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구원의 주제 27 예레미야의 고뇌 2 예레미야 성경본문 예레미야 27:1~52:34
2
엯역사적 배경 - 회고
3
연대표
4
1 회 고
5
역사적 배경 1. 회고
6
역사적 배경 1. 회고 예레미야의 예언
7
역사적 배경 1. 회고
8
역사적 배경 1. 회고
9
역사적 배경 1. 회고
10
본문과 해석
11
첫 번째 예언 – 열다섯 가지 예언들 (렘1:1~26:24)
본문과 해석 첫 번째 예언 – 열다섯 가지 예언들 (렘1:1~26:24)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렘 27:1~45:5)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렘 46:1~51:64) 부록 – 예루살렘의 최후 (렘 52:1~34)
12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렘27:1~45:5)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열 여섯 번째 예언 – 바벨론의 멍에 (렘27:1~22) 거짓 선지자 하나냐 (렘28:1~17) 열 일곱 번째 예언 – 포로 된 자에게 보내는 편지와 예언 (렘 29:1~32) 열 여덟 번째 예언 – 유다와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언함 (렘30:1~33:26) 열 아홉 번째 예언- 시드기야의 운명과 히브리 노예 (렘 4:5~6:30)
13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렘27:1~45:5)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스므 번째 예언 – 레갑인들의 순종 (렘35:1~19) 예레미야의 예언을 기록한 바룩 (렘36:1~32) 예레미야의 감금 (렘 37:38~28) 예루살렘의 멸망과 자유의 몸이 된 예레미야 (렘39:1~40:6) 총독 그달랴의 암살 (렘 40:7~41:18) 스물한 번째 예언 – 애굽에서의 마지막 예언 (렘42:1~44:30)
14
열 여섯 번째 예언 – 바벨론의 멍에 (렘27:1~22) (1)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열 여섯 번째 예언 – 바벨론의 멍에 (렘27:1~22) .
15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선지자 예레미야
16
“줄과 멍에를” (렘27:2)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내게 말씀하시되 너는 줄과 멍에를 만들어 네 목에 걸고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줄과 멍에를” (렘27:2)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내게 말씀하시되 너는 줄과 멍에를 만들어 네 목에 걸고
17
“예루살렘에 온 사신들의 손에도” (렘27:3) 유다의 왕 시드기야를 보러 예루살렘에 온 사신들의 손에도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에 온 사신들의 손에도” (렘27:3) 유다의 왕 시드기야를 보러 예루살렘에 온 사신들의 손에도 그것을 주어 에돔의 왕과 모압의 왕과 암몬 자손의 왕과 두로의 왕과 시돈의 왕에게 보내며
18
“바벨론의 왕을 섬기라” (렘27:17) 너희는 그들의 말을 듣지 말고 바벨론의 왕을 섬기라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바벨론의 왕을 섬기라” (렘27:17) 너희는 그들의 말을 듣지 말고 바벨론의 왕을 섬기라 그리하면 살리라 어찌하여 이 성을 황무지가 되게 하려느냐
19
거짓 선지자 하나냐 (렘28:1~17) (2)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거짓 선지자 하나냐 (렘28:1~17) .
20
열 일곱 번째 예언 – 포로 된 자에게 보내는 편지와 예언 (렘 29:1~32)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열 일곱 번째 예언 – 포로 된 자에게 보내는 편지와 예언 (렘 29:1~32) .
21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22
열 여덟 번째 예언 – 유다와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언함 (렘30:1~33:26)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4) 열 여덟 번째 예언 – 유다와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언함 (렘30:1~33:26) .
23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24
“라마에서 슬퍼하며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 때문에 애곡하는 것이라”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라마에서 슬퍼하며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 때문에 애곡하는 것이라” (렘31:15)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라마에서 슬퍼하며 통곡하는 소리가 들리니 라헬이 그 자식 때문에 애곡하는 것이라 그가 자식이 없어져서 위로 받기를 거절하는도다
25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26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27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새 언약을” (렘31:31)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28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렘31:33)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렘31:33)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29
열 아홉 번째 예언 - 시드기야의 운명과 히브리 노예 (렘 4:5~6:30)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5) 열 아홉 번째 예언 - 시드기야의 운명과 히브리 노예 (렘 4:5~6:30) .
30
스므 번째 예언 – 레갑인들의 순종 (렘35:1~19) (6)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6) 스므 번째 예언 – 레갑인들의 순종 (렘35:1~19) .
31
예레미야의 예언을 기록한 바룩 (렘36:1~32) (7)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7) 예레미야의 예언을 기록한 바룩 (렘36:1~32) .
32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예레미야의 예언을 기록하는 바룩
33
예레미야의 감금 (렘 37:38~28) (8)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8) 예레미야의 감금 (렘 37:38~28) .
