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Biological Oceanography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Biological Oceanography"— Presentation transcript:

1 Biological Oceanography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2 Diel vertical migration
DVM: 보통 diurnal 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적당치 않음. 밤에 표층 낮에 저층; 매우 많은 동물 플랑크톤; 담수종도. 오징어류, 물고기류도 관찰됨 Challenger expedition 이후 알려졌으나, 명확한 이유는 잘 모름 종, 나이,성별에 따라 다름; calanus finmarchicus; 암컷은 이동하나 수컷은 하지 않음 깊이도 계절에 따라 변함

3 유형 Nocturnal migration; 하루에 한번 상승 ( 밤), 하강 (새벽); 가장 일반적
Twilight migration; 2번의 상승과 하강; 일몰시 상승과 midnight sink, 일출시 상승, 일과중 하강. Reverse migration; 상승 (새벽), 하강 (밤); 흔치 않음

4 이동 거리 800 m 이상 이동 하기도 한다. 시속; 10-170 m, 100-200 m
수온약층에 영향을 받지 않음, 온도와 압력의 변화가 심함

5 DSL Deep scattering layers False sea bottom 밤에는 표층
낮에는 저층; euphausiids, shrimp, 부레를 갖는 물고기

6 원인 빛의 양; 빛의 변화에 따라 DVM양상이 달라짐. 극지방의 백야에서는 없어짐. 일식동안에는 표층으로 상승. 기아의 정도

7 가설들 낮동안 어두운 곳에서 포식을 피함; 밤에 먹이가 풍부한 표층으로;
포식자가 있으면 더 확실하게 DVM이 일어남 여름에 표층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짐; 하지만 봄철 먹이가 풍부하면 더 오래 머뭄; 빛보다 먹이가 중요. 대사 에너지를 줄임; 어둡고 차가운곳; 수직운동의 대가보다 많은가?; 수영하는데 거의 에너지가 들지 않음 수직적인 해류의 방향이 다르고 따라서 수직운동을 통해 새로운 물을 만날수 있다.

8 중요성 유전적인 조합을 촉진; DVM동안 각 개체군간에 교환이 일어남
물질 이동을 촉진; 수동적인 침강보다 훨씬 빨리 물질을 침강시킴; 표층에서 먹고 저층에서 excrete 혹은 잡아먹힘 여러 종의 사다리 모양의 수직운동

9 Seasonal vertical migration
수직 이동이 생활사에 따라 달라짐 Copepod Neocalanus plumchrus 의 계절적인 수직이동 성체는 겨울동안 먹지않고 300~450 m 수심에서 겨울을 남 (12~4월) 중간수심에서 부화 알은 떠오르면서 Nauplius 유생과 copepodite 유생단계로 발전하며 2~4월 표층 Nauplii 3~6월 일차생산성이 가장 풍부할때 표층에서 표층 Copepodite V stage 성체(stage V)는 영양분을 축적한 상태로 깊은 수심으로 가라앉음; Stage VI는 생식하여 알을 남; 겨울동안

10 Seasonal vertical migration
두종의 copepoda: 계절에 따라, 그리고 성장단계에 따라 DVM의 차이를 보인다

11 대양종은 좀 다른 패턴 6~2월에 깊은바다 생식 일어남

12 남극해 크릴 표층에 알을 낳지만 곧 500~200 m 수심으로 가라앉아 부화함
차차 표층으로 올라오면서 발생을 마치고 표층에서는 완전한 개체가 됨 2-4년

13 Zoogeography of holoplankton
물은 물리적인 장애물이 적어 유전자의 혼합이 쉬운 환경이다. 그러나 수괴의 특성이 달라 이것이 동물성 플랑크톤의 장벽으로 작용한다 Biological indicator: 좁은 환경범위에서 서식: 서식 환경을 보여줄 수 있다.; foraminifera, copepoda, chaetognaths

14 남북방향의 분포 반 이상의 동물성플랑크톤은 넓은 지역에 분포하여 살아감; 열대와 아열대, 온대 일부
Bipolar species: 극지방에서만 나타남; pteropods, 규조류등 유사한 종들이 북극 남극에 나타남. 심해해류로 연결? 저위도 지방에서 쫒겨옴?

15 각 해양별 구분 깊은 수심의 동물성 플랑크톤은 유사한 종으로 구성됨
북태평양의 바닥에 가까이 사는 동물성 플랑크톤 중 반 정도는 그 지역에서만 서식 고위도로 갈 수록 표층종의 수가 줄어듬; 육상생물도 마찬가지.; 이유는 불분명 Circumglobal tropical-subtropical; 전대양의 열대, 아열대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동물 플랑크톤종들.; newstonic 해파리.- 열대바다는 아주 오래전 부터 존재하였다.

16 인간에 의한 영향 수에즈 운하; 140종이 홍해에서 지중해로유입 Ballast water

17 patchness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에 따라 생식을 위해

18 장기적 변동 Regime shifts 조사 자료가 부족
CPRs; 식물 동물 플랑크톤 감소; 수온상승과 성층 심화; global warming? North Pacific: 식물 동물 플랑크톤 증가; 바람증가와 성층 파괴


Download ppt "Biological Oceanography"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