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Presentation transcript:

1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불교 사상의 전개: 인도의 불교 대승 불교의 전개: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 동아시아 불교가 사회에 끼친 영향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불교 사상의 전개: 인도의 불교 대승 불교의 전개: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 동아시아 불교가 사회에 끼친 영향 연기적 세계관 주체적·이타적 인간관 평등적 세계관 불교의 전래 교종의 특징과 해탈 선종의 특징과 해탈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현대 사회

2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3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학습 목표 • 불교 윤리 사상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불교 윤리 사상의 연원 및 특징과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 불교 윤리 사상이 우리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4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인드라망(Indra′s net)은 세상을 바라보는 불교의 관점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인드라망의 그물은 끝없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이음새마다 보석처럼 투명하게 빛나는 구슬이 자리 잡고 있다. 그물로 연결된 구슬은 서로가 서로를 비추어 주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하나의 구슬 이 움직이면 모든 구슬이 움직이며 영향을 주고받는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이를 ‘연기(緣起)’라고 한다.

5 단원 열기 나의 생각이나 행동 중 다른 사람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 과제
중학교 때 선생님의 가르침으로 교사를 꿈꾼 나, 인터넷 게임 중 욕설을 주고받아 느낀 불쾌감 등

6 단원 열기 불교에서 인과적 관계를 중시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과제
이 세상에 홀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그 어떤 것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7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원시 불교의 성립 1. (1) 배경: 기원전 6세기경의 변화 → 브라만교의 권위 붕괴, 새로운 사상의 유행 (2) 성립: 고타마 싯다르타가 윤회에서 벗어나는 진리의 길을 발견 (3) 발전: 부처의 깨달음 전파, 삼학을 실천 요목으로 한 체계적인 수행 강조 ① 계(戒): 몸과 입과 뜻으로 나쁜 짓을 하지 않도록 막는 것 ② 정(定): 어지럽게 흩어진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것 ③ 혜(慧): 진리를 깨닫는 것

8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초기 불교의 핵심 사상 2. (1) 오온:  인간과 우주 만물은 물질적 요소인 색(色, 육체)과 정신적 요소인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이라는 다섯 가지로 이루어져 있음 (2) 연기 사상: 모든 현상은 무수한 원인(인)과 조건(연)에 의해 발생 (3) 사성제(四聖諦): 석가모니가 깨달은 네 가지 진리 →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9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초기 불교의 핵심 사상 2. (4) 삼법인(三法印): 불교의 세 가지 근본 교설 →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열반적정) (5) 윤회와 업: 윤회는 한 존재가 죽으면 다음 세상에서 다시 태어나고, 그곳에서 살다가 죽으면 다시 태어나서 끊임없이 삶과 죽음을 되풀이한다는 것. 업은 몸과 입, 마음으로 짓는 선악의 일체 행위임

10 도움 자료-인도 불교 사상의 전개 초기(근본, 원시) 불교 오온, 연기 사상, 사성제, 팔정도 • 여러 교파로 분열
소승 불교(=부파 불교) • 여러 교파로 분열 • 엄격한 종교성 대승 불교 • 불교의 회복 운동 • 공 사상, 보살

11 도움 자료-대승 불교의 공 사상 색(色)이 공(空)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다. 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색이다.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모든 사물은 그 실상이 공(空)이다. 거기에는 생겨남도 없어짐도 없고 더러움도 깨끗함도 없고, 늘어남도 줄어듦도 없다.      - “반야심경” 자료분석 대승 불교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현상계의 모든 사물에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공(空) 사상을 강조하였다.

