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쌍화점 -男女相悅之詞- 고전문학과 한국문화교육 변승구 교수님 국어 국문학과 0826033 이호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쌍화점 -男女相悅之詞- 고전문학과 한국문화교육 변승구 교수님 국어 국문학과 0826033 이호진."— Presentation transcript:

1 쌍화점 -男女相悅之詞- 고전문학과 한국문화교육 변승구 교수님 국어 국문학과 이호진

2 목차 1.작가소개 & 작가분석 2.쌍화점 작품분석 3.쌍화점 다시쓰기 4. 쌍화점 현대적 가치와 의의 5. 결어 6. 참고문헌
7. Q&A

3 1.작가소개& 작가분석

4 작가소개& 작가분석 ▶ 작자 : 미상 ▶ 장르 : 고려 가요 ≪악장가사≫≪고려사≫에 수록 ▶ 연대 : 고려 충렬왕 대
▶ 형식 : 4연시, 반복후렴구

5 2.쌍화점 작품분석

6 쌍화점이란? 쌍화점은 ‘만두가게’를 의미하는 것 ‘쌍화’는 만두를 뜻하는 음차의 말

7 쌍화점 작품소개 만두집에 만두 사러 갔더니만 회회(몽고인) 아비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가게 밖에 나며 들며 하면
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새끼 광대 네 말이라 하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위 위 다로러 거디러 다로러 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난잡한 곳이 없다) 삼장사에 불을 켜러 갔더니만 그 절 지주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이 절 밖에 나며 들며 하면 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새끼 상좌 네 말이라 하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난잡한 곳이 없다) 쌍화점 작품소개

8 쌍화점 작품소개 두레 우물에 물을 길러 갔더니만 우물 용이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우물 밖에 나며 들며 하면
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두레박아 네 말이라 하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난잡한 곳이 없다) 술 파는 집에 술을 사러 갔더니만 그 집 아비 내 손목을 쥐더이다. 이 소문이 이 집 밖에 나며 들며 하면 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시궁 박아지야 네 말이라 하리라 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난잡한 곳이 없다) 쌍화점 작품소개

9 쌍화점 해석 1연: ‘쌍화점’ 만두집에서 일어난 일 이 소문이 가게 밖으로 떠돌면 새끼 광대 너가 퍼트린 것으로 알겠다라 함
1연: ‘쌍화점’ 만두집에서 일어난 일 이 소문이 가게 밖으로 떠돌면 새끼 광대 너가 퍼트린 것으로 알겠다라 함 ※ 회화아비☞ ‘원’나라를 상징, 원을 통한 윤리의식의 퇴락을 보여줌 2연: ‘삼장사’ 절간에 불밝히러 갔다 일어난 일 이 소문이 절간 밖으로 나가게 되면 어린중 너가 퍼트린 것으로 알겠다라 함 ※ 절간 주지☞ ‘절’ 불교는 고려의 국교. 즉, 종교의 퇴락을 보여줌

10 3연: 두레박으로 푸는 우물에 물을 길러갔다 일어난일 이 소문이 우물 밖에 떠돌면 조그마한 두레박
너가 퍼트린 것으로 알겠다라 함 ※우물의 용 ☞ 왕(王)을 상징 왕의 퇴폐을 보여줌 4연: 술파는 집에 술을 사러갔는데 일어난일 이 소문이 이 집밖에 떠돌면 조그마한 술구기(시궁박) 너가 퍼뜨린 것으로 알겠다라 함 ※ 그 집 아비- 백성을 상징, 백성의 타락을 보여줌 어린요소를 두어 사회상을 풍자 어린 광대 술구기 두레박 어린 중

11 쌍화점해석 1연 반복적인 형식이 주는 효과? 2연 3연 4연 불교의 타락 왕의 타락 백성의 타락 원의간섭으로 인한 타락
나라의 전체가 음탕하고 타락했음을 풍자함

