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프랑스 누벨바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프랑스 누벨바그."— Presentation transcript:

1 프랑스 누벨바그

2 학습목표 작가주의의 전개와 발전을 이해한다. 누벨바그의 주요감독들과 작품들을 알아본다
누벨바그의 내러티브적, 스타일적 특징을 이해한다.

3 작가주의의 전개와 발전

4 카메라 만년필(caméra-stylo)설
“글쓰는 이가 펜으로 글을 쓰듯이 카메라로 쓴다”(알렉상드르 아스트뤽, 1948) 1951년 『카이에 뒤 시네마』창간(비평가 앙드레 바쟁) 프랑수아 트뤼포,「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 문학작품의 각색에 의존하는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 공격 → “이런 영화의 감독은 시나리오대로 장면을 연출하는 장면 연출가에 지나지 않는다”

5 작가정책과 작가이론 ※ 앙리 랑글루아와 시네마테크 프랑세즈 영화는 소설처럼 순수한 창작물: 감독은 소설가와 같은 존재
한 감독의 일관된 주제와 독창적 스타일 탐구: “한 감독은 일생 동안 단지 한 편의 영화를 만든다”(장 르누아르 감독) ※ 앙리 랑글루아와 시네마테크 프랑세즈 세계영화 박물관의 역할 시네필 문화 성립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재발견

6 앙드레 바쟁과 앙리 랑글루아

7 누벨바그의 주요감독들과 작품들

8 장 뤽 고다르 느슨한 선형적 서사구조(’60년대 초반)에서 해체적 스타일로(’60년대 후반 이후 콜라주 양식)
’60년대 후반~’70년대 이미지와 사운드의 충돌, 정치적 급진주의 경향(’68 혁명의 영향). ’80년대 이후 상업영화로 복귀 주요작: <네 멋대로 해라>, <경멸>, <주말>

9 프랑수아 트뤼포 자전적 영화. <400번의 구타>를 비롯한 앙투완 두아넬 시리즈.
비극적 사랑이야기를 서정적으로 다룸. <쥴 앤 짐>, <부드러운 살결>, <이웃집 여인> 범죄영화에 대한 패러디. <피아니스트를 쏴라>, <상복을 입은 신부>

10 클로드 샤브롤 『카이에』출신 5감독 중 가장 상업적. 제일 먼저 장편 데뷔(<미남 세르주>)
히치콕에 대한 오마주. 부르주아 계급의 탐욕과 위선을 조롱하는 범죄영화. <도살자>, <의식>, <초콜릿 고마워>

11 에릭 로메르 자기성찰적인 심미주의자. 지적인 성찰과 대화.
‘6편의 도덕담’ 연작(1970년대.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 ‘희극과 격언’ 연작(1980년대) ‘4계절’ 연작(1990년대)

12 누벨바그의 내러티브적, 스타일적 특징

13 내러티브 이야기 구조의 느슨함과 개방성 ※ “영화는 시작, 중간, 끝이 있어야 되지 않는가?”
에피소드 중심의 플롯, 열린 결말(<400번의 구타>의 마지막 장면), 즉흥적 대화/연기 ※ “영화는 시작, 중간, 끝이 있어야 되지 않는가?” “그렇다. 하지만 그 순서가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다르)

14 스타일 가벼운 핸드헬드 카메라로 파리 근교에서 촬영
설정 숏 제거, 점프 컷의 사용(<네 멋대로 해라>) 등 빠른 편집 스타일

15 파리 근교의 야외 촬영 <400번의 구타 Les Quatre Cents Coups>(1959)의 오프닝 타이틀

16 30도 규칙과 점프 컷 : 두 개의 연속되는 숏에서 뒷 숏은 앞 숏으로부터 최소한 30도 이상 각도를 변화시켜야 튀는 느낌(점프 컷)이 들지 않음. 예) <네 멋대로 해라 A Bout de Souffle>(1960)의 점프 컷

17 영화사적 오마주 자신이 영향 받은 감독의 영화들에 존경 표시 존경하는 감독을 자신의 영화에 출연시킴
예) <사촌들>에서 책을 고르던 사람이 샤브롤과 로메르가 쓴 히치콕 책을 집어 듦. 존경하는 감독을 자신의 영화에 출연시킴 예) <경멸>(고다르)에 출연한 프리츠 랑 감독 자신들만 아는 유머(in-joke)를 사용 예) <400번의 구타>에서 <파리는 우리의 것>을 보러 가자고 말하는 가족

18 영화사적 오마주 <잔다르크의 수난>(좌)과 <비브르 사 비>(우)

19 누벨바그의 스타들 장 폴 벨몽도, 안나 카리나, 잔느 모로

20 ※ 참고자료 버지니아 라이트 웩스먼 저, 김영선 역, 『세상의 모든 영화』, 이론과 실천, 2008. (12장, 16장)
크리스틴 톰슨, 데이비드 보드웰 저, 주진숙 외 역,『세계영화사: 음향의 도입에서 새로운 물결들까지 1926~1960s』, 시각과 언어, (19장, 20장)


Download ppt "프랑스 누벨바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