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상례와 제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상례와 제례”."— Presentation transcript:

1 “상례와 제례”

2 상례 제례 과거 상례 형식과 절차 현재 상례의 모습 과거와 현재의 상례 비교 미래의 상례모습 성묘 문화 제례의 의미
제례의 종류 제례의 순서 제례의 문제점과 해결책

3 상례?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4 과거 상례

5 과거의 상례문화 유교 사상을 중시 여김 → 복잡한 절차, 유교중심 전쟁 < 상례??

6 초종(깨끗한 옷으로) - 유언 - 천거정침(머리를 동쪽으로) - 임종(= 운명, 종신) - 수시(눈을 감기고 바르게 눕힘) - 고복(칭호를 세번 부르고 옷을 지붕 위로 던짐) - 발상(상례시작을 알림) - 부고(친지들에게 알림) - 염습(시신을 깨끗하게) - 반함(저승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을 줌) - 입관(시신을 관으로) - 영좌 설치(영정사진에 검은 리본) - 성복(상복을 입음) - 조문 - 발인(관이 집에서 나감) - 운구= 천구 (상여를 들고 감) - 하관(땅을 파고 관을 넣음) - 성분(석회+흙으로 덮고, 잔디) - 위령제(고인의 명복을 비는 제사) - 반우제 = 초우제(집으로 돌아와 영혼을 들임)

7 현재 간략화 추구, 도시화, 산업화, 다양한 종교의식 → 장례 절차 간소화

8 현재의 상례 절차 첫째 날 : 사망 진단서 요청, 안치 및 빈소차림 둘째 날 : 입관 및 성복제 셋째 날 : 발인 및 장지
* 이때, 상주는 : 장례일정 및 방법 논의, 사망진단서, 장의용품 선정, 영정사진, 빈소차림, 제단 장식, 단기 전화 및 비품 설치, 상복착용, 입관시간 결정, 부고 혹은 부음 결정, 장의 차량 결정 둘째 날 : 입관 및 성복제 * 성복제 – 상복을 입음(8촌이내 친족),   셋째 날 : 발인 및 장지

9 시니어파트너즈 ‘2008 시니어 행태 조사 결과보고서’
2007년 조사 자료

10

11 5일~7일(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무덤을 돌본 후 탈상 = 3년장)
전통 현대 시신 처리 가정에서 염습 장의사 또는 장례식장 방법 묘지(상여) 묘지+ 화장, 가족납골당, 추모공원 기간 5일~7일(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무덤을 돌본 후 탈상 = 3년장) 3일( 1년이나 49일만에 탈상) 삼베로 지은 삼복, 두건 + 짚신 검은색 양복 + 삼베 헝겊 장소 집(안방), 집 밖 장례 금지 집, 장례식장, 병원 등

12 미래 자연장 확산 유비쿼터스 환경 친화적, 자리 차지를 적게 해야 함.
고인들의 영정을 비롯한 이력,약력,족보,고인의 일대기를 CD1장에 담아 DMB 모바일이나 모니터를 통하여 동영상으로 언제든지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유비쿼터스 저렴한 비용, 환경 친화적 잘못된 납골묘 문화로 인한 문제 해결 자연장 확산

13 성묘 문화 고인이 되신 부모님이나 가족의 묘소를 찾아가 고인을 추모하며 묘소를 돌보는 것
★ 과거 – 명당자리, 친척 모두 참여, 제사음식을 직접 차려서 지냄. ★ 현재 – 친척 모두가 참여하지는 않음, 성묘 하는 조상의 범위가 4대조에서 2대조로 작아짐, 음식 간소화 혹은 대행업체, 시간, 공간 차지가 문제인 무덤보다는 화장, 납골당, 수목장 등 간편한 것 이용 ★ 미래 – 유비쿼터스 ( 고인의 영상을 보며 고인을 기림.)

14 제례? 제사를 지내는 의례, 돌아가신 조상을 모시는 방법과 절차로서 제사를 지내는 여러 가지 예절을 말하며 신명을 받들어 복을 비는 의식을 제례 현대 사회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던 일가친지들이 함께 모여 고인의 명복을 빌며, 친족 간에 화합과 친목을 나누는 자리

15

16 제례의 종류 기제(忌祭) 차례 (茶禮) 연시제(年始祭) 돌아가신 날일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
제례의 종류 기제(忌祭) 돌아가신 날일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 과거에는 4대조까지, 요즘은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이내의 존, 비속 차례 (茶禮) 음력으로 매월 초 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 날에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내며, 요즘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年始祭 )와 추석절의 절사(節祀 )가 이에 해당. 연시제(年始祭)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 봉사대상은 원래 4대조 까지였으나, 요즘은 2대조까지만 한다.

17 사시제(四時祭) 묘제(墓祭) 세일사(歲一祀) 이제(禰祭) 생신제
1년에 네 번. 매월 중(=2월,5월,8월,11월)상순의 정일이나 해일을 가리어 지낸다. <사례편람> 에는 시제야 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있음. 묘제(墓祭)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것.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신께는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요즘은 1년중 적당한 날을 하루 잡아서 산소를 찾아가 문중이 모두 함께 제사를 드리는 것으로 대신. 세일사(歲一祀) 5대조 이상 조상께 산소에서 1년에 한 번. 세일사는 문중에서 지내므로 문중 대표(종손, 요즘에는 연장자가 대신하기도 함)가 주인. 음력 10월 중 하루를 정해 제사를 올림. 이제(禰祭) 부모를 위한 정기 계추(음력 9월)에 지내던 계절 제사. 부모의 제사를 특별히 따로 두었던 것은 그 친분이 다른 조상에 비할 바가 아니기 때문. 생신제 돌아가신 부모님의 생신날에 지내는 제사.

18 제례의 순서 영신(대문을 열어 놓음) → 강신(영혼의 강림을 청함) →
초헌(첫번째 술잔을 올림) → 독축(축문 읽은 후 두번 절하기) → 아헌(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주부(主婦)) → 종헌(세번째 술 잔을 올리는 의식- 사위나 외손) → 첨작(술잔 채우기) → 삽시정 저(숟가락을 메 그릇 중앙에 꽂기) → 합문(밖으로 나가 문닫고 기 다림) → 계문(닫았던 문 열기) →헌다(물 올리기) → 철시복반 (수저 거두고 메 뚜껑 닫기) → 사신(절하고 지방과 축문 불태우기) → 철상(모든 제수 물림) → 음복(제수를 나누어 먹음) 독축, 아헌, 종헌, 합문, 계문, 헌다 는 다른 제사 때는 하고, 차례 지낼 때는 하지 않음.

19 과거? 현재?

20 제사상을 택배로? - 젊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지만, 시어머니 들이 주문하는 경우도 있음 만원 ~ 20만원 정도, 전국 택배 가능, 인터넷 주문 가능 - 제기는 일회용 종이 그릇으로 초·향 등은 자체 구입 해야 함.

21 제사상 어플

22

23 제례의 문제점과 해결책 여자들만 일한다 남자들도 간단한 일 정도는 도와야 한다!! 거리가 멀어도 제사에 참석해야 함.
제사 참여를 권장. But! 사정이 있거나 거리가 먼 사람들까지 의무화 하지는 않는다. 바빠서 혹은 미신이라고 여겨 제사를 지내지 않거나 제사에 참여하지 않음. 절차가 복잡하다 제사상, 제사 절차의 간소화 지나친 제사상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듬. 가부장적 문화

24


Download ppt "“상례와 제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