12 쌍화점의 후렴구 그 자리에 나도 자러가겠다 그잔데 같이 답답한 곳은 없다
일방적인 성적관계에 대한 비판보다는 성적 욕구의 충족이라는 점이 강조되는 부분 그 자리에 나도 자러가겠다 우울하고 답답한 것: 화자의 하소연 할 곳 없는 상태표현 거칠고 지저분한 것: 동침한 곳(쌍화점, 절, 우물, 술집) 무성하고 울창한 것: 무성하고 아늑하여 둘러싸이는 기분을 느끼게 할 만큼 성적 체험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 그잔데 같이 답답한 곳은 없다 더러둥셩은 흥겨운 느낌(흥분) 주는 소리어울림 다리러디러,다리러디러 부분은 아가씨의 허벅지 다리가 비비꼬이고 있는 선감을 받게함(빈정거림의 표현) 다로러,거디러,다로러는 ‘다로러’는 희맑은 아가씨의 허벅지 다리가 가벼운 리듬으로 비비꼬는 느낌 ‘거디러’ 는 사나이 다리로 어지럽게 비비꼬이고 있는 느낌을 묘사 1.더러둥셩,2.다리러디러,다리러디러,3.다로러,거디러,다로러

13 ‘을녀’의 등장 - 당시 혼란스런 사회상의 결과체
쌍화점에 나오는 ‘두여자’에 대한 해석 갑녀 을녀 ⑴침해자를 좋아하지 않는다. ⑴침해자를 좋아한다. ⑵자아, 공동체가 불가항력의 힘을 가함. ⑵자아, 공동체의 분노를 무릅쓸 각오를 한다. ⑶자의(自意)에 대한 행위가 아니다. ⑶자의(自意)에 대한 행위이다. ‘을녀’의 등장 - 당시 혼란스런 사회상의 결과체

14 3. 쌍화점 다시쓰기 <정세가 政勢假 >

15 정세가 (政勢假) 정치 판세에 표 던지러 갔더니만 한 여인이 한남자의 종이를 쥐더이다. 이 소문이 집 밖에 나게 되면
그 여인 서 있을 자리 없으리라 어떤 것이 진실이고 어떤 것이 거짓인지 나는 알지 못하지만 그 여인은 진실을 알고 있겠지 그 진실 나도 알아보러 가리다.

16 4. 쌍화점 현대적가치와 의의

17 쌍화점 현대적 가치와 의의 -고려가요 ’쌍화점’의 모티브를 가져와 쌍화점을 재해석한 영화 ‘쌍화점’

18 쌍화점의 가요가 재해석되어 국악뮤지컬으로 발전 <LA포드 시어터>의 무대를 시작으로 각색되어 무대에 오름.

19 5. 결론

20 결론 ◆ 성격 및 갈래 : 고려속요. 남녀상열지사(음사)
◆ 시적 상황 : 만두 가게 주인, 절의 주지, 우물의 용, 술집 주인 등과 애정 행각을 벌임 ◆ 표현 : 상징과 은유, 풍자적 수법을 사용하여 당대의 퇴폐적 성 윤리 의식을 표현함 ◆ 주제 : 부도덕한 인간의 윤리 풍자, 남녀간의 애정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유녀의 노래 ◆ 문학사적 의의 : <이상곡>, <만전춘>과 더불어 고려시대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작, 연대가 알려진 유일한 고려가요 ◆ 현대가치적의의: 타락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도 탄생한 인간 본연의 자유로의 갈망을 대변하는 작품이며, 부패한 사회현실에서도 이를 풍자함으로써 나라에 대한 올바른 시선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 방탕한 기질이 있는 충렬왕을 위해 지어진 노래로써 당시의 군신들이 얼마나 퇴폐적이고 향락적인지를 살펴 있음

21 참고문헌 김쾌덕- 「 쌍화점의 형성 배경과 내용 특성 」 姜晳中,「<쌍화점> 小考 」 「 한국고전시가 작품론 1 」
朴魯埻 , 「 쌍화점의 재조명 」 고전문학과 한국문학교육 교과서 참고

22 Q&A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쌍화점 -男女相悅之詞- 고전문학과 한국문화교육 변승구 교수님 국어 국문학과 0826033 이호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