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제1장 정신건강의 의미 및 정신장애의 관점 변천
2
포괄적 건강의 개념 1 정신건강의 특성 2 정신건강의 요소 3 정신건강의 기준 4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3
1. 정신건강의 의미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well-being)한 상태” 미국 의무국장(Surgeon General)의 1999년도 정신건강보고서 “정신건강(mental health)은 정신적 기능의 성공적 수행 상태로, 생산적 활동을 수행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만족스러운 관계를 유지하고, 변화에 적응하고 역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정신건강 협의적 개념: ‘일상적으로 단지 질병이 없고 신체에 이상이 없는 것’ 광의적 개념: ‘신체적·정신적·정서적·사회적 측면뿐만 아니라 가치적·윤리적 측면까지도 포함하여 개인의 전인적 능력을 주위 환경에 잘 적응시키면서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상태’라는 광의적 개념
4
그렇다면, 건강은… “건강이란 단지 질병이 없다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이란 단지 질병이 없다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의 상태” 전인적 인간존재로, 행동, 사고, 감정을 고려해야 함. Ex: 저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괜찮아요? ‘잘 지내지만 인생의 목표는 별로 없습니다’’신체적으로 괜찮지만 머리는 복잡하고 아프네요’
5
포괄적 정신건강 정신적 건강 정서적 건강 사회적 건강 영적 건강 포괄적 정신건강
6
1. 신체적 건강 신체적 건강: 신경계, 골격계, 근육계, 피부계, 호르몬계, 순환계 모두 포함
정신과 신체의 밀접한 상호관계, 서로 양방향의 상호작용 : 정신신체적, 정신생리적 -> psychosomatic medicine ( 정신신체의학) 신체건강에 따라 정신건강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7
정신적 건강 심리적, 이성적, 지적 차원으로 언급 여기서 말하는 정신건강은 추론하는 능력 : 정보에 접근하여 의사결정 과정에 활용하는 능력 : 상황에 대한 정확한 평가하여 : 유용한 선택과 필요한 자원 활용하여 : 적절한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함
8
2) 정서적 건강 사람은 동일한 경험에 이성적으로 대처하기 보다는 ‘감정에 기초한 행동’을 함, 즉, 대처하기 전에 자신의 경험, 지각, 환경에 따라 정서적 반응을 나타냄 정서의 종류: 두려움, 슬픔, 즐거움, 분노, 수치심, 불안,경악, 만족감, 격노, 분개, 죄책감, 미움, 초조함, 안도감, 환희, 놀라움, 다정함 등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인식이 필요 정상적인 생각이나 기능을 방해함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 상황에 맞는 적절하고 적합한 정서적 반응
9
3) 사회적 건강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찾고 그들과 교제를 갈망하는 존재이다. 사회적으로 건강한 사람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찾고 그들과 교제를 갈망하는 존재이다. 사회적으로 건강한 사람 : 조화로운 대인관계 : 사람들과 협력하려는 태도 : 부조화 해결 : 갈등 관리기술 : 자신과 타인의 권리 존중 : 부하직원, 동료, 윗사람과의 관계에서 협력적임 일상에서 관심사와 문제를 나눌 수 있는 믿을 만한 친구가 있다면, 부정적 결과를 완충할 수 있다. 인간관계의 양보다 질이 중요함
10
4) 영적 건강 사회는 나름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있음, 즉, 인간경험을 초월하는 힘, 세력, 목표에 대한 생각이 있다.
