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교회사 콘서트 제2장 교부시대 “팍스 크리스티”.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교회사 콘서트 제2장 교부시대 “팍스 크리스티”."— Presentation transcript:

1 교회사 콘서트 제2장 교부시대 “팍스 크리스티”

2 팍스 로마나(Pax Romana) “카이사르는 (그 위대한 일을) 했다. 그가 국경을 든든하게 방비한 덕분에 큰 전쟁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다. 국경 안에 있던 로마 도시들은 상당한 기간 동안 평화를 누리며 살 수 있었다. 덕분에 상업이 융성해져 먹고 사는 문제도 해결되었다. 해적이나 약탈자들도 눈에 띄게 줄었다. 로마에 “평화의 시기”가 도래하였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 B.C.)

3 5현제 시대 네르바(Nerva, 96-98) 트라야누스(Trajanus, 98-117)
도미티아누스(Domitianus, 81-96) 네르바(Nerva, 96-98) 트라야누스(Trajanus, ) 하드리아누스(Hadrianus, ) 안토니누스 피우스(Pius, ) 아우렐리우스(Aurelius, ) 코모두스(Commodus, )

4 유스티누스 마르튀르 철학에 심취하다 에베소에서 한 노인을 만남. “로고스”의 실체가 예수라는 사실을 깨달음.
“그리스도인들은 이 세상에 있지만 이 세상의 것이 아닙니다.”(유스티누스 마르튀르, ) 철학에 심취하다 에베소에서 한 노인을 만남. “로고스”의 실체가 예수라는 사실을 깨달음. 그리스도인을 옹호함. <변증서>(First Apology) “세상의 법보다 높은 삶의 방식을 따름.” 그리스도인 신앙 관습 및 예배 관습을 소개함. 165년경, 유니우스 루스티쿠스 앞에서 순교당함.

5 그리스도인 변증가들 등장 125년경, 콰드라투스 변증서-하드리아누스에게 140년경, 아리스티데스 청원서 - 피우스에게
“그리스도인들은 이 세상에 있지만 이 세상의 것이 아닙니다.”(유스티누스 마르튀르, ) 125년경, 콰드라투스 변증서-하드리아누스에게 140년경, 아리스티데스 청원서 - 피우스에게 타티아누스, <그리스도인에 대한 연설> 아테나고라스, <그리스도인을 위한 탄원> <디오네트에게 쓴 편지> “영혼이 몸 속에 살지만 몸에 속하지 않았듯이, 그리스도인은 이 세상에서 살지만 이 세상에 속하지 않았다.”

6 이그나티우스 안디옥의 감독 로마로 압송되는 길에 일곱 개의 편지를 기록함.
“하나님을 지고 가는 자”(테오포로스라는 별명을 가짐) 안디옥의 감독 (로마-클레멘트, 에베소-오네시무스, 서머나-폴리카르푸스) 로마로 압송되는 길에 일곱 개의 편지를 기록함. (to. 마그네시아, 트랄레스, 에베소, 서머나, 필라델피아, 로마 교회, 폴리카르푸스) 속죄 문제, 성육신 문제, 율법주의 문제, 교회 질서 문제 등을 다룸. 보편 교회(Catholic Church) 개념을 제시함. 감독 중심의 교회 제도를 강조함. “감독을 하나님의 표상으로, 장로들을 하나님의 회의체로, 사도들을 존경하라. 이들이 없다면 교회 이름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7 교회 제도의 출현 성경의 제도: 사도, 감독, 장로, 집사 클레멘트: 감독, 사제, 부제의 계급제도 강조함.
“누가 교회의 권위를 가지는가? 성경의 제도: 사도, 감독, 장로, 집사 클레멘트: 감독, 사제, 부제의 계급제도 강조함. 감독(각 교회에 1인)에 권위 부여, 장로회의를 하나님의 회의체로 여김. 162, 폴리카르푸스(서머나 감독)와 아니케투스(로마 감독)의 부활절 시기 논의. 190, 빅토르(로마 감독)와 폴리크라테스(에베소 감독)의 부활절 시기 논쟁. 로마교회 수위권 주장. 이레네우스, 베드로와 바울에 의해 조직된 로마교회의 우월성을 강조함.

8 교회 제도의 출현 키프리아누스(카르타고 감독) 감독의 지상권과 성직자 제도 개념 도입함.
“누가 교회의 권위를 가지는가? 키프리아누스(카르타고 감독) 감독의 지상권과 성직자 제도 개념 도입함. 감독직의 절대성, 독재적 교회정치체제(감독제) 기원 모든교회의 감독들이 동일한 권위를 가짐 스테파누스(로마 감독) 로마 감독의 우월성을 주장함. 교황제도의 기반이 됨

9 초기교회의 이단들 영지주의(Gnosticism) 초기교회 가장 심각한 영향을 끼친 기독교 분파
신비스러운 영적지식을 소유한 사람들로 주장함 이원론에 따라 물질은 악하고 영적인 것만이 진정한 실체이자 선이라고 가르침. 지고신인 비토스(Bytos)가 영적 세계만을 창조함. 30 가지 영적 존재 중 하나(데미우르고스)가 물질세계를 창조함. 참 지식으로 물질상태에서 영적 상태로 전환해야 함. 그리스도는 신비적 지식을 가르치기 위해 오신 지고신의 계시임(영적으로 오심, 가현설). 발렌티누스와 바실리데스가 대표적인 지도자임. 영적 지식, 금욕주의 강조로 수도원주의에 영향을 끼침.

