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3. 가. 예비전원(자가발전) 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3. 가. 예비전원(자가발전) 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Presentation transcript:

1 3. 가. 예비전원(자가발전) 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2) 발전기 >.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발전기 출력용량 -. 전기도면(전력단선결선도) (4) 기름탱크 >. 발전기에 공급할 유류별 탱크용량 -. 비상발전기현황, 소방계획서 (5) 배전반 (6) 자동제어반 >. (2)발전기의 출력용량의 총 합계 (7) 축전지 >. 발전기에 설치 되어있는 BATT의 수

2 3. 나. 변전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1) 변압기 >. 변압기별의 종류(유입형, 몰드형) 및 용량. -. 전기설비 장비현황 -. 전기도면(전력단선결선도) (2) 축전지 (3) 수전반 (4) 배전반 >. (1) 변압기의 요량별 합계

3 3. 나. 변전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6) 충전기 >. 설치 되어있는 충전기의 수 -. 전기도면(전력단선결선도) (7) 전력케이블 (8) 전선관(노출강관) >. 설치 되어있는 총 길이. >. 만약 “전력단선결선도”에 없는 경우는“옥외전력설비간선설비배치도”참조한다. -. 전기도면(옥외전력설비간선설비배치도)

4 3. 다. 옥내배전 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1) 스위치 (2) 콘센트 >. 물량산출범위 -. 공동 구역에 설치 된 종류별 수 >. 참 고 사 항 -. 노인정, 관리사무소, 경비실, 복도, 지하주차장 등 참조

5 3. 라. 자동화재감지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설비
(1) 감지기 >. 감지기의 종류(차동식, 정온식, 연기식)별 수량 -. 소방계획서 (2) 수신반, 중계기 >. 수신반의 종류(P형, R형)와 관리세대수 -. 범례 및 장비일람표(소화도면)-. 소방계획서 (3) 비상경보세트 (4) 유도등 (5) 비상콘센트 >. 종류별 수량 >. 참 고 도 면 -. 소방계획서 -. 소방상세도

6 3. 마. 소화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1) 소화펌프 >. 설치된 기기의 용량(HP)별 대수 -. 장비일람표(설비) -. 소방계획서 -. M.C.C.결선도(전기) (4) 소화기구 >. 종류(자동확산, ABC분말 등)별 수량 (5) 스프링클러 >. 설치 된 총 수량 (6) 급수전 -. 연결송수구 -. 외부차량과 연결하는 곳

7 3. 바. 승강기 및 인양기 <전기·소화 및 승강기설비
(1)기계장치 (2)와이어로프, 쉬브(도르레) >. 설치된 승강기의 층수별 운행 대수 -. 규격에 탑승인원수와 제조사. (3) 제어반 (4) 조속기 >. 설치된 승강기의 수 -. 설치된 승강기의 도면 참조 -. 규격에 탑승인원수와 회사명을 기입하여 주세요. (5) 도어개폐장치 (6) 레일가이드슈 -. 승강기마다 상하로 2개씩 설치

8 3. 사. 피뢰설비 및 옥외전등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1) 피뢰설비 >. 설치 되어있는 피뢰침의 총 수 >. 참 고 도 면 -. 공동구내 전등 및 옥외 보안등배선도 -.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2) 보안 등 >. 설치 되어있는 보안등의 총 수 >. 참 고 사 항 -. 옥외설치 된 가로등을 말합니다. -. 도면을 보시고 수량을 직접 세어야 합니다.

9 3. 아. 통신 및 방송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설비
(1) 케이블 >. 물량산출범위 -. 총 세대수에 층고를 곱한 총길이. -. 공동구의 총 길이의 합을 더한 수 >. 참 고 사 항 -. 세대에 방송장비까지 설치된 케이블의 총 길이 (2) 엠프 및 스피커 -. 단지 세대수 -. 세대에 설치에 되어있는 방송장비를 말한다.

10 3. 차. 감시반시설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1) 감시반(그래픽형) (2) 감시반(모니터형) >. 물량산출범위 -. 설치된 컴퓨터의 수 >. 참 고 사 항 -. 소프트웨어 따라 다름 (3) 변환기 -. 설치된 변환기의 수

11 3. 파. CCTV/관제시스템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1) 감시카메라 >. 설치 되어있는 감시카메라의 총 수 -. 현재 설치된 카메라의 총 수 -. 단지에 필요로 하는 추가 수 -. 일반적으로 승강기내, 복도, 지하주차장, 도로 등으로 카메라의 종류가 다르지만, 현재 등록된 카메라는 저조도카라메라 1대 설치 비용입니다. -. 옥외 CATV 및 CCTV 간선도 (2) DVD녹화장치 >. 설치 되어있는 DVD녹화장치의 총 수 -. 설치된 카메라의 16대당 1대 설치를 기준으로 한다.