사회는 나름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있음, 즉, 인간경험을 초월하는 힘, 세력, 목표에 대한 생각이 있다. 인간내면이나 외부로부터 영향을 미치는 그 무엇이 인간으로 하여금 선한 일을 하도록 촉발시킨다는.. 자신을 초월한 신념.. 타인에 대한 수용과 같은..긍정적 정신건강의 기초로 봄
11
포괄적 정신건강이란? 정신건강이란…….. “정신적으로 병적인 증세가 없을 뿐 아니라
만족스런 인간관계와, 자기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있으며, 자주적이고 건설적으로 자신의 생활을 처리해나갈 수 있는 성숙한 인격체를 갖추고 있는 상태”
12
정신건강의 특성 1. 자신의 삶의 경험에 대하여 개방적이다 2. 실존적인 삶을 산다: 매순간 충분히 만끽하는 삶
3. 주관적인 경험적 자유를 지니고 있다:선택한 인생을 자유롭게 살아가는것.. 4. 자기신뢰가 있다 5. 창조성을 지니고 있다
13
Marie Jahoda 의 정신건강의 조건
14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적 요인(생물학적 요인) : 정상적인 생물학, 질병과정, 유전적 요소
-> 뇌와 정신기능과의 관계 ->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기능과의 관계 -> 신경학적 이상/뇌파나 호르몬의 이상과 정신기능과의 관계 -> 유전적 요인(뇌기능의 취약성)과 정신기능과의 관계 세로토닌(신경전달물질)의 활성 정도 -> 정상 보다 높을 경우 : 불안장애 발생 -> 정상 보다 낮을 경우 : 공격적, 행동, 적대적 행동, 자살행동 유발
15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사고, 감정, 지각, 동기, 행동)으로 인해
2. 심리/정서적 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사고, 감정, 지각, 동기,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응의 결과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1) 회복탄력성(resilience) : 적응유연성 심각한 정신적 외상이나 역경을 겪어내는 능력 ->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제자리로 돌아가는 특성 : 감정 통제력 : 충동 통제력 : 낙관성(긍정적 사고) : 원인 분석력/ 좋은 판단력 : 공감능력 :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 적극적인 도전성 자기성찰, 유머감각, 분명한 자아경계, 타인에 대한 인식능력이 강함
16
정신건강의 영향요인(심리적 요인) 자기개념 개인의 기본적인 본성, 독특한 속성들 및 전형적인 행동에 대한 신념의 집합체
개인의 기본적인 본성, 독특한 속성들 및 전형적인 행동에 대한 신념의 집합체 타인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영향을 주기도 함 자기복잡성과 자기불일치는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 Higgins: “불일치>(실제적 자기 ― 이상적 자기)”=낙담, 우울증 발생 ↑ Don Hamachek(1992)의 4가지 자기개념의 범주
17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자아 존중감(self esteem) 자신의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인생 초기부터 형성됨: 부모의 양육태도, 형제와의 경험, 준거집단의 평가, 사회에서의 경험 높은 자존감 -> 만족감, 삶의 활력, 좋은 대인관계 형성 낮은 자존감 -> 다양한 정서적 문제 발생 (불안, 우울, 공격, 긴장, 분노, 소외감, 불행감, 불면증, 정신신체증상 )
18
“영자가 마음에 드는데 그녀는 날 싫어할거야”
자아존중감 한 개인으로서 그가 가지는 가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자존감이 낮은 사람: 불안, 우울, 긴장, 소외감, 정신 • 신체증상을 겪음 자존감의 결여로 나타나는 행동유형 자존감이 결여된 사람의 이야기 자아존중감 결여 “나는 잘 난 것이 없어” 부정적인 기대 “영자가 마음에 드는데 그녀는 날 싫어할거야” 높은 불안, 노력 포기 “그녀 앞에만 서면 긴장돼. 그냥 포기하자” 실패경험 철수가 영자에게 프로포즈해서 그녀와 친해짐 자기비난 “난 정말 바보야 프로포즈라도 해볼껄”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의 속마음 순환도
19
정신건강의 영향요인(가족적 요인) 가족체계 발터 토만의 부모간의 갈등이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Bowen : 한 가족구성원의 정신병리는 가족체계상의 증상, 개인의 증상은 가족의 정서체계에서 비롯되는 문제임 Minuchin : 가족의 역기능을 중요시. Focus: “가족성원 < 가족체계” 발터 토만의 부모간의 갈등이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간의 갈등이 있을 경우 자녀들은 금방 알아차린다 부모의 갈등을 목격하면서, 자녀들은 남녀가 함께 하는 삶은 피곤한 일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경향이 강함 부모의 갈등은 부모-자녀관계를 부담스럽게 만든다 자녀들은 부모들이 언제 이혼할 지 몰라서 불안해 하고, 부모와의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워하게 됨 자녀들은 형제들 간에 나누었던 경험을 잘 활용할 수 없다 부부갈등이 많으면, 자녀들은 불안해 하고, 부모에게 매달리는 현상이 강하게 되어, 형제들간에 우애가 싹트기 어렵다
20
2. 정상과 이상 정신의학에서 정상(normal)이란 정상적 규준(norm) 안에 들어가는 것이고, 이상(abnormal)은 정상적 규준에서 벗어난 행동, 그러나 정상과 이상은 상대적 개념이며 절대적이지 않고, 시대에 따라, 문화권, 사회등에 따라 변화되고 다름. 정상과 이상을 구분하는 기준 1) 통계적 관점 인구학적 통계 기준이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많은 사람들의 평균 행동과 비교하여 매우 일탈되어 있을 때 이상행동이라고 규정 한계점: 감정, 의지, 성격처럼 수량화하기 어려운 개념에 대한 통계적 평균을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평균을 정하는 데 개인의 사회적·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는 가치 판단이 개입될 수 있음 2) 사회적 규범의 관점 어떤 사회·문화권의 가치나 문화적 관점에서 받아들여지느냐에 따라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을 구분함 한계점: 사회와 문화에 따라 정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이 다를 수 있음