10 초기교회의 이단들 몬타누스주의(Montanism)
프리기아 출신의 몬타누스가 자신을 “보혜사 성령”(요 14:26)이라고 주장하여 시작됨. 성령의 임재와 예수의 재림을 강조함. 프리기아에 새예루살렘이 세워진다고 가르침. 막시밀라와 프리스카, 두 여 선지자와 동역함. 거룩, 겸손, 독신, 금식을 생활화함. 기존의 교회 질서와 제도를 무시함. – 교회 조직과 감독의 권위를 부인하고 개인의 성령체험 강조. 여성 리더십을 강조하여 감독회의에서 부인됨. 재림과 종말 사상이 급진적으로 받아들여 짐.

11 초기교회의 이단들 마르시온주의(Marcionism) 흑해 남부 본도 지방의 시노페 교회 감독의 아들
선박업자로 거부가 된 후 금욕주의적 삶 추구. 영지주의 교사 케르도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음. 이원론에 따라 물질세계를 악한 것으로 이해함. 구약을 믿지 않고 구약의 하나님을 부인함. 신약의 정경 작업을 시작해 정경론에 영향을 줌. 누가복음과 바울의 편지서 10편만을 정경으로 인정. “사단의 맏아들”이라는 칭호를 받음.

12 교부들의 신학_이단을 반박함 이레네우스(Irenaeus, 130-200?) 130년경, 서머나에서 탄생함.
사도 요한, 폴리카르푸스의 제자 프랑스 리용의 감독(포티누스 후임)으로 활동함. 185, <이단을 반박함> 저술 영지주의 반박함. 구원론의 기초를 제공함. <사도적 선포의 논증> 저술 이단에 빠지지 말 것을 호소함. “평화를 사랑하는 자”라는 이름의 뜻을 가짐.

13 교부들의 신학_이단을 반박함 테르툴리아누스(Tertulianus, 160-230)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 출생.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190년경 그리스도인 됨. 196, <변증>을 저술 박해받는 그리스도인들을 변호함. <프락세아스 반박론> 저술 삼위일체의 개념 제시, “한 본질, 세 위격” <영혼의 증명> 저술 인간 영혼 존재 증명, 영혼유전론(원죄론) 기초제공. 이단 문제를 다룬 논문들 저술 <마르키온을 반박함><이단들의 취득시효에 관하여><유다인 논박> 등.

14 교부들의 신학_이단을 반박함 오리게네스(Origenes, 185-254) 알렉산드리아 학파를 대표함.
순교자 아버지의 신앙 유산을 물려 받음. 203,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재건함. 2천 권의 책을 포함해 6천 여권의 저술을 남김 <헥사플라> 저술. 히브리 본문과 5개 헬라어역을 병렬한 대조성경. 성경을 문자적, 도덕적, 영적 의미로 해석함. 231, <제1원리> 저술-최초의 조직신학 서적 하나님, 그리스도, 성령, 창조, 영혼, 자유의지, 구원론 246, <켈수스를 논박함> 저술. “로고스 기독론” 설명.

15 기독교 전통의 수립 신앙고백서(사도신경) 확립 과정 마 16:16, “주는 그리스도,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
215, 히폴리투스가 “로마신조” 작성 <사도전승>에서 교회생활, 전례, 성직계급 등의 교회 규정을 만듦. 340, 마르셀루스가 로마신조의 기본형태 보존 루피누스, 로마신조 계승. 12사도에게 적용함. 7세기, 사도신경이 확정되어 “교리지침서”로 활용됨. 13세기, 인노켄티우스 3세가 사도신경을 공식 결정함.

16 기독교 전통의 수립 정경 확립 과정 구약의 정경(39권)은 90년 얌니아에서 결정됨.
신약의 정경은 마르키온의 정경에서 영향을 받음. 2세기부터 신약 정경작업이 진행되어 397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최종 확정함. 정경서들, 준정경서들, 외경서들로 나누어짐. 정경의 기준은 1) 사도와의 연관성, 2) 세계 교회들의 사용 여부 였음. 376, 아타나시우스의 신약 목록(27권) 4복음서, 사도행전, 바울의 13편지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후서, 요한 1,2,3서, 유다서, 계시록.

17 팍스 크리스티 교회 공식 신앙고백서인 <사도신경> 작성 정경화 작업으로 <신약성경> 목록 확정
감독, 사제, 부제 등 교회 조직 세움 예배와 전례의 전통을 수립함 애찬 모임(아가페 식사)을 발전시킴 정치적 박해와 종교적 혼란 속에서 숫적 증가 교부들과 신학자들의 신학적 가르침 확립됨 팍스 크리스티(기독교의 평화)의 기초를 확립함


Download ppt "교회사 콘서트 제2장 교부시대 “팍스 크리스티”."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