12 불교 사상의 전개 인도 불교의 전개 1. (1) 부파 불교
① 부처 입멸 후 보수적인 입장과 진보적인 입장으로 나뉘어 갈등 → 부처의 가르침 정리, 삼장의 체계화, 불교의 교의를 학문적으로 확립 ② 소승 불교: 일부 부파는 사회와 분리된 엄격한 종교성과 자기 해탈을 주장하며 현학적이고 개인적인 모습으로 변모

13 불교 사상의 전개 인도 불교의 전개 1. (2) 대승 불교의 사상적 배경 (3)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 보살(菩薩)
① 용수: 대승 불교의 사상적 체계를 갖춘 인물 → 공(空) 사상 확립 ② 공 사상: 자아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탈피 → 무아(無我)의 인식 강조 ③ 중도(中道) 사상: 우주의 본질과 현실의 양면을 객관적으로 관찰 (3)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 보살(菩薩) ①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사람 ② 자비로운 마음을 가지고 바라밀을 실천하는 사람

14 불교 사상의 전개 중국 불교의 전개 2. (1) 전개: 6, 7세기경 인도의 대승 불교가 중국으로 전래 → 교종과 선종으로 분리 (2) 격의 불교: 불교의 공 사상과 노장사상의 무를 서로 견주어 설명하고 해석함 →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윤회 사상 정착 (3) 영향: 사상적․문화적으로 중국 문화의 다변화에 이바지

15 불교 사상의 전개 한국 불교의 전개 3. (1) 전개: 삼국 시대에 중국을 통해 불교 수용 → 독자적 한국 불교로 발전
① 삼국 시대: 국교 지위 확보(백제), 불국토 사상과 화쟁 사상 유행(신라) ② 고려 시대: 의천과 지눌이 선종과 교종의 통합 운동 전개 (2) 특징: 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 + 중국의 종파 불교 → 독자적인 한국 불교 체계 수립 ① 국가적 수용: 보편적 윤리와 통치 이념으로 수용 ② 인과응보 사상의 수용: 개인과 사회의 윤리 체계에 영향 ② 이상주의적 성격: 불국토(佛國土) 사상, 현실 정토 사상으로 전개

16 불교 사상의 전개 일본 불교의 전개 4. (1) 배경: 6세기경 백제를 통해 불교 수용
(2) 정토종: 자기만족과 도피의 수단으로 간주하면서 이에 대한 반발로 “묘법연화경”을 믿고 의지하면 물질적 · 정신적인 목표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는 니치렌종이 형성됨 (3) 성격: 일본의 전통적 신도와 함께 절충적인 형태를 취함

17 도움 자료-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 구분 소승(부파) 불교 대승 불교 성립 배경 계율의 해석을 둘러싼 교파의 분열
소승 불교의 대중적 기반 상실 특징 •사회와는 분리된 엄격한 종교성 강조 •개인의 해탈 강조 •대중의 구원 강조 성격 개인적·은둔적 불교 대중적·사회적 불교

18 도움 자료-교종과 선종 구분 교종 선종 수행 방법 교리, 경전에 대한 학습과 지식 축적 직관적 종교 체험을 통한 깨달음 특징
•경전과 교리 공부 중시 •대표적 종파: 천태종, 화엄종, 정토종 •돈오(頓悟) 사상 제시 •‘단박에’, ‘갑자기’ 깨닫는 수양법 강조

19 동아시아 불교가 사회에 끼친 영향 불교가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한 배경 1. (1) 불평등한 인간에서 평등한 인간으로 전환
(2) 신 중심의 세계관에서 인간 중심적인 연기(緣起)의 세계관으로 전환 (3) 고행을 중심으로 하는 수행에서 중도(中道)의 수행으로 전환 (4) 내세적 해탈에서 현세적 해탈로 전환

20 동아시아 불교가 사회에 끼친 영향 동아시아에 전래한 불교의 영향 2.
(1) 종교적 심성의 확장: 사상의 흐름을 주도하면서 유 · 불 · 도 사상에 영향 (2) 주체적 인격 완성: 연기설에 기초한 자유 의지가 주체적 인격 완성에 이바지 (3) 내세관의 확장: 현실의 삶에 대한 긍정과 이타적 베풂의 논리적 근거 제공 (4) 삶의 능동성과 주체성: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에 영향 (5) 평화와 공존의 삶: 지혜와 자비를 갖춘 보살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

