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노인과 性 <노인복지론> 20100114 이다정 20100118 이현정.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노인과 性 <노인복지론> 20100114 이다정 20100118 이현정."— Presentation transcript:

1 노인과 性 <노인복지론> 이다정 이현정

2 목차 1. 성의 개념 2. 노인의 성 3. 노인의 성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4. 노인의 성에 대한 편견 5. 노인의 성 생활 6. 노인의 성 매매 7. 노인의 성문제 해결 방안 8. 노인의 성 관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

3 1.性의 개념 성(性) 이란? 생물학적 성(sex) - 남성과 여성의 성 발달, 성 관계와 생식에 관한 모든 것을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것을 포괄하는 개념 행동과학적 성(gender) – 성 역할. 후천적인 사회, 문화, 심리적인 환경에 의해서 그 특성이 결정되는 성 인격적 성(sexuality) - 전인적, 인격적 성은 생물학적 성(sex)과 후천적 성(gender)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인간의 태도, 가치관, 감성, 문화, 성 형태 등을 포함

4 2. 노인의 성 노년기의 성은 기쁨, 이완, 의사소통, 친밀감의 공유
성행위와 관련된 여러 가지 애정이나 이해타산, 남자다움 혹은 여자다움 등의 과시, 고독의 해소 등 성행위는 단순한 성적 만족만이 아니라 대단히 많은 이유나 동기에 의하여 행해짐. 인간의 성은 성욕, 생식, 애정이라는 3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노화로 인하여 생식기능이 끝났다고 해도 다른 기능이 상실된 곳은 아니다. 즉, 성은 인간적인 애정과 사는 보람인 것 노년기의 성은 직접적인 성적욕구의 충족과 함께, 위로, 위안이라는 애정적이며 정신적인 의미가 보다 중요

5 2. 노인의 성 1)노인의 고독과 성  노인의 성적 활동은 고독감이 성적 욕구와 관련하여 결혼으로의 지향을 강하게 하는 것은, 고독감의 유무와 성적욕구의 유무간의 차이가 있다. 노인의 고독은 노년기를 맞이해서가 아니라 배우자를 상실하거나 오랜 친구의 죽음 등으로 위기의 상황에 놓이게 되면 깊은 고독감에 빠진다고 한다. 더구나 그 고독의 깊이는 치매로 전이되거나 죽음으로까지 갈 수 있다고 본다면 노년기의 고독은 젊은 시절에 느끼는 고독감과는 달리 보다 심리적인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성적 행동은 이와 같은 고독에 대한 두려움과 그것에서 도망치려는 동기가 자주 나타나는 것이라고 한다.

6 2. 노인의 성 2)노인의 죽음과 성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려면 광범위한 사고를 갖거나, 공포의 감정을 가슴 깊이 억누르거나 아니면 누군가를 아주 사랑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노인의 성적 행동에는 자주 이러한 죽음의 공포와 그것을 사랑함으로써 초월하려는 애절한 소원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성 행동은 단순한 성의 충동이나 욕구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Sexuality로서 표현되지 않으면 안 될 많은 욕구나 동기에 기초한다.

7 3. 노인의 성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노인에 대한 성적문제는 거의 무시되어져 왔다.
 노인의 경우 배우자의 사망·노후의 이혼·심신의 질병·사회문화적 편견과 차별·경제적 의존 때문에 자신의 의사에 의해 성생활을 계속하거나 이성교제 및 노혼을 할 기회가 극히 제약 받고 있다. 즉, 노인의 성에 대한 기본적 욕구 역시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사회의 제도적 지원에 의해 충족 되어야 함에도 ‘노령기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성적 욕구’라는 이유만으로 욕구 존재가 외면 받거나 무시되고 있다. 노인의 성과 관련 된 문제는 노인 개인이나 가정에서 해결하도록 떠넘겨질 뿐 아니라 사회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제도 마련 자체를 어렵게 한다.

8 4. 노인의 성에 대한 편견  노인을 탈 성적인 존재로 단정해 버리는 편견이 강함  노인의 성에 대한 편견이란 한 연령 집단이 나이를 먹었다는 이유로 인해 그 연령 집단이 가진 성적 욕구 표출을 혐오하는 태도 혹은 적의를 갖는 태도  늙었다는 사실만으로 노인의 존재는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무지와 소외는 노인의 행복추구권에 걸림돌 노년의 성 활동은 생명을 단축시킨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신화 역시 노인의 사람다운 삶을 구속 노인은 무성적이고, 정력이 부족하고, 힘이 없는 사람으로 고정 관념화시키는 경향

9 5. 노인의 성생활 노인의 이성 교제 실태

10 5. 노인의 성생활 (2) 노인의 성생활 실태

11 5. 노인의 성생활 (3) 성적 활동의 제약 요인

12 5. 노인의 성생활 (3) 성적 활동의 제약 요인

13 6. 노인 성 매매 노인 성 매매 형태의 특성 노인의 성 매매는 전통적인 매춘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상대로 하는 대부분의 매춘 행위는 노인 사이에서 알려져 있는 몇 개의 지역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매춘 형태 못지않게 성행 종로의 파고다나 종묘 공원, 남산 공원 혹은 서울대 근처의 관악산 입구 시장의 형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창가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노인들 스스로가 사창가와 같은 전통적인 매춘 형태는 주로 젊은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으로 여기고, 노인의 성 매매를 숨기려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 매매와 다른 성격을 가짐

14 6.노인 성 매매 노인 성 매매 접근 방식의 특징 성 매매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가 제재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매춘 거래를 하고 있다. 어린 학생에서 폐경기를 경험하는 50대의 아줌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여성들이 성 매매 접대비의 수준도 노인들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노인들은 성 매매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짐 매춘여성이 직접 공급자들을 찾아 다님 노인들이 성 매매를 매매의 개념으로 보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남녀 간의 만남의 문제로 보고 있기 때문에 성 매매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임

15 6. 노인 성 매매 노인 성매매 관련 동영상

16 7.노인의 성문제 해결방안 4) 노인 대상의 전문 상담기관 확대 1)노인 스스로 그들의 성에 대한 긍정적 자세로의 전환
2)일반대중, 시설 종사자 및 사회복지사들의 자세 변환 3) 재혼, 이성교제 장려 a. 노인 재혼을 위한 노인혼성 모임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b. 노인 스스로의 인식변화 c. 복지시설의 직원들의 인식변화 d. 사회적 인식의 변화이다. e. 재혼을 원치 않은 독신노인에게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동류의 사교 모임 장려, 모임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4) 노인 대상의 전문 상담기관 확대

17 <표>노인의 성 욕구에 대한 필요 프로그램
8.노인의 성 관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 1)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성 관련 프로그램 소개 <표>노인의 성 욕구에 대한 필요 프로그램

18 8.노인의 성 관련 프로그램 개발 전략 2)사회 복지적 측면에서 본 노인의 성적 권리 확보 방안
- 부부생활과 재혼프로그램 개발 ① 매스컴을 통한 사회적 인식 고취 ② 마을 경로당이나 회관 및 노인대학 등을 통한 전문가의 상담이나 교육 ③ 각 지역 시, 군, 구 등의 소식지를 통한 재혼성공사례 홍보 ④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교육기관을 통한 홍보 및 교육 ⑤ 학교 교육을 통한 자녀들의 인식 전환 - 노인의 성교육 프로그램 실시 - 사회 문화적 제약과 편견 극복

19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노인과 性 <노인복지론> 20100114 이다정 20100118 이현정."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