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교육모형과 책임감모형 2019년 6월 4일 이 안 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스포츠교육모형과 책임감모형 2019년 6월 4일 이 안 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스포츠교육모형과 책임감모형 2019년 6월 4일 이 안 수

2 스포츠 교육모형

3 Features of Sport Education
Basic Premise: Instruction is carried out in a way which simulates an athletic team and season. Timing – this model is utilized at bo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Middle school sport ed mostly focuses on traditional team sports which are less lifetime oriented. Lifetime activities are typically taught in high school. What are some examples of non-lifetime activities, focusing on team sports?

4 모형의 주제: 유능하고 박식하며 열정적인 스포츠인으로 성정하기
학습영역의 우선순위: 유능함: 기술적인 전략적 움직임을 분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인지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심동적 영역) 박식함: 스포츠 유형과 문화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인지적 영역) 열정적: 스포츠를 일상생활 속의 중요 부분으로 만드는 열정(정의적 영역) 학습활동 조직적인 의사결정: 인지적, 정의적 선수로서의 시즌 전 연습: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코치로서의 시즌 전 연습: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임무 역할의 학습: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팀원으로서의 임무: 정의적, 인지적, 심동적 선수로서의 경기수행: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코치로서의 경기 진행: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5 수업 주도성 내용선정: 교사가 선정하고 학생에게 정보를 주거나, 학생에게 각 시즌에 스포츠 종목을 선택
수업운영: 초기 수업 운영에 교사가 대부분 결정하고, 그 뒤는 학생들에 의해 수업 관리 계획과 수행이 이루어짐 과제제시: 임무역할에 대한 과제제시는 교사에 의해, 기술과 전략 발달에 대한 과제제시는 학생에 의해 이루어짐 참여형태: 학생들이 선수역할과 비 선수역할에 따라 달라짐 상호작용: 교사에 의한 자료 제공이 학생에게 이루어지며, 대부분은 학생대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짐 학습진도: 게임 전과 게임 사이의 속도를 학생들이 조정함 과제전개: 팀들이 시즌을 준비하고 게임 사이의 연습을 결정

6 POSSIBLE ACTIVITIES – MIDDLE SCHOOL
Basketball Field Hockey Fitness Football Hockey Lacrosse Soccer Softball Tennis Track & Field Volleyball Weight Training Wrestling

7 Features of Sport Education
Seasons (not units) Seasons typically last a minimum of 12 lessons. This promotes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more depth, less breadth). Teacher selects sport/activity. May also have students vote on choices. Affiliation Students quickly become members of teams, the rosters for which are constant throughout a season. Formal Competition Sports seasons include formal schedules. Typically, competitions are interspersed with practices.

8 Culminating Event Keeping Records Festivity
A competitive event highlights the season and provides goals for players to work towards. Keeping Records Records are publicized that provide feedback, define standards, and establish goals for players and teams. Festivity The festive atmosphere of sport enhances its meaning and adds an important social element for participants.

9 Roles of Student Students are increasingly responsible for leadership, instruction, assessing, and performing. Potential student roles (all students practice and play in competitions) Captain: functions as coach, runs practice/games Statistician: record and post team and individual results on bulletin boards Fitness Instructor: leads warm-up and possibly cool down (should be specific to the activity) Manager: distributes and collects equipment, sets up playing field/court, arranges substitute for absent players Referee: Referees games and is acquainted with rules and etiquette of the sport/activity. Several team members are assigned the role of referee which trades-off throughout the season. Player: no assigned role, participating member of team. Scorekeeper: may designate to unprepared students Other roles: assistant captain, reporter…

10 Teacher Role Teachers shift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eacher must establish strong managerial system with rules and routines. Teacher then has time to instruct, facilitate, and assess student learning more effectively. Model works especially well in a team-teaching scenario

