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호주의 다문화주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호주의 다문화주의."— Presentation transcript:

1 호주의 다문화주의

2

3 호주 정부는 약 16만 명에 이르는 애버리진(Aborigine)의 독자적인 문화를 보호하면서 공존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4 애버리진(Australian Aborigine)으로 알려진 호주 원주민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적 역사를 자랑하며 그 기원은 마지막 빙하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 호주 원주민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어 논쟁이 되고 있긴 하지만, 약 7만년 전 인도네시아에서 최초의 인간이 바다를 건너왔다는 것이 정설이다. 

5 호주의 역사 제임스 쿡(James Cook) 선장은1770년 동부 해안 전체를 탐험했으며 탐험 도중 보타니 베이(Botany Bay)에서 잠시 쉬어가기도 했다. 그는 케이프 요크(Cape York)를 탐험하면서 이 곳을 영국령으로 선포했고 뉴사우스웨일즈( New South Wales)라는 이름을 붙였다.

6 호주의 역사 19세기 중반까지 범죄자들을 유배시키는 식민지의 역할을 했고, 이주자들의 다수도 비자발적인 이민이었다.
자연의 한계에 부딪히며 정부의 억압과 싸우면서 이주민들은 ‘억척스러운 호주 사람(Aussie battler)’이라는 전설의 토대가 된 문화를 만들어냈다.

7 호주의 역사 1850년대에 금이 발견되자 호주는 새로운 변화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거대한 이민 물결이 몰려들었으며 엄청난 규모의 금광 몇 곳이 발견되자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식민 사회 구조는 완전히 바뀌어 버린다. 농장과 금광을 찾아 새로운 곳을 마구잡이로 개척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호주 원주민은 그들의 영토에서 무자비하게 쫓겨났다. 

8 백호주의의 유래 백호주의정책 [白濠主義政策, White Australia Policy] 은 백인 이외의 인종, 특히 황색인종의 이민을 배척하고 정치/경제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으로도 백인사회의 동질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주장과 운동이다. 1901년 1월 1일 연방이 결성된 직후의 제1차 연방의회(1901년 5월 9일 개회)에서 처음으로 연방에 공통되는 '통일이민제한법'이 채택됨으로써 종전에 각 주(州)에서 개별적으로 시행되던 이민제한법규가 정비되고 또 철저를 기하게 되었다.

9 백호주의의 배경 1851년 대량의 금광이 발견되자 갑자기 골드러시(gold rush)를 이루었고, 그때부터 중국인을 중심으로 하는 유색인종이 이민을 시작, 1881년 그 수가 5만에 달하였으며, 형편없이 낮은 임금도 마다하지 않고 또 백인들과는 고립된 취락을 이루고 살았다. 그것이 백인 노동자들을 자극하여 임금저하의 원인이 되는 유색인종의 이민제한을 주장하는 근원이 되었다.

10 백호주의 정책 사례 이후 불만의 대상이 중국인 노동자만이 아니라 태평양 등지의 섬들에서 이주한 노동자와 원주민인 애보리진에게 확대되었다. 구체적 방법으로서 이민을 희망하는 자에게 교육시험, 특히 어학시험을 치르게 하였는데, 백인에 대하여는 사실상 시험이 면제되었고, 또 영어를 해득하는 동양인에 대하여는 그리스어로 대신하는 등의 수단을 사용하였다..

11 백호주의 정책의 목적 호주의 일체감을 고양시키기 위한 의도가 강함. - 뛰어난 경쟁력을 갖춘 일본인에 대한 이민 제한
- 인종적 일체감을 위해 같은 관습을 유지하려는 일환으로 이민 제한

12 백호주의의 폐해 백호주의의 가장 큰 피해자는 원주민은 애보리진이었음.
‘애보리진 보호 정책(Aboriginal Protection Act) 1869'는 애보리진 아이들 특히 여자아이들을 애보리진 가족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빼앗아 양육시키게 함으로써 애보리진 자체를 소멸시키려는 시도를 한 것이었다. 원주민들은 이른바 ‘빼앗긴 세대(stolen generation)'를 겪는 등 자신의 뿌리가 단절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13 백호주의의 폐기 1949년 최초로 비유럽 난민을 받아들이면서 백호주의에도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고, 1957년에 15년 동안 정주한 비(非)유럽인에 대한 시민권 부여는 백호주의의 폐지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73년 노동당 정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폐지되었음 1978년 자유당 정부는 다문화주의를 정부의 공식정책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14 다문화 정책의 기조 다문화정책은 호주의 원주민이라고 할 수 있는 애보리진을 포함하여 모든 소수민족들의 관습, 다양한 전통과 유산을 인정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것에 기초한다고 할 수 있다. 국가에 대한 최우선적 충성을 바탕으로, 시민적 의무 설정, 공용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강조 등이 이루어지면서도, 문화의 영속성에 대한 인정이나 공영의 다언어 방송, 다문화 교육, 다문화주의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의 변경 등을 통해 다문화 사회를 유지하고는 있음.

15 위기에 처한 호주의 다문화주의 미국과 캐나다의 다문화주의 정책과는 구별되는 것으로써 소수 문화를 위한 정책이 아닌 주류세력의 이익을 함께 언급함으로써 호주의 다문화정책은 백인중심 호주인들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하는 시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영어교육을 강화함으로써 비영어권 이민자들의 의사소통이 향상되고 그들이 호주 주류문화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음으로 인해 주류문화에 대한 반발과 불만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배경이 깔려있다.

16 호주 다문화주의의 한계 호주 다문화주의는 사회 내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 간의 대화와 교류를 통해 사회적 창조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소수문화가 단지 ‘함께 존재’하는 분절적인 양태를 보이고 있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문화 간의 갈등/ 폭력의 감소나 사회적 안정성의 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으나, 사회적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사회 전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도하는 데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Download ppt "호주의 다문화주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