21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02. 불교 사상의 특징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02. 불교 사상의 특징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불교 사상의 전개: 인도의 불교 대승 불교의 전개: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 동아시아 불교가 사회에 끼친 영향 연기적 세계관 주체적·이타적 인간관 평등적 세계관 연기적 세계관 주체적·이타적 인간관 평등적 세계관 불교의 전래 교종의 특징과 해탈 선종의 특징과 해탈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현대 사회

22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3. 불교 윤리 사상 02. 불교 사상의 특징

23 02. 불교 사상의 특징 학습 목표 • 불교 사상의 특징인 연기적 세계관, 주체적 · 이타적 인간관, 평등적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다. • 불교 윤리 사상이 오늘날 윤리적 문제에 주는 시사점을 설명할 수 있다.

24 02. 불교 사상의 특징 대추가 저절로 붉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태풍 몇 개,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번개 몇 개가 들어서서 붉게 익히는 것일 게다. 저게 저 혼자 둥글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무서리 내린 몇 밤, 저 안에 땡볕 한 달, 들어서서 둥글게 만드는 것일 게다. 대추나무야, 너는 세상과 통하였구나! -장석주, ‘대추 한 알’-

25 단원 열기 대추 한 알은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을까? 과제
태풍, 천둥, 번개, 무서리 내린 밤, 땡볕, 초승달 등 모든 자연과의 인연에서 비롯되었다.

26 단원 열기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의 특징은 무엇이며, 우리의 삶에 어떠한 교훈을 주는가? 과제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은 이 세상 모든 것이 홀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없으며, 서로 인연에 의해서 맺어져 있다는 특징을 보여 준다. 이러한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은 단절된 관계의 회복의 중요성을 돌이켜 보게 한다.

27 연기적 세계관 연기설(緣起說) 1. (1) 연기(緣起): ‘~을 연(緣)하여 일어나는[起] 것’ → 모든 존재와 현상은 다양한 원인[因]과 조건[緣]에 의해 발생 (2) 연기적 세계관: 우주와 인생의 모든 현상은 반드시 원인과 조건에 따라 일어남 ① 인과 관계 강조: 원인과 조건이 없으면 결과도 없음 ② 자비(慈悲)의 윤리: 나 자신이 소중하듯이 남도 소중하다는 태도 형성

28 연기적 세계관 사성제설(四聖諦設) 2.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고통이라는 현실 판단 → 문제 인식
고통의 원인 → 원인 규명 괴로움이 멸한 상태 → 해결 방안 열반에 도달하는 길 → 전망 제시 생로병사(生老病死)와 같은 고통으로 가득 차 있는 현실 세계 모든 사물이 변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집착과 탐욕 집착과 탐욕을 없애고 열반의 세계와 해탈을 얻은 경지 이상향인 열반에 이르기 위한 팔정도(八正道) 수행 방법

29 연기적 세계관 삼법인설(三法印設): 세 가지 진실한 가르침 → 불교의 근본 교설 2.
(1) 제행무상(諸行無常): 세상 만물은 늘 변화하므로 일정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음 (2) 제법무아(諸法無我): 모든 것에는 고정된 실체로서 자아는 존재하지 않음 (3) 열반적정: 제행무상과 제법무아한 세상의 참모습을 바르게 알게 되어 삼독이 사라질 때의 상태 (4) 일체개고(一切皆苦): 현실 세계의 모든 것이 고통 ※ 보통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을 삼법인으로 보나, 열반적정 대신 일체개고를 삼법인으로 보기도 함

30 도움 자료-인연생기(因緣生起) 자료분석 불교에서는 존재의 생멸(生滅)을 연기(緣起)로 설명한다.
원시 경전에 나타난 연기설의 가장 원초적인 형태는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라는 것이다. 예컨대 한 알의 콩이 있다고 할 때, 콩은 하나의 인(因), 즉 제1원인이다. 그러나 콩이라는 종자만으로 싹이 터서 자라 열매를 맺을 수는 없고, 거기에 반드시 흙, 수분, 온도 등의 연(緣), 즉 보조 원인이 필요하다. 자료분석 불교에서는 존재의 생멸(生滅)을 연기(緣起)로 설명한다.