11 TIMELINE OF A SAMPLE UNIT
Day 1 Awarding of the captain’s position Festive – announce with clapping Team roster is announced for each captain Captains and team members are selected in advance by teacher. May also have captains select in private. Class breaks into teams and fills out captain’s packet Instruct/remind students of behavioral expectations and responsibilities for each role. Discussion of sport’s rules, etiquette, etc by teacher(s) Day 2 – 5 (5 is used for this example, may be > or < days) Each team practices separately (teacher checks off each skill once it has been satisfactorily completed) Who leads practice? – two choices

12 Timeline of a Unit: Day 2 – 5 (Practice Only Days)
Teacher: Explains practice sequence and activities at start of class which captains them implement.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provide all directions at start instead of providing direction prior to each practice activity. Teacher rotates helping each team’s practice. Captain: Captains develop practice plan at home. Plans are reviewed by teacher prior to each class. Teacher should provide materials (books, internet addresses, handouts of suggested activities). May provide a reward/incentive for captains (bonus points, free PE t-shirt, release time to prepare, letter home) Other incentives? Teacher picks captain for each team ***May do a combination of the two – some portions of practice are teacher led, others are captain led

13 Timeline of a Unit: Day 6-11
Written assessment of rules, etiquette, and strategies (may include other elements) Formal competition Competition schedule is set by teacher Day 7 Practice Captains focus on deficiencies identified by the 1st day of competition. Day 8 Day 9 Day 10 Day 11 Day 12, 13

14 Day 14 Culminating Event Competition Timeline of a Unit: Day 14
Should be festive and fun. Announce the championship over the school PA, Ss can bring in food/drinks, teacher distributes awards (most improved, coach of the unit…) May include rewards such as a T-shirt May invite students from around school to attend Competition Three options: Round-robin where all teams play one another in a tournament format. May need two days to complete All teams are assigned an opponent with the top two teams playing one another in the championship. Just the top 2 teams play one another while the other teams watch. May need to give assignment to spectators.

15 Assessment Points may be based on:
Motor skill performance of team members Based upon psychomotor assessments of students Great model for authentic assessment (more time for assessment in this model) Competition performance (wins v. losses) Sportsmanship Attendance Participation Proper warm-up

16 Creating the Model Teach students about the roles prior to start of each season. Talk about student conflicts Teacher should conduct training sessions for individual jobs students may partake in. Rules for Referee Managerial positions Stats. Keeper Instructions or teacher authority may vary between grade levels and maturity.

17 Creating the Model Make necessary modifications to rules and competition format Equality – all team members get to play the same amount of time. Balanced teams: gender, ability, behavior, etc.

18 Pros. Socializing Leadership Skill s Participation
Positive sport experience Learns values of sports Deferred Goals Teamwork Loyalty Commitment Perseverance Dedication Concern for others Socializing Leadership Skill s Participation Confidence to pl ay in the sport Knowledge and E nthusiasm to furt her pursue the sp ort Fun

19 Cons. Student’s biases Requires maturity and responsibility
Conflicting Schedules Different levels of seriousness.

20 책임감모형 개요 Teaching Personal & Social Responsibility : TPSR Model
Dr. Hellison(일리노이 대학-시카고) 청소년 비행을 예방하고 전인교육을 체육수업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 목적 스포츠와 신체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개인적․사회적 수준의 책임 의식을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타인과의 조화 속에서 그들의 삶의 안녕을 추구하는 것 목표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하여 자신의 신체활동과 생활에 보다 책임감을 가지고 스스로 판단․결정하도록 유도 다른 사람의 권리, 감정,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사회적 책임감을 가르침으로써 스스로와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기르는데 초점 학생들에게 권한을 이양(empowerment)함으로써 책임감을 경험케 하고 스스로를 발달시키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자신과 타인에 대한 본질적인 관계를 이해 다른 사람의 권리와 복지를 침범하는 행동과 자신이 선호하는 것을 구분하게 하는데 그 의도

