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수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수진."—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수진

2 세계 과수 재배 면적(2010, ha)

3 세계 과실 생산량(2010, 톤)

4 세계 과실 소비량(2009) 과실 소비량 (kg/capita/year)

5 국내 과실 연 소비량 과실 소비량 (kg/capita/year)

6 기타 과수 연 소비량 과실 소비량 (kg/capita/year)

7 국내 과종별 재배 면적(2011)

8 국내 과종별 생산량(2011)

9 국내 사과 재배 면적(ha)

10 국내 사과 생산량(톤)

11 국내 사과 소비량 과실 소비량 (kg/capita/year)

12 국내 과실 수입량

13 국내 주요 재배 사과 품종(2011)

14 영양 성분 칼로리 식물성 섬유 g 탄수화물 g 지방 g 단백질 g 콜레스테롤 mg 나트륨 mg 비타민 C mg 칼륨 mg

15 감홍 1981년 과수연구소에서 스퍼얼리브레이즈에 스퍼골든데리셔스를 교배하여 1992년에 최종 선발 생육 특성
수세가 강한 편이며 가지의 모양은 개장성으로 절간장이 짧고 단과지 발생이 많은 스퍼 타입 1년생 가지는 수피색이 매우 짙은 초콜렛색이며 피목 수 및 털의 발생이 많고 피목 크기가 적음 엽병의 색깔은 적색을 띈 녹색이며 길이는 중 정도 단과지에 꽃눈이 잘 형성되고 측지 발생도 비교적 많은 편으로 결과 부위 확보에 문제가 없음 개화기는 쓰가루와 같은 시기이며 수원 지방에서 만개기가 5월 5일 경 화분 발아력, 화분 생산량이 많고 주요 재배 품종과 교배친화성이 높아 수분수 품종으로 적합 과실 특성 숙기가 10월 중순으로 조나골드보다 약간 늦고, 후지보다 약간 빠른 중생종으로 수원에서 수확기 10월 11일 경 과중은 400g으로 대과종이고 과형은 장원형 과피는 선홍색 줄무늬로 전면 착색되나 동녹이 극히 심하게 발생되므로 봉지 재배를 해야 하며 봉지를 씌운 과실은 선홍색으로 착색되어 외관이 극히 우수 과육은 황백색이며 육질이 치밀하고 과즙은 중 정도로 많고 감산이 잘 조화되어 맛이 우수 당도는 17.8도로 후지에 비해 극히 높고 산도는 0.48%로 후지보다 약간 높음

16 감홍 반점 낙엽병 및 부패병에 저항성 재배상 유의점 무대 재배 시 동녹 발생이 심하므로 적과는 중심과를 남기고 실시
낙화 후 30일 까지는 약제 종류 및 살포 방법에 주의 상품과 생산을 위해서는 반드시 봉지씌우기 재배를 해야 하며 봉지를 낙과 후 30일까지 씌움 약한 꽃눈에서 결실된 과실은 기형과가 되므로 충실한 꽃눈을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전정 및 비대 관리에 유의

17 쓰가루 1930년에 일본 아오모리현 사과시험장에서 골든에 명칭 미상의 품종을 교배하여 1975년에 쓰가루로 명명
과수연구소에서는 1973년에 도입하여 1976년 선발 생육 특성 수세가 중 정도 가지 모양은 유목기에는 직립성이나 성목이 되면 개장성이 되며 가지 발생이 적은 품종 개화기는 후지보다 빠르며 수원 지방에서 만개기가 5월 5일 경 과실 특성 숙기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으로 조숙종이며 수원에서 수확기는 9월 1일 경 과중은 300g이며 과형은 장원형으로 균일 과피는 담홍색으로 착색되며 동녹 발생이 극히 많음 과육은 황백색으로 육질이 치밀하고 과즙이 많고 당도가 13.5도이고 산미가 적어 맛이 아주 우수

18 쓰가루 반점낙엽병 및 겹무늬썩음병(부패병)에 저항성인 품종 재배상 유의점
왜화 재배 시 수세가 약화되기 쉽고, 가지 발생이 어려운 품종 결과지 확보 및 결과 부위 상승 방지를 위해 강한 절단 전정 필요 동녹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개화기에 유제 살포를 금하고 적과시 중심과를 남김 수확전 낙과가 많으므로 2,4-DP 등의 낙과 방지제를 살포하고, 과실 수확은 착색이 좋은 것부터 수회 나누어 실시 하도록 유의 과피색이 불량하므로 지금까지 나온 착색계 아조변이 계통 중 "추향쓰가루", "로얄쓰가루" 등을 재배하는 것이 유리

19 양광 1962년에 일본 群馬현 원예시험장에서 골든데리셔스 자연 교배 실생을 파종하여 1978년에 최종 선발 후 명명한 품종
과수연구소에서는 1983년에 도입 생육 특성 수세가 중정도 가지의 모양은 개장성이며 단중과지가 많이 발생하고 액화아 발생이 적은 품종 가지와 잎의 형태 및 색깔은 골든데리셔스와 유사 과실 특성 숙기가 10월 상순으로 중만생종이며 수원지방에서 수확기는 10월 5일 경 과중은 300g정도이며 과형은 원 또는 장원형 과피는 밝은 농홍색으로 착색되나 동녹 발생이 심함 과육은 육질이 약간 거칠고 딱딱한 편이며 당도는 13.8도, 산도는 0.43% 정도로 맛이 우수

20 양광 재배상 유의점 왜화 재배시 수세가 약화되기 쉬우므로 약간 깊게 심어 수세를 강하게 함
동녹 방지를 위해 적과 시 중심과를 남기고 크레프논 등의 과실 표면 보호제를 2~3회 살포하거나 봉지를 씌워 재배 저장 중 고두병 발생이 심하므로 석회 시용을 충분히 하고 전정 및 비배 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세를 안정시킴

21 추광 1982년에 과수연구소에서 후지에 몰리스데리셔스를 교배하여 92년 최종 선발 생육 특성
수세가 강한 편이고 가지 모양은 개장성이며 절간장이 매우 짧고 단과지 발생이 많은 스퍼 타입 품종 1년생 가지는 수피색이 회갈색이고 피목 수 및 피목의 크기는 후지와 같이 많고 큼 모총 발생은 중 정도 엽병의 색깔은 녹색이고 엽병 길이는 후지보다 김 단과지에 꽃눈이 잘 형성되는 밀식 재배 적응성인 계통으로 측지 발생도 많은 편으로서 결과부위 확보에 문제가 없는 품종 개화기는 후지와 일치하며 화분 생산량이 많고 화분 활력 및 발아력이 높으며 주요 재배 품종과 교배친화성이 높아 수분수 품종으로 적합 풍선 상태의 꽃 색깔은 선홍색으로 몰리스데리셔스와 비슷하며 암술은 수술과 동일한 위치에 있음 과실 특성 숙기가 9월 상순으로 쓰가루보다 약간 늦고, 몰리스데리셔스와 같은 시기인 조숙종이며 수원에서 수확기가 9월 15일 경 과중은 300g으로 쓰가루 정도, 과형은 원형 또는 장원형 과피는 황녹색 바탕에 줄무늬로 전면 착색되어 외관이 매우 미려하며, 과육은 연하고 치밀하며 과즙량은 중정도이며 향기가 매우 강하여 식미 우수 당도는 15.2도로 쓰가루보다 높고 산도는 0.18%로 낮아 산미가 거의 없어 실제로 느끼는 단맛이 매우 강함

22 추광 재배상 유의점 단과지에 꽃눈 형성이 매우 양호하므로 과다 착과되지 않도록 적과를 충분히 실시
가지 선단부 또는 중심과에 착과된 과실은 과두부가 돌출하는 현상과 지역에 따라 대과에는 심부과가 발생할 우려 가 있으므로 착과 부위 선정에 유의하고 중과 생산을 목표 과총 내 중심과보다 측과가 과실이 크고 과형이 좋은 경향이 있으므로 적과시 중심과보다 측과를 남김 칼슘이 부족하면 꽃받침 주위에 흑색 반점이 생기므로 석회를 충분히 시용

