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우울증 대한 이해와 오해 신세계병원 정신과 정일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우울증 대한 이해와 오해 신세계병원 정신과 정일관."— Presentation transcript:

1 우울증 대한 이해와 오해 신세계병원 정신과 정일관

2 <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입니다.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이다.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이 걸린다.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이다. 6명중 한명은 우울증에 걸린다. WHO 자료에 따르면 그 중 25%만이 효과적인 치료를 받는다.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이 걸린다. 40-50대에서 발병률이 높다. 최근 청소년이나 노인층에서 우울증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이 걸린다.

3 우울증은 심각한 장해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WHO 조사)
2020 1990 5 4 3 2 1 2001 WHO자료에 의하면, 1990년도에는 주요 우울증(Major depression)이 주요 장애 및 사망 원인(disease burden) 질환 중 네 번째를 차지하였다. 2020년도가 되면 두 번째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한다 세 사이에서는 이미 2위의 장애에 해당된다. WHO

4 우울증은 신체 질환 및 사망률을 높입니다. 심근 경색의 발병 위험 노인의 연간 사망률 우울증 우울증 일반인 일반인 5배
우울증은 신체질환이나 사망률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Patients with depression have five-fold increased risk of myocardial infarct (Frasure-Smith, et al 1992) 53. 6% of depressed elderly had experienced severe health events or had major chronic health problems compared with 38.1% in the community group (Murphy & Lindesay 1983) Overall mortality of depressed elderl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mmunity group: 34.2% vs 14% (Murphy & Lindesay 1983) 5배 34.2% 14% 우울증 일반인 우울증 일반인

5 우울증은 사회 수행 능력을 저하시킵니다. (%) 100 95 90 85 80 우울증 급성관상 동맥질환 폐질환 협심증 당뇨병
The Medical outcomes study : Social Functioning Higher Score = Greater Functioning (n = 11,242) 일의 능률이 떨어지는 정도가 다른 신체질환과 비교할 때 훨씬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80 우울증 급성관상 동맥질환 폐질환 협심증 당뇨병 관절염 척추질환 일반인

6 우울한 기분과 우울증은 분명히 다릅니다. 사망, 상실 실패, 좌절 일반인 우울증 기분 기간 우울한 기분과 우울증의 차이
-우울한 기분 : 그 누구도 항상 평상심을 유지할 수 없다. 하루 혹은 일주일에 몇 번씩 기분이 좋았다가 나빴다 하는 변화는 정상적인 것이나 그 변화의 정도가 크지 않다.그러나 가까운 사람의 사망, 이혼과 같은 상실, 실패나 좌절을 경험하면 일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기분이 저하되고 슬픔을 느낀다. 하지만 재난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할만한 수준으로, 우울한 감정의 정도가 가볍고 지속기간이 짧으며 개인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기분전환을 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정상수준으로 좋아지게 된다. -우울증: 우울증은 정상반응이 아니라 치료하지 않으면 몇 달, 몇 년이라도 지속되고,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우며, 최악의 경우 자살에 이르게 될 정도로 심한 우울이 지속된다. 사망, 상실 실패, 좌절 기간

7 증상에 대한 오해 일반적인 의학 증상 다리가 부러졌다 배가 아프다

8 우울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활기가 없음 비 오는 날은 대체로 기분이 우울하다 남편과 싸운 순이는 하루종일 우울하다

9 사망, 이혼, 실패 우울, 슬픔, but 이해할만한 수준 증상의 정도가 가볍다 지속기간이 짧다
개인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대부분 정상수준으로 좋아지게 된다

10 우울증 몸에 나타나는 증상 마음에 나타나는 증상 생각의 변화 치료하지 않으면 몇 달, 몇 년이라도 지속된다
스스로 극복하기 어렵다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렵다 자살에 이르게 될 정도로 심한 우울