21
2. 정상과 이상 3) 주관적 불편감의 관점 4) 부적응성의 관점
개인이 자신의 상태에 대해서 스스로 불편해하고 고통스러워할 때 비정상적이라고 규정하는 것 4) 부적응성의 관점 개인의 행동이 자신과 사회에 해로운 결과를 가져오고 사회적·학업적·직업적 생활의 부적응이 초래될 때 이를 이상행동으로 정의
22
3. 정신위생,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의 구분 정신장애는 단순히 병리학적 용어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사회·문화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는 사회역사적 개념 정신위생(mental hygiene) 정신건강이라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자세 인간이 바라고 원하는 방향 정신질환(mental illness):병리적측면 강조, 정신병적인 것과 신경증적인 것 모두포함한개념 질병의 개념을 강화한 용어로, 질병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강조 정신병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보이는 환청 및 망상과 같은 기질적(organic)이거나 기능적(functional)인 증상을말함. 신경증은 우울 또는 불안의 증상을 주 특징으로 함. 즉, 정신질환은 정신기능의 제 영역인 지능, 지각, 사고, 기억, 의식, 정동, 성격 등에서 병리학적 현상이 진행되는 것 정신장애(mental disorder) 정신질환과 지적 장애의 개념을 포괄하는 광의적 개념,
23
3. 정신위생,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의 구분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정신장애는 정신 기능의 기반이 되는 심리적, 생물학적 혹은 발달 과정에서의 역기능을 반영하는 개인의 인지, 정서 조절 혹은 행동에서의 임상적으로 현저한 장해(disturbance)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다. 정신장애는 현저한 고통(distress)이나 사회적, 직업적 혹은 다른 중요한 활동에서의 장애(disability)와 보통 연관된다. 어떤 특정한 스트레스 요인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과 같은 상실에 대한 예상되거나 문화적으로 허용되는 반응은 정신장애가 아니다. 일탈이나 갈등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개인의 역기능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면, 사회적으로 일탈한 행동(예: 정치적, 종교적 또는 성적)과 개인과 사회 간에 주로 나타나는 갈등은 정신장애가 아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p. 20). 정신장애:‘개인의 정신 또는 행동이 변화되어야 하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행동적, 심리적 또는 생물적 기능장애가 나타나야 하며, 그 증후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나 상실로 인해 예상되는 반응이거나 문화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범위의 반응이 아닌 상태
24
4. 정신장애인의 법적 정의 「정신보건법」 「장애인복지법」제1장 제2조 정신건강증진법
정신질환자를 “정신병(기질적 정신병 포함)·인격장애·알코올 및 약물중독 기타 비정신병적 정신장애를 가진 자” 「장애인복지법」제1장 제2조 장애인을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라고 정의 정신건강증진법 정신질환자의 범위를 “사고장애, 기분장애, 망상, 환각 등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중대한 제약이 있는 사람”으로 입원치료등이 요구되는 중중환자로 축소, 즉,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신 질환자는 범위에서 제외. 이는 보험가입 직장등에서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것 임.
25
4. 정신장애인의 법적 정의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지적장애인: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자폐성장애인: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신체표현·자기조절·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정신장애인: 지속적인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여러 현실 상황에서 부적절한 정서 반응을 보이는 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및 반복성 우울장애에 따른 감정조절·행동·사고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26
5. 정신장애 관점의 역사적 변천 1) 고대 고대 그리스: 정신장애는 처음에는 신성모독에 대한 벌로 해석됨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460~377 B.C.): 이상행동이 뇌의 질병에서 비롯된다고 봄 소크라테스(Socrates, 470~339 B.C.)와 플라톤(Plato, 427~347 B.C.): 이성능력을 적응적 행동의 기본으로 간주하는 심리학적 입장 로마의 내과 의사인 갈렌(Galen, A.D. 130~200): 혈액(blood), 흑담즙(black bile), 황담즙(yellow bile), 점액질(phlegm)의 네 가지 체액들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다양한 장애가 나타남
27
5. 정신장애 관점의 역사적 변천 2) 중세 3) 르네상스