23 홍로 1980년 과수연구소에서 스퍼얼리블레이즈에 스퍼골든데리셔스를 교배하여 1988년에 명명함 생육 특성
수세가 중정도이고 가지의 모양은 개장성이며 절간장이 매우 짧고 단과지 발생이 많은 스퍼 타입 품종 1년생 가지는 수피색이 적갈색으로 수목의 형태나 크기 및 모총의 발생이 중정도로 스퍼어리브레이즈와 유사 잎의 크기는 스퍼어리브레이즈처럼 중생종이나 엽병의 색깔은 적색을 띈 녹색이며 엽병의 길이는 중정도로 스퍼어리브레이즈와 유사 단과지에 화아 착생이 양호하며 액아화 발생도 많아 풍산성이며 결과년령에 달하는 것도 빠름 개화기는 쓰가루와 같은 시기로 수원에서 만개기가 5월 5일 경 풍선 상태의 꽃의 색깔은 양친 중간의 분홍색을 띄고 암술은 수술위치와 같거나 하위에 위치 화분은 활력 및 발아력이 높고 1약당 화분량도 모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많으며 주요 재배 품종과 높은 교배친화성을 보여 수분수로 우수 과실 특성 숙기가 9월 상순으로 조숙종이며 수원에서 수확기는 9월 2일 경 과중은 300g으로 중과종이며 과형은 장원형 과피는 농홍색으로 전면 착색되며 과육은 백색으로 육질이 치밀하고 과즙이 많음 당도는 15도로 매우 높고 산도는 0.31%로 감산이 적당하게 조화되어 맛이 매우 우수

24 홍로 반점낙엽병에는 약한 편이나 부패병에는 강한 품종 재배상 유의점
단과지형 품종으로 화아착생 및 액화아 착생이 잘 되어 풍산성이나 조기 적과를 철저히 실시하지 않으면 결실 과다에 의한 수세저하 및 해거리가 발생하므로 유의 측과에는 과정 부위에 동녹이 발생되므로 중심과를 남기고 적과를 실시 대과는 과피 표면에 밀 증상과 발현이 심하여 저장력이 약해지므로 중과 생산을 목표로 적과를 실시하되 수세가 떨어지지 않도록 전정 및 비대 관리에 유의 가지 선단부 및 액화아에 결실된 과실은 과정부가 돌출하여 과형이 다소 불량하므로 착과 부위 선정 시 유의

25 후지 1939년에 일본 과수시험장에서 국광에 데리셔스를 교배하여 1962년에 최종 선발
과수연구소에서 1967년에 도입하여 1972년에 보급 생육 특성 수세가 강하고 가지의 모양은 개장성이며 결실 연령기가 빠르고 중장과지에 착과되며 꽃눈 형성이 다소 불량하고 격년결과성이 강한 품종 개화기는 골든데리셔스와 같은 시기로 수원지방에서 만개기는 5월6일 경 과실 특성 숙기는 10월 하순으로 만생종이며 수원지방에서 수확기는 10월 25일 경 과중은 300g정도이며 과형은 원형 또는 장원형으로 크기가 균일 과피는 황록색 바탕에 담홍색 줄무늬로 착색되며 과육은 황백색이며 육질은 치밀하고 과즙이 많음 당도는 14.6도로 높고 산도는 0.38%로 감산이 적당하게 조화되어 있어 맛이 농후함

26 후지 반점낙엽병에는 비교적 강한 편이고 부패병에는 아주 약하며 응애 피해를 받기 쉬움 재배상 유의점
모든 가지에 충분한 햇빛이 투과되도록 재배 거리를 넓게 두고, 수형 구성 시 가지를 잘 배치하고 수세를 적당하게 떨어뜨려야 함 대과를 생산하면 지역에 따라 과실에 밀 증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숙기 판정에 유의 장기 저장용 과실은 일찍 수확 삼엽해당 대목은 적진병 및 마그네슘 결핍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토양 개량을 실시 착색 관리는 봉지씌우기를 실시한 후 수확 1개월 전에 봉지를 벗기고 그 후 수확할 때까지 계속 잎솎기, 과실 돌려주기 등의 작업을 실시 착색계 후지는 착색이 빨리 진행되는데 숙기가 착색과 비례하여 반드시 빠른 것은 아니므로 외관을 보아 조기에 수확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

27 국내 육성 사과 품종 ‘선홍’ ‘홍로’ ‘추광’ ‘감홍’

28 기상 환경 평균 기온 8~11oC(6oC 이상~14oC 이하) 생육 적온
과실 성숙기 생육 적온 20~25oC 착색 적온 일평균 12~13oC, 야간 평균 기온 8oC 전후 휴면기: -7oC 이하의 적산 기간이 1,200~1,500 시간 이상 필요 최저극온: -30oC, 기온 변화와 수세 약하면 더 높은 온도에서도 피해 발생

29 생육 단계별 기온에 따른 적응성 사과 생육 초기 발육 단계별 꽃눈 피해 한계 온도(oC) 구분 은색 선단기 녹색 녹색기 단단한
화총기 분홍 초기 완전 분홍기 개화 만개기 만개 후기 과거 표준온도 -8.9 -5.6 -2.8 -2.2 -1.7 10% 동사 평균온도 -9.4 -7.8 -5.0 90% 동사 평균 온도 -12.0 -6.1 -4.4 -3.9

30 기온 과실 비대기 우리나라 사과 주산지의 6~8월 기온: 북한 21.6~23.8 oC, 남한 24.5~24.9 oC
온도와 과실 모양 따뜻한 지역 평원형, 생육 후기 온도가 낮은 지역은 원형, 장원형 과실 성숙기 착색 적온 일 평균 기온 12~13oC, 야간 평균 기온 8oC 전후(야간 온도 중요) 야간 온도가 24oC이상일 경우 착색이 불량

31 강수량 4~9월 강수량이 450mm 이하 시 관수 필요 우리나라 연중 강우량 900~1,300mm
7~8월에 집중, 생육 초기와 후기에는 강우 부족

32 일조 연간 일조 시간 2,300 시간(일본 아오모리의 경우 1,700시간) 수관 내 환경 과실 품질, 착색에 영향
사과나무의 최대 광합성 정도 15,000lux(노지 최대광은 100,000lux) 수관 내부는 노지 광량의 1~10%이므로 수관 내부 광 환경이 중요

33 토양 조건 토양 적응성 심근성으로 내습성은 중 정도이고 내건성이 약함 토양 조건 토성: 양토~사양토 작토 깊이: 1m 이상
토양 경도: 18mm 이하(24mm 이상은 심한 장해) 투수성: 2.7mm/시간(토양 구조 발달 중요) 유기물: 3% 이상 토양 반응: 미산성~중성(pH 5.8~6.2) 시비 반응: 질소 비료 민감, 칼륨, 붕소의 결핍 장해 발생이 많음

34 지형 평지 기계화 및 재배 관리 작업 용이 토심이 깊고 비옥하며 보수력이 큼 수확물, 농용자재 등 운반 용이 경영비가 적게 듬
지하수위가 높고 배수 불량 경향 동해 및 서리 피해 발생 빈도 높음 숙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음 땅값이 비쌈 경사지 땅값이 쌈 배수가 양호함 동해 및 서리 피해 적음 기계화 어렵고 노력이 많이 듬 토심이 얕고 지력이 낮음 토양 유실이 심함 경영비가 많이 듬

35 토양 개량 목표 항목 목표치 유효 토심 60 cm 이상 지하수위 1 m 이하 토양 산도 pH 5.8~6.3 염기 치환 용량
20 me/100g 염기 포화도 60~80% 유기물 3 % 이상 인 산 200 ppm 마그네슘 2 me/100g 칼슘 8~10 me/100g 붕소 0.5 ppm

36 품종 선택 사과 대목 선택 대목이 확실한가 확인 대목의 종류에 따라 재식 거리, 정지 전정 방법 및 기타 작업 관리가 달라지므로 대목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명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대목 길이와 자근 대목인지 이중대목인지 확인 대목 노출이 적당해야 함 M.9 자근대목의 경우 대목은 지하부를 포함하여 대목의 길이는 40cm 내외로 하고 재식 후 지상부 대목 길이가 20cm 내외로 함 대목이 너무 길면 깊이 심어지거나 대목 노출이 과다하여 수세가 지나치게 쇠약해짐 대목이 짧으면 노출 부족으로 접수 품종 자체에서 뿌리가 발생해 나무가 크게 크거나 왜화 효과를 볼 수 없음 이중접목묘는 자근대목묘에 비해 왜화 효과가 떨어지고 근계 대목이 실생인 경우 나무 간 수세 차가 나타나므로 자근대목의 묘목을 구입해야 함