11 우울증은 나이에 따라 특이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소아 청소년 • 짜증, 반항 • 등교 거부, 성적 저하 • 여러 가지 신체 증상 • 약물 남용 • 청소년 비행 • 고3병 우울증상은 기본적으로 우울하고 에너지의 저하, 슬픔과 집중력의 저하를 동반하나 연령과 성에 따라 독특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소아의 경우 아이가 산만해지거나, 학교성적이 떨어지고 등교를 거부하고, 배나 머리가 아프다는 등의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하거나, 부모에 대한 지나친 집착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부모나 교사에 대한 반항이나 사회에 불평불만이 늘고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중년기의 여성의 갱년기 우울증의 경우 주부건망증으로 알려진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며, 자식이 성공했는데도 불구하고 독립해나간 허탈감을 견디지 못하는 빈둥지 증후군, 초조감과 인생의 공허감, 배우자에 대한 의심 등을 주로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노년기의 우울증은 암이나 다른 심각한 질환에 걸린 것이 아닌지 불안, 초조해 하며 병원에서 각종 검사를 받기도 한다. 집중력과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는데 정도가 심한 경우 치매로 오인되기도 한다.

12 중 년 • 건강염려증 • 죄책감, 의심 • 절망감, 공허감 • 건망증 • 빈둥지증후군 • 홧병
중 년 • 건강염려증 • 죄책감, 의심 • 절망감, 공허감 • 건망증 • 빈둥지증후군 • 홧병 우울증상은 기본적으로 우울하고 에너지의 저하, 슬픔과 집중력의 저하를 동반하나 연령과 성에 따라 독특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소아의 경우 아이가 산만해지거나, 학교성적이 떨어지고 등교를 거부하고, 배나 머리가 아프다는 등의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하거나, 부모에 대한 지나친 집착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부모나 교사에 대한 반항이나 사회에 불평불만이 늘고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중년기의 여성의 갱년기 우울증의 경우 주부건망증으로 알려진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며, 자식이 성공했는데도 불구하고 독립해나간 허탈감을 견디지 못하는 빈둥지 증후군, 초조감과 인생의 공허감, 배우자에 대한 의심 등을 주로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노년기의 우울증은 암이나 다른 심각한 질환에 걸린 것이 아닌지 불안, 초조해 하며 병원에서 각종 검사를 받기도 한다. 집중력과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는데 정도가 심한 경우 치매로 오인되기도 한다.

13 중년 여성: 폐경기 • 40-55세 사이 • 안면 홍조, 야간 발한, 수면 장애, • 20-30% : 우울감, 불안, 기억력
질 건조감 • 20-30% : 우울감, 불안, 기억력 및 집중력 장애 • 폐경기에 산부인과를 방문한 여성의1/3에서 진단 가능 빈둥지 증후군은 중년 이후 자식들이 떠나고 난후 생기는 허탈감과 상실감등의 영향으로 생기는 우울증상을 표현한다. 이런 경우 폐경이 되면서 호르몬대사의 변화 시기에 우울증이 많이 발생한다. 여성은 폐경기와 겹치고, 남성은 은퇴나 실직 등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의 변화와 겹치는 경우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일시적인 허탈감과 상실감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극복하는 수도 많지만 빈둥지 증후군이 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 본격적인 중년기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14 중년 남성 • 명예 퇴직, 감원, 사회적 압박감, • 신체증상 < 정신적 고통, 우울감 • 자살률이 여성의 2배
낮은 성취감, 인생에 대한 회의 • 신체증상 < 정신적 고통, 우울감 • 자살률이 여성의 2배 • 자존심때문에 치료 받을 시기를 놓치거나 술로 해결하려는 경향 빈둥지 증후군은 중년 이후 자식들이 떠나고 난후 생기는 허탈감과 상실감등의 영향으로 생기는 우울증상을 표현한다. 이런 경우 폐경이 되면서 호르몬대사의 변화 시기에 우울증이 많이 발생한다. 여성은 폐경기와 겹치고, 남성은 은퇴나 실직 등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의 변화와 겹치는 경우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일시적인 허탈감과 상실감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극복하는 수도 많지만 빈둥지 증후군이 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경우 본격적인 중년기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15 노 인 • 모호한 신체 증상 • 불면 • 불안 •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 (가성치매)
노 인 • 모호한 신체 증상 • 불면 • 불안 •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 (가성치매) 우울증상은 기본적으로 우울하고 에너지의 저하, 슬픔과 집중력의 저하를 동반하나 연령과 성에 따라 독특하게 표현되기도 한다. 소아의 경우 아이가 산만해지거나, 학교성적이 떨어지고 등교를 거부하고, 배나 머리가 아프다는 등의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하거나, 부모에 대한 지나친 집착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부모나 교사에 대한 반항이나 사회에 불평불만이 늘고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중년기의 여성의 갱년기 우울증의 경우 주부건망증으로 알려진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며, 자식이 성공했는데도 불구하고 독립해나간 허탈감을 견디지 못하는 빈둥지 증후군, 초조감과 인생의 공허감, 배우자에 대한 의심 등을 주로 호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노년기의 우울증은 암이나 다른 심각한 질환에 걸린 것이 아닌지 불안, 초조해 하며 병원에서 각종 검사를 받기도 한다. 집중력과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는데 정도가 심한 경우 치매로 오인되기도 한다.