31 주체적·이타적 인간관 (1) 삶의 주체성 강조, 주체적 인간의 특성으로 도덕성을 핵심에 둠
(2) 무주상보시: 무주상보시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전제는 중도와 공 사상 ① 중도: 연기의 인과성을 깨달아 나와 너, 유와 무, 좋음과 싫음 등과 같은 상대적인 극단의 세계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으며, 조화로운 전체를 이루면서 살아가는 것 → 이를 역동적으로 나타낸 것이 공 사상 ② 공 사상: 무아를 철저히 인식하여 이기심을 버리고 중생과 함께할 것을 강조하는 개념

32 도움 자료-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보시란 남에게 내 것을 준다는 뜻이다. ‘상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은 ‘내가 내 것을 누구에게 주었다.’는 생각조차도 버리는 것을 말한다. 내가 착한 일을 행하였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순간에 나에게 자만심과 자긍심이 생겨나서 진정한 선행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33 평등적 세계관 불교 사상의 평등주의 1. (1) 배경: 부처는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의 장벽을 무너뜨리고 평등 지향
(2) 특징: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등한 존재 (3) 영향: 모든 생명체에 대한 존중으로 확대

34 평등적 세계관 평등적 세계관과 수행관 2. (1) 영향: 인간 중심적 생명관과 윤리관 탈피
① 모든 생명체가 인간과 동등하다는 인식으로 발전 ② 종교적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평등적 수행관으로 발전 (2) 특징: 만물과 인간이 모두 평등하게 조화를 누리는 평화의 세계 지향

35 도움 자료-불교의 세계관과 인간관 연기적 세계관 모든 현상은 반드시 조건과 원인에 따라 발생 주체적 인간관
자신의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중시 평등적 세계관 모든 존재는 불성(佛性)을 가진 평등한 존재

36 성찰해 보기 다음 글을 읽고 아래 물음에 따라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여 답해 보자.
선불교에는 진정한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편으로 ‘임제할 덕산방(臨濟喝德山棒)’이라는 말이 있다. ‘할’은 고함이고, ‘방’은 몽둥이이다. 임제*는 제자들에게 고함을 지르며 깨달음을 얻게 하였고, 덕산은 몽둥이, 즉 매로써 제자를 깨달음으로 인도하였다.  “임제어록”에 보면, 다음과 같은 가르침이 있다. “바른 견해를 얻고 싶거든 타인에게서 ▲영화 ‘할(喝)’의 한 장면 미혹받지 말라. 안으로나 밖으로나 만나는 것은 모조리 없애라.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없애고, 조사(祖師)를 만나면 조사를 없애며, 아라한(성인)을 만나면 아라한을 없애라. 그래야 해탈하여 그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으리라.” *임제, 덕산: 중국 당나라의 승려들이다.

37 탐구해 보기 1. 불교에서 강조하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깨달음을 얻기 위한 하나의 고정된 방법이 없으며, 수행하는 사람의 능력(根機)과 조사의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38 탐구해 보기 2. 밑줄 친 부분과 같이 임제가 제자들에게 가르쳐 진정으로 깨닫게 하려고 한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진정한 불교의 깨달음은 어떠한 집착에도 구애받지 않는 마음을 찾는 것이며, 그 마음은 자신의 마음속에 존재한다.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불성을 바르게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부처나 조사라는 고정된 실체를 인정하고 의지하는 것은 바람직한 수행의 방법이라고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부처, 조사, 아라한을 실체로 인정하는 것 자체가 무상, 무아의 불교의 핵심과도 모순된다. 즉 자신에게 불성이 있음과 무상과 무아를 깨닫게 하려던 것이 임제의 의도였던 것이다.

