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Mavis Daniels Modified 5년 전
1
구원의 주제 23 노래로 응답하는 하나님의 백성 시편. 아가서 성경본문 시편 1:1~150:6 아가서 1:1~ 8:14
2
시편의 배경과 구조
3
1 시편이란?
4
시편의 배경과 구조 (1) 시편의 호칭 .
5
시편의 배경과 구조 (2) 히브리 성경 트힐림 (Tehilim) .
6
2 시편의 저자와 연대 문제
7
시편의 배경과 구조 (1) 첫 번째 접근 스타일과 구성의 유사성 접근 .
8
시편의 배경과 구조 1) 전통적 이론 .
9
시편의 배경과 구조 2) 현대적 학설- 새로운 이론 .
10
시편의 배경과 구조 (2) 두 번째 접근 - 역사적 접근 .
11
시편의 배경과 구조 1) 트힐림(Tehilim, Praise) .
12
오늘의 시편 – 제2성전의 산물 (바벨론 포로 이후에 건립)
시편의 배경과 구조 오늘의 시편 – 제2성전의 산물 (바벨론 포로 이후에 건립) .
13
시편의 배경과 구조 (3) 시편의 구조 .
14
제 1권 – 시 2~41편 - ‘야웨’ 이름을 더 높이는 다윗의 시와 노래 (시 41:13 종결찬양)
시편의 경전적 구조 서막 편 – 시 1편 – 토라를 노래함 제 1권 – 시 2~41편 - ‘야웨’ 이름을 더 높이는 다윗의 시와 노래 (시 41:13 종결찬양) 3. 제 2권 – 시 42~72편 – ‘엘로힘’을 찬양하는 다윗의 시 (시 72:18~19 종결찬양) 4. 제 3권 – 시 73~89 – 예루살렘과 성전에 관한 노래 (시 89:52 종결찬양) 5. 제 4권 – 시 90~106편 – 성전중심의 노래 (시 106:48 종결찬양) 6. 제 5권 – 시 107편~150편 – 예배중심, 순례찬송 (시 150편 전체를 마감하는 찬양) .
15
본문과 해석
16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지혜자들의 노래 감사와 찬양의 노래 기도와 탄식의 노래 사랑의 노래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7
지혜자들의 노래 (1) (시편 1편, 11편, 19편, 49편 등)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지혜자들의 노래 (시편 1편, 11편, 19편, 49편 등)
18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예루살렘의 초막절
19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감사와 찬양의 노래 (시편 30편, 100편 등)
20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감사하는 다윗
21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기도와 탄원의 노래 (시편 10편, 13편 등)
22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통곡의 벽 앞의 유대인들
23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4) 사랑의 노래 (아가 2:1~8)
24
본문과 해석 1. 문학적 구조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결혼계약서, 1732, 이탈리아
25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이스라엘 민족의 예배와 연관하여)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찬양의 노래 (Hymns of praise) 탄식의 노래 (Laments in distress) 감사의 노래 (Thanksgiving) 성전과 왕실의 찬양 (Temple & King) 우주를 통치하시는 왕 – 하나님 찬양 (Cosmic King)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6
찬양의 노래 - Hymns of praise (1) (시편 33, 95, 100, 145, 148, 149, 150편)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찬양의 노래 - Hymns of praise (시편 33, 95, 100, 145, 148, 149, 150편)
27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시편 117편 (찬양의 구조)
28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 일을 찬양하는 노래 (시편 78, 104, 105, 106, 135, 136편)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 일을 찬양하는 노래 (시편 78, 104, 105, 106, 135, 136편)
29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기도에 힘쓰는 유대인
30
탄식의 기도 - Laments in distress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2) 탄식의 기도 - Laments in distress (시편 33, 95, 100, 145, 148, 149, 150편)
31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1) 시편 44편 – 공동체의 탄식의 기도
32
시편 137편 (저주의 노래) – 바벨론 포로 때 쓴 탄원의 노래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시편 137편 (저주의 노래) – 바벨론 포로 때 쓴 탄원의 노래 (시편 35, 59, 69, 70, 109, 137, 140편)
33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용서를 구하는 다윗