16 신체질환이나 약물에 의해서도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체질환이나 약물에 의해서도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폐질환, 수면무호흡증 등 암, 내분비계 질환, 대사성 질환 등 만성 췌장염, 간경화 등 심근 경색, 혈액 질환 등 뇌외상, 중풍, 치매, 파킨슨병 등 치료 약물, 남용 약물 한편 중년이후 부터 다양한 신체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고 또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된다. - 우울증은 위와 같은 신체질환이나 치료를 위한 약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상이 있을 때 이런 신체질환의 유무와 함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어떤 것인지 정신과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올바르고 빠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약물에 의한 우울증 : - 치료약물: 고혈압약 등 심혈관계 약물, 스테로이드 호르몬, 피임약, 식욕감퇴제, 항생제, 항암제, 진통소염제, 항파킨슨약물 ,항경련제 등 - 남용약물: 술과 진정제, 아편 등 이 경우 원인을 제거하면 치료될 수 있으므로 정확히 진단되어야 합니다.

17 우울증의 원인은? 신체적 질환 사회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술, 약물 특히, 여성은 생리주기, 임신 및 출산 등
우울증에 취약한 요인이 많습니다. 한편 중년이후 부터 다양한 신체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고 또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된다. - 우울증은 위와 같은 신체질환이나 치료를 위한 약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상이 있을 때 이런 신체질환의 유무와 함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어떤 것인지 정신과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올바르고 빠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약물에 의한 우울증 : - 치료약물: 고혈압약 등 심혈관계 약물, 스테로이드 호르몬, 피임약, 식욕감퇴제, 항생제, 항암제, 진통소염제, 항파킨슨약물 ,항경련제 등 - 남용약물: 술과 진정제, 아편 등

18 원인에 대한 오해 우울증은 마음의 병이다 시어머니가 구박해서 우울증이 생겼다 정신력이 약해서 우울증이 생겼다

19 우울증은 뇌 기능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일반인 우울증
FDG PET 일반인 우울증 The above images demonstrate a comparison of a clinically depressed patient (right) compared to a matched control (left). In the color scheme, blue represents less activity (glucose metabolism) while red represents more (glucose metabolism). Note the relative hypoactivity of the cortex on the right with marked hypoactivity of the Prefrontal, Frontal and deeper Basal Ganglia (Source: Future Psychiatrist. September, 1996)

20 우울증의 진단 우울감과 절망감 모든 활동에서 흥미의 현저한 저하 식욕과 체중 변화
아래의 핵심 증상들이 2주 이상 지속될 때 우울증으로 진단합니다. 우울감과 절망감 모든 활동에서 흥미의 현저한 저하 식욕과 체중 변화 한편 중년이후 부터 다양한 신체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고 또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된다. - 우울증은 위와 같은 신체질환이나 치료를 위한 약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상이 있을 때 이런 신체질환의 유무와 함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어떤 것인지 정신과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올바르고 빠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약물에 의한 우울증 : - 치료약물: 고혈압약 등 심혈관계 약물, 스테로이드 호르몬, 피임약, 식욕감퇴제, 항생제, 항암제, 진통소염제, 항파킨슨약물 ,항경련제 등 - 남용약물: 술과 진정제, 아편 등