21 모형의 주제 학습영역의 우선순위 수업의 주도성 통합: 전이 권한위임 교사-학생의 관계
학습 활동이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결정: 교사가 정한 학습목표에 의해 결정(인지적 또는 심동적 영역) 수업의 주도성 내용선정: 교사가 학생들의 적절한 학습활동을 계획하고 책임감모형을 결정 수업운영: 학생들의 책임감 수준의 낮고 높은 정도에 따라 결정 과제제시: 책임감 수준 제시는 교사에 의해 결정 참여형태: 교사가 참여 유형을 결정하고 학생들은 책임감 수준에서 수행하는 능력을 보여줌 상호작용: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상담자의 역할로 학생들이 스스로 이해하도록 도와줌 학습진도: 다음 수준으로 언제 옮겨갈지 시기는 교사가 결정하지만, 일관성 있는 수준의 의사결정과 행동은 학생들이 보여줌 과제전개: 다음 과제로 전환하는 결정은 학생들이 과제에 얼마나 잘 적응 하는지와 또한 과제가 예상대로 잘 성취될 것인지에 대한 교사에 의해 결정

22 2. 책임감 모형의 하위 목표 Level1: 타인의 권리와 느낌 존중(사회적) Level2: 참여와 노력(개인적)
자기 통제 평화적인 갈등 해결을 위한 모든 사람들의 권리 존중 포함되기 위한 모든 사람들의 권리 존중 Level2: 참여와 노력(개인적) 새로운 과제에 대한 시도 성공의 개인적 정의 발달 노력 탐구 Level3: 자기주도(개인적) 독립적인 과제활동 개인 계획의 발달, 수행, 그리고 평가 현재와 미래의 균형 외부의 힘에 대한 저항 Level4: 리더쉽(사회적) 동정 민감성과 감수성 보상 없이 다른 사람을 도움 Level5: 체육시간을 넘어(전이) Level 1에서 Level4까지의 수준을 다른 생활영역에 시도(교실, 집 등)

23 Level로서 목표의 사용 Level0: 무책임 P.E.: 장비를 선택할 때 다른 학생들을 밀침
Classroom: 교사의 수업지시에 친구와 이야기 함 Playground: 다른 학생들의 이름을 부르고 놀림 Home: 문제에 대해 형제자매를 비난함 Level1: 타인의 권리와 느낀 존중 P.E.: 항상은 아니지만 연습을 함 Classroom: 친구와 대화에서 적당한 시기를 기다림 Playground: 다른 친구의 놀이를 서서 지켜봄 Home: 형제자매가 화가 나게 하더라도 싸우지 않고 참음

24 Level II: 참여와 노력 P.E.: 나는 할 수 없어 라는 말과 불평 없이 새로운 일에 노력 Classroom: 수업을 잘 듣고 따라 함 Playground: 다른 학생들과 잘 어울림 Home: 집안 청소를 도와줌 Level III: 자기주도 P.E.: 체육수업 시간 이외에도 새로운 기술을 배움 Classroom: 과제의 일부가 아니라도 프로젯트를 이행 Playground: 휴식 동안 장비를 반납 Home: 시키지 않더라도 방을 청소 Level IV: 배려 P.E.: 수업에 다른 학생들과 공동으로 일함 Classroom: 수학문제 해결에 다른 학생을 도움 Playground: 다른 학생들에게 함께 운동하자고 이야기 함 Home: 애완동물이나 어린 동생 돌보는 것을 도움

25 어떻게 책임감 모형을 체육수업에 적용 하는가? “학생들은 책임감 함양을 위해서는 책임감을 배워야 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어떤 책임감을 부여하지 않는 한 책임감을 함양할 수 없다.” Hellison(1996)

26 3. 교수전략

27 (1) 상담시간(5-10분) 수업 전, 후, 그리고 Ⅲ단계(자기 책임감)의 활동
학생 개개인과 간단한 대화를 자연스럽게 나누는 것 그날 수업에 대한 성공과 문제점, 기능 및 체력적인 향상뿐만 아니라 체육 시간 이외 영역까지의 책임감 단계가 대화의 내용 대화의 내용이 학생들에게 무엇인가를 주입시키려는 것이 되어선 안 되며, 진정한 관심을 보이며 학생들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함