34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시편 51편 – 참회의 시편 (시편 6, 32, 38, 51, 102, 130, 143편)
35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회개하는 다윗
36
감사의 노래 - Thanksgiving (3) (시편 40, 92, 107, 118, 124, 138편)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3) 감사의 노래 - Thanksgiving (시편 40, 92, 107, 118, 124, 138편)
37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찬양하는 다윗
38
성전과 왕실의 찬양 - Temple & King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4) 성전과 왕실의 찬양 - Temple & King (시편 2, 20, 45, 72, 110편)
39
우주를 통치하시는 왕 (5) 하나님 찬양 Cosmic King (시편 47, 93, 96, 97, 98, 99편)
본문과 해석 2. 구원사에서 읽는 시편 사건의 내용 & 용어 해설 (5) 우주를 통치하시는 왕 하나님 찬양 Cosmic King (시편 47, 93, 96, 97, 98, 99편)
40
신학적 의미
41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42
신학적 의미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율법서(모세5경)와 예언서들의 중심이 이스라엘과 세계를 향하신 하나님의 말씀과 구원의 증언에 있었다면, 시편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을 향해 드린 공동체적 찬양과 탄식(간구) 그리고 감사를 집대성한 것이었다. 오늘의 시편은 포로기(주전 587~ 주전 538)이후 재건한 예루살렘 성전의 제사의식과 연관된 예배의 전통을 집대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근원은 포로기 훨씬 이전 먼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휄디난드 한(Fer-dinanad Hahn)은 그의 작은 책 ‘처음 교회의 예배’에서 구약의 예배는 포로기 이전인 ‘족장들’(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의 제사와 출애굽 이후에 나타난 ‘성막’에서 시행된 예배의식과 기도 그리고 절기로부터 그 기원을 갖는다고 해석 한다. 더욱이 세겜 언약 이후 생겨난 12지파 동망에서 그러난 민족적 통일은 이스라엘 예배의 기초가 되었다고 해석 한다.
43
신학적 의미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물론 그 후 다윗은 시온성과 솔로몬의 성전을 중심으로 이스라엘 예배는 성전 예배 중심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예배가 제도화되고 또 의식화(ritual)되는 새로운 단계였다. 그리고 포로기 이전의 또 다른 계기는 요시야왕 당시 성전에서 발견된 신명기와 거기에 따른 일대 종교 개혁에서 이스라엘의 예배는 신앙의 갱신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여기까지는 포로기 이전(preexilic period)이었다. 그러나 한(Hahn)에 의하면 이스라엘의 예배는 포로기 이후(post-exilic period), 특히 성전 재건(주전 515) 이후 ‘희생제사’의식을 중심으로 희생제와 축제가 주축을 이루었으며, 이때 시편이 오늘의 형태로 편집되었다고 본다.
44
신학적 의미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그러기에 시편은 이스라엘 민족 공동체가 오랜 세월 경험하고 또 고백한 구원에 대한 감사와 찬양, 탄원과 축복의 집대성이다. 시편은 ‘문학적’이며, ‘역사적’이며, ‘명상적’이고 또 동시에 ‘고백적’이다. ‘트힐림’(Tehilim)이라 불린 ‘찬양’의 의미는 개개인의 고백이 포함되기는 하나, 그보다는 이스라엘 언약 공동체 전체가 하나님께 드린 예배의 공동적 표현이었다. 시편에 대한 예배 신학적 해석은 이미 논의한 시편의 구조를 넘어서 시편이 담고 있는 사상을 대상으로 한다. 예배 신학적 접근을 위해 현대 사상가 네명의 예배 신학을 소개하면서 시편의 사상과 연계하고자 한다.
45
신학적 의미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처음 예배 신학자는 에브린 언더힐(Evelyn Underhill)이며, 그는 예배를 ‘피조물이 창조주, 절대자 앞에 드리는 경배와 존경’이라고 정의한다. 시편은 처음부터 끝까지 여호와를 찬양하고, 경배하며, 간구하고 또 탄원하는 기도와 시로 일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언더힐이 말하는 예배가 시편 안에 담겨있다고 본다. 그러나 ‘언더힐’의 예배 신학이 가지는 약점은 ‘계시의 결여’에 있다. 그래서 등장한 두 번째 예배 신학자는 폰 올맨(von Allmen)이었다. 언더힐과는 정반대로 올맨을 오히려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을 시간과 역사 속에 계속 ‘재연’(recapitulation)하는 사건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탄원이나 찬양이 예배의 본질이 아니라 예배는 구원의 재연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놀랍게도 시편 전체 속에는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을 노래하고 감사하는 시들로 구성된 예배가 많이 있는 것을 발견한다.