21 우울증의 부수적 증상 불면증 혹은 수면 증가 초조, 피로, 무가치감 죄책감, 자살사고, 집중력 저하 비정상적 우유부단함
초조, 피로, 무가치감 죄책감, 자살사고, 집중력 저하 비정상적 우유부단함 성욕 및 성생활 감소 한편 중년이후 부터 다양한 신체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고 또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된다. - 우울증은 위와 같은 신체질환이나 치료를 위한 약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상이 있을 때 이런 신체질환의 유무와 함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어떤 것인지 정신과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올바르고 빠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약물에 의한 우울증 : - 치료약물: 고혈압약 등 심혈관계 약물, 스테로이드 호르몬, 피임약, 식욕감퇴제, 항생제, 항암제, 진통소염제, 항파킨슨약물 ,항경련제 등 - 남용약물: 술과 진정제, 아편 등

22 우울증 환자의 특징적 사고 방식 • 내 탓이다. • 앞으로도 어려움이 계속될 것이다. • 온 세상이 다 부정적이다.
우울증 환자의 특징적 사고 방식 • 내 탓이다. • 앞으로도 어려움이 계속될 것이다. 우울증이 지속되면 생각하는 방식과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비틀린다. 모든 일을 자기 탓으로 돌리고, 이런 불행이 평생 지속되고, 온 세상이 모두 부정적으로 보인다. • 온 세상이 다 부정적이다.

23 우울증 환자의 특징적 사고방식 • 이러한 어려움은 일상적이며 반복될 것이다. • 이번에 잘된 것은 운일 뿐이다.
우울증 환자의 특징적 사고방식 • 이러한 어려움은 일상적이며 반복될 것이다. • 이번에 잘된 것은 운일 뿐이다. 다음에는 그럴 리 없다. 우울증이 지속되면 생각하는 방식과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비틀린다. 모든 일을 자기 탓으로 돌리고, 이런 불행이 평생 지속되고, 온 세상이 모두 부정적으로 보인다. • 흑백 논리

24 만성 질환에서는 우울증이 많이 발생합니다.

25 신체 질환이 있는 경우의 우울증 매우 흔하다. 제대로 진단받지 못한다. 치료 안하는 경우가 많다.
부적절하게 치료받는 경우가 많다. Booth BM et al. Arch Intern Med. 1998;158: Ziegelstein RC et al. Arch Intern Med. 2000;160:

26 대한우울.조울병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센터 공동 연구 (2004)
대한우울.조울병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센터 공동 연구 (2004) 1. 내과 외래 환자에서 1,2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한 우울증이 21.9%, 중등도 우울증이 12.9%, 심한 우울증이 7.8% 등 전반적으로 42.6%에서 우울 증상이 있었다. 2. 우울증이 심할 수록 신체 증상이 많았고 의료 비용을 많이 지출하였다. 심한 우울증인 경우 심한 신체증상이 54.9%, 평균의료비용이 158%, 평균진료과목수가 115%, 평균병원방문횟수가 125%, 평균진료 일수가 129% 높았다.

27 우울증이 심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큽니다. Fig.1 내과환자에서 우울증의 심한정도에 따른 1년간 평균의료비, 평균진료과목수, 평균병원방문횟수 및 평균진료일수의 비교

28 우울증이 심할수록 신체 증상이 많습니다.

29 왜 통증과 우울증이 관련이 있는가? 통증은 뇌를 통해서 느끼는 것입니다.
따라서 뇌의 통증 지각을 조절하는 항우울 치료가 통증에 효과적입니다.

30 우울감 우울증 누구나 느낄 수 있고 몇 시간에서 몇일 정도로 짧다. 우울증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
어느 정도면 병으로 여기고 치료를 해야 합니까 ? 우울감 누구나 느낄 수 있고 몇 시간에서 몇일 정도로 짧다. 우울증 우울증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 직업, 학업 또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 치료의 대상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31 우울증은 뇌에서 일어나는 병이라고 하던데 치료가 되나요?
우울증은 뇌에서 일어나는 병이라고 하던데 치료가 되나요? 치료가 잘 됩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우울증은 치료반응이 좋은 정신과적 질환 입니다

32 치료율이 90%에 가깝습니다 우울증은 치료가 가능합니다 ! 하지만 치료를 하지 않으면 15%에서 자살을 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율이 90%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치료를 하지 않으면 15%에서 자살을 할 수도 있습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33 치료에 대한 오해 마음을 치료해주세요 내가 약을 먹는다고 시어머니가 순해질까? 약에 의존하지 말고 마음을 굳게 먹자
정신과 약은 중독된다

34 우울증 치료할 수 있다 빠른 회복 ! 약물치료 정신치료 규칙적 운동 등 기타 (광선치료, 전기경련치료)
우울증의 치료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치료 정신치료 기본적인 건강 유지법 빠른 회복 !