34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예레미야의 예언을 기록하는 바룩
35
예루살렘의 멸망과 자유의 몸이 된 예레미야 (렘39:1~40:6)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9) 예루살렘의 멸망과 자유의 몸이 된 예레미야 (렘39:1~40:6) .
36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시드기야 아들들의 죽음
37
“립나에 있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에게로”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립나에 있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에게로” (렘39:5) 갈대아인의 군대가 그들을 따라 여리고 평원에서 시드기야에게 미쳐 그를 잡아서 데리고 하맛 땅 립나에 있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에게로 올라가매 왕이 그를 심문하였더라
38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39
총독 그달랴의 암살 (렘 40:7~41:18) (10)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0) 총독 그달랴의 암살 (렘 40:7~41:18) .
40
스물한 번째 예언 – 애굽에서의 마지막 예언 (렘42:1~44:30)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1) 스물한 번째 예언 – 애굽에서의 마지막 예언 (렘42:1~44:30) .
41
본문과 해석 2. 두 번째 예언 – 예레미야의 삶과 이야기들
42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렘46:1~28)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애굽의 멸망 예고 (렘 46:1~28) 블레셋의 멸망 (렘47:1~7) 모압의 멸망 (렘 48:1~47) 암몬의 멸망 (렘49:1~6) 에돔의 멸망 (렘49:7~22) 다메섹, 게달과 하솔, 엘람의 멸망 (렘49:23~39) 바벨론의 멸망에 대한 예언 (렘50:1~51:64)
4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44
애굽의 멸망 예고 (렘 46:1~28) (1)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애굽의 멸망 예고 (렘 46:1~28) .
45
블레셋의 멸망 (렘47:1~7) (2)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블레셋의 멸망 (렘47:1~7) .
46
모압의 멸망 (렘 48:1~47) (3)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모압의 멸망 (렘 48:1~47) .
47
암몬의 멸망 (렘49:1~6) (4)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4) 암몬의 멸망 (렘49:1~6) .
48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49
에돔의 멸망 (렘49:7~22) (5)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5) 에돔의 멸망 (렘49:7~22) .
50
다메섹, 게달과 하솔, 엘람의 멸망 (렘49:23~39) (6)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6) 다메섹, 게달과 하솔, 엘람의 멸망 (렘49:23~39) .
51
바벨론의 멸망에 대한 예언 (렘50:1~51:64) (7)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7) 바벨론의 멸망에 대한 예언 (렘50:1~51:64) .
52
본문과 해석 3. 세 번째 예언 – 이방 민족을 향한 예언들
53
4 부록 – 예루살렘의 최후 (렘52:1~34) episode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54
신학적 의미
55
서론 대 선지자중 하나인 예레미야는 남왕궁에서 태어난 이사야의 후배이지만, 그는 북왕국(이스라엘)이 앗수르에게 망하는 역사적 현실을 지켜보았으며, 이번에는 북왕국을 멸망시킨 앗수르의 멸망을 지켜보는 역사의 현장 속에 살았다. 그러면서도 남왕국이 점점 붕괴되어 가고 있는 국운을 보면서 여호와께 돌아오기를 40년간 외치는 외로운 예언자의 길을 걸었다. 결국 그는 남왕국 마저 바벨론에 의하여 멸망 당하는 최후를 목격했으며, 자신은 애굽으로 끌려가서 죽게 되는 불운의 예언자였다.
56
1 예언자 이사야와 예언자 예레미야 사이
57
신학적 의미 1. 예언자 이사야와 예언자 예레미야 사이
선지자 이사야와 선지자 예레미야는 예언 운동에 있어서 양대 산맥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두 사람 사이의 공통점은 무엇보다 민족의 위기 앞에서 강권함으로 다가오는 하나님의 말씀과 부르심 앞에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응답하여 예언자가 되었다는 사실에 있다. 이것을 리차드 니버(H. Richard Niebuhr)교수는 ‘비밀리에 오는 부름’(secret calling)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인간이 스스로 나서서 무엇이 되겠다는 식의 헌신이 아니다.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때로는 강권하는 힘으로 다가 오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의미하며, 많은 경우 인간은 이 때에 공포와 떨림으로 주저하게 된다. 이것이 ‘소명’(vocation)이다.
58
신학적 의미 1. 예언자와 예언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그러기에 소명은 인위적이거나 자발적이거나, 제도적인 것이 아니라 많은 경우 ‘수동적’이고, ‘응답적’인 성격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들이 부름을 받은 자리는 성전이나 제도가 아니라 삶의 자리-역사였다. 이 점에서 이사야와 예레미야는 당시 성전 중심의 제사장과 성전 안의 선지자들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예언자들이었다. 이사야와 예레미야 사이의 또 다른 공통점은 둘 다 ‘보는 자’(seer)들이었다는 것이다. 역사의 진행을 하나님의 구원이라는, 하나님의 통치라는, 하나님의 경륜과 운행이라는 차원에 본 사람들이었다. 다시 말해서 역사를 역사의 얽힘 그 자체에 보지 아니하고, 역사를 하나님의 구원의 틀에서 보았던 것이다.