성 어거스틴(St. Augustine, A.D. 354~430)은 개인의 정서적 삶을 내성하고 자신의 사고에 대해 탐색하는 정신과정을 논의함으로써, 현대 정신역동이론의 기반을 닦는 데 일조함 정신질환자를 악마의 대리인 또는 마녀라고 생각하고 이들을 박해함 스페인의 의사 파라켈수스(Paracelsus, 1493~1541)와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후안 우아르테(Juan Huarte, 1530~1589)는 이런 미신적 믿음에 대해 비판함 영국에서는 ‘자연적 우둔자(natural fool)’나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사람(persons noncompos mentis)’이라고 불리던 두 범주의 정신질환자들을 보호가 필요하다고 보고 국가 차원에서 이들을 보호하려 함 3) 르네상스 네덜란드의 의사였던 요한 바이어(Johann Weyer, 1515~1576)는 와해된 대인관계와 심리적 갈등이 정신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강조하면서, 종교적 박해보다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임상적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
28
5. 정신장애 관점의 역사적 변천 4) 이성의 시대와 계몽운동
17세기와 18세기에는 인간 존재의 주관적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의 감정과 동기에 접근 스피노자(Spinoza, 1632~1677)는 육체와 마음을 분리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정서나 사고, 삶에서의 욕구의 역할에 대해 저술 영국의 의사인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도 생명의 생리학적 측면과 심리학적 측면의 관계에 대해서 저술 18세기 말에는 합리주의에 대한 몰입, 과학적 관찰,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간적 치료 등이 나타남 빈의 의사인 메즈머는 체내에 흐르는 자기유동체를 작용하면 모든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고 보는 동물자기론을 주장, 정신질환자의 치료에 최면술을 사용하기도 함
29
5. 정신장애 관점의 역사적 변천 5) 개혁운동 프랑스의 피넬(Philippe Pinel, 1745~1826): 도덕적 치료를 개발. 도덕적 치료는 환자를 통제하고 재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규칙적 습관을 갖도록 격려하고, 최소한의 제한을 두고 친절하게 치료하고자 함 딕스(Dorothea Dix, 1802~1887): 미국에 정신질환자를 위한 인간적 치료와 시설이 없다는 것에 분개하고, 정신질환자를 위한 기관을 개혁 비어스(Clifford Beers, 1876~1943): 정신질환자의 인간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정신위생운동
30
5. 정신장애 관점의 역사적 변천 5) 개혁운동 19세기 초반: 비이성적인 사고를 강조하는 관점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하인로스: 정신질환을 수용할 수 없는 충동과 그러한 충동들이 유발한 죄책감 사이의 내적 갈등의 결과로 봄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 무의식적 수준에서 충돌이 나타나며, 이러한 갈등을 의식하는 것이 곧 불안을 이해하고 해소하는 방법이자 부적응적 행동을 치료하는 방법이라고 봄 생리학적 요인에 대한 관점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그리징거(Wilhelm Griesinger, 1817~1868): 정신질환이 뇌 기능의 장애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주장 독일의 정신학자인 크레펠린(Emil Kraepelin, 1856~1926): 입원이 필요한 심각한 장애의 분류체계를 구축 19세기 말: 심리학적 접근과 기질적 접근을 통합 프랑스의 신경학자인 샤르코(Jean Martin Charcot, 1825~1893), 자네(Pierre Janet, 1859~1947): 심리적 원인이 많은 행동장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했을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의 범주에 심각한 정신질환뿐만 아니라 미약한 부적응적 행동도 포함시킴
31
6. 동양 및 우리나라의 정신장애에 대한 관점 정신병리 현상을 병태생리와 체질적 조건, 신체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봄
심신동시론적 질병 개념: 정신장애와 신체장애를 뚜렷이 구분하지 않으며, 정신장애를 음(陰)과 양(陽)의 조화의 문제로 봄 조선시대인 1611년에 집필한『동의보감』: 정신장애를 전광(癲狂) 또는 노광(怒狂)이라 부름 조선시대 말인 1885년 최초로 서양의학식 병원인 광혜원이 왕립병원으로 설립 1899년에는 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관립 경성의학교가 설립 정신의학교육은 1901년 이후에나 일본인과 서양 선교사에 의해 실시
32
7. 이상행동의 원인과 치료 1) 생물학적 모형 : 생물학적 요소가 정신장애에 영향을 미친다고 봄 유전적 영향
유전적 요소, 염색체 이상 유전적 요인은 다른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정신장애 발생에 영향을 줌 뇌 구조 및 기능의 이상 심리적 장애는 뇌 구조들의 기능장애로 야기되는 것으로 봄, 뇌의 각 조절구조인, 시상하부 변연게, 시상, 기저핵, 소뇌, 뇌간등이 있는데 이구조들의 기능장애로 본다. 조현병:전두엽피질, 해마앞부분 편도핵등이 위축되어 있다. 신경생화학적 영향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의 과다 혹은 결핍으로 정신장애가 나타난다고 봄, 즉, 신경세포사이의 시냅스를 지나 신경충격의 전달을 조절하게 되는 물질이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등임
33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로토닌(신경전달물질)의 활성 정도 -> 정상 보다 높을 경우 : 불안장애 발생
-> 정상 보다 낮을 경우 : 공격적, 행동, 적대적 행동, 자살행동 유발 즉, 세로토닌의 경우, 의지적행동을 할때 운동조절기능을 담당, 낮은 경우 충동억제력이 감소하게되고 상황에 민감해지고, 불안정성, 성충동 혹은 과식 공격적 행동변화의 유발가능성이 높아짐.