12 1. 가.지붕 <건물외부 (1) 모르타르마감 (2) 콩자갈깔기 (3) 타일붙이기 (4) 아스팔트방수층 (5) 고분자도막방수 (6) 고분자시트방수 (7) 우레탄방수 >. 물량산출범위 -. 건물의 지붕의 면적을 산출한다. >. 참 고 사 항 -. 평지붕인 경우 : 1층의 전체바닥면적과 같다고 본다. >. 참 고 도 면 -. 기준층 및 지붕층 옥탑, 옥탑지붕 평면도

13 1. 나.외부 <건물외부 (1) 모르타르 마감 (2) 인조석 깔기 (3) 인조석 씻어내기 (4) 타일 붙이기 (5) 돌 붙이기 (6) 수성페인트칠 >. 물량산출범위 -. 건물의 옆 면적을 산출한다. >. 참 고 사 항 -. 제외 면적의 크기가 1㎡이하인 경우는 무시한다. >. 참 고 도 면 -. 기준층 및 지붕층 옥탑, 옥탑지붕 평면도 -.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14 1. 다.외부 창.문 <건물외부 (1) [출입문_문틀교체] >.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는 곳의 테두리의 총 길이 >. 참 고 도 면 -. 창호상세도 참조 -. 정면도, 배면도 (2) [출입문_강화유리문] >. 강화유리문이 설치되어있는 출입문의 수 >. 참 고 사 항 -. 규격은 900*2100을 기준으로 합니다. (3) [출입문_자동문] >. 설치되어있는 자동문의 수

15 1. 다.외부 창.문 <건물외부 (4) [계단실_창문] >. 계단에 설치되어있는 창문의 수 >. 참 고 도 면 -. 창호상세도 참조 -.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5) 유성페인트칠 (6) 합성수지페인트칠 >. 칠하고자는 부분의 면적(㎡)

16 1. 라.그 밖의 부분 <건물외부 (1) 지붕낙수구 >. 낙수구의 수 (2) 홈통 >. 평형별 홈통의 수 * 층고 * 세대수 -. 평형별 기준층 단위구조평면도 (3) 철제난간 (4) 철제피난계단 >. 사다리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5) 무동력흡출기 >. 설치된 흡출기의 종류별 수 -. 동별 지붕옥탑, 옥탑지붕 평면도

17 2. 가.천정 <건물내부 (3) 보드류 (4) 수성도료칠 (5) 유성도료칠 (6) 합성수지도료칠 >. 물량산출범위 -. 건물내부의 천장 면적을 산출한다. >. 참 고 사 항 -. 복도, 노인정, 관리사무동, 경비실 등의 공동시설물의 천정 >. 참 고 도 면 -. 각 부분의 계단상세도

18 2. 나.내벽 <건물내부 (2) 보드류 (3) 타일 붙이기 (4) 벽지 (5) 수성도료칠 (6) 유성도료칠 (7) 합성수지도료칠 >. 물량산출범위 -. 건물내부의 옆 면적을 산출한다. >. 참 고 사 항 -. 복도, 노인정, 관리사무동, 경비실 등의 공동시설물의 옆면적 >. 참 고 도 면 -. 각 부분의 계단상세도

19 2. 다.바닥 <건물내부 (1) 모르타르 마감 (2) 타일 붙이기 (3) 인조석 깔기 (4) 마루널 깔기 (5) 아스타일류 깔기 >. 물량산출범위 -. 건물내부의 천장 면적을 산출한다. -. 건물내부의 바닥 면적은 천장과 동일합니다. >. 참 고 사 항 -. 복도, 노인정, 관리사무동, 경비실 등의 공동시설물의 천장 >. 참 고 도 면 -. 각 부분의 계단상세도

20 2. 라.내부창.문 <건물내부 (1) 알루미늄창 ․ 문 (2) 목재창 ․ 문 >. 물량산출범위 -. 공동시설에 설치되어있는 창문의 수 및 크기 >. 참 고 도 면 -. 창호상세도 참조

21 2. 라.계단 <건물내부 (2) 모르타르 마감 (3) 바닥아스타일 깔기 >. 건물의 계단부분의 면적을 산출(계단과 건물내부를 구분) -. 각 부분의 계단상세도 (4) 계단논슬립 >. 총 층의 수에 1층의 계단의 수와 논슬립의 길이를 -. 계단상세도 (5) 철제난간 (6) 스테인레스난간 >. 난간의 한 변의 길이. >. 총층의 수에 1층 난간의 길이를 곱. -. 계단의 스텐난간(철제난간도 스텐으로 입력) (7) 유성페인트칠 >. 칠하고자는 부분의 면적(㎡)[출입문․창문등의 테두리 등] -. 창호상세도 참조

22 4. 가. 급수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4. 가. 급수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1) 급수펌프 >. 물량산출범위 -. 펌프의 용량(HP)별 대수 >. 참 고 도 면 -. 장비일람표(설비) -. M. C. C. 결선도(전기) (2) 고가수조(철판, 콘크리트) (3) 고가수조(STS, 합성수지) -. 종류별 탱크의 용량별 수량 -. 장비일람표(설비)

23 4. 가. 급수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4. 가. 급수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4) 급수관(강관) (5) 급수관(동관, 합성수지관) >. 기본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한 수와 공동구의 총 길이 >. 추가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할 때 도면을 참조하여 배수를 곱하여야 합니다. (세대에 올라가는 관의 수가 여러개 일수 있고, 층고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배수를 하여야 합니다. ) >. 참 고 도 면 -. 동별 급수배관 계통도 -. 단지 급수배관 흐름도 -. 옥외 공동구 관로도 (6) 유량계 >. 물량산출범위 -. 메인 계량기는 1개입니다. -. 단지의 총 세대수 -. 세대계량기의 수선이 필요한 경우만 선택하여 세대수를 입력.