59
신학적 의미 1. 예언자와 예언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이사야는 앗수르-시리아-북왕국-애굽이라는 네 나라의 정치적 파워 게임 속에서 남왕국(유다)의 운명을 직시하고 있었으며, 예레미야는 북왕국의 멸망, 앗수르의 멸망, 바벨론의 등장, 애국과의 틈바구니에 낀 남왕국의 운명을 직시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둘 다 ‘보는 자’(seer), ‘시대’를 읽는 자들이었다. 이사야와 예레미야가 주는 신학적 의미 한 가지는 교회의 예언자적 기능은 역사의 진행과 징조를 보고 읽을 수 있는 ‘영안’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수용하는 일이다. 한국교회가 강점으로 키워 온 ‘영성’과 ‘신앙’은 역사의 진행을 올바로 보고 또 읽을 수 있는 ‘눈’을 가지는 때 비로소 예언자적 일 수 있기 때문이다.
60
신학적 의미 1. 예언자와 예언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예언자적’이라는 말은 무조건적인 반정부적, 반제도적, 저항적 성격으로 이해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역사를 올바로 보고 읽는다는 말은 역사 진행 속에 오고 있는 하나님의 구원과 통치하심을 분별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사야와 예레미야의 공통점 또 하나는 둘 두 ‘혁명적’역사관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것이 혁명적이라는 것은 그들의 예언이 당신 기득권자들에게는 죽음을 의미했기 때문이었으며, 종교지도자들에게는 기존의 신관이 부정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혁명적 역사관이란 북왕국의 멸망과(이사야), 남왕국의 멸망이(예레미야) 하나님의 주권적인 심판에서 오는 것이라는 역사 이해였던 것이다. 선택된 민족을 선택하신 분이 선택한 사람들을 치신다는 것을 그 누구도 믿지 않았다. 그러나 이사야와 예레미야는 그의 백성을 사랑하시기 때문에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치신다는 역설을 외쳤던 것이다. 여기서 예언자적이란 ‘반정부적’이란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심판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것을 뜻한다.
61
신학적 의미 1. 예언자와 예언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여기에 이사야와 예레미야의 예언이 ‘혁명적’이었다는 보다 큰 이유가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그토록 미워하시는 이방나라(앗수르와 바벨론)들을 들어 이스라엘을 심판하시는 도구로 사용하신다는 내용이 바로 그것이다. 이 예언은 민족주의로 채색되었던 당시 지도자들과 성전주의에 예속되었던 제사장들 모두에게 일대 ‘충격’이었으며, 바로 이 사상 때문에 두 예언자는 숱한 역경과 고난을 겪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두 사람은 공히 마지막 길을 남겨 두었던 점도 같았다. ‘회개하고 돌아오면’이라는 메타노이아(metanoia) 사상이었다. 시내 산 언약을 기억하고 야웨에게 돌아오면, 야웨 하나님은 죄악을 기억하지 아니하시고 다시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시고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으신다는 메시지였다. 두 예언자는 철저한 야웨주의 신앙이었으며(Yahwism) 그들의 신앙은 철자하게 여호와 하나님 중심의 ‘유일신’적이었다.
62
이사야가 다소 정치적 성격을 띠었다면, 예레미야는 정치적 타락보다
신학적 의미 1. 예언자와 예언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다만 두 예언자 사이의 차이점은 ‘시대 차’에서 오는 예언의 초점이 달랐을 뿐이었다. 이사야가 남왕국의 위기를 야웨 하나님께 맡기는 대신 외세(앗수르나 애굽)에 의존하여 생존의 길을 모색한 왕들의 불신앙을 고발하는 것이었다면,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민족 속에 만연한 종교적 타락, 백성 전체의 불신앙이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 일으켰다는 사실을 예언했던 것이다. 이사야가 다소 정치적 성격을 띠었다면, 예레미야는 정치적 타락보다 종교적 타락의 심각성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예언한 것으로 보인다.
63
2 종교적 타락이 만 악의 근원
64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이사야 예언의 대상은 남왕국, 특히 예루살렘의 사회적 타락상이었다. 그러나 예레미야가 직시한 것을 예루살렘의 성전을 중심으로 만연된 남왕국 전체의 종교적 타락이었다. 무엇보다도 제사장들의 타락은 야웨 하나님을 버린 데 있었다. “여호와께서 어디 계시냐”(렘 2:8)라는 말로 사실상 제사장들은 하나님의 부재 혹은 오늘의 말로는 하나님 죽음의 신학을 주장한 사람들이었다. 하나님 없는 종교, 그 자리에는 ‘자기 권력화’만 남는다. 성전의 주역을 하나님으로부터 자신들의 권력으로 옮기면서, 사실상 제사장이 종교의 중심이 되었다.