34
7. 이상행동의 원인과 치료 1) 생물학적 모형 (1) 치료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치료하는 약물치료, 전기충격치료, 뇌 수술 등으로 정신장애를 치료 (2) 비판 및 긍정적 효과 정신장애가 신경체계의 특정한 화학적 이상과 같이 단순히 병리적 요인들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비판 인간이 환경적 요소와 심리치료를 소홀히 할 수 있으며, 뇌 수술에 따른 부작용과 같은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
35
사회환경적요인 사회적 고립이나 경험의 박탈 -> 불안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을 저하시킴
-> 의미 있는 대인관계 능력을 감퇴시킴 * 보호요인 : 사회적 지지 1) 충격에 대한 완충제 역할 – 심리적/ 정서적/ 물질적 지지 2) 사회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작용 3)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 심리적 적응 향상, 문제해결 능력 강화, 부정적인 충격 완화 -> 심리적인 안정감 향상 * 환경적 요소 - 소음, 일조권/조망권 침해, 공기/물의 오염, 인구밀도의 과밀, 교통환경, 자연환경, 사이버환경, 재난 etc.
36
제2장 정신병리학과 정신장애의 진단분류
37
1. 정신병리학과 정신상태 검사 정신병리학(psychopathology): 정신질환에서 비정상적인 행동, 사고, 의식 등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의 원인 또는 현상을 관찰하고 기술·분석하여 과학적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정신의학의 한 분야, 정신상태 검사 방법: 심리평가, 생물학적 평가 1) 심리평가 임상 면접, 심리검사, 행동평가 및 인지평가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정신장애 진단을 내리고, 치료적 개입의 목적을 세우고, 치료적 개입의 효과를 파악
38
1. 정신병리학과 정신상태 검사 1) 심리평가 다음과 같은 내용의 자료들을 수집
일반적 외모, 전반적 태도 및 행동: 틱, 상동증적 동작, 반향언어, 강박증, 언어장애 등 사고의 진행: 우원증, 사고분열, 지리멸렬, 차단, 부조리한 진행 등 연상의 이완 등 사고의 내용: 망상, 강박증, 공포증, 건강염려증 등 지각: 환청, 환시 등의 환각 감정반응: 감정이 고양되었는지 또는 우울하거나 불안한지, 감정반응이 부적절한지, 불충분한지, 양가적인지 지적 능력: 기억력, 계산력, 지남력, 읽기, 쓰기 등 의식: 의식이 혼탁, 몽롱, 혼미, 혼수, 기면, 명료, 둔주한지 병식: 병의 종류, 치료받는 이유, 발병에 대한 정신역동학적 의미를 이해하는지
39
1. 정신병리학과 정신상태 검사 1) 심리평가 (1) 면접 언어적 대화나 의사소통을 통해 사람의 심리적 특징을 알아보는 것
[표 2-1] 면접의 유형별 특징
40
1. 정신병리학과 정신상태 검사 1) 심리평가 (2) 심리검사
개인의 특정한 과제상의 수행도나 성격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표준화된 절차 [표 2-2] 심리검사의 유형별 특징
41
1. 정신병리학과 정신상태 검사 1) 심리평가 (3) 행동평가 및 인지평가 [표 2-3] 행동평가 및 인지평가의 유형별 특징
42
1. 정신병리학과 정신상태 검사 2) 생물학적 평가 정신장애 및 비정상적 심리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두뇌 및 그 밖의 신경계통의 기능을 직접 관찰 [표 2-4] 생물학적 평가법의 유형
43
2. 정신의학적 증상 정신장애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출된 증상들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를 진단 및 분류할 수 있음 1) 표정과 태도 우울증 환자: 힘없는 태도와 우울하고 무표정한 얼굴 정신분열증 환자: 무의미한 웃음이나 찌푸린 얼굴 표정과 의심하는 듯한 방어적 혹은 거부적 자세 2) 행동의 장애 과잉행동: 행동목표가 수시로 바뀌고, 한가지 일이 끝나기 전에 다른 일을 시작하는 등 주의력이 산만. 경조증(hypomania) 혹은 조증(mania) 환자에게서 볼 수 있음 저하된 행동: 동작이 느리고 일을 시작하기 힘든 정도부터 혼수(coma) 같은 거의 운동이 없는 상태까지 다양
44
행동장애 행동이란? 인간의 정신활동의 결과로서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행태를 말함.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모든 행위포함
45
2. 정신의학적 증상 2) 행동의 장애 반복적 행동: 상동증(stereotypy)이라고도 하며, 의미 없어 보이는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증상 매너리즘(mannerism): 자신의 무의식 속의 갈등이나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행동을 반복하는 증상 음송증(verbigeration): 의미 없는 단어나 짧은 문장을 이유 없이 반복 보속증(perseveration): 뇌 기능의 저하에 따라 새로운 동작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행동하는 증상 강직증(catalepsy): 지나치게 반복하다 보니 행동 자체가 멎어서 부동의 자세를 반복하는 증상 자동증(automatism or automatic behavior): 내재된 적개심이나 불만이 겉으로 나타나는 것이 두려워서 자신의 의지는 감추고 상대방의 뜻대로 복종하는 증상 자동적 복종: 자신의 의지없이 남의 요구대로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행동 반향언어: 메아리처럼 남의 말을 그대로 되받아서 그대로 따라서 말하는 행동 반향동작: 남의 동작을 똑같이 흉내 내는 행동