37 품종 선택 지역 적품종 선택 재배 환경, 기상 조건에 따라 품질이 크게 달라지고 생리장해나 병해충 발생 정도가 달라지므로 재배 지역에서 우량 품질이 발휘될 수 있는 품종을 선택 사과 재배 주산지간 경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지역에서 생산량이 비교적 적고 가격이 높은 품종을 선택 재배 상 어려운 점이 있는지 여부와 단위수량이 높은가도 고려하여 최종 선택 재배 면적에 맞는 품종 선택 재배 규모에 따라 품종 수를 결정하는데 적은 면적에 많은 품종을 심을 경우 작업 관리가 어려움 재배 면적이 넓은 경우 적은 수의 품종을 심으면 적과나 수확 작업 등의 작업이 일시에 몰려 노동력 분산 차원에서라도 수확기가 서로 다른 몇 가지 품종을 선택 1,000평이라면 품종 내외, 1ha(3000평)이하라면 3품종 내외 , 1ha 이상이면 4~5 품종 선택

38 품종 선택 품종 안배 수확기 감안하여 품종별 구성 비율, 주력 품종을 결정
재배 규모가 1ha 이상일때 조생종 10~15%, 중생종 30% 내외, 만생종 50~60% 정도가 무난 숙기별 사과 품종 주력 품종 조생종: 선홍 중생종: 홍로 , 감홍 , 양광 만생종: 후지 보조 품종 조생종: 산사 , 쓰가루 중생종: 홍옥 , 추광 , 홍월 , 새나라 만생종: 화홍 * 검토 품종: 최근 육성, 도입된 것으로 지역별 적응성이나 경제성 등 검토가 필요한 품종 조생종: 서광 갈라 착색계 중생종: 후지 조숙계(고을후지, 히로사키후지 료카 등) 만생종: 후지 착색계(기쿠8후지, 로얄후지 등)

39 주요 품종의 수확기 7월 8월 9월 10월 11월 하 상 중 OBIR2T47 서광 선홍 산사 갈라 쓰가루 홍로 홍월 후지조숙계
(고을, 히로사키 등) 신홍(뉴조나골드) 조나골드 양광 홍옥 감홍 골든데리셔스 화홍 후지

40 수분수 선택 품종과 수분 관계를 알아봄 사과는 타가수정작물이므로 반드시 서로 다른 품종을 섞어 심어야 안정적 결실을 기대할 수 있음 후지 4줄에 홍로 1줄과 같은 식으로 20% 정도는 다른 품종을 섞어 심음 수분수의 선택 친화성이 있는 품종 개화기가 주 품종과 비슷하거나 다소 이른 것 꽃가루의 양이 많은 것 임성률이 높은 것

41 수분수 최근 꽃사과를 수분수로 이용하는 재배 종가가 늘어남 품종별로 몰아서 심고 사과나무 사이에 꽃사과를 심어 수분을 도모함
품종별로 적정한 관리가 가능하여 생력 재배에 도움이 됨 꽃사과 2~3품종을 섞어서 심되 주 품종의 7~10%(주품종 10~13주에 꽃사과 1주 비율) 정도 심음 개화기 빠른 품종(홍로, 쓰가루 등): 만추리안, 얀타이, 호파에이, 센티넬 늦은 품종(후지, 화홍 등): 프로페서 스프렌져, 아트로스, 아담스, SKK14, SKK16

42

43 결실과 비대 개화 5~6개의 꽃, 중심화가 가장 먼저 핌 개화 기간 6~7일 암술의 수정 능력 개화 3일 전부터 개화 후 5일
꽃가루 수분 후 2~3일이면 수정 개화 순서 단과지 > 중과지 > 장고지 > 겨드랑이꽃눈

44

45

46 대목 실생 대목 왜성 대목 M1~M27, MM101~MM115 우량 대목 판정 요인
흡지 발생 정도, 접목 친화성, 내한성, 병해충 저항성, 내스트레스성, 왜화도, 과실 생산성과 품질 접수 품종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

47 대목 M.9 유럽에서 100년 이상 이용되어 오던 오래된 선발종
고밀식 재배에 이상적으로 알맞은 크기로 나무가 자라며, 매우 조기에 결실되고 생산성도 높으며, 대과의 과실을 맺고 품질도 좋음 M.26 M.9×M16 교배로 육성한 대목으로 1959년부터 보급되기 시작 M.9보다는 내동성이 있으며 흡지는 거의 발생되지 않으나 접목부와 지면 사이 대목 줄기에 부정근이 덩이 형태로 자라 나오는 기근속이 많이 생겨 생장이 고르지 않음 M.9보다 번식력이 좋음 M.27 M.13×M.9 교배로 육종한 대목 사과 대목중 가장 왜화성이 높으며 조기결실성이고 수량성은 높으나 M.9보다 떨어지며 과일 크기도 작음 흡지와 기근속 발생이 없고 번식이 잘 됨

48 대목 M.20 M.27보다 약간 세력이 떨어지나 과실 크기도 양호하고 품질도 좋으며 수량성도 우수 M.27보다 흡지가 많음
M.9EMLA 이스트말링과 롱 아쉬톤(Long Ashiton)의 두 시험장에서 공동으로 육성한 계통으로 표준 M.9보다 다소 크게 자라나 동해에는 약함 MM.106 반왜성대목으로 우리나라에서 한때 M.26 다음으로 많이 보급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이용하고 있지 않음

49 **1=최소, 최저, 최하; 9=최대, 최고, 최상 대목 영양계 특성 평가(1~9)** 번식력 활착 고정력 흡지 발생 내한성 역병 화상병 흑성병 면충 M.2 M.4 M.7 M.9 M.13 M.26 M.27 MM.104 MM.106 MM.111 O.3 P1 P2 P18 P22 Bud.9 Bud.490 Bud.491 Robust.5 JM 2 JM 5 JM 7 JM 8 7 9 8 5 6 3 2 1 4 - 중강 중약 극강 극약

50 사과 묘목 생산 방법 농가에서 대목을 번식하여 묘목을 만들 수 있으나 작업이 번거롭고 관리에 노력이 소요되므로 묘목생산업체 등에서 생산한 우량한 대목을 구입하여 이용하는 것이 편리 대목의 번식 방법 세워묻어떼기와 이랑묻어떼기가 많이 이용 우량 묘목의 기준 제뿌리 대목이고 뿌리가 충실할 것 대목 전체 길이는 40cm 정도로 심을 때 15~20cm는 지상에 노출될 것 묘목의 굵기는 접목부 위쪽 10cm 부위가 12~13mm 이상일 것 측지의 수는 5~6개 이상(10개 이상이 이상적), 측지 길이는 30~60cm 묘목 길이는 1.2~1.8m로 웃자라지 않을 것 바이러스 무독이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을 것

51 우량 묘목 생산 기술 대목의 재식 및 관리 봄에 대목을 구입하여 규격별로 묘목 생산포에 심음
심는 방법은 이랑 사이 1m, 포기 사이 30~40cm 간격, 깊이 15~20cm 정도로 봄 땅이 풀린 후 가급적 일찍 심음 재식 후는 충분히 관수하고 엽면시비를 3~5회 실시하여 충실히 키움 접목 순서 8월 중에 깍기눈접을 함 접목 위치는 25cm 높이로 함 접목 상단부 절단 시기는 3월 하순~4월 상순 접목테이프는 접목 4주 후에 풀어줌 관리 해순이 20cm 이상 자라면 개별지주나 이랑 양쪽에 지주를 세우고 줄을 쳐 곧게 자라게 함 접목 부위 밑 대목에서 발생하는 곁순은 5월 중하순경, 생장조절제 처리 5일 전에 일시에 제거 측지 발생제 처리 전까지 요소, 영양제 엽면 시비로 묘목을 충실히 키움

52 번식-눈접 T접, L접, 깍기눈접

53 33mm 35mm 6mm 6mm

54 번식-접목(숙지접) 깍기접(Veneer grafting) 짜개접(Cleft grafting)
혀접(Whip-and-tongue grafting)

55 번식-녹지접

56 우량 묘목 생산 기술 측지 발생 촉진법 생장조절제 이용 실험용 벤질아데닌
후지 400ppm, 쓰가루 600ppm, 홍월·홍옥 200~400ppm 포미나(포르말린 1.8%): 후지 품종 2% 정도 농용 비에이 액제(벤질아데닌 0.3%): 후지의 5~6배 정도 처리 시기: 새가지가 40~50cm(지면에서 65~70cm) 자랐을 때 처리 방법: 새가지 위쪽 15~20cm 부위의 6~7매의 잎에 묻도록 소형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살포 처리 회수: 5~10일 간격으로 2~4회 1차 처리 4~5일부터 약효를 관찰하여 추가 살포 시기 및 농도를 결정하고 하루 중 아침이나 저녁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처리