39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불교의 성립과 근본 교리 불교 사상의 전개: 인도의 불교 대승 불교의 전개: 중국, 한국, 일본의 불교 동아시아 불교가 사회에 끼친 영향 연기적 세계관 주체적·이타적 인간관 평등적 세계관 불교의 전래 교종의 특징과 해탈 선종의 특징과 해탈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현대 사회 불교의 전래 교종의 특징과 해탈 선종의 특징과 해탈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현대 사회

40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3. 불교 윤리 사상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41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학습 목표 • 한국 불교의 수용 과정과 전개 과정 양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한국 불교의 인간관과 해탈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한국 불교 사상이 오늘날 현대 사회에 주는 도덕적 시사점을 이해할 수 있다.

42 03.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음란하면서 참선하는 것은 모래를 쪄서 밥을 지우려는 것과 같고, 살생하면서 참선하는 것은 제 귀를 막고 소리를 지르는 것과 같으며, 도둑질하면서 참선하는 것은 새가 그릇이 가득 차기를 바라는 것과 같고, 거짓말하면서 참선하는 것은 똥으로 향을 만들려는 것과 같다. 이러한 무리는 비록 많은 지혜가 있더라도 모두 마귀일 뿐이다. - 휴정, “선가귀감(禪家龜鑑)” ▲ 우리 조상들은 감을 수확할 때, 다 따지 않고 새들이 먹을 수 있도록 까치밥을 남겨 두었다. 까치밥은 우리 조상들의 연기적 세계관과 자비행의 삶을 잘 보여 준다.

43 단원 열기 윗글에서 참선하는 사람과 마귀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과제 윗글에서 참선하는 사람과 마귀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자비의 실천 과제 윗글에 나타난 한국 불교 사상이 강조하는 참다운 수행 방법은 무엇일까? 한국 불교는 계율을 지키며, 자비를 실천하고 참선과 지혜를 수행하는 것을 강조한다.

44 불교의 전래 (1) 목적: 왕권 강화, 중앙 집권화 (2) 삼국의 불교 수용
① 고구려: 전진은 고구려에 순도를 보내 불상과 불경을 전함 ② 백제: 인도의 마라난타에 의해 수용, 겸익에 의해 율종 발전, 일본에 불교 전파 ③ 신라: 고구려를 통해 수용,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번성

45 교종과 선종의 특징과 해탈 교종의 특징과 해탈 1. (1) 교종: 부처의 가르침을 교리화한 경전 연구, 불교의 여러 이론 정립, 백성 포교 등의 활동 전개 (2) 대표적인 승려 ① 원측: 신라의 왕족 출신, 중국에서 유학하며 유식 사상을 공부 ② 의상: 화엄 사상을 통해 실천 수행을 강조하는 중도를 강조

46 교종과 선종의 특징과 해탈 (2) 대표적인 승려 ③ 원효 구분 일심(一心) 사상 화쟁(和諍) 사상 주장
마음을 통찰하여 모든 대립과 갈등이 하나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함 모든 종파, 모든 사상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할 수 있음 영향 화쟁 사상으로 이어짐 교선 통합을 위해 노력한 의천과 지눌에 영향

47 교종과 선종의 특징과 해탈 선종의 특징과 해탈 2. ① 선종의 도입: 당나라에서 유학하던 도의 선사에 의해 전래
② 특징: 지방 호족을 중심으로 부흥, 전국적으로 구산선문을 이룸 ③ 대표적인 승려: 의천, 지눌  구분 의천 지눌 입장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 통합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 통합 수행 방법 교관겸수(敎觀兼修), 선교합일(禪敎合一) → 경전 공부(교) + 마음공부(선) •돈오점수(頓悟漸修) → 깨달음+점진적 수양 •정혜쌍수(定慧雙修) → 선정(선)+지혜(교)

