체들의 부분(parts of Objects) Ex) Sue opened the book she just bought. The title page was torn. -> ‘The title page’가 지금 막 산 책의 한 부분

17 14.7 복수문장이해 (Understanding Multiple Sentences)
(3) 행위들의 부분(Parts of Action) Ex) John went on business trip to New York. He left on an early morning flight. -> 비행기를 탄다는 것이 여행의 한 부분 (4) 행위에 포함된 물체(Objects Involved in Action) Ex) Bill decided to drive to the store. He Went outside, but his car wouldn’t start. -> bill의 차는 그가 가게로 운전해 가는 행위에 포함

18 14.7 복수문장이해 (Understanding Multiple Sentences)
(5) 원인적 연대(Causal Chains) Ex) There was a big snow storm yesterday. The schools were closed today. -> ‘snow’는 학교가 닫혀진 원인 (4) 계획순서(Planning Sequences) Ex) Sally wanted a new car. She decided to get a job. -> sally의 갑작스런 직장에 관한 관심은 그녀로 하여금 새로운 차와 이를 사기위한 돈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킴


Download ppt "제14장 자연어 이해 95604 전산정보학과 권혁민 9831079 전산정보학과 홍인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