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Presentation transcript:

1

2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소화관 입mouth  인두pharynx 식도esophagus 위stomach  샘창자duodenum 작은창자small intestine  큰창자 large intestine 항문 anus 부속기관 침샘 salivary, 이자 Pancreas , 간 liver, 쓸개 gallbladder

3 소화기계 장애 음식물을 삼키는 것 deglutition, 삼킴(Swallowing) 삼킴곤란 dysphagia
식욕부진 anorexia   오심 nausea /  구토 vomiting 설사 diarrhea  변비 constipation 꿈틀운동(peristalsis): 음식물 덩어리가 근육의 물결 같 은 운동. 식도와 장에서 이루어지는 불수의적이고 율 동적인 수축 운동 저작운동: 음식물을 씹는 것 mastication

4 입안 및 침샘 질환 혀(tongue) : 입안에서 음식물을 저작하기 알맞게 도 와주고 인두(pharynx)로 음식물을 보내어 삼키는 동작 을 하는 첫 번째 부분이다. 혀주름띠(frenulum linguae) 길이가 단축된 것 - tongue tie, ankylogiossia 수술법 glossotomy, Frenotomy 치아충치 dental caries 입술 갈림증 Cleft lip-cheiloplasty 입천장 갈림증 Cleft palate-palatoplasty

5 입안 및 침샘 질환 아프타구내염 aphthous stomatitis- Canker sore 작은 궤양을 동반한 입의 염증
아구창 thrush, vincent’s angina ,white mouth, 구강칸디다증(oralcandidiasis) - 진균 감염 백반증 leukoplakia 구강점막에 생기는 백색의 두꺼운 반점, 편평 상피의 형성이상 Halitosis, 구취 :숨 쉴 때 악취가 나는 것을 나타내는 것 트림 Eructation, belching

6 입안 및 침샘 질환 침샘(salivary glands): 세 쌍의 침샘,
귀밑샘parotid salivary glands, 턱밑샘 submaxillary glands, 혀밑샘sublingual glands. 유행성귀밑샘염, 볼거리 mumps-침샘의 염증, 소아 편도 아데노이드염 T&A (Tonsilitis & adenoiditis)  T&A (Tonsillectomy & adenoidectomy)

7 식도 : 역류성 식도염

8 식도 : 바렛식도

9 식도정맥류 선천성 식도 폐쇄 congenital esophageal atresia esophageal varices 식도정맥류
식도정맥류 – 내시경적 치료법

10 풍선확장술과 압박법

11 식도정맥류

12 토혈 hematemesis 토혈 hematemesis :식도나 위의 대량출혈일 때는 붉은 선 혈인 경우가 많지만,  위의 토혈은 위액이 섞여 위산에 의 하여  암적색의 커피 찌꺼기처럼 된다. Melena 흑색변, black stool , tarry stool : 주로 상부 위 창자관출혈에서 나타나는데, 상부에서 출혈하여 오랜 시 간 장에 머무르는 관계로 변의 색깔이 마치 짜장면색 같 은 아주 까만색  혈변 배설(hematochezia) 하부 위창자관출혈에서 나 타나는 것으로 붉은 선홍색의 변.  흑색변이 나왔다고 하 여 항상 상부위장관출혈인 것은 아니다.

13 식도 : 식도암

14 위 stomach 들문 cardia 위바닥 fundus, 위몸통 body, 날문pylorus
날문 조임근 pyloric sphincter 날문 끝에 위치, 위 내용 물이 작은창자로 배출 되는 것을 조절  위장관의 신경지배 : 자율신경계의 교감 및 부교감 신 경에 의해서 지배. 미주신경: 식도, 위, 이자, 쓸개, 작은창자 및 상부 큰창 자의 부교감성 운동을 담당하는 신경 위액은 위선에서 분비된 액으로 염산과 펩신이 포함  * 염산: 음식물과 세균을 죽이거나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 * 펩신: 음식물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

15

16

17

18

19 위암 수술 위암전절제술 : Subtotal Gastrectomy - 위샘창자 연결술
(Gastroduodenostomy, BillrothⅠ) - 위빈창자 연결술 (Gastrojejunostomy, BillrothⅡ)

20 위암 수술 위전절제술 : Total Gastrectomy 근위부 위암전절제술 : Proxymal Gastrectomy
- 식도빈창자문합술 Esophagojejunostomy

21 위암 수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22 보르만 분류 : 1형(국한융기형)

23 보르만 분류 : 2형(국한궤양형)

24 보르만 분류 : 3형(궤양침윤형)

25 보르만 분류 : 4형(미만침윤형)

26 덤핑증후군 Dumping syndrome
위가 정상적인 경우 위에서 샘창자로 넘어가는 길목에 조임근(날문근 pyloric sphincter)이 있어 음식이 작은창자로 넘어가는 양과 속도를 조 절, 쓸개즙이나 이자에서 분비되는 소화 호르몬과 섞이는 정도도 조화 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위로부터 급속한 음식물 이행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 복잡 한 반응으로, 구역질, 발한, 여러 가지 정도의 실신, 열감, 설사 등

27 작은창자와 큰창자 small intestine & large intestine

28 작은창자와 큰창자 small intestine & large intestine

29 작은창자와 큰창자 기능 작은창자: 작은창자에서 분비하는 액과 소화액(쓸개즙,이자액) 분해 단백질→아미노산.지방→지방산,글리세린.탄수화물→다당류,포도당 영양소 흡수 면적을 넓히기 위해 작은창자 내 벽은 무수한 주름, 주름표 면은 영양소를 흡수하는 작은 돌기(융모 villi) 조직. 작은창자의 기능: 내용물을 소화 시키고 ,영양분을 흡수한 후 찌꺼기는 돌막창자판막 (작은창자와 큰창자를 연결하는 관,큰창자에서 작은창자 로 역류 하는 것을 방지)을 통하여 큰창자로 보내는곳 큰창자:수분과 특정한 전해질을 흡수 장 박테리아에 의해 특정 비타민(K, B일부) 흡수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내보내는 역할.