28 상담시간에 교사가 하는 행동 학생들의 장점을 교사가 알고 있고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최근의 노력, 향상, 성취에 대해 말해줌 개성에 대해 인정하고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학생들을 만나면 그들의 표정, 헤어스타일, 옷차림 등에 대해 말함 학생들의 발언권을 인정하고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진실된 질문을 하고 그들의 대답, 언급, 질문에 대한 관심이 있음을 보여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학생들의 능력을 인정하고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그들이 결정한 선택들에 주목하고 그러한 선택들에 대해 그들에게 효과적이었는지 물어봄

29 (2) 책임인식하기(자각이야기, 5-10분)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Ⅰ-Ⅴ단계의 책임감을 가르치는 것
학생들에게 그날의 책임감에 대해 상기시킬 수 있는 기회 교사가 주도하되 학생 개개인들이 그 단계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들을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는 시간 3가지 가이드라인 학생들이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체육관의 벽에 책임감 단계들을 붙인다. 프로그램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험들과 책임감 단계들을 연결시킨다. 책임감 단계들의 본질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한 한 두 문장의 경구(警句)를 만든다. 

30 (3) 수업활동(30분) 체육 시간에 신체 활동을 가르치는 것과 책임감을 가르치기 위한 교수 전략을 통합시키는 것
수업 활동과 책임감 단계를 통합하는 것이 수업 초기에는 힘들지만 점차 교수활동이 쉬워진다고 설명 전략 책임 인식하기 직접교수 방법(direct instruction) 개별적 권한부여(individual empowerment) 집단적 권한부여(group empowerment)

31 (4)집단토론(5분) 수업의 정리 단계 교사 주위에 학생들을 모이게 함으로 시작
목적: 학생들에게 그날의 수업에 대한 관점(한 팀으로서 그들의 동료들이 어떠했는지, 교사의 교수 활동과 리더십은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 다른 친구들을 비난하는 언행은 적절하지 못하며, 대신에 그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동료의 행동이 그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표현하도록 가르쳐야 함 시간이 부족하다면 교사는 1-2명의 학생들에게 그날의 수업에서 좋았던 점과 싫었던 점을 발표하도록 하는 방법 이 때 나머지 학생들은 수신호(엄지손가락 위로: 좋음, 엄지손가락 옆으로: 보통, 엄지손가락 아래로: 나쁨)로 발표된 의견들에 동의하는지 반대하는지를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집단 토론은 그날의 수업에 대한 인식들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수업 활동의 정리 단계에서 ‘반성시간’ 직전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

32 (5) 반성시간(5분) 책임감 단계와 관련된 학생들의 태도, 의도, 행동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
집단 토론은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에 반해, 반성시간은 학생들이 책임감 단계와 관련하여 그들 자신에 대해 반성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 전략 다양한 자기평가 방법 Compagnone(1995)은 책임감 단계들을 체육관 입구 문 옆쪽 벽에 붙이고 학생들이 체육관에 들어올 때 그날의 목표로서 학생들이 설정한 단계들을 터치하게 하고 수업 중이나 체육관을 나갈 때 그날 성취한 단계들을 터치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 교사가 각각의 단계들에 대해 발문할 때 학생들이 엄지손가락을 위, 아래, 옆으로 들어 스스로를 평가하는 수신호방법은 가장 간단한 방법 간략한 일지를 기록하게 하는 방법도 학생들이 자기평가를 지속하게 하고, 자기평가에 대한 개인적인 설명

33

34 4. 책임감 단계와 수업 내용(체육활동)과의 통합을 위한 전략
(1) Ⅰ단계(타인 존중 및 자기통제, respecting the rights and feelings of others)의 통합 전략 간단한 게임 규칙의 변경은 학생들의 소외감을 감소 포함 게임(inclusive game)은 학생들이 참여에 대한 권리를 존중하고 인식 농구에서 올 터치 룰(all-touch rule; 모두 공을 한 번씩 만져야 슛을 할 수 있는 규칙) 배구 규칙 수정: 수비를 할 때 공이 땅에 닿은 후 받을 있게 하거나 서브를 코트 안으로 이동해서 넣기 등으로 변경 소프트볼: 타자가 공을 친 후 공을 모든 수비자가 만지면 타자가 아웃 될 수 있도록 경기 규칙을 변경