35 최신 치료 약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기존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 단가아민효소 억제제 최신약: 부작용과 유지 측면에서 유리
최신 치료 약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기존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 단가아민효소 억제제 최신약: 부작용과 유지 측면에서 유리 세로자트, 프로작, 졸로푸트, 시프람, 듀미록스 팍실 CR 이펙서, 익셀 스타브론 레메론 웰부트린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치료 효과는 약 2주경부터 시작되어서 지속

36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 • 약으로 마음을 고치지는 못한다. • 약에 의존하게 되어 내 의지를 포기하고 헤어나지 못할 것이다.
포기하고 헤어나지 못할 것이다. 우울증의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치료를 지연시키고 방해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심한 고통을 더 오래 겪게 만들고 나아가 잘 낫지 않아 만성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약물치료에 대해 의심이 들거나 부작용이 염려되면,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정신과 약은 중독된다.

37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 • 정신과 약을 오래 쓰면 바보가 된다. • 정신과 약을 오래 쓰면 다른 약의 효과가 없다.
우울증의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치료를 지연시키고 방해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심한 고통을 더 오래 겪게 만들고 나아가 잘 낫지 않아 만성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약물치료에 대해 의심이 들거나 부작용이 염려되면,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감기약처럼 증상만 나으면 안 먹어도 된다.

38 치료 과정과 경과 우울 등 주요 증상의 호전 (3-4주 후) 활력 호전 (2-3주) 수면, 식욕 회복 (수일-2주) 우울증
기 분 치료경과 우울 등 주요 증상의 호전 (3-4주 후) 재발 4-6개월 활력 호전 (2-3주) 수면, 식욕 회복 (수일-2주) 재발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우울증 급성기 지속기 유지기

39 치료경과에 대한 오해 증상 호전까지 기다림 증상 – 악화, 호전 반복

40 우울증일 때 주의할 점 혼자 있는 것을 삼가한다 술을 삼가한다 인생에 있어 중요한 결정은 유보한다 자책하지 않는다.

41 우울증은 재발이 높은 병입니다. 50-75% 30-50% 25%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42 유지치료 대상 3회 이상의 삽화 2회 이상의 삽화이며 기분장애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기분부전장애가 공존하는 경우
치료 종결 1년 이내의 재발 삽화 치료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 중증 삽화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43 유지치료 대상 물질 남용, 불안 장애가 공존하는 경우 최근 2년 이내에 삽화가 있는 경우 기분 장애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계절성 양상의 주요우울장애 노인 환자 20세 이전 발병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44 충분히 치료하지 않은 우울증의 경과 기간 우 울 증 상 완전히 낫지 않은 주요 우울증 만성적인 주요 우울증 정상과
우울증의 경계 치료하지 않거나 충분히 치료하지 않았을 때는 대부분 우울증이 완전히 낫지 않거나 만성적으로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우울증을 충분한 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심해지고 빨리 낫지 않으며 재발하는 간격도 짧아진다. 따라서 적절한 정신과 치료를 함으로써 우울 증상의 완전한 소실과 재발 방지에 도달할 수 있다.