24 4. 나. 가스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4. 나. 가스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1) 배관 >. 물량산출범위 -. 기본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한 수 >. 참 고 도 면 -. 옥외가스배관평면도(설비) -. 가스배관계통도 (2) 가스콕크[가스입상밸브(주강)] -. 밸브의 종류별 수

25 4. 다. 배수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4. 다. 배수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1) 펌프 >. 펌프의 용량(HP)별 대수 -. 장비일람표(설비) -. M. C. C. 결선도(전기) (2) 배수관(강관) (3) 오배수관(주철) (4) 오배수관(PVC) >. 기본 : 세대별 배수관&오수관의 수에 층고를 곱한 수 >. 공동 : 공동구의 총 길이 -. 기본(입상)과 공동의 합의 수 >. 참 고 사 항 -. 최근 공사한 단지는 공사 단가를 근거로 역계산. >. 참 고 도 면 -. 단위세대 배수 배제 배관 계통도(입상) -. 단위세대 위생 배관 평면도(입상)

26 4. 라. 위생기구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4. 라. 위생기구설비 <급수·위생·가스 및 환기설비 (1) 대변기 (2) 소변기 (3) 세면기 (4) 수세기 (5) 세탁조 (6) 경사싱크 >. 물량산출범위 -. 공동 구역에 설치 된 수량 >. 참 고 사 항 -. 노인정, 관리사무소, 경비실 참조

27 5. 가. 난방설비 <난방 및 급탕설비 (1) 보일러 >. 보일러의 종류별(노통연관식, 수관식), 용량별 및 설치 대수 -. 장비일람표(설비) (2) 급수탱크 >. 재질의 종류별, 용량별의 수 (3) 보일러수관 >. 보일러의 종류별, 용량별의 수 (4) 난방순환펌프 (5) 유류저장탱크 >. 종류 및 용량별의 수

28 5. 가. 난방설비 <난방 및 급탕설비 (6) 난방관(강관) (7) 난방관(동관) (8) 난방관(XL, PVC관) >. 기본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한 수와 공동구의 총 길이 >. 추가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할 때 도면을 참조하여 배수를 곱하여야 합니다. (세대에 올라가는 관의 수가 여러개 일 수 있고, 층고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배수를 하여야 합니다. ) >. 참 고 사 항 -. 최근 공사한 단지는 공사 단가를 근거로 역계산. >. 참 고 도 면 -. 동별 난방배관 계통도 -. 단지 난방배관 흐름도 -. 옥외 공동구 관로도 (9) 자동제어 기기 >. 세대에 설치되어 있는 수량

29 5. 나. 급탕설비 <난방 및 급탕설비 (1) 순환펌프 (2) 급탕조 >. 종류 및 용량별 및 수 -. 장비일람표(설비) (3) 급탕관(강관) (4) 급탕관(동관) >. 기본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한 수와 공동구의 총 길이 >. 추가 : 총세대수에 층고를 곱할 때 도면을 참조하여 배수를 곱하여야 합니다. (세대에 올라가는 관의 수가 여러개 일 수 있고, 층고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배수를 하여야 합니다. ) >. 참 고 사 항 -. 최근 공사한 단지는 공사 단가를 근거로 역계산. >. 참 고 도 면 -. 동별 급탕배관 계통도 -. 단지 급탕배관 흐름도 -. 옥외 공동구 관로도

30 6. 옥외 부대시설 및 옥외 복리시설 (1) 콘크리트포장 (2) 아스팔트포장 >. 공사부분의 면적(㎡)을 산출한다. -. 설계개요, 단지배치도 등 (4) 울타리 >. 설치되어 있는 곳의 총 길이(기성품사용) (5) 어린이놀이터시설 >. 놀이시설의 수 -. 종합놀이기구 1셋트를 설치하는 기준으로 한다. 다른 부대시설을 할 경우에는 금액 또는 비고란에 기입요망 -. 어린이놀이터(조경)

31 6. 옥외 부대시설 및 옥외 복리시설 (6) 보도블록 >. 공사부분의 면적(㎡)을 산출한다. -. 설계개요, 단지배치도 등 (7) 정화조 >. 물량산출범위 -. 종류별(폭기조, 방류조)-. 하수의 하루 처리용량 -. 정화조기계장비목록표 (8) 배수로 및 맨홀 >. 종류(원형, 사각형)별 수량 -. 우수계획평면도, 오수계획평면도 (9) 공동구, 저수조 방수


Download ppt "3. 가. 예비전원(자가발전) 설비 <전기·소화 및 승강기 설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