65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이 같은 현상은 자칫 카리스마 교회들이 이름은 하나님을 부르지만 실질적인 절대 권력은 성직자 손에 두는 것 같은 현대 교회의 위험성 속에도 내재한다. 따라서 ‘법 잡은 자’들은 야웨를 알지 못하는 자들이었으며(렘2:8), 관리들은 ‘야웨를 항거’하는 사람들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이사야 때처럼 하나님의 공의가 무시도니 채, 불의와 부패만이 난무하는 사회적 타락이 계속되고 있었음을 증언한다. 그러나 예레미야에게 더 문제가 된 것은 제사장들의 이름으로가 아니라 바알의 이름으로 예언하는 것이었다. “바알의 이름으로 예언”(렘2:8)한다는 현대적 의미는 하나님의 이름과 뜻이 아닌 이데올로기의 이름으로 예언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6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이데올로기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뿐 아니라 ‘축복’이데올로기, ‘성공’이데올로기 등으로 확산되며, 이것들의 사실상 학국교회와 사회에 진리인 것처럼 파고들었다. 이제 하나님 없는 성전, 야웨를 포기한 종교는 구체적으로 ‘거짓 예배’속에 드러났다. “이것이 여호와의 전이라, 여호와의 전이라, 여호와의 전이라 하는 거짓말을 믿지 말라”(렘7:4)에서와 “도적질하며, 살인하며, 간음하며… 바알에게 분향하며… 우리가 구원을 얻었나이다.”(렘7:9-10)의 연계에서 당시 성전 예배가 얼마나 ‘위선적’이고 ‘이중적’이며, ‘형식적’이었던가를 예레미야는 고발하고 있다.
67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 사이의 계시와 감사와 탄원 그리고 말씀과 헌신의 살아 있는 언약관계는 사라지고, 이제 성전을 ‘마술화’한 예배가 되었다는 뜻이다. 삶과 단절된 예배, 성전만 들락거리면 구원은 보장된 것처럼 타락한 성전예배, 그것은 예레미야 시대만의 문제라고 보아야하는 것일까? 오늘의 한국교회의 예배는 어느 선상에 와있는가? 기독교인 정치인들이 정말로 거룩한 백성이요, 제사장 나라 사람다운 삶을 살아가면서 예배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있는가? 만일 정치 따로, 예배 따로의 이원론적 삶을 살아간다면 예레미야 시대의 예배와 다를 바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68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예레미야가 본 남왕국 가장 큰 위기는 거짓 예언자들의 거짓 평화의 약속이었으며, 백성들은 바로 거짓 평화를 믿었다는데 있었다. 이것은 국가의 존폐가 달린 안보와도 관련된 것이었다. 거짓 선지자들의 약속은 “너희가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너희가 칼을 보지 아니하겠고 기근은 너희에게 이르지 아니할 것이라 여호와께서 이곳에서 너희에게 확실한 평강을 주시리라 하나이다.”(렘14:13)라는 약속이었다. 하나님이 선택한 백성은 무슨 짓을 해도 평화가 자동적으로 보장되었다는 약속이었다.
69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무엇이 거짓인가? 거짓 예배나 거짓 예언은 하나님의 심판을 일체 말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님을 그 어느 과거에 묶어두고, 현재에도 미래에도 관련되지 않는 부재중의 하나님이다. 그리고 거짓 예배와 예언은 인간의 신앙적 책임을 묻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한 번 보장된 것은 인간의 책임 없이도 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인간의 책임도 부재한다. 하나님도 인간도 없는 예배와 예언에는 공허한 형식과 거짓 약속만이 남는다. 문제는 백성들이 이 거짓 예배와 거짓 예언을 믿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을 틸리케는 종교적 허무주의라고 불렀다. 사실상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위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70
신학적 의미 2. 종교적 타락이 만악의 근원 그러기에 예레미야가 본 남왕국의 위기는 하나님도 인간의 책임도 없는 성전, 제사장, 선지자, 예배, 약속에 있었으며, 거기에는 아무런 생명력이 없었던 것이다. 이것을 예레미야는 깨진 언약이라 했으며, 본회퍼(D, Bonhoeffer)는 값싼 은총(cheapgrace)이라고 불렀다. 거짓 예배와 거짓 평화의 약속! 이것이 예레미야가 보았던 남왕국의 내면적 위기였다면, 오늘의 한국과 한국교회가 여기서 얻는 교훈은 무엇이겠는가?
71
. 기획 TBC 성서 연구원 제작 후원 학교법인 실천 신학 대학원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