30 작은창자와 큰창자 small intestine & large intestine
Ampulla of vater바터 팽대부 : 쓸개관과 이자가 만나서 샘창자로 들어가는 부위 장에 항상 존재하는 균은 어떤 균인가? 대장균 Escherichia coli 복명 borborygmus: 장에서 가스가 움직이면서 소리가 나는 증상 Flatus 항문에서 배출된 가스

31 크론 병 (Crohn's Disease) 장에 만성적인 원인불명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
1932년 미국 의사인 크론이 처음 보고 궤양성 대장염이 큰창자에만 병을 일으키는 것에 비 해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위장관 어디에나 염증 이 생길 수 있으며 주로 작은창자의 끝부분과 인접하 는 큰창자를 가장 흔히 침범 복통, 체중 감소, 설사를 일으키고 협착, 누공, 천공 등 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만성 재발성 염증성 장질환

32 크론 병 (Crohn's Disease)

33 궤양성 대장염 큰창자의 점막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곧창자에서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위쪽 큰창자.
설사, 혈변, 복통 등을 일으키고 이러한 증상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여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병이다. 궤양성 대장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젊은 사람에게 잘 나타남 이질 dysentery 유행성 또는 급성으로 발병하는 소화 기의 감염병으로 혈액이 섞인 설사를 하는 질병

34

35

36 Appendicitis 원인 : 불명 갑작스러운 복통(95% 이상)으로 시작되는 질병으로
초기에는 명치, 배꼽 부근에 심한 통증이 시작되어 시간이 지 남에 따라 McBurney’s point되며, 구역, 구토 동반. 발열, 반동성 압통(rebound tenderness, 진단 상 유력한 단서) Perforation(천공)  sepsis (패혈증) 혈액검사 상으로는 백혈구 증가. 장폐색 증상, 복막염, 변비, 설사 등을 주 증상으로 호소.

37 Intestinal obstruction
기계적 장폐색(mechanical obstruction) -volvulus(장꼬임) 장겹침증, 탈장 기능적 장폐색(functional obstruction) - 마비성장폐색(paralytic ileus) 장겹침증 (Intussusception) -돌막창자판막(ileocecal valve) 장의 일부가 인접한 장에 들어간 상태,necrosis초래,

38 거대결장증- congenital megacolon
히르쉬스프룽병(Hirschsprung’s disease)=선천성거대결장 결장과 곧창자에 부교감 신경절 세포가 결손되어 초래 연동 운동이 소실, 장 내용물이 축적, 장 팽만,장 폐색

39

40 항문 Rectal Cancer -Mile’s operation 마일스 수술 : 항문 조 임근에 암이 너무 근접해 있어(rectal) 암을 제거하기 위해 조임근을 같이 절제해야 하는 경우 항문을 제거하고 인공 항문을 만들어 부착 항문 샛길 (Anal Fistula) 치루- 항문 주변의 만성적인 고름이나 항문선의 염증으로 시작하여 고름이 배출되 고 나면 항문선의 안쪽과 항문 바깥쪽 피부 사이에 터 널이 생기는 것. 항문폐쇄증 (Imperforate anus)- 선천적으로 대장의 끝 부분인 곧창자나 대변이 나오는 구멍인 항문이 막히 는 기형

41 간 Fatty liver : SGOT/SGPT, 감마-GTP (γ-glutamyl transpeptidase)
황달 jaundice A, B형 간염 Liver Cirrhosis Hepatoma 진단 : AFP(태아혈청단백) UGI

42 쓸개길 쓸개돌 cholelithiasis, gall stones 온쓸개관돌증 Choledocholithiasis
PTB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간·쓸 개길에 결석 또는 종양으로 인해 쓸개즙 배액에 문제 가 있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쓸개길 폐색 환자에게 도관 (tube)이나 스텐트(stent)를 삽입하여 체외로 일시적인 쓸개길 샛길을 형성시켜 쓸개즙을 배출시키는 시술

43 담낭 수술 -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 - 복강경 담낭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체외 충격파 쇄석술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담낭십이지장루술 (cholecystoduodenostomy), - 담낭공장루술 (cholecystojejunostomy)

44 이자

45 역행성 내시경 쓸개관 이자 조영술 ERCP (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샘창자 내시경을 사용하여 샘창자 유두부에서 역행성으로 조영제를 주입시켜 이자관, 쓸개관, 쓸개 등을 한번에 검사하는 방법으로 생검과 세포진 검사를 병행함

46 이자암Pancreatic Cancer 이자절제술 (pancreatectomy) 이자빈창자연결술 (pancreaticojejunostomy) 이자샘창자절제술(pancreaticuduodenectomy (whipple`s operation)

47 Hernia(탈장) 틈새 헤르니아 esophageal hiatal hernia
가로막의 식도 구멍을 통해서 가슴안 내로 위의 일부가 탈장 샅굴탈장 Inguinal hernia 배꼽탈장 umbilical hernia : 배꼽 부위에 발생한 탈장. 신생아에 서 주로 발생 가로막탈장 diaphragmatic hernia : 선천적으로 가로막이 제대 로 형성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탈장. 신생아에서 발생 절개 탈장 incisional hernia 수술 후 절개부위

48


Download ppt "소화기계(DIGESTIVE SYSTEM)"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