48 도움 자료-선종의 4대 종지(宗旨) 불립문자(不立文字) 문자에 구애받지 않음 교외별전(敎外別傳)
전통적인 경전의 가르침과 달리 따로 전해짐 직지인심(直旨人心) 직접 사람의 마음을 가리킴 견성성불(見性成佛) 사람의 본성을 보아 성불함

49 도움 자료-의천의 사상 교종을 공부하는 사람은 내적인 것을 버리고 외적인 것만을 구하려는 경향이 강한 반면에, 선종을 공부하는 사람은 외부의 대상을 잊고 내적으로만 깨달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모두 양 극단에 치우친 것이므로, 양자를 골고루 갖추어〔內外兼全〕 안팎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자료분석 내외겸전(內外兼全)은 선종의 내적 공부와 교종의 외적 공부를 동시에 겸해야 한다는 것으로, 교관겸수(敎觀兼修)와 상통하는 주장이다.

50 도움 자료-지눌의 사상 선(禪)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의 말씀이다. 마음과 말이 분리될 수 없듯이 선과 교가 둘일 수 없다. 자료분석 지눌은 자신의 본성이 부처의 본성과 다름없다는 것을 깨닫는 돈오(頓悟)와 깨달음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점수(漸修)를 주장하였다.

51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현대 사회 차별화된 한국 불교의 정신 1.
(1) 대승(大乘)의 정신: 모든 중생이 보살, 일상생활에서 자비의 실천 강조 (2) 조화(調和)의 정신: 다양한 의견 대립과 갈등의 상황을 화해하고 조정할 수 있는 소통의 지혜 제공 (3) 호국(護國)의 정신: 신앙심으로 나라 수호 → 불국사, 팔만대장경 (4) 무소유 정신: 물질 만능주의의 탐욕과 고통스러운 현실, 이기주의로 변질될 수 있는 개인주의의 문제점 극복

52 탐구해 보기 다음 두 게송*은 선종을 대표하는 두 승려의 입장을 담고 있다.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몸은 본래 깨달음의 나무이고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다. 수시로 부지런히 닦아 먼지가 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신수(神秀)- (나) 깨달음은 본래 나무도 없고 밝은 거울 역시 실체가 없다.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 어디에 먼지가 낄 수 있겠는가? -혜능(慧能)- *게송(偈頌):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漢詩)의 한 형태를 가리킨다.

53 탐구해 보기 1. (가), (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말해 보자.
(가)는 우리 자신의 부처와 같은 불성을 지닌 존재임을 자각하고, 끊임없는 집착과 번뇌의 먼지를 닦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나)는 불성을 가진 자신이라는 생각마저 버리는 것이 진정한 깨달음이고 그럴 때 비로소 어떠한 집착과 번뇌의 먼지도 깨달음의 경지에 끼어들 틈이 없다는 입장이다. 즉 (가)는 깨달음 이후에도 끊임없는 수행을 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나)는 깨달음이 곧 수행의 완성이라는 입장이다. 

