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 국 상 담 문 화 원 전임교수:신지원 영남대학교 김재춘 교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 국 상 담 문 화 원 전임교수:신지원 영남대학교 김재춘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 국 상 담 문 화 원 전임교수:신지원 영남대학교 김재춘 교수
프로젝트 학습과 창의·인성교육 한 국 상 담 문 화 원 전임교수:신지원 영남대학교 김재춘 교수

2 철학과신념 -아무리빨리해도 가장늦은게 후회다 -내가 이겨야 하는것은 어제의 나 이다 -아무리 빨리해도 가장 늦은게 후회이다 -많은 꿈을 가질수 있다는 것 10대의 특권이며 축복이며 행복이다

3 창의․인성교육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를 양성하는 미래 교육의 본질이자 궁극적인 목표
‘창의․인성교육’의 의미 창의․인성교육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를 양성하는 미래 교육의 본질이자 궁극적인 목표

4 ‘창의․인성교육’의 특징1 (포괄성) : 창의․인성교육은 영재 등 특정 학생을 위한 한정된 교육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교육 교육 내용도 자신의 이해부터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 환경 등 전 지구적 문제의 창의적인 해결 노력까지 포괄하는 개념

5 ‘창의․인성교육’의 특징2 (종합성) : 창의․인성교육은 일부 교과나 활동에서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가정교육 등 모두를 통해 유아 단계에서부터 종합적으로 함양해야 하는 자질 교육 창의․인성교육은 학교 안팎의 다양한 물적․ 인적 자원과 방법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개발 과 노력이 요구되는 교육

6 ‘창의․인성교육’의 특징3 (미래지향성) 창의․인성교육은 부정적 이미지의 관행적인 교육이 아니라 ‘즐거움, 스스로, 중요한’ 등 긍정적 이미지의 미래형 교육 더욱이 ‘점수 올리는 방법’을 가르치는 현 사교육의 존재 기반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며,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교육

7 ‘창의․인성교육’의 특징4 (동시성) : 창의․인성교육은 창의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하는 교육
창의성과 인성은 개방성 등과 같이 그 구성 요소 자체가 같거나, 협동능력 향상 등과 같이 인성 개발이 곧 창의성 개발로 이어지는 상호 동반 효과가 큰 쌍둥이 자

8 토론․발표, 관찰․실험, 연구과제 등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 비중도 강화
‘창의․인성교육’의 방안1 (국어 등 일반교과) : 각종 교과목별로 교과특성에 맞게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에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요소들을 적극 포함하여 학력 신장과 창의․인성 교육을 동시에 추구 교과특성에 따라 글쓰기, 그리기, 만들기, 토론․발표, 관찰․실험, 연구과제 등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 비중도 강화

9 ‘창의․인성교육’의 방안2 (도덕 등 특정교과) : 각 교과목을 통해 자연스럽게 교육된 창의․인성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교육내용 및 평가에 체험활동 요소 대폭 강화

10 ‘창의․인성교육’의 방안3 (녹색교육 등 범교과) : 해당 교과목이 담당하는 주제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공존․배려 등의 창의․인성 요소를 녹색 등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현장감 있게 학습하는 기회로 활용 예시 : 녹색교육을 통해 전지구적인 환경 문제 를 경제․사회문제와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책 임있는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고, 기후변화 대 응 및 녹색성장을 위한 다양한 문제접근 및 해 결방법을 창의적으로 제시

11 프로젝트 학습의 목적 (역량 기반 교육과정 competence-based curriculum) : 각 교과를 가르치는 것은 교과/지식 자체를 가르치기 위한 목적에서가 아니라 교과/지식을 통해 살아가는데 필요한 삶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것임. - 예시 : 캐나다 퀘벡의 예 지적 역량 –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 방법적 역량 – 효율적 작업, 컴퓨터 활용 사회적 역량 – 협동력 등 의사소통 역량 – 의사소통능력 등

12 프로젝트 학습의 조건 : 미국 중등학교에서의 블록타임 도입 계기
50분 수업 체제에서는 교육 내용을 충실하게 다룰 수 없다. 특히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수 없어 한 가지 방법만을 활용하여 학생이 지루해 한다. 50분 수업 중 30-40분밖에 수업에 집중할 수 없다. 숙 제 점검, 마무리 등에 소용되는 시간 때문에 본 수업 시간이 지나치게 짧아진다. 매일 6개 안팎의 수업마다 숙제를 부과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교육적으로의 의미있게 과제를 할수가 없다. 여유있는 학교 생활을 할 수가 없다. 50분 단위로 교 실을 이동해야 해서 정신이 없으며, 교사에게 질문할 시간조차 확보하기 쉽지 않다.

13 프로젝트 학습의 평가 (PISA 시험) : TIMSS vs PISA 교과 기반 시험 대 역량 기반 시험
교과 기반 시험 대 역량 기반 시험 과거지향 시험 대 미래 지형 시험 얼마나 알고 있는가? 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4 ‘물건 구매를 위해 소비자가 다시 방문하길 바란다’
PISA 시험 예시 1 : 읽기 소양 평가 ◇ 읽기 소양평가 : 문학작품 이외 광고문,그림,표 등 다양한 형태의 제시문을 주고 논리적으로 결론을 추론토록 요구한다. 예시: “영수증 아래에 ‘거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말의 의미는?” 좋은 답: ‘기업체가 소비자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을 알리기 위해’ 라는 답보다 ‘물건 구매를 위해 소비자가 다시 방문하길 바란다’ 고 답해야 높은 점수를 얻는다.

15 PISA 시험 예시 2 : 수학적 소양 평가 ◇ 수학적 소양평가 : 복잡한 수식을 이용한 문제, 단순 공식에 대입해 풀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없다. 예시: ‘지름이 30㎝인 3000원짜리 피자와 지름이 40㎝인 4000원짜리 피자 중 가격에 비해 값어치가 큰 피자는 어느 것인가’ 라는 문제가 대표적인 예. 좋은 답: 단위가격당 피자의 면적을 서로 비교해 답을 하면 원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점수를 얻는다.

16 PISA 시험 예시 3 : 과학적 소양 평가 ◇ 과학적 소양평가 : 다양한 상황에 처했을 때 과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예시: ‘버스가 급정지했을 때 컵 안의 물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까’라는 형태가 대표적이다. ‘발전소의 전력을 이용하는 전차가 기름을 이용하는 버스보다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란 서술형 문제도 있다.

17

18

19

20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한 국 상 담 문 화 원 전임교수:신지원 영남대학교 김재춘 교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