46
2. 정신의학적 증상 2) 행동의 장애 거부증(negativism): 상대방이 요구하는 것을 묵살하거나 반대로 행동하는 경우, 질문에 아무 대답을 하지 않는 함구증(mutism)이나, 음식을 거부하는 거식증(refusal of food) 강박증적 행동: 자신의 행동이 무의미하며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특정 행동을 반복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 행동으로, 강박적인 사고(obsession)를 동반 충동적 행동: 순간적인 감정의 지배에 따라 폭행, 파괴, 방화, 자해 등과 같은 예기치 않은 행동을 폭발적으로 일으키는 증상 자살(suicide): 사랑의 결핍, 무능감, 거부감, 대상에 대한 증오와 복수의 감정이 자기에게로 향하는 경우나 자기를 버린 사람에게 죄책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나타나는 경우
47
2. 정신의학적 증상 3) 의식의 장애 의식의 혼란 또는 착란(confusion): 자극에 대한 반응이 신속하지 못하고 주의력이 산만해지거나 사물에 대한 이해능력이 감퇴 의식의 혼탁(clouding of consciousness): 자극에 대해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고, 주의력이 상당히 감퇴하며, 주위 환경이나 언어에 대한 이해력 및 기억을 거의 상실 몽롱상태(dream state, twilight): 자기 주위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상태가 되며 마치 다른 세계에 있는 것같이 행동 섬망(delirium): 지남력 장애, 환각, 착각 및 감정의 불안정성을 수반하며, 쉽게 감정적 폭발을 일으키거나 공포감 또는 우울감에 빠지기도 함 혼미(stupor): 운동능력을 상실하고 외부 자극에 대해 거의 반응하지 않으나, 강력한 동통 자극에 의해 일시적으로 깰 수 있으며, 약간의 의식이 남아 있기도 함 혼수(coma): 모든 정신활동과 신경조직의 기능이 마비되고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심장과 폐만이 남아 있는 경우로, 의식은 완전히 정지 4) 지남력 장애 주위 환경 중 자신이 처해 있는 공간·시간·사람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지하는 능력을 상실한 상태
48
2. 정신의학적 증상 5) 정동의 장애 고양된 기분(elevated mood): 즐거운 기분이 넘쳐 행동과 욕구가 과장되거나, 전능감을 가지거나 자신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기도 함 우울(depression): 슬픈 감정이 심하고 오래 가는 병적 증상 불안(anxiety): 임박한 위험에 대한 두려움, 걱정, 재난이 임박했다는 지속적 느낌, 대상이 분명치 않은 공포 불충분 정동(inadequate affect): 감정적으로 둔하며 방관자처럼 무감동(apathy)하며, 좋거나 싫은 것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된 상태 부적 정동(inappropriate affect): 개인의 사고 내용과 감정, 언어 등이 조화되지 않는 상태로,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울거나 웃거나 하는 증상 양가감정(ambivalence): 한 대상에 대해 상반되는 감정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랑과 증오와 같은 상반된 감정 및 태도가 동시에 존재하는 정신 상태 유동 정동(labile affect): 외부 자극과 상관없이 정동의 표현이 빠르고 급격히 변하는 상태 불안정한 기분(irritability): 병적 불쾌감의 흥분성이 항진하여 쉽게 화내거나 자극되는 경우에 분노가 폭발하는 상태
49
사고장애 사고란 무엇인가? 외부자극이 있을 때 정서, 지각, 상상, 기억능력을 동원하여 그 자극을 해석하고 판단하고 종합할 수 있는 기능 건강한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외부자극을 정확히 지각하고 인지하는 능력이 필요함
50
사고진행의 장애 사고진행이란? 하나의 관념에서 시작하여 연상을 통해 하나의 사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말함
51
2. 정신의학적 증상 6) 사고의 장애 사고형태의 장애: 현실을 무시한 비논리적 사고, 자폐적 사고(autistic thinking), 백일몽(day dreaming), 마술적 사고(magical thinking) 자폐적 사고: 외계의 현실을 무시하고 자신에게만 뜻이 있고 자신의 무의식이나 정서적 요소의 자극에 의한 비현실적 사고가 이성이나 논리를 대신하는 증상 강박관념: 쓸데없는 생각이라는 것을 알고 그 생각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반복해서 같은 내용의 생각 때문에 고통을 받는 경우 공포증: 어떤 특정한 대상에 대한 사실무근한 위험을 느껴서 두려워하는 것