46
신학적 의미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세 번째의 예배 신학자는 폴 훈(Paul Hoon)이다. 그는 ‘예배의 통전’이라는 책에서 예배는 하나님의 계시만도 아니고(올맨), 인간의 응답만도 아닌(언더힐), 오히려 하나님의 계시(오심)와 인간의 응답이 만나는 사건이라고 보았다. 계시와 응답의 만남이라는 신학적 해성에서 시편을 보았을 때, 시편은 역시 하나님의 행하심과 인간의 헌신이 만나는 시와 노래로 엮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폴 훈의 예배신학은 하나님과 인간의 인격적 만남은 강조되었으나 그 만남이 삶과 역사와 연계되어야 하는 역사성과 세계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47
신학적 의미 1. 예배 신학에서 보는 시편 네 번째로 등장한 예배신학자는 슈메만(A.Schmemann), 웨인라이트(G.Wainwright), 사리어스(Don Saliers)로 이어지는 학자들이며, 이들의 공통적인 중심주제는 예배를 종말론적 동기에서 보는데 있다. 종말론적 동기에서 예배를 해석한다는 의미는 예배는 절대잘를 향한 경배만도, 구원의 재연만도, 오심과 응답 사이의 만남의 사건도 아니라 예배는 삶과 역사 속에 임재하시는 하나님의 구원을 감사하는 행위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와 그의 구원을 세계 속에서 증언하는 선교적 사건이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역사를 통해서 오시는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찬양과 감사와 함께 하나님의 주권적인 구원을 증언하는 선교적 사건이 예배에서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행위가 예배라는 것이다.
48
2 시편에 나타난 궁중신학 (궁중 예배)과 야웨의 통치
49
신학적 의미 2. 시편에 나타난 궁중신학 (궁중 예배)과 야웨의 통치
위에서 논의한 예배 신학에서 볼 때, 시편에는 두 가지의 주제가 흐르고 있음을 발견한다. 1차적 주제라고 불리울 수 있는 시편의 주제는 시온의 신학이다.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엮어진 노래는 하나님의 구원을 찬양하면서도 사실상 저변에 흐르는 구조는 다윗과 왕궁을 중심으로 엮어진 궁중 예배이고 궁중 신학이었다. 궁중 신학이란 다윗이 중심이 되고, 예루살렘이 중심이 되고, 왕실이 예배의 중심에서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시온의 신학과 예배는 그 아름다운 시적 표현과 신앙의 음률에도 불구하고 왕과 궁중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는 한, 거기에는 하나님의 주권성은 훼손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언약의 파트너인 하나님의 백성도 사실상 그곳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왕과 궁중 그리고 성전만이 주역으로 남을 뿐이다.
50
신학적 의미 2. 시편에 나타난 궁중신학 (궁중 예배)과 야웨의 통치
그러나 시편 속에는 2차 적인 주제가 깊숙이 흐른다. “여호와께서 통치하시니 만민이 떨 것이요, 여호와께서 그룹 사이에 좌정하시니 땅이 요동할 것이로다”(시 99:1)로 시작되는 시편의 주제는 역사와 모든 민족의 주체는 다윗도, 예루살렘도 아니라 우주와 만민을 창조하시고 또 그것들을 손안에 두시고 통치하시는 하나님이심을 고백하는데서 출발한다. 다윗의 왕국을 다스리는 자, 그는 다윗이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이심을 고백하는데서 진정한 예배는 시작되는 것이었다. 여호와는 모든 민족 위에 계신 분(시 99:2). 그는 우주와 세계 그리고 다윗의 영광을 세우기도 하시고 또 멸하시기도 하시는 전능의 왕이심을 노래하는 것이었다.