57 개원 계획 수립 기반 조성 배수 시설 토양 개량 토양 안정롸 지주 설치 재식 수분수 혼식 재식 후 일반 관리

58 토양 정지 및 기반 조성 기계화 가능한 농로 정비, 관배수 시설, 용수 확보,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풍림 설치 등 토지의 기반 정비를 철저히 검토 중대형 농기계 사용이 가능한 경사각도(10~12o)를 고려하여 정지 재식열은 약제 살포용 고속분무기 또는 트랙터 등에 의한 작업능률과 바람, 지형에 따른 냉기류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부득이 경사면에 직각으로 등고선 방향에 따라 만듬 기계화 및 작업성 고려 구획을 설정하여 농로를 배치 농로 폭 설정을 주농로는 4m, 지선농로 3m 정도로 배치 지하수위가 높은 곳, 수직배수가 불량한 곳은 유공파이프로 암거배수 시설 설치 암거배수관 설정된 재식열 아래에 배치 지형상 암거판 설치가 어려운 곳은 재식열을 지면보다 높게 이랑을 만들어 줌

59 토양 개량 암거 배수 시설이 완료되면 과수원 전체를 깊이 60cm 까지 목표로 개량 토양 개량제 종류와 시용량
퇴비(유기물) 시용: 비옥지(경작토) 10a당 5톤 이내, 척박한 토양 10톤 이내 유기물은 질소 함량이 0.3% 내외의 것으로 완전히 부숙한 것 이용 토양 반응 개선: pH를 조사한 다음 석회 시용량 결정 인산 시용: 토양 검정을 통해 부족량 보충, 신개간지 10a당 200~400kg/10a 정도 붕소 시용: 붕사 2~3kg/10a 토양 개량 방법 유기물과 토양 개량제가 개량 목표 토양 깊이까지 골고루 섞이게 하고 지반이 낮거나 개식장해가 예상되는 곳은 30cm 정도 객토 실시

60 토양 안정화 토양 안정과 개량 효과를 높이기 위해 1년 정도 녹비 작물을 재배 녹비 작물
수단그라스, 옥수수, 수수, 콩, 완두, 남두, 클로바, 해바라기, 호밀 녹비 작물 자람세가 나쁜 부분은 추가 퇴비를 시용하여 골고루 생육하게 하고 가을에 예취한 다음 로타리하여 토양에 섞어줌

61 관수와 지주 시설 관수 기본 계획에 의거한 용수원 확보, 저수용 탱크 설치와 관수 시설 구비
관수 시설은 점적관수를 기본으로 하고 수직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는 미니스프링쿨러 등 관수 범위가 넓은 자재 이용 지주 시설 재식 후 바람이나 기타 물리적 힘에 의해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재식 전에 설치 개별지주, 철선울타리(trellis) 식 지주 중 조건에 맞는 지주 선택

62 재식 겨울이 따뜻하고 다습한 지역에서는 늦가을에 심고,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봄(4월 중하순까지)에 심음
가급적 남북의 방향을 그대로 심을 것 재식 거리 품종의 수세, 대목 왜화도, 묘목의 곁가지 발생 정도, 토양 비옥도, 목표 수형, 작업성, 생산성, 재배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작업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최대의 결실 면적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설계 열의 가장자리는 작업기 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4~5m 거리를 둠

63 재식 거리 대목 품종 재식 거리(m) 재식 주수(300평) 비고 M 9 자근 왜생 접목묘 1m X 4m 약 245주
60주 M 106 5m X 5m 35주

64 재식 거리 지력 품 종 재식거리 (m) 재식주수 (주/10a) 중 쓰가루 등 후 지 3.2×1.2 3.5×1.5 260 190
3.8× ×1.8 수분수 혼식 - 재배 품종의 경우는 5열중 1열씩 배치 - 꽃사과 : 이웃 열과 다이아몬드형(◇)으로 10~13주 건너 나무 사이 배치

65 묘목의 가식 재식 전 묘목은 하루 밤이나 반나절 동안 뿌리를 물에 담가 흡수시킴
전착제를 가용항 톱신 M 또는 베노밀 1,000배액에 10~20분간 병균 소독 재식 구덩이는 토양 개량이 된 상태이므로 뿌리를 충분히 펼쳐 심을 수 있는 크기로 함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주의하여 접목 부위를 20~25cm (안정상태에서 15~20cm) 정도 노출되게 하고 뿌리를 잘 펴서 심음 재식 후 충분히 관수(주당 10~20L)하고 나무에 지주에 고정

66 재식 방법 묘목 심기 1~2개월 전 미리 구덩이를 파고 흙이 비에 가라앉은 다음에 심는 것이 좋음 완숙 퇴비와 흙 흙
거친 퇴비 또는 짚 60~90cm 90cm

67 결실 관리 결실량 확보 2년차부터 나무 세력에 따라 결실시켜 수세 안정 유도
후지 품종, 재식밀도 m(190주/10a) 기준 2년차 착과량(수량: 15~20과/주(1.1톤/10a) 3년차 착과량(수량: 35~40과/주(2.3톤/10a) 4년차 이후 성과기는4.5톤/10a 정도 수세 조절을 위해 필요한 경우 나무 세력에 따라 액화아도 결실시킴 과다 결실은 과실의 품질 저하, 해거리 발생, 수세 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 주간상의 단과지에는 곁가지로 키우지 않아도 무방한 위치에 결실시킴

68 수분 및 수정 방화곤충 이용 머리뿔가위벌: 2,000마리 내외/ha, 사과 개화 7~10일전 고치를 배치
인공수분 꽃가루 필요량: 친화력 높고 꽃가루가 많은 품종에서 수분 예정 꽃 수의 10% 정도 꽃가루 채취: 개화 3~4일 전 개화 직전의 꽃봉오리를 따서 20~25oC, 습도 70% 정도로 유지하여 개약시켜 채취 꽃가루 보관: 저온(0~5oC), 건조 상태로 보관하여 필요 시 사용(자연 상태에서는 1일 지나도 활력 감소) 꽃가루 희석: 석송자, 탈지분유, 전분으로 5배 정도 수분 시기: 개화 1일전부터 3~4일까지 수정 능력이 높으므로 중심화 50~60% 피었을 때 실시

69 적화 및 적과 적화 불필요한 영양 소모를 막아 다른 꽃이나 잎의 발육에 양분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함
겨울 전정 시부터 꽃눈 수 조절, 눈따기 등 시기가 빠를수록 효과가 큼 적과 적과 정도: 과실 품질과 수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엽면적 확보에 기준을 둠(적정 엽과비 50~60엽/과, 후지 기준) 적과 시기 1차 적과: 한 화총 내 2~3개 과실을 두고 빠른 시일내에 적과 2~3차 적과: 과경이 굵고 긴 것, 유과형태가 좋은 것, 과총엽이 많이 붙어 있는 것, 정화아 과실 등을 남김 생육기 적과: 타 과실에 비해 생육이 저조하거나 기형과, 병해충 피해과 적과

70 착색 관리 수관 내 광 환경 개선 수관 내 햇빛 도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장지나 불필요한 가지는 제거
과실의 무게로 가지가 늘어져 수광 상태 나빠진 것은 받쳐줌 토양 수분 관리 토양 수분이 적당히 유지되면 질소 흡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착색이 불량하므로 토양 수분이 빨리 증발되도록 하고 강우 시 물이 빨리 배출되도록 함

71 착색 관리 봉지 씌우기 동녹 발생이 심한 품종이나 수출용 사과는 봉지를 씌워 재배
동녹이 문제되는 품종: 골든델리셔스, 양광, 감홍 씌우는 시기: 낙화 후 30일 전후(동녹이 심한 품종은 낙화 10일 이내) 봉지 벗기기 시기가 너무 빠르면 엽록소 생성도 동시에 이루어져 착색이 나빠짐 벗기는 시기 쓰가루 수확 전 10~15일, 후지 수확 전 30~40일경, 감홍 수확 10일전(반사 필름 이용 시)~15일전 겉봉지를 벗긴 후 5~7일 후에 속봉지를 벗김 과실에 일소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루 중 온도가 높은 10~14시 사이에 벗기거나 흐린날 벗김