45 부적절한 약물 복용 환자의 치료거부나 순응도 저하 우울증에 대한 사회와 가족들의 편견 약물 부작용 환자의 인식부족
충분한 용량을 충분한 기간동안 사용하는 경우는 단지 10% 이하 비전문의의 진단적 오류 환자의 치료거부나 순응도 저하 우울증에 대한 사회와 가족들의 편견 약물 부작용 환자의 인식부족 치료기관 접근성 문제 우울증의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치료를 지연시키고 방해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심한 고통을 더 오래 겪게 만들고 나아가 잘 낫지 않아 만성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약물치료에 대해 의심이 들거나 부작용이 염려되면,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6 • 우울증은 자신이 약해서 생긴 병이 아니다. •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다. • 치료시작 후 좋아질 때까지 기다린다.
우울증 : 환자의 대처방법 • 우울증은 자신이 약해서 생긴 병이 아니다. •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다. 우울증의 치료는 의사가 일방적으로 하고 환자는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한다면 좀더 나은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다. 다음은 환자 스스로 자신을 돕는 방법들이다. • 치료시작 후 좋아질 때까지 기다린다.

47 • 중대한 의사 결정은 병이 나은 후로 연기한다. • 다른 사람들과 함께 지내도록 노력한다. • 기분을 좋게 만드는 활동에
우울증 : 환자의 대처방법 • 중대한 의사 결정은 병이 나은 후로 연기한다. • 다른 사람들과 함께 지내도록 노력한다. 우울증의 치료는 의사가 일방적으로 하고 환자는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다 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한다면 좀더 나은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다. 다음은 환자 스스로 자신을 돕는 방법들이다. • 기분을 좋게 만드는 활동에 참가한다.

48 우울증 : 가족의 대처방법 시간을 가지고 격려하며 도와주면 분명히 낫는 병임을 명심한다. 증상에 대해 비난하지 않는다.
우울증 환자의 가족도 많은 고통을 겪는다. 그리고 일단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곤란을 겪는 수가 많다. 특히 자살을 기도했던 환자의 가족은 증상이 어느 정도 호전된 후에도 항상 불안하고 재발의 두려움을 느낀다. 환자 가족이 어떤 마음가짐을 갖고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자의 어려움을 충분히 들어주고 이해, 공감을 하되 섣부른 충고는 하지 않는다.

49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를 권하되 조급하게 강요하지 않는다.
우울증 : 가족의 대처방법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를 권하되 조급하게 강요하지 않는다. 자살에 대해 말하는 것은 반드시 의사에게 알린다. 우울증 환자의 가족도 많은 고통을 겪는다. 그리고 일단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곤란을 겪는 수가 많다. 특히 자살을 기도했던 환자의 가족은 증상이 어느 정도 호전된 후에도 항상 불안하고 재발의 두려움을 느낀다. 환자 가족이 어떤 마음가짐을 갖고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치료를 받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약을 잘 먹도록 돕는다.

50 정신치료 지지적 정신치료 역동적 정신치료 단기 정신치료 ① 대인관계 정신치료 ① 심층 정신치료 ② 정신역동적 정신치료
② 인지-행동치료 ③ 행동치료 우울증의 약물치료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치료를 지연시키고 방해함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심한 고통을 더 오래 겪게 만들고 나아가 잘 낫지 않아 만성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약물치료에 대해 의심이 들거나 부작용이 염려되면,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51 흔한 부정적 생각들을 없애기 완고하고 융통성이 없는 생각 없애기 당신 자신을 칭찬하십시오 예방이 가능한가요 ?
예방이 가능한가요 ? 흔한 부정적 생각들을 없애기 완고하고 융통성이 없는 생각 없애기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당신 자신을 칭찬하십시오

52 예방이 가능한가요 ? 비타민, 미네랄 복용, 물마시기, 식사 잘 하기 설탕, 하얀 밀가루, 술, 카페인 의 지나친 섭취 금지
예방이 가능한가요 ? 비타민, 미네랄 복용, 물마시기, 식사 잘 하기 설탕, 하얀 밀가루, 술, 카페인 의 지나친 섭취 금지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53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 긍정적 사고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 예방이 가능한가요 ?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예방이 가능한가요 ?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 긍정적 사고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

54 가족, 친구간 지지체계 활용 상담 예방이 가능한가요 ?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예방이 가능한가요 ? 가족, 친구간 지지체계 활용 상담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55 지금 우울하십니까 ? 우울증은 단순한 마음의 병이 아닙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지금 우울하십니까 ? 우울증은 단순한 마음의 병이 아닙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Download ppt "우울증 대한 이해와 오해 신세계병원 정신과 정일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