51
신학적 의미 2. 시편에 나타난 궁중신학 (궁중 예배)과 야웨의 통치
그러므로 시편의 중심 주제는 다윗의 노래와 찬양 그 자체에 머물지 않는다. 창조와 통치, 심판과 은혜로 우주와 역사를 주관하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역사 개입을 포착하고 또 그의 놀라운 일을 찬양하는 종말론적 주제였던 것이다. 그러나 시편의 종말론적 주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그러나 시편의 종말론적 주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하나님의 주권적인 통치는 다윗 뿐 아니라 언약의 백성, 이스라엘 민족을 다시 불러 모으시는 초청의 행위로 이어지고 있다. 흩어졌던 그의 백성을 다시 모아 증언자로 세우시는 것이다. “하늘이 그 의를 선포하니 모든 백성이 그 영광을 보았도다”(시 97:6). “이제부터 영원까지 여호와를 송축하리로다”(시 115:18).
52
신학적 의미 2. 시편에 나타난 궁중신학 (궁중 예배)과 야웨의 통치
그러므로 시편의 노래는 ‘찬양’의 형식으로, ‘탄식’을 절교로, ‘감사’의 노래로, ‘궁중’의 찬양의 형식으로 나타났지만, 시편 신학은 하나님께서 통치하시고 구원하시는 구원의 신비와 비밀을 포착하는 신학이며, 이를 높이 찬양하고 부르시는 증언의 신학인 것이다. 여기서 아름다운 시로서의 문학적 형식은 하나님의 통치하심과 구원 그리고 부르심을 토로하는 신앙적-신학적 고백과의 결합을 보게 된다..
53
3 시편의 예배 신학이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
54
신학적 의미 3. 시편의 예배 신학이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
한국 교회의 예배가 가지는 1차 적인 주제는 예배의 열정과 예배의 횟수가 많은 데 있다고 본다. 그리고 열정적인 기도와 ‘찬양 예배’로 불리는 젊은이들의 움직이는 예배에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한국 교회의 예배는 그 횟수와 열정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그 한계는 근본적으로 예배를 인간이 하나님 앞에 드리는 그 무엇(그것이 찬양이든, 기도이든, 탄원이든)으로 생각하는 왜곡 된 예배 신학에서 오는 것이다. 예배는 본질상 인간의 찬양과 기도이기 전에 하나님의 종말론적 임재가 우선하는 하나님의 계시 사건이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먼저 말씀하시기에 인간은 그 말씀 앞에 응답하고 또 결단하는 것이다. 오늘 한국 교회의 예배 속에서 시편의 종말론적 사상이 있는가?
55
신학적 의미 3. 시편의 예배 신학이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
우주와 세상을 창조하시고 또 통치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를 포착하고 감사하고 또 찬양하고 증언으로 응답하는 하나님 백성의 헌신이 예배 속에 살아 있는가? 나와 교회가 예배의 중심이 되는 한, 그 예배가 아무리 아름다운 언어로, 다양한 악기로 부르는 찬양으로, 열심히 소리 높여 드리는 기도라 할지라도 그 예배는 궁중 신학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인간 중심의 예배로 전락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시편 신학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예배의 중심은 문학적 형식이나 예배의식에 있지 않았다. 예배의 중심은 우주와 세상 그리고 역사를 창조하시고 심판하시며 은총으로 통치하시는 하나님의 오심을 포착하고 감사함으로 그의 임재를 찬양하는데서 출발한다.
56
신학적 의미 3. 시편의 예배 신학이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
그러기에 찬양은 우리가 부르는 노래가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성을 노래하는 것이다. 모든 기도는 탄원과 간구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위해 드리는 자기 포기인 것이다. 설교는 본문 풀이만도, 경험과 도덕적 교훈도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드러내시는 하나님의 구원의 소식을 선포하는 종말론적 사건(회개를 동반하는)이며, 동시에 모든 이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부르시고 또 증언자로 보내시는 파송의 증언인 것이다. 그러기에 예배의 진정한 회복은 궁중 신학(다윗과 솔로몬)과 교회 중심 신학으로부터 과감히 하나님의 통치와 부르심으로 그 중심의 ‘추’를 옮겨야함을 뜻하며, 바로 그곳에서 하나님의 종말론적 임재와 계시를 포착하는데서 시작된다.
57
. 기획 TBC 성서 연구원 제작 후원 학교법인 실천 신학 대학원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