72 착색 관리 잎따기 과실 표면에 30% 정도 착색이 된 시기부터 수확 10일전까지
조생종은 수확 전 15~20일전, 중생종은 25~30일전, 만생종은 35~40일전부터 1차 과총엽부터 따 주고 착색이 진전됨에 따라 2~3회 실시 과도한 잎따기는 과실의 품질 저하와 수세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됨 과실 돌리기 양광면에 착색이 된 후 낙과되지 않도록 20o 정도의 각도로 2~3회 실시 반사필름 깔기 햇빛 도달량이 가장 많은 부위(열 중간)에 깔아줌 깔아주는 시기는 후지의 경우 수확 전 35~40일로서 속봉지를 벗긴 후 실시 반사필름 가운데 부분을 낮게 하면 강우 시 배수로를 겸하여 이용이 가능

73 봉지 씌우기 I 목적 심식충의 침입을 저지 화상병에 의한 피해를 줄임 녹 발생이 우려되는 품종의 품질 향상을 위해
착색이 불량한 신품종 및 수출용 과실의 외관과 착색 증진

74 봉지 씌우기 II 시기 심식충이 침입하기 전인 6월 중순 골든델리셔스 품종 낙화 후 10일 이내(녹 발생 방지)
적과 작업이 끝난 후 빠를 수록 좋음 7월 10일 이전에 마치는 것이 좋음

75 봉지 씌우기 III 봉지의 종류와 선택 차광성이 강한 봉지 착색 선명, 바탕이 황색을 띰, 맛 저하
착색이 잘 되는 품종(홍옥, 델리셔스계)은 차광성이 약한 봉지 선택 봉지 벗기기 수확 전 착색 증진을 위해 착색이 문제가 되지 않는 품종(골든델리셔스, 축) 수확 2~3일 전 착색이 필요한 품종(후지, 홍옥, 국광) 수확 4주 전 일기 좋은 때 봉지 밑 열어두었다가 구름이 낀 날 벗김

76 무대재배와 착색 증진 무대 재배 생산비 줄이고 품질 향상을 위해 실시
땅속에서 월동하는 심식충을 중경하여 약제 살포 철저히 해야 함 녹 발생이 적은 품종은 무대 재배하는 것이 좋음 착색 증진 수세 안정, 밀식원을 간벌하여 수관 내부에 햇빛이 들게 함 적엽, 과실 돌리기

77 과실의 비대와 성숙 과실의 생장 결실량, 시비량, 생장조절제, 기후, 토양 등의 영향 세포 분열기
개화~4, 5주, 그 후 비대기 과실의 생장은 만개 후 50일경부터 급격히 증가 과실의 모양(L/D) 일교차 작은 곳보다 일교차 큰 곳에서 자란 과실이 원추형으로 김 지베렐린과 사이토키닌 처리로 모양이 길어짐 사과의 성숙 만개기로부터 성숙기까지의 일수는 성숙 지표

78 수확전 낙과의 방지 수확전 낙과 심한 품종: 홍옥, 델리셔스계, 쓰가루, 축 수확전 낙과 심하지 않은 품종: 후지, 국광 요인
호르몬 활성 저하 일조 부족에서 일조가 좋아질 경우 수확 전 고온 건조 수분 스트레스 과심에 곰팡이 병 발생할 경우 약해나 병충해 봉지를 씌우지 않은 과실 방지 대책: B-9, 2000배, 물 1,000L 당 500g을 넣어 10a 당 400L 살포 살포 시기: 만개 후 25일~수확 전 45일 7~8월

79 정지 및 전정 크고 굵은 가지일수록 세력이 강하고 가지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잎눈이 세력이 강한 새가지로 자라고 그 아래쪽은 세력이 약한 가지가 되거나 숨은 눈이 됨 새가지가 나오면 나온 지 3년째에 개화 결실하고 때에 따라서 2년차 액화아가 개화 결실하는 경우도 있음 가지를 세울수록 강해지고 눕힐수록 약해짐 동계 전정은 가지 생장이 강해지고 하계전정은 약해짐 강전정은 영양생장을 촉진시키고 약전정은 생식생장을 촉진 솎음전정은 절단전정보다 꽃눈 형성을 많게 함 가지는 75o 정도 유인하는 것이 꽃눈 형성을 많게 함

80 밀식 재배용 세장방추형 수형 기부 골격지 형성은 최초 3년차까지 10개 내외로 다소 강하면서 수평으로 자란 가지를 두고 여러 개의 결과지를 배치 재식 거리에 따라 하단 골격지 길이가 75~100cm에 달할 수 있으나 하단 골격지는 단축시키거나 솎아낼 수는 있으나 완전히 제거하지는 않음(3년차까지는 골격지 유지: 조기 수확 및 수세 안정) 첫 가지가 달리는 위치는 재식 후 3년차까지 지면 60~70cm 높이로 유지하고 이후 관리 불편 시 70~80cm로 조절 발생된 측지는 10~15cm 생육 시 이쑤시개 등으로 각도를 넓혀 유인 세력이 강한 가지일수록 유인을 강하게 하여 가지간 세력 균형 유지(수세 제어, 꽃눈분화촉진)

81 밀식 재배용 세장방추형 수형 동계 전정 시 측지는 절단전정을 금하고 강한 측지는 기부에서 제거
측지는 자주 갱신(하단부 이상의 측지 대상)하여 재식 거리에 알맞은 크기의 가지 유지 나무 모양을 방추형이 되도록 유지 측지는 3년차까지 30개 정도로 유지, 재식 4년차부터 20~25개 정도 유지 측지의 기부부터 가지 전체에 걸쳐 결과부위를 확보 상단 측지는 자주 갱신하여 수폭을 소정의 거리 내에서 제한 수세를 건전히 유지

82 세장방추형 수형 구성 및 전정 방법 재식 1년차 기부에 배치된 골격성 측지에 짧은 단과지 3~4개를 배치
측지 수 확보를 위해 재식 당년 측지가 없는 주간 상부를 휘거나 아상 초리(4월 초~중순) 및 생장조절제(프로말린, BA) 를 처리하여 15~20개의 측지 확보 측지는 발생 초기에 분지각도를 넓혀주고 기부는 수평, 상부는 수평 이하(120도)유인, 세력이 강한 가지일수록 강하게 유인하여 가지 간 세력 안배 주간연장지와 경쟁하는 가지는 조기에 제거 재식 2년차 기부에 골격성 측지를 8~10개 배치 주간 굵기의 2/3 이상되는 측지, 세력이 강한 측지는 제거 측지상에 결과지 배치 4~5개로 함 결과지 유인, 염지, 적엽 등으로 꽃눈 확보 주력(60~80개 정도) 하계 전정을 통해 광 환경 개선 및 과실 품질 향상 측지 상부에 발생하는 도장지는 조기에 찢어 제거 측지 수 확보: 아상, 유인, 생장 조절제 이용하여 20~25개 확보 수형에 적합하도록 측지 유인을 철저히 실시

83 세장방추형 수형 구성 및 전정 방법 재식 3년차 주간 하단부 골격성 측지(7~9개), 측지상 결과지(4~6개) 배치
결과지 유인, 염지, 적엽 등으로 적걱적인 꽃눈 확보(80개 이상) 하계 전정을 통해 광 환경 개선 및 과실 품질 향상 주간 전체에 측지 골고루 배치(아상 처리 등) 수형에 적합하도록 측지 유인 및 과대 지 관리 철저 재식 4년차 이후 주간 하단부 골격성 측지(6~8개), 측지상 결과지(6~8개) 배치 결과지 세부 관리는 3년차와 동일 측지간 세력 안배 및 광 환경을 고려하여 갱신 측지가 길어 이웃나무와 수관이 겹쳐 복잡할 경우 꽃눈 위 또는 결과지 바로 위에서 절단하여 수폭 유지

84 세장방추형 수형 구성 및 전정 방법 재식 년차별 측지 구성 및 세부 관리
초기 수량 증대 및 수세 제어를 위해 조기에 측지 수를 확보해야 하며 꽃눈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연차별 측지 수는 재식 거리 및 수고에 따라 차이가 있음 3.5×1.5m (190주/10a), 수고 2.2~2.8m 기준 시 1년차: 10~15개/주 2년차: 20~25개/주 3년차: 30개 내외/주 4년차 이후 성과기: 수형 유지 상 25개 내외/주 세장방추형