54 탐구해 보기 2. (가), (나) 중 지눌의 입장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 게송은 어느 것이며, 그 이유를 발표해 보자.
(가)는 돈오점수의 입장이고, (나)는 돈오돈수의 입장이다. 따라서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지눌과 (가)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돈오돈수를 주장한 대표적인 한국 승려는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의 법문으로 유명한 성철 스님이 있다. 돈오점수나 돈오돈수의 수행법을 이분법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근본적으로 부처의 자비를 실천하는 위한 시대적 상황에 맞춘 방편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5 성찰해 보기 다음은 현대 우리나라 선지식*의 가르침을 짧게 요약한 글이다. 이중 자신이 생각하는 불교의 가르침과 가까운 것을 고르고, 그 이유를 발표해 보자. ※ 그 외 우리나라 선지식의 가르침 성수: “산은 갈수록 높고 물은 갈수록 깊어서” 서암: “천하에 쉬운 것이 바른 이치” 법전: “자성(自性)을 깨치면 그게 바로 천당이요 극락” 숭산: “부처도 죽이고 조사도 죽이는 게 선(禪)” 동춘: “선악이 모두 불법(佛法)이요 나의 스승이라.” 청화: “생명의 본질 자리를 찾아야” ※학생이 직접 수행하게 한다. *선지식(善知識): 불교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불도(佛道)에 들어가도록 바르게 이끄는 사람을 가리킨다. *자성(自性): 모든 법(法)이 갖추고 있는 변하지 않는 본성을 의미한다.

56 중단원 갈무리_내용 정리 문제 ①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각각 써 보자.
⑴ 불교는 유와 무, 쾌락과 고통, 생과 멸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실천적 수행을 강조하는 □□ 를 주장한다. 중도 ⑵ □□ 은 ‘무아론(無我論)’이라고도 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인간 존재, 넓은 의미로는 우주 만물의 일체를 가리킨다. 오온 ⑶ 연기(緣起)란 우주 만물은 서로 원인과 결과가 되는 □□적·□□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다. 상의 인과

57 중단원 갈무리_내용 정리 문제 ①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각각 써 보자.
⑷ □□□은 ‘저 언덕(彼岸)으로 건너간다.’는 뜻으로 피안에 이른 상태를 말한다. 도피안 ⑸ □ 이라는 용어는‘부풀어 오른 모양으로 속이 비어 있음’을 나타내며, 불교 사상의 근본적인 개념으로 이 세상 만물의 실체가 되는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이다.

58 중단원 갈무리_내용 정리 문제 ② 다음 순서도 (가), (나), (다)에 들어갈 적절한 내용을 서로 연결해 보자. (가) •
㉠ 염불을 통해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고 보는가? (나) ㉡ 정교한 사상적 논리와 추상적이고 방대한 사상 체계를 이루었는가? (다) ㉢ 불성을 한순간에 깨닫는 돈오(頓悟)와 이심전심(以心傳心)을 강조하는가?

59 중단원 갈무리_내용 정리 문제 ③ 다음 진술을 검토하고, 틀린 부분을 바르게 고쳐 보자. 검토 내용 검토 결과 바로잡음
⑴ 원효의 일심이문 사상은 변하지 않는 본래적 특징인 생멸문과 연기에 의해서 변화하는 특징인 진여문으로 나눌 수 있다. × ⑵ 의천은 선종의 입장에서 경전 공부와 참선을 함께 하는 교관겸수를 통해 교종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⑶ 지눌은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수행 방법이 돈오점수와 정혜쌍수이다. 생멸문→진여문, 진여문→생멸문 선종→교종, 교종→선종 교종→선종, 선종→교종

60 Q 1. “반야심경”에 나타난 공의 의미는 무엇인지 써 보자.
공의 의미는 일체의 모든 대립과 구분, 고정적인 실체라는 것이 있을 수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것은 곧 불교의 지혜, 즉 반야의 참다운 모습이며, 깨달음의 내용이기도 하다.

61 Q 2. “반야심경”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주문의 참된 의미를 서술해 보자.
 ‘아제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는 깨달음의 세계로 물러서지 않고 나아겠다는 다짐의 의미와 이루게 해 달라는 기원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이 주문이 실제로 참다운 의미가 되기 위해서는 깨달음이 곧 자비를 행하는 구체적인 삶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의 보살행은 깨달음을 이루며 동시에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다짐이 있는 것으로 참다운 연기적 깨달음은 이웃 사랑의 실천으로 완성됨을 보여 주고 있다.


Download ppt "3. 불교 윤리 사상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02. 불교 사상의 특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