52
2. 정신의학적 증상 6) 사고의 장애 사고진행의 장애: 사고가 진행되어 가는 형식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종합성이 없는 말, 무의미한 말의 연합, 무의미한 말의 반복, 사고의 진행이 급변하거나 느려지는 등의 형태로 나타남 사고의 비약: 한 생각에서 다른 생각으로 연상이 빨리 진행되며, 단편적인 연결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인 논리성은 결여되는 증상 사고의 지체: 연상의 속도가 느리고, 따라서 전체적인 사고진행이 느리거나 어떤 결론에 도저히 이르지 못하는 경우 사고의 단절: 사고의 흐름이 갑자기 멈추어 사고의 진공 상태가 되는 증상 보속증: 사고를 진행하려는 노력과 외부에서 새로 들어오는 자극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진행이 제자리에서 맴돌고 계속 같은 말, 단어, 문장을 반복하는 증상 우원증: 여러 가지 연상의 가지를 치면서 빙빙 돌다가 결론에 도달하는 증상 지리멸렬: 사고진행이 와해되어 일관성이나 논리적 연결이 없이 토막토막 끊어지거나, 의미론적으로도 파괴된 언어를 쓰거나 단어만 나열하는 증상 언어신작증: 자기만 뜻을 아는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내거나, 독특한 말을 조합하여 창조해 내는 증상
53
사고내용의 장애 망상: 사고가 지나치게 편향되거나 객관적 외부단서와 무관하게 과도하게 부적절한 주관적 의미가 부여하는것, 결국 현실판단능력을 약화시킴 망상은 사실과 다른생각, 교육정도, 환경과 부합되지 않는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 이성이나 논리로 교정되지 않음
54
2. 정신의학적 증상 7) 사고 내용의 장애 망상(delusion): 허망한 생각, 사실과는 다른 생각(false belief), 그 사람의 교육 수준, 환경과 부합되지 않고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 과대망상(delusion of grandeur): 자기 자신을 실제보다 더욱 위대한 사람으로 믿는 망상 편집 또는 피해망상(paranoid or persecution delusion): 각종 정신병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망상 우울망상(depressive delusion): 우울증이나 정신분열증에서 주로 나타남 색정망상(erotic delusion): 자신은 모든 이성으로부터 사랑받고 있거나 모든 이성을 사랑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과대적 내용 또는 부정망상, 질투망상과 같은 피해적 내용의 망상 신체망상(somatic delusion): 자신의 장기 한 부분이 남과 특이하게 다르다고 믿고 있거나 장기가 썩어 들어간다고 믿는 망상 피조종망상(delusion of being controlled): 자신이 타인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고 믿는 망상 사고방송(thought broadcasting):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이 이미 다 알고 있다고 믿는 망상
55
2. 정신의학적 증상 7) 사고 내용의 장애 사고침입(thought insertion): 자신의 생각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남이 자신의 머릿속에 집어넣고 있다고 믿는 망상 관계망상(idea of reference):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사실이 모두 자신과 관련되어서 일어난다고 믿는 망상 과잉사고(overvalued idea): 한 개인의 강력한 감정과 연관되어 어떤 내용에 특정한 의미를 지나치게 부여하거나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경우 작화증(confabulation): 최근의 기억장애가 있는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가상적인 이야기로 기억을 메우는 것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자기가 어떤 질병에 걸렸다고 확신을 가지며 두려워하는 것
56
2. 정신의학적 증상 8) 지각의 장애 인지장애(agnosia): 뇌장애 때문에 사물을 인지하거나 감각자극의 의미를 해석하지 못하는 장애 착각(illusion): 받아들인 감각자극을 감각기관에서 뇌의 적절한 부위에 전달하여 해석하는 과정에서 잘못 해석하여 지각하는 것 환각(hallucination):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외부에서 자극이 들어온 것처럼 지각하는 현상 이인증(depersonalization):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이 변한 것처럼 느끼는 현상으로 나와 현실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경우 비현실감(derealization): 나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이 달라졌다고 느끼는 현상
57
기억장애 기억이란? 뇌 속에 기록하고, 필요기간 동안 파지, 저장하고 필요할 때 의식세계로 꺼내는 일련의 활동.