85 세장방추형 수형 구성 및 전정 방법 나무 선단부 관리 방법 강한 직립지 대신 2~3번째의 약한 가지를 주간 연장지로 대체
선단부는 잎 수, 새가지수를 제한하고, 긴 새가지를 두지 않으며 부득이 강한 새가지를 주간 연장지로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꽃이 피고 난 후 대체함 주간 연장지를 6~6월에 수평이나 그 이하루 유인하여 과실 착과 유도와 수고를 유지할 경우에는 굽힌 부분의 기부에 새가지를 예비지로 두어 필요 시 대체 주간 선단부가 약한 경우 노쇠화가 촉진되므로 토양 관리에 주의

86 토양 관리 표토 관리 평지 성목원에서는 열간은 초생 재배
수관 하부는 청경으로 하여 위드스톱(PP필름), 보온 덮개를 피복하여 활용 겨울철 동해 및 늦서리의 피해 우려 지역에서는 겨울에 반드시 벗겨주어야 함 경사지 과원에서는 토양 유실을 막기 위해 수관 하부를 초생에서 예취한 풀을 덮어주거나 부초를 함 초종은 자연초종이나 톨페스큐와 켄터키블루그라스를 3:1로 혼파하여 이용 목초 초생의 경우 해가 경과함에 따라 피복도가 떨어지면 빈자리에 종자를 파종하고 예츼한 풀로 덮어 복구

87 수분 관리 배수 암거배수를 하였더라도 배수 상태를 점검하여 필요 시 보완 명겨배수로는 수시로 정비하여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함
관수 토양 특성에 따른 적정 수분 함량을 조사하여 계산하되 관수하거나 토양 수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이 유지되도록 함 점적 관수로 하며 관수구는 압력 보상이 되는 것을 사용 수직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은 미니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관수 범위를 넓게 함

88 시비 질소 단백질 구성의 주성분, 수체 생장, 꽃눈 분화, 수량 및 품질 질소 과다
잎이 커지고 농록색, 웃자람, 동해에 약해짐, 병충해 저항력 저하 질소 부족 잎이 작고 황록색, 새가지 발생과 신장량 적어짐, 착과율 저하, 착색 빨라짐 인산 핵단백질 구성 성분, 사과나무는 인산 흡수력이 강해 결핍이 잘 되지 않음 인산 결핍 잎이 세장, 엽맥이 자색, 과실 착색 및 근군 발달 불량 인산 과다 철분, 질소 흡수 억제

89 시비 칼륨 결핍 엽소 현상, 왜화, 과실 비대 및 착색 불량, 내한성 약해짐 칼륨 과다
과실 내 산 함량 증가, 고두병 발생, 마그네슘 부족 칼슘 결핍 고두병, 홍옥 반점병, 저장 장해 마그네슘 결핍 조기 낙엽 붕소 결핍 축과병, 가지 고사 현상 붕소 과다 새가지 장해 망간 과다 적진병

90 시비량 검정에 의한 시비량, 수세 등으로 판단 시비 할 때 미숙 유기물을 가을에 시용하면 화학비료를 30% 감량하고 봄에 시용하면 질소는 50% 이상 감량, 인산과 칼리는 40%를 감량함 재식 밀도가 높아도 10a 당 시비량을 초과하지 않음 칼륨과 붕소 결핍에 의한 장해 발생이 많으므로 석회는 매년 시용하고 붕사는 2~3년마다 10a 당 2~3kg을 시용 시비 시기 밑거름: 낙엽이 진 후부터 다음 해 봄 발아전까지 웃거름: 5월 중하순 가을거름: 조생종과 중생종은 수확 후에 요소 시용, 만생종은 10월 말에 5% 요소를 엽면 살포

91 시비 시 고려할 사항 토성 식질토양에서는 비옥도가 높고 완충 효과가 높아 다비 재배가 가능
사토에서는 토양의 양분 보유능이 작아 비료에 의한 과다, 결핍이 반복될 수 있음 토양 화학성 토양 산도, 유기물 함량, 유효 인산, 양이온 함량 등을 사전에 분석하여 시비 기준으로 삼아야 함 기상 환경 한발이나 장마 시 양분 흡수 억제, 관수 및 배수 시설을 고려하여 시비량 결정 수세 관리 강전정 및 소량 착과 시 질소질 비료를 줄여 수세를 안정시키고 꽃눈을 확보해야 함

92 시비 방법 시비 위치: 수관 바깥 둘레 밑에 잔뿌리가 많은 곳 위주로 시비
시비 방법: 윤구시비법, 조구시비법, 전원시비법, 방사구 시비법 등 석회, 인산은 심층시비하고 웃거름과 가을거름은 비 오기 전 지표면에 시용 퇴비 등과 같은 지효성 유기질 비료와 인산, 석회비료, 붕사 등은 2~3년마다 전량을 밑거름으로 시용 사질토양은 보비력이 약하므로 밑거름의 비율을 줄이고 덧거름의 횟수를 늘림

93 시비 방법 윤구·조구 시비법 가능하면 일찍 구덩이을 파고 파낸 흙에 석회(고토석회)를 섞음
유기물(퇴비)과 인산 비료를 섞어서 구덩이에 넣고 석회를 섞은 흙으로 덮음 밑거름을 시용할 때 시용하는 방법 질소, 칼리질 비료는 흙으로 덮고 난 후에 시용하고 괭이 등으로 긁어 줌 재식 후 2~4년 까지는 윤구 시비나 조구 시비를 하는 것이 경제적 이 후 성목이 될때 까지는 방사구 시비 경사지: 윤구 시비 또는 방사구 시비 평야지: 전원 시비와 아울러 때때로 어느 정도의 심층 시비가 바람직 전원(표토)시비 과수원 전면에 비료를 뿌리고 갈아 엎는 방식의 시비법 표토에만 시비되기 쉬우므로 뿌리의 향비성에 의하여 나무 뿌리가 천근성이 되어 건조의 해와 동해를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전원 시비 시에는 때때로 깊이 갈이를 해주는 것이 좋음

94 엽면 시비 비료를 잎에 살포하여 엽면으로부터 흡수시키는 방법
토양에 사용한 비료가 강우에 유실되거나 토양 반응이 알칼리성이나 강산성이거나 병해충으로 인해 뿌리가 정상적인 기능을 못할 때 응급 조치로 실시 비료 성분 엽면 살포제 살포 농도 질소 요소 생육 기간에는 0.5% 정도, 수확 후(10월 말) 5% 인산 인산1칼륨, 인산1칼슘 0.5~1.0% 칼리 황산칼리 칼슘 염화칼슘 0.5% 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2% 붕소 붕소 또는 붕산 0.2~0.3% 황산철 0.1~0.4% 아연 황산아연 0.3~0.4%

95 시비(M.9, M.26의 경우) 성분 웃거름 1 2 3 4 5 6 7년 이후 질소 20 50 100 150 180 220 250 인산 25 75 90 110 125 칼리 40 80 120 200 성목 N:P:K=12~15:6~8:10~12kg/10a

96 왜성 사과(후지/M26) 잎의 영양 기준 농도 원소 표준치 부족 정상 과다 N(%) P(%) K(%) Ca(%) Mg(%)
B(ppm) 2.7 0.17 1.28 1.10 0.31 37.5 <2.07 <0.13 <0.57 <0.52 <0.16 <7.7 2.49~2.92 0.16~0.19 1.04~1.51 0.91~1.30 0.26~0.36 27.6~47.4 >3.34 >0.22 >1.98 >1.69 >0.46 >74.8

97 토양 분석에 의한 질소 시비 성분량(kg/10a)
수령 유기물 함량(%) 1.5 이하 1.6~2.5 2.6 이상 1~4 5~9 10~14 15~19 20 이상 2.0 4.0 8.0 15.0 20.0 3.0 6.5 12.5 17.5 10.0

98 토양 분석에 의한 인산 시비 성분량(kg/10a)
수령 토양 유효 인산 함량(mg/kg) 350 이하 351~550 551~750 751 이상 1~4 5~9 10~14 15~19 20 이상 1.0 3.0 5.0 12.0 20.0 2.5 4.0 10.0 16.0 2.0 8.0

