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1세기 지역 공동체 시대에 적합한 교회와 구역.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1세기 지역 공동체 시대에 적합한 교회와 구역."— Presentation transcript:

1 21세기 지역 공동체 시대에 적합한 교회와 구역

2 1.Prologue 1. 문제의 제기 21세기를 맞게 될 한국 교회는 중대한 기로에 놓여있다.
1) 지난 세기 동안의 경험적 소산으로 특성에 잘 맞추어 교회성장의 형태 2) 미래 사회의 구조적 변화는 현재의 목회구조를 수용하지 않을 것 교회는 그들의 흥미 대상이 아니다 -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젊은이들의 사고 전환

3 현 실 - 아무런 대책과 변화없이 전근대적인 조직과 방법을 진리처럼 고수
연 구 - 현 교회의 문제점에 대한 분명한 진단과 그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 대안 제시

4 2. 연구의 방향 끊임없이 변화 (메타교회) 실제적으로
- 교회는 단순한 조직체가 아니라 영원한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몸인 유기체로서 생명을 가졌기에 실제적으로 - 어떤 교회를 지향하여야 할 것인가? - 지역 공동체의 장으로서 구역제도를 어떻게 고쳐 나가야 할 것인가?

5 2. 21세기 한국 교회의 정황과 원리 1. 교회 외적인 요인과 내적인 요인들
교회론이 신앙적으로, 신학적으로 분명히 세워질 때 - 정체성 확립 - 구역을 운영하는 확실한 방향과 목적, 체계가 세워질 것임 1. 교회 외적인 요인과 내적인 요인들 세상속에 존재하는 교회는 교회의 환경적 요인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6 1) 외적인 요인들 - 각 지역은 그에 맞는 특화를 이룰 것 - 지역사회의 결속을 위해 부단히 노력
중앙화와 지방화의 갈등 - 교회의 전략 - 각 지역은 그에 맞는 특화를 이룰 것 - 지역사회의 결속을 위해 부단히 노력 정보사회화의 시대 -교회의 자아상 - 장거리 통신의 보편화, 인터넷의 세계화(정보 초고속도로의 시대) 전문화의 시대 -교회의 변신 - 정보사회의 전문화 경향

7 기계화와 개인화의 시대 -교회의 대처방안 - 인간 상호간의 관계가 기계적(현대인들은 보다 외로워짐) 가정의 사회화 시대 - 기독교적 교육의 가치관 - 대부분의 부모들이 자녀 양육을 위해 사회의 제반시설을 이용 - 지속적으로 세속화, 다원화, 상대화되는 사회

8 2) 내적인 요인들 - 단기적/ 자기교회의 성장, 개교회 교회정체성 확립
개 교회주의 - 단기적/ 자기교회의 성장, 개교회 교회정체성 확립 - 장기적/ 집단 이기주의으로 인한 하나님의 뜻보다 자기 교회의 이익을 추구 한국교회의 중산층화 - 교회의 진정성을 잃어 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 - 소외계층에 관심은 있으나 실제적인 근본 대책은 없음

9 절대 가치의 상실 - 세속적인 문화가치가 교회를 세속화 ( 세속적인 독선, 권위주의, 교조주의) 탈 현대화(post-modernism) - 상대화 현상 - 기존의 전통적인 것을 해체하는 운동이 등장 초교파성 - 현 한국교회는 교리적 탈을 벗어나는 전 단계 - 21세기는 더욱 가속화

10 2. 한국 교회가 추구할 비젼(vision) 1) 세계화와 지역적(community church) 이미지를 동시에 가진 교회
2) 지역 공동체로서 섬김의 교회 3) 소그룹을 통한 교회(Team ministry)-사역의 전문화 4) 치유하는 교회 5) 가정과 같은 교회 6) 목회자의 질적 수준(자질 향상)이 있고 신행일치가 있는 교회

11 오늘의 교회는 존재의 진정한 가치와 그 의의를 망각하거나 착각하고 있다.
3. 구역의 모체인 교회의 원리.. 교회론 오늘의 교회는 존재의 진정한 가치와 그 의의를 망각하거나 착각하고 있다. 교회가 가지고 있는 두가지 필요 1) 하나님의 필요에 의해서 - 불러내어서 하나님의 공동체적 형상을 반영케 하고자 함

12 만일 교회가 이 두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교회는 쇠퇴할 것이며 하나님과 사람들로 부터 외면되고 말 것임
2)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 구원의 방편으로 믿음이 연약한 자를 돕고 자생적이 그리스도인들이 되도록 훈려과 양육이 이루어짐 만일 교회가 이 두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교회는 쇠퇴할 것이며 하나님과 사람들로 부터 외면되고 말 것임