기억된 것들은 일생생활에 필요한 것이기에 저장됨 어느 정도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한 것만 기억됨. 기억은 개체나 사물과 사실과의 관련성이 중요하고 기억될 때에는 그 당시의 정서상태도 중요한 역할을 함.
58
기억장애의 종류 기명장애: 기억에 등록되는것
파지장애:저장장애로 뇌에 장애가 일어나면서 소실되는 것. 최근 것일수록 소실됨. 강한 감정을 동반한 것일수록 잘 소실되지 않는다. 기억과잉: 과거에 지각된 인상이 지엽적인 것까지 세세하게 기억되는것. 기억상실증: 심인성, 기질성기억상실로 나뉨
59
2. 정신의학적 증상 9) 기억의 장애 기억과잉 또는 항진(hyermnesia): 특정 기간이나 특정 사건 또는 경험에 한정되어 기억을 병적으로 과도하게 상세히 기억해 내는 경우 건망증, 기억상실(amnesia): 일정 시간 동안의 기억감퇴 기질성 건망증(organic amnesia): 기억상실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어떤 시기의 경험 전체를 잊어버리며 기억이 서서히 회복되고 지능, 의식, 지남력의 장애와 겹쳐서 나타남 심인성 건망증(psychogenic amnesia): 지남력과 의식의 장애는 나타나지 않지만, 기억장애의 범위가 선택적이고 필요에 따라 상실이 일어나며 급격하게 나타났다가 회복도 순간적으로 이루어짐 기억착오(paramnesia): 강한 무의식적 동기 때문에 과거 기억 중 자신의 이익에 맞는 것만 선택적으로 기억하거나 잊거나 왜곡 기시감(deja vu): 과거에 경험한 적이 없거나 낯선 것을 전에 본 것 같이 느끼는 현상 미시감(jamais vu): 전에 알고 있거나 많이 경험한 것에 대해 생소하게 보이는 현상
60
2. 정신의학적 증상 10) 지능의 장애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유전적, 선천적 또는 발육 초기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능의 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지능이 낮은 상태 치매(dementia): 생후 정상적으로 발달했던 지능이 후천적 뇌기능장애 때문에 영구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저하된 상태 11) 성격장애 A군 성격장애: 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성격장애가 포함되며, 괴상하고 별난 경향을 보이는 것이 특징 B군 성격장애: 반사회성, 경계선, 연극성,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포함되며, 대체로 극적이고 감정적이며 변덕스러움이 특징 C군 성격장애: 회피성, 의존성 및 강박성 성격장애가 포함되며, 억제되어 있고 불안해하고 두려움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특징
61
3. 정신장애의 진단분류 의료 전문 팀 간의 의견 교환을 위한 의사소통의 도구를 제공하고, 다른 장애와의 구별이 용이하도록 장애의 특징을 정의하며, 궁극적으로 장애의 원인을 밝히고, 가장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필요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 )』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신장애 분류체계 조작적인 정의에 의한 진단기준을 마련하면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 정신장애가 시작되는 시기 정신장애의 경과 장애를 일으키는 유전적, 소인적 요소 전체 인구 중에서 정신장애의 발생 빈도 감별 진단의 정보 제공 진단기준을 충족하면 심각성의 정도 표시 구체성을 높이기 위해 아형과 구체적 분류 제공
62
3. 정신장애의 진단분류 DSM-5가 2013년 5월 출간, DSM-5에서는 22개의 범주로 다음과 같이 나눔
신경발달 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 정신분열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양극성 및 관련 장애(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강박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요인 관련 장애(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s)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급식 및 섭식 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s)
63
3. 정신장애의 진단분류 수면 각성 장애(Sleep-Wake Disorders)
성 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s)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 장애(Disruptive, Impulsiv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신경인지 장애(Neurocognitive Disorders)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 성도착 장애(Paraphilic Disorders) 기타 정신장애(Other Mental Disorders) 약물 유발 운동 장애 및 기타 약물 부작용들(Medication-Induced Movement Disorders and Other Adverse Effects of Medication) 임상적 주의가 필요한 기타 상태들(Other Conditions That May Be a Focus of Clinical Attention)
64
3. 정신장애의 진단분류 DSM-5와 이전의 DSM-IV-TR과의 여러 가지 차이점
DSM-IV의 중다축적 진단체계(multiaxial diagnostic system)는 DSM-5에서 폐기 DSM-5에는 차원적 사정의 개념이 도입 DSM-IV에서는 장애가 있느냐 없느냐를 구분한 범주적 진단(categorical diagnoses) 방법을 사용. 차원적 사정은 빈도, 지속 기간, 심각도, 또는 다른 장애의 특징을 측정하는 순위 등급을 말함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