99 토양 분석에 의한 칼리 시비 성분량(kg/10a)
수령 토양 치환성 칼리 함량(cmol/kg) 0.5 이하 0.51~0.80 0.81~1.10 1.11 이상 1~4 5~9 10~14 15~19 20 이상 2.0 4.0 8.0 15.0 20.0 3.0 6.5 12.5 17.5 10.0 1.0

100 유기질 비료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영양 공급 토양의 완충성 증대로 양분의 결핍이나 과다 방지
수분 보유력 증대로 토양 유실 및 가뭄 피해 경감 토양 입자를 결합시켜 입단형으로 토양 물리성을 개선 토양 미생물 활성을 촉진하여 양분의 가용화를 촉진 유효 인산의 고정을 억제하여 흡수를 도움

101 유기물 1톤당 성분량 구분 수분 (%) 성분량 (kg/ton) 질소 인산 칼리 석회 고토 퇴비 우분뇨 돈분뇨 계분 왕겨 퇴비
75 66 53 39 55 4 7 14 18 5 2 20 32 6 11 16 8 19 69 1 3

102 유기물 진단에 의한 퇴비 시용량(kg/10a) 수령 토양의 유기물 함량(%) 1.5 이하 1.6~2.5 2.6 이상 1~4
5~9 10~14 15~19 20 이상 1,000 1,500 2,000 2,500 3,000 700 500 800

103 시비 방법 관비 점적 관수를 이용하여 관수와 시비를 동시에 실시 자동조절장치를 이용할 경우 관수 시간과 회수 조절 가능
지표면 살포 스프링쿨러 설치된 경우 비료를 흩어 뿌리고 스프링쿨러를 돌려 관리 유사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액비 시비 재식 당년에 액비 상태로 지면에 뿌려주는 것으로 탱크에 비료를 녹여 살포기로 뿌려주거나 물뿌리개로 뿌려줌

104 11월 하순~땅이 얼기 전(퇴비) 땅이 얼기 전~땅이 녹은 직후
시비 시기 밑거름은 나무의 휴면인 낙엽이 진 후부터 다음해 발아 전까지 주는 것이 좋음 성목인 경우 거름 주는 양의 약 70%를 밑거름으로 줌 구분 시비 시기 분시 비율 질 소 인 산 칼 리 밑거름   11월 하순~땅이 얼기 전(퇴비)   땅이 얼기 전~땅이 녹은 직후 60 100 덧거름   5월 하순~6월 상순 20 - 40 가을거름   수확 직후

105 일반 사과에 대한 시비 기준(kg/10a) 수령 (년) 질 소 비옥지~척박지 인 산 비옥지~척박지 칼 리 비옥지~척박지 퇴 비
질 소  비옥지~척박지  인 산  비옥지~척박지  칼 리  비옥지~척박지  퇴 비  1~4 2 1 100~300 5~9 2~4 1~2 2~3 1,000 10~14 5~8 2~5 3~5 2,000 15~19 10~15 8~12 20 이상  15~20 12~18

106 왜성 사과에 대한 시비 기준(kg/10a) 대상 작목 성분 1 2 3 4 5 6 7 8 9 10 성목 10a당 시비량 M7
성분  1 2 3 4 5 6 7 8 9 10 성목 10a당 시비량  M7 MM106 스퍼 타입 질소 인산 칼리 20 15 50 25 40 100 80 150 75 120 200 160 250 125 300 190 380 450 225 360 500 400 질소 12~15kg 인산 6~8kg 칼리10~12kg M9 M26 130 180 90 220 110

107 재해 대책 동해 개원 시 동해 우려가 없는지 검토하여 대책을 세우고 수세를 안정적으로 유지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재배 관리에 유의 동해를 받기 쉬운 대목, 주간부는 백색 수성페인트를 칠하거나 짚으로 싸 주는 등 방한 조치 피해를 입은 나무는 4월 초순, 늦게 생육 상태에 따라 화아수를 조절하면서 전정하고 수세 회복을 위해 요소 등으로 엽면 시비를 함 피해부는 칼로 깍아내고, 보호제를 발라줌 고사주는 조기에 제거하고 회복되는 나무도 경제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나무는 제거하여 보식 계획을 세움

108 재해 대책 늦서리 피해 대책 개원시 지형을 고려하여 피해가 적도록 조치
냉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폭 2m 정도의 방상림을 설치 경사지는 냉기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재식열을 설정 적극적인 피해 대책 강구 송풍법, 연소법, 살수법(미세살수장치 등)

109 재해 대책 태풍 대책 풍해 대책 주풍향을 관찰하여 방풍림이나 방풍망 설치 방풍림
포플러, 오리나무, 낙엽송, 삼나무, 화백, 측백 등(관목 혼합) 방풍망 사방으로 설치하고 방조망을 겸하면 효과가 큼 높이 5~5.5m, 그물 눈은 4mm 정도의 한랭사 이용 나무에 튼튼한 지주를 세워 고정하고 지주끼리 연결하면 버팀력이 강해짐 피해 입은 나무의 처리 도복한 나무는 땅이 젖어있을 때 세우고 지주나 받침대로 받쳐 고정 가지가 찢어진 것은 상태에 따라 결과지를 정리하여 접착시켜주거나 절단하고 보호제를 발라주고 이듬해 부란병 발생에 주의 피해 정도에 따라 별도 관리하여 수세를 회복시킴

110 재해 대책 수해 대책 과수원에 정체된 물은 가능한 빨리 배수시킴
토사가 쌓인 경우 신속히 제거하고 흙이 건조하게 되면 가능한 신속히 경운하여 통기성을 유지 피해 과실을 제거하고 맑은 물로 흙 앙금을 씻어낸 후 별도의 살균제를 살포 줄기에 상처를 입은 경우는 상처부를 정리하고 보호제를 발라줌

111 재해 대책 일소 피해 대책 과실이 강한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가지를 잘 배치하고 과다 착과를 피함
생육기 동안 수관 내 광 환경을 유지하고 관수를 적절히 함 일소 피해과는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수시로 제거 많이 결실된 가지들은 늘어지지 않게 버팀목을 받치거나 끈 등으로 묶어줌 초생 재배 실시 햇빛에 노출된 과실은 탄산칼슘(크레프논, 칼카본) 200배액(400g/20L), 카올린(Surround WP)을 3~4회 살포하여 과피를 보호 미세 살수 시설이 있는 과수원은 대기 온도가 30~32oC일 경우 작동시켜 과면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억제

112 생리 장해 원인과 대책 칼슘 결핍 장해 고두병(bitter pit)
과실 허리 아래쪽의 과피에 붉은색의 점이 나타나고 직경 2~5mm의 오목한 암적색 반점으로 진전됨 수확 전, 저장중에도 발생 코르크스팟(Corkspot) 8월경부터 수확기까지 발생 적도부 위쪽에 직경 5mm 이상의 반점이 나타나고 과육 내부에 코르크화한 반점상 조직이 있으며 저장 중에는 발생하지 않음

113 고두병과 코르크스팟의 차이점 특징 고두병 코르크스팟 발생이 많은 품종 국광, 골든데리셔스, 조나골드, 쓰가루, 후지
데리셔스계(스퍼타입 포함), 세계일, 레드골드, 동광 발생 시기 수확기 직전~저장 중 조기 수확과를 저장하면 발생이 많음 8월 하순~수확기 저장중에는 발생하지 않음 초기 증상 과피 색은 변함없이 약간 오목함 진전되면 주위 과피색보다 녹색 과피에 작고 붉은 반점 출현 후기 증상 과피가 암갈색으로 변함 붉게 착색된 부분은 오목해짐 심하면 균열이 일어남 발생 부위 꽃받침쪽에 집중적으로 발생, 대부분 과피 바로 밑에 발생, 과육부도 발생 과경부 쪽과 과실 전체, 과육부에도 발생, 과심부는 발생 없음 코르크 부분 부드럽다 딱딱하다

114 생리 장해 칼슘 결핍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 칼리나 질소 과용(특히 암모니아태질소), 강우로 질소 흡수가 많아질 경우
과습, 강전정, 강적과 시 심하게 발생 기상적으로 5~6월에 강우가 적고 장기간 건조하거나, 생육 후기에 강우가 많은 해에 발생이 많음 과피에 칼슘 함량이 400ppm 이하에서 발생하기 쉬움