13 (1) 교회의 두 축 - 세속 중에서도 구별된 거룩한 교회 -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한 예배의 공동체
성별된 예배 공동체 - 세속 중에서도 구별된 거룩한 교회 -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한 예배의 공동체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드리는 거룩한 공동체) 세속 속의 지역 공동체 - 삼년 동안 훈련시킨 제자들을 세상으로 보내심 - 섬기는 공동체(한 손에는 복음을 한 손에는 사랑)

14 1) 생명력을 가진 교회의 원리 한국 교회가 당면한 교회 성장의 침체 원인- 형식화, 지역에 대해 닫힘.
(2)생명력을 가진 교회 한국 교회가 당면한 교회 성장의 침체 원인- 형식화, 지역에 대해 닫힘. 1) 생명력을 가진 교회의 원리 교회 (소망) 양육 훈련 예배 전도 (믿음) (사랑) 섬김 사역 새신자 헌신자 세상 새신자를 하나님 나라의 헌신자로 변화시키는 과정

15 - 새신자가 기신자로 융화되기 어렵다. (근본적인 문제/교회가 불신자를 전혀 배려하지 아니한 기존 신자 중심의 예배와 교육체제로 일관되었기 때문 대안/ 성령과 말씀이 역사하는 교회가 되어 “한 영혼을 성숙한 헌신자가 되게 하는 교회) 2) 헌신자가 되게 하는 과정 교회에 새신자가 들어 왔을 경우에 여섯 단계를 거쳐 선교의 헌신자가 되고 또 불신자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여 전도와 선교의 헌신자로 양육시키는 성숙한 신지가 되게 함

16 6단계 믿음의 샘 예배의 장 전 도 예 배 소망의 샘 교육의 장 양 육 훈 련 사랑의 샘 봉사의 장 섬 김 사 역

17 - 제1장 예배의 장/ 믿음의 샘 구원의 확신을 목적으로 하는 믿음의 샘 (신앙의 초보적인 교육이 필요) - 제2장 교육의 장/ 소망의 샘 소그룹을 통해서 점진적으로 양육을 받는 과정(자연스럽게 소망을 가지게 됨) - 제3장 봉사의 장/ 사랑의 샘 섬김의 훈련으로 가치관의 변화를 통해서 일생을 선교에 헌신하는 사역자가 되게 함

18 3) 6단계 3장의 결과 가) 전도와 예배를 통해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 재창조와 깨어진 관계를 회복 나) 양육과 훈련을 통해서 다른 사람과의 깨어진 관계들을 회복 다) 섬김과 사역에 동참하여 다른 사람의 아픔과 고통에 동참 라) 개인의 변화와 더불어 구역 교회의 성장을 통한 복음의 생명력 마) 지역교회의 궁극적인 목적인 선교 - 그리스도의 사랑을 세상에 드러나게 하는 사랑의 실천

19 4) 구역교회로 접목 - 6단계 3장의 원리를 구역과 교회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운영되어지는 세포 교회 (구역교회라 칭함)

20 3. 21세기에 부응하는 교회의 구역제도 1. 한국교회의 전통적 구역제도 1) 긍정적 기여 2) 한계와 문제점
3. 21세기에 부응하는 교회의 구역제도 1. 한국교회의 전통적 구역제도 1) 긍정적 기여 새신자의 빠른 교회 정착과 양육 평신도 지도자의 발굴 교인들의 신앙 성장 전도의 전위조직 2) 한계와 문제점 남성 리더쉽의 배제

21 2. 21세기를 대비한 새로운 구역교회 1) 구역에서 구역교회로의 전환 평신도 지도자의 훈련부족 프로그램의 빈곤
단순한 친목단체로의 전락 구역조직에 내재된 불균형성 구역원들의 지나친 응집 2. 21세기를 대비한 새로운 구역교회 1) 구역에서 구역교회로의 전환 새신자를 전도하여 양육하고 헌신자가 되게하는 생명력을 가진 교회의 세포로서 소그룹 구역교회가 하는 방안

22 2) 기존 구역예배와의 차별성 6단계 3장의 교회 원리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
(전도와 예배, 양육과 훈련, 섬김과 사역의 장이 되어 지역 속의 세포 교회로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생명력 있는 교회) 새신자 양육 중심의 구역교회 평신도가 중심이 된 소그룹 교회 목회자들의 리더 훈련과 구역교회 지원 구역 교회와 본 교회와의 관계 구역 교회의 프로그램

