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Presentation transcript:

1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소리의 글자는 혀와 입술과 목 중국 소리에 통용 하여 쓴다.

2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소리의 글자는 혀와 입술과 목 중국 소리에 통용 하여 쓴다.

3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소리의 글자는 혀와 입술과 목 중국 소리에 통용 하여 쓴다.

4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어금니와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 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 ’ 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것 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 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 이지만 빠르다. 중 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 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 으니 글자는 중국 소리에 혀와 입술과 목소리 통용하여 쓴다 .

5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하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ㄱ은 어금니 소리이니 ‘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糾’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ㅋ은 어금니 소리이니 ‘快’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어금니 소리이니 ‘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ㄷ은 헛소리이니 ‘斗’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覃’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ㅌ은 헛소리이니 ‘呑’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ㄴ은 헛소리이니 ‘郎’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ㅂ은 입술소리이니 ‘彆’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步’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ㅍ은 입술소리이니 ‘標’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ㅁ은 입술소리이니 ‘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ㅈ은 잇소리이니 ‘卽’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慈’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ㅊ은 잇소리이니 ‘侵’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ㅅ은 잇소리이니 ‘戌’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挹’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虛’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洪’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ㅇ은 목구멍소리이니 ‘欲’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ㄹ은 반혓소리이니 ‘閭’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ㅿ는 반잇소리이니 ‘穰’자의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다. ㆍ는 ‘呑’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ㅡ는 ‘卽’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ㅣ는 ‘侵’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ㅗ는 ‘洪’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ㅏ는 ‘覃’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ㅜ는 ‘君’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ㅓ는 ‘業’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ㅛ는 ‘欲’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ㅑ는 ‘穰’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ㅠ는 ‘戌’자의 가운데 소리 같다. ㅕ는 ‘彆’의 가운데 소리 같다. 나중의 소리는 다시 첫소리를 쓴다. ㅐ를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첫소리를 합하여 쓸 것이라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가지이다.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서 쓰고,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가 모름지기 어울려야 소리가 이루어지나니 왼녘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오, 점이 둘이면 상성이오, 점이 없으면 평성이다.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빠르다. 중국 소리의 잇소리는 치두와 정치를 분별하는 것이 있으니 어금니와 혀와 입술과 목소리의 글자는 중국 소리에 통용하여 쓴다.


Download ppt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