115 생리 장해 칼슘 결핍 대책 질소와 칼리는 칼슘 흡수를 발생하는 길항 작용을 하므로 시비량을 줄이거나 발생이 심한 과수원은 무비료로 2~3년간 재배 수세가 강한 나무에서는 과실에 칼슘 축적이 어려우므로 수세를 안정시키고 세력이 강한 나무는 5월에 환상박피, 스코어링 등의 조치를 취함 큰 과실이 되지 않도록 적과에 주의 고토석회 비교(Ca 20%, 200~300kg/10a)와 유기물 시용 등으로 토양의 염기 치환 용량을 높이도록 함 예방을 위해 쓰가루는 6월 중~7월 하순, 후지는 6월 하~8월 중순에 약 10일 간격으로 3~5회 살포하고 수세가 강한 나무나 과실 비대가 왕성하여 큰 과실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살포 횟수를 5회로 함 8월 이후 고온기 또는 가뭄이 심할 때 염화칼슘을 살포할 경우 잎과 과실에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0.3%의 농도로 살포

116 생리 장해 마그네슘 결핍 장해 줄기의 기부잎부터 윗쪽으로 올라가면서 잎맥 사이가 황화되며 심하면 갈변하여 낙엽
후지 품종에서 발생이 많음 잎의 갈변은 8월 중순에 나타나며 갈변 증상이 넓어지면 낙엽함 결핍이 심한 나무는 수확기가 되어도 신초의 2차 신장이 많고 과실이 작으며 지색이 어두우므로 착색이 불량 발생하기 쉬운 조건 유효토심이 낮고 하층에 모래나 자갈층이 있는 토양, 뿌리 분포가 낮은 토양에서 발생이 심함 칼리 시용량이 많을 경우 길항 작용으로 흡수가 억제 가뭄, 건습의 반복, 물리성 불량 등으로 뿌리의 흡수 기능이 저하될 때 결핍

117 생리 장해 마그네슘 결핍 대책 나무를 도장시키지 않고 튼튼하게 키우며 다비와 마그네슙 결핍의 원인이 되는 칼륨 비료의 과잉 시용을 피함 고토 비료의 시용 고토석회(마그네슘 함량은 20% 내외)를 10a당 200~300kg씩 2~3년마다 시용하면 토양의 산성 개량과 함께 마그네슘 보충에 충분 응급 대책으로는 유산 마그네슘을 물 10L에 150~200g을 녹여 5월 하순부터 7~10일 간격으로 3~4회 살포 낙화 후 1개월까지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낙엽에 대해서는 1~2회의 살포로서도 방제가 가능

118 생리 장해 붕소 결핍 장해 새가지 고사 현상 봄에 1년생 가지의 잎눈에서 싹이 트지 못하거나 싹이 트더라도 잎이 작고 가늘며, 새가지가 길제 자라지 못하고 총새아며 생육 후기에 가지 끝부터 고사 축과병 유과기는 과실 표면에 수침상으로 괴사하여 암살색으로 과피 구열, 변형, 낙과가 일어나고 생육 중기에는 과형은 정상으로 보이나 과실 표면에 파상의 융기가 발생 결핍 대책 유기물과 석회를 충분히 시용하여 보수력과 보비력을 높힘 질소 과용을 피하고 붕사를 10a당 2~3kg으로 2~3년 간격으로 시용 결핍 증상이 보일 때는 붕사 0.2~0.3%액(물 20L당 40~60g, 생석회 0.2%(붕사의 반량) 가용)으로 2~3회 엽면 살포

119 붕소 과잉 시 주요 증상과 대책 주요 증상 잎이 연녹색이 되고 아래로 처지며 점차 가지가 고사
잎이 심하게 위로 말리고 2차 생장지의 잎은 종이처럼 뻣뻣해지며 전체가 기형으로 뒤틀거나 약한 바람에도 잎자루나 잎맥이 쉽게 부러짐 붕소 과잉 대책 붕소 시비량 및 방법에 주의하고 과잉 증상이 발생된 나무는 주위에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 중에 있는 붕소를 불용화시킴으로써 흡수되는 양을 줄임

120 망간 과잉 장해 주요 증상 적진병 8월 중하순경에 1년생 신초에 작은 돌기가 생겨 점차 부풀어 발진상으로 되고 수령이 진전함에 따라 수피가 윤문상으로 찢어지거나 함몰 방지 대책 석회를 시용하여 토양의 산도를 6.0 정도까지 교정 배수 불량지에서는 암거 배수 시설을 하고 토양의 건습에 주의 발생 시에는 결실 조절과 약간의 강전정으로 수세 회복을 꾀함 새로 심을 경우에는 용성인비, 고토석회, 토양 개량제를 투입

121 수확 적기 판정 호흡량 측정 클라이멕터릭 과실 호흡량이 최저에 달했을 때부터 클라이맥터릭 상승기에 이르는 시기
당 및 산 함량의 비율 유리산에 대한 전당의 비로써 과실이 성숙함에 따라 증가 요오드 정색 반응 사과에 주로 쓰이는 방법으로 전분의 함량에 따라 발색 반응을 확인 염색 정도 장기 저장(30~35%), 단기 저장(20~30%) 만개후 일수 선홍(90~95일), 쓰가루(120~125일), 홍로(120~150일), 추광(130~140일), 푸지(160~170일), 화홍(170~180일)

122 과실의 성숙 정도에 따른 요오드 반응 전분 반응은 20개 이상의 과실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반응시약(요오드 칼륨, KI)용액에 침지 또는 뿌려 염색 정도를 조사하여 판정 70% 염색 소실의 경우 장기 저장용으로 이용 90% 이상 소실의 경우 단기 저장용 완전 소실의 경우 즉시 판매용으로 사용

123 저장 저장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과실 자체의 요인 만생종>조생종, 작은 과실>큰 과실
만생종>조생종, 작은 과실>큰 과실 질소질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한 나무나 생장조절제 처리한 과실의 저장성은 좋지 않음 서늘한 지방의 과실>따뜻한 지방 성숙>미숙, 과숙 에틸렌의 영향 장기 저장 시 발생하는 에틸렌을 환기를 통해서나 에틸렌 제거기를 통해 제거

124 저장 조건 저장 온도 0도, 0도 이하의 경우 상품 가치가 떨어짐 사과 ‘후지’: 3~4도 저장 습도 85~90% 공기 조성
환기 유해 가스, 과다한 습도로 인한 병해 발생, 지나친 고온 등으로 장해가 일어나므로 환기 필요 미생물의 번식, 다른 저장물, 휘발성 물질으로 인한 이취 발생이 쉬움 저농도 오존 처리에 의해 살균 처리를 하고 에틸렌을 위시한 각종 유해 가스 제거

125 저장 방법 CA저장 저장고 내의 공기조성을 조절하여 과실의 호흡을 억제하고 저온저장하는 법
산소 농도 2~3%, 이산화탄소 농도 1~5% 후지 산소 농도 2±0.5%, 이산화탄소 농도 1→2% MA저장 포장재를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대기조성을 변화시켜 저장력을 높임 필름 포장, 피막제 이용, 포장재 내부의 대기환경 조절기능을 가진 기능성 MAP 두께 0.3~0.5 mm

126 과수원 연중 주요 작업표 별 상순 중순 하순 1월 새해 영농 설계 새해 영농 교육 참가 저장고 관리 선별 포장 , 출하 준비
 선별 포장 , 출하 준비 2월 전정, 과원 청결 작업, 밑거름 주기 머리뿔가위벌, 대롱 작업, 기계유유제 살포 3월 전정 완료, 묘목 심기, 높이접, 품종 바꾸기 전정 가지 처리, 유인 작업  관수 작업 4월 부란병 방제, 인공수분, 서리 피해 방지 방화 곤충 준비, 적뢰 적화 작업, 잡초 관리 5월 관수 작업, 열매 솎기, 봉지 씌우기 웃거름 주기, 조기 낙과 방지  약제 적과, 엽면 시비 6월 유인, 환상 박피 작업, 여름 전정, 장마 태풍 대책 도장지 제거 7월 여름 전정, 장마철 관리, 일소 피해 방지 잡초 관리, 후기 낙과 방지 8월 받침대 세우기, 조생종 수확, 눈접 실시 새 피해 방지 9월 봉지 벗기기, 반사 필름 깔기, 가을 거름 주기 10월 중생종 수확, 저장고 준비, 만생종 수확 선별 포장 출하 11월 저장 작업, 밑거름 주기 심경, 토양 개량 12월 언 피해 사전 대책, 새 품종 소개, 영농 반성, 새해 설계


Download ppt "사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수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