23 3) 구역 교회에 대한 성경적 근거 4) 구역 교회로 전환의 필요성 모세의 부장제도(출18:21-26)
예수님의 열두 제자(마10:1, 막9:35) 초대 예루살렘 교회(행2:1-47) 중국의 처소교회 4) 구역 교회로 전환의 필요성 소그룹 중심의 구역교회로 변화하는 메타교회로 전환해야만 하는 절대 필요성 신세대를 수용하는 구역교회 - 신세대/ 개인주의적이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어떤 공동체에 소속되어 자신을 의존하고 싶어하는 이중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세대

24 소속감을 갖는 구역 교회 좋은 일꾼들이 될 수 있게 하는 훈련의 장으로 전 교인들에게 봉사가 부여 되어져야만 한다. - 구역교회를 이끌어 가는 리더인 구역장 - 구역교회의 분구를 예상하여 훈련받는 부구역장 - 구역원들의 접대를 맡은 섬김이 - 구역원들의 아기를 돌봐주는 돌봄이 - 구원원들에게 성경을 잘 가르쳐주는 목자 - 양육을 받는 초신자들`` - 처음 참석한 구도자를 돕는 도우미 - 구역원들의 아픔을 상담해주는 상담자 - 찬송을 잘 인도하는 찬양자 - 구역 상황을 기록하여 교회에 보고하는 서기

25 3. 21세기 구역교회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1)변화에 적응하는 구역교회
사람을 키우는 성숙한 구역교회 지역공동체의 일환으로서 구역교회가 새신자를 귀하게 여기고 키우는 교회로서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6단계 3장의 원리에 역점을 두고 무엇보다 변화시키고 성장시켜야 한다. 3. 21세기 구역교회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1)변화에 적응하는 구역교회 - 사회 변화를 신속히 수용, 대폭적인 구역제도의 변화를 시도

26 2)구역기능의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사고전환 - 지역중심성 사고에서 사회변화를 수용하는 적극적인 사고로 전환 3)평신도 지도자(구역장) 훈련 - 훈련된 구역장이 준비만 된다면 구역의 활성화는 저절로 이루어진다.

27 4. 21세기의 구역교회의 방향성 1. 구역예배 방식의 전환 2. 교제 위한 소그룹으로서의 역활 3. 차세대를 위한 구역 편성
- 서로 삶을 나누는 방식의 성경공부 2. 교제 위한 소그룹으로서의 역활 - 구역교회가 가장 잘 감당할 수 있는 것은 교제와 전도, 양육 3. 차세대를 위한 구역 편성 - 비신자와 새신자를 받아들여 그들을 양육하며 키워서 다음에 오는 세대를 끌고 갈 수 있는 구역교회가 준비

28 4. 구역성격의 세분화와 전문화 5. 가정 같은 구역교회 - 교인들의 취향과 신앙 생활의 필요가 다양
- 신앙성숙의 단계와 개인적인 필요, 준비상태에 따라 성도들이 적절한 그룹에 들어가 활동할 수 있도록 5. 가정 같은 구역교회 - 신세대들은 부부가 함께 모든 활동들을 하기 원함 - 자신들이 필요한 것을 적절하게 취사선택하기를 원함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준비

29 6. 테마 있는 구역교회의 내용 7. 열린 교제를 위한 구역편성 - 참여를 유도하는 매력적 구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관심
- 구역원들은 지역 전도대상자를 파악,기도 - 전도와 양육의 전초기지 역할 - 구역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복음을 위해 구역을 나누어 가도록 지도

30 5. Epilogue 구역이 건강하고 튼튼하면 교회도 튼튼하고 건강하게 되는 것이다. 교회가 그 시대를 좌우한다면 구역은 한 교회의 미래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며, 구역교회는 성도들을 위한 ‘영원한 부흥 센터(Permanent Revival Center)’라고 부를 수 있다. 한마디로 구역은 가정교회와 같은 작은 교회라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결속된 작은 교회인 구역교회 안에서 사랑과 용납의 인간관계를 통해 그리스도의 사랑을 체험할 수 있다.

31 21세기는 20세기의 연장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너무나 다른 사회임을 깨닫고 새술을 담을 새 부대를 준비하여야 한다.
새신자를 교회가 받아 생명력 있는 과정을 통해서 헌신자가 되게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그 사람들을 구역교회를 통해서 양육, 훈련시켜 교회 안에서만이 아니라 교회와 동일한 원리로 세워진 구역교회를 통해서 ‘한 사람의 불신자를 또 한 사람의 헌신자’로 만드는 21세기의 지역 공동체가 되어야만 한다.


Download ppt "21세기 지역 공동체 시대에 적합한 교회와 구역."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