35 (2) Ⅱ단계(참여와 노력, participation and effort)의 통합 전략
자발적 동기부여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과제에 대한 도전, 과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 용기를 기르도록 도움 ① 과제의 수정(modifying tasks) 학생들에게 부여한 최초의 과제 목표를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적절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허용 농구에서 슛을 연습할 때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맞게 거리를 가까이, 멀리 결정하여 과제 목표를 성취 “선택권 주어 지도하기(teaching by invitation)” 전략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안내 학생들은 교사에 의해 제공된 것들 중에서 자신들에게 적절한 수준과 난이도를 선택 예: 교사는 세 가지 다른 크기의 공, 목표의 크기 등을 가지고 세 가지 토스과제 연습 환경을 만들 수 있음. 학생들은 그들의 능력에 가장 도전적인 과제를 스스로 선택    

36 ② 자기페이스 도전(self-paced challenges)
여러 가지 특정한 과제 목표를 가진 스테이션(stations)을 만들고 학생들이 선택한 스테이션을 성공하면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점차 난이도가 높아지는 과제 리스트를 만들고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페이스에 맞추어 보다 난이도가 높은 과제에 점차적으로 도전 몇몇 학생들이 어느 수준과 페이스에 맞추어 과제도전을 할 것인가 망설이고 있다면 교사는 그 학생들에게 교사지도그룹(teacher-directed group)에 속하도록 선택권 부여함 ③ 성공에 대한 재정의(refining success) 실패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경험, 그러나 실패가 계속되는 것은 어느 누구에도 좋지 않음 성공을 재정의 한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승리자 또는 최고의 플레이어가 되기 위한 시도의 선택권을 주는 것을 의미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성공에 대한 정의를 만드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자기평가방법을 활용

37 ④ 연습강도의 등급(intensity scale)
학생들에게 어떤 활동을 하는데 자신이 투여하려는 노력을 가장 잘 나타내는 10(혼신의 노력)과 0(노력하지 않음)사이의 수를 개인적으로 정함 학생들에게 서너 개의 활동 집단에 참여할 수 있는 선택권을 줄 수 있는데, 각 활동 집단은 8-10, 4-7, 1-3 집단과 같이 지정된 최대, 최소 연습 강도를 포함 이 방법은 비슷한 노력을 투여할 학생들 끼리 뭉치게 하여 연습하기 싫거나, 이기고 싶지 않은 학생들로 인한 충돌을 줄이고 모든 집단에 좀 더 고무적인 분위기를 조성

38 (3) Ⅲ단계(자기 책임감, self-direction)의 통합 전략  
자기 책임감을 체득하기 위해 학생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계획을 스스로 만들고 실행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 ① 독립적인 과제 활동(on task dependence) 교사의 직접적인 감독이나 지도 없이 부여된 과제 활동을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하는 것 ② 점진적인 목표 설정(goal-setting progression) 점진적으로 학생들은 자신들이 세운 목표에 맞추어 계획들을 세우는 것에 보다 많은 책임감을 가질 수 있게 되고 결국에는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 학생들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 중 하나는 자기보고서(self-report) ③ 계획 세우기(personal plan) 점진적으로 학생들은 자신들의 계획을 세울 수 있음 계획표는 체크리스트, 구두계약, 서면 계약서나 기록지, 학습장과 같은 형태

39 (4) Ⅳ단계(조력과 배려, helping others and leadership)의 통합 전략 
학생들에게 모든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규칙은 팀원들이 서로 협동하고 신뢰하며, 서로 지원하고 도우며 자신 몫의 리더십을 가져야 하는 것 ① 조력과 리더십 역할(helping and leadership role) 상호 지도법(reciprocal coaching)은 학생들이 특정한 운동기능을 연습할 때 동료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주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 2인 1조 중 1명의 학생은 임시적으로 코치가 되어 몇 가지 정도의 특정한 단서들(예: 발끝이 아니라 발등으로 킥하기 등)에 유념하면서 다른 학생의 연습을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서로 역할을 바꾼다. 연습과 코치활동을 마친 후 서로 파트너가 얼마나 코치의 역할(코치가 어떤 말을 하였는가? 코치는 긍정적이었는가? 코치가 도움이 되었는가?)을 잘 하였는지를 평가하고 기록 교사는 학생들이 코치의 역할을 하면서 결정적인 단서들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파트너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주의 깊게 교수전략을 전달

