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회문제론 제 2 장. 사회문제의 이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회문제론 제 2 장. 사회문제의 이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회문제론 제 2 장. 사회문제의 이론

2 오늘의 OX 퀴즈 1. 규칙이 약해지거나 서로 갈등관계에 빠지게 되면, 사회는 무규범(아노미) 상태에 놓이게 될 때 사회해체가 일어난다고 한다. 그리고 이를 사회해체론이라고 할 수 있다.( ) 2. 네오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사회의 잡다한 사회문제의 사회심리학적ㆍ사회학적 원인에만 초점을 둔 기존의 사회문제이론들이 자본주의 국가를 무시하거나 부적절하게 취급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 3. 상호작용의 기초가 되는 사회화 과정(socialization process) 을 중시 하는 것을 상징적 상호주의라고 한다.( )

3 목차 구조기능주의 관점 01 갈등주의 관점 02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 03

4 1. 구조기능주의 관점 1) 구조기능주의이론 구조기능주의이론(structural-functional theory) 에 의하면, 사회는 서로 연관된 부분의 체계(system)로서 각 부분은 조화를 이루고 있고, 하나의 전체로서 균형(equilibrium)을 유지한다. 구조기능주의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은 기능이다. ‘기능적’(functional)이란 사회의 한 부분이 전체 사회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사회안정을 해친다면 ‘역기능적’(dysfunctional)이란 평가를 받는다. 기능은 현재적 기능(manifest function) 과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 으로 구분된다. 현재적 기능이란 의도적이고 명시적인 기능을 말하고, 잠재적 기능은 의도되지 않거나 숨겨진 기능을 말한다.

5 1. 구조기능주의 관점 2) 사회병리학 사회병리학에서는 사회를 유기체에 비유하여 사회문제를 사회라는 유기체 내의 병리적 현상, 즉 생물체의 병과 같은 비정상적인 존재(abnormalities)로 간주한다. 사회의 한 부분(사회구조와 문화의 한 부분) 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사회가 병에 걸리는데, 이것이 사회문제이다. 쉽게 말해서 알코올중독, 범죄, 비행, 약물중독, 정신질환 등의 사회문제는 마음과 육신, 영혼이 병든 상태, 즉 사회적 질병(social disease) 이다.

6 1. 구조기능주의 관점 3) 사회해체론 사회해체론에 의하면, 사회적 규칙은 급격한 사회변동에 의해 붕괴된다. 규칙이 약해지거나 서로 갈등관계에 빠지게 되면, 사회는 무규범(아노미) 상태에 놓이게 된다. 사회적 규칙(social rules) 이 없으면 행동지침도 없다. 사회생활에서의 예측 가능성은 사회적 규칙에 달려 있다. 사회질서는 사회적 규칙에 대한 합의를 요구한다. 관념과 실제 행동은 일치되어야 하며, 이는 질서유지에 대단히 중요하다. 관념과 실제 행동이 일치하지 않게 되고 또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사회문제가 발생한다.

7 1. 구조기능주의 관점 4) 일탈행위론 사회적 규범으로부터의 이탈이란 문화와 사회조직 간의 긴장상태(states of tension) 에 대한 개인의 반응 또는 패턴화한 적응양식을 뜻한다. 인종차별 상황(긴장상태)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돈과 명예) 을 얻기 위해 불법적인 행위(약물남용이나 성매매) 라도 마다하지 않는 생활태도가 그것이다. 일탈행위는 퍼스낼리티의 한 속성이라기보다는 역할(roles)의 한 속성이다. 일탈 행위도 하나의 역할인 것이다. 주어진 행위는 주어진 조건하에서만 이루어진다. 그래서 조건이 변하면 행위도 변한다. 일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의 일차 집단(primary group) 에 가입해야만 가능하다.