40 ② 집단 목표(group goals) 학생들은 작은 소모임으로 나누어지고 활동에 대한 집단 목표를 결정 예를 들면, 윗몸 일으키기와 줄넘기의 횟수등과 같은 목표를 집단으로 결정한 후 학생들은 집단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각자가 최선을 다하게 되는데 3분 동안 걸리지 않고 줄넘기를 하기가 집단의 목표라면 모두가 동시에 시도하여 집단에서 최소한 1명은 3분 동안 걸리지 않아야 집단 목표를 성취한 것 집단 목표가 줄넘기 1,000회라면 각자 최선을 다한 횟수를 더하고 여기에 부족한 횟수는 자원학생들이 집단을 위해 보다 공헌함을 통해 집단 목표를 성취하게 하는 전략

41 (5) Ⅴ단계(전이, outside the gym)의 통합 전략
체육관 밖에서도 책임감 있게 행동하도록 학생들의 주의를 모으고자 하는 것 다른 또래 학생에 대한 지도와 봉사계획도 Ⅴ단계의 참여를 촉진 경험이 있는 학생 지도자들이 자신들이 이미 학습한 내용을 소규모 집단의 나이 어린 학생들을 지도하는 경험은 아주 효과적인 Ⅳ단계와 Ⅴ단계의 경험

42 (1) 학생 평가(student evaluation)
5. 평가(assesment) (1) 학생 평가(student evaluation) ① 집단 토론과 반성시간에서의 피드백(feedback in group meeting and reflection time) 집단 토론은 학생들이 학급을 전체로써 평가하고 그날 특정한 학생이 학급에서 어떻게 행동하였는지 논평하는 것을 가능 반성시간은 보다 직접적으로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시간 ② 평가 요항(rubrics) 교사는 학생들에게 개인적․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피드백 또는 등급을 주기 위해 학생들의 발달 수준, 연령에 맞추어 적절한 평가 요항을 사용 동료나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책임감 책임감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 요항을 사용 ③ 자기평가(self-grading) 책임감 단계에 대해 교사 평가를 실시함과 동시에 학생들에게 책임감 단계를 스스로 평가

43 (2)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
어느 정도 책임감 모형(TPSR)이 수행되었는가를 평가 방법 책임감 모형(TPSR)의 실행과 성과에 대한 반성일지 자신의 느낌을 일지나 수업 계획에 포함. 학생 인식의 반성시간과 집단 모임 평가들을 이용. 학생들과 관련 있는 교사, 관리자, 학부모들에게 자신의 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의견을 나눔 (3) 교사 평가(teacher evaluation) 책임감 모형(TPSR) 목표의 수행 정도, 교사의 기술, 일지에 드러난 특징들로 등급을 매겨보는 것 책임감 모형(TPSR) 교사 설문지를 사용하는 방법

44 “Project Effort” Univ.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Program
Sport clubs Mentoring Youth leader corps Parents nights Newsletter

45 -농구의 드리블, 패스, 자유투, 레이업, 그리고 수비 및 공격
책임감 수업모형: 농구 1) 자각 이야기: “Level I”단계를 가르침 2) 수업활동: 과제식 수업 -농구의 드리블, 패스, 자유투, 레이업, 그리고 수비 및 공격 3) 각각의 그룹에서 4-5분 정도의 연습과 이동 4) 소 그룹 미팅과 반성시간 5) 전체 그룹 미팅과 반성시간 “Sample lesson plan and strategies to develop character in physical education”


Download ppt "스포츠교육모형과 책임감모형 2019년 6월 4일 이 안 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