8 2. 갈등주의 관점 1) 갈등주의이론 갈등주의이론(conflict theory) 은 사회는 서로 이해관계가 다른 집단들이 권력과 자원을 놓고 경합하는 것으로 본다 경제적 불평등이 야기하는 사회적 갈등에 초점을 두는 네오마르크스주의 갈등이론(neo-Marxist conflict theory) 과 사회집단 간의 가치와 이해 관계의 경쟁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에 초점을 두는 가치갈등론이 있다.

9 2. 갈등주의 관점 2) 네오마르크스주의 갈등이론 네오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사회의 잡다한 사회문제의 사회심리학적ㆍ사회학적 원인에만 초점을 둔 기존의 사회문제이론들이 자본주의 국가를 무시하거나 부적절하게 취급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중요한 것은 제반 원인보다는 문제로 규정되는 과정, 즉 범죄통제 메커니즘의 정치경제학적 본질(자본주의 생산양식, 계급구조, 권력관계) 이라고 주장했다.

10 2. 갈등주의 관점 2) 네오마르크스주의 갈등이론 미국 사회는 고도의 자본주의경제에 기초하고 있다.
국가는 경제적 지배계급, 즉 자본주의 지배계급의 이익에 봉사하도록 조직된다. 형법은 국가와 지배계급이 기존의 사회경제 질서를 유지하고 영속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다. 자본주의사회의 범죄통제는 지배계급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부 엘리트가 설립ㆍ운영하는 각종 제도와 기관이 국내 질서 유지를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 심화된 자본주의 모순은 모든 수단, 특히 강제적이고 폭력적인 법체계를 동원해 종속계급을 계속적으로 억압한다. 자본주의사회의 붕괴와 사회주의 원칙에 기초된 새로운 사회의 건설에 의해서만 범죄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11 2. 갈등주의 관점 3) 가치갈등론 가치 갈등론(value conflict theory) 은 비마르크스주의적인 갈등이론이다. 가치갈등 론은 사회집단의 가치와 이해관계의 경합 때문에 사회갈등이 발생한다고 주장한 Dahrendorf(1959)의 갈등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가치 갈등론에 의하면, 사회문제는 가치 간의 상호충돌 또는 불일치 현상이다. 사회의 다양한 집단은 서로 다른 이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호 적대적이다. 가치 갈등론은 가치갈등 상황을 사회문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당연하다고 본다. 가치 갈등론자들은 대중 연설가나 작가처럼 가치갈등 상황을 폭로하기 위해 노력한다. 가치갈등을 느끼는 개인보다는 집단을 중시한다.

12 3.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 1) 상징적 상호작용론
거시적인 사회구조보다는 개인 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중시하며, 개인의 행위를 개인의 사회적 관계의 산물로 간주한다 상호작용의 기초가 되는 사회화 과정(socialization process) 을 중시 한다.

13 3.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 2) 낙인이론 낙인이론은 어떤 행위가 문제로 규정되어 가는 과정(process)을 중시한다.
낙인이론은 사회문제에 대한 실증주의적 접근인 일탈이론을 거부하고, 일탈행위 자체보다는 사회적 법규를 위반한 개인에 가해지는 사회적 반응과 거기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주목한다. 일차적 일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 최초의 일탈행위이다. 이차적 일탈은 일탈행위자 자신이 일탈로 인정하고, 사회도 이에 대해 범법행위라고 반응한 결과로서의 일탈이다. 일차적 일탈보다 심각한 문제인 경우가 많다.

14 3.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 2) 낙인이론 사회문제는 사회적 규정의 결과이다.
사회통제는 사회문제를 규정하고, 창조하며, 유지한다. 사회통제도 사회적 규정에 따른다. 이런 규정은 힘을 가진 존재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단 어떤 문제가 사회문제로 규정이 되면, 해결책은 두 가지밖에 없다. 하나는 그것을 사회문제가 아니라고 규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문제를 규정하는 자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15 감사합니다. 다음강의 chapter 03. 제3장_ 사회통제와 사회복지


Download ppt "사회문제론 제 2 장. 사회문제의 이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