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Linguistics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언어습득론 1.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Linguistics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언어습득론 1."— Presentation transcript:

1 Linguistics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언어습득론 1

2 2 1. Definitions of L1 & L2  모국어 Definition of “first language” (L1)  제 2 언어 Definition of “second language” (L2)

3 Hemispheric lateralization( 반구 편중화 ) 3 : 인간의 두뇌가 성숙해짐에 따라 특정한 기능이 뇌 의 좌반구와 우반구에 편중되어 형성됨 ①우반구 : 정서적, 사회적 욕구와 관련된 기능 통제 / 좌반구 : 지적, 논리적, 분석적 기능 통제 ②이러한 현상이 언제 발생하며 어떤 영향을 미치 는가 ? → Eric: 2 살 경 시작, 사춘기 쯤 끝 → Thomas: 반구 편중과 제 2 언어 습득 관계 제시 → Krashen: 반구편중이 5 살까지 완성된다고 봄

4 Right-hemispheric participation( 우반구의 참여 ) 4 ① Obler: 제 2 언어 습득 시 우반구의 참여가 중요 → 특히 제 2 언어 습득 초기단계에 활발 ex. 의미추측, 전략과 관용적 표현의 사용 ② Genesee: 우반구가 초기언어 습득이 아닌 복잡한 언어처리 과정의 형태로 관여한다는 주장 ③우반구의 역할 : 종합적 처리 능력 → 어릴 때 유리하지만 사춘기가 지난다고 해서 작 동이 아예 멈추는 것은 아님

5 Biological timetables( 생물학적 일정표 ) 5 ① Thomas Scovel: Sociobiological critical period → 사회적으로 관련 있는 억양이 사춘기에 발달한 다고 봄 ② Walsh, Diller: 제 2 언어의 다양한 면들은 각각 다른 시기에 가장 잘 습득된다 ex. 단어 암기 - 성인이 더 유리

6 Anthropological evidence( 인류학적 증거 ) 6 ① Sorenson: Tukano 족의 경우 사춘기 이후에도 진정성 있는 발음 성취함 ( 족외혼 때문 ) ② Jane Hill: 성인들이 제 2 언어를 완벽하게 습득할 수 있 는 증거를 보여준 비서구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③ Flege, Morris&Gestman: 어린이가 가지는 이점 설명 → 동기와 정의적 · 사회적 요인, input 의 질 강조 ④ Moyer: 인지적, 사회적, 정신적, 전략적 변인 강조

7 정통 외국어 음운 구사력의 습득에 관한 연 구 7 : 사춘기 이후의 연령층은 제 2 언어 습득에 있어서 소위 원어민과 같은 발음을 습득할 수 없다 2.Accent 보다 중요한 요인 多 ①결정적 시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악센트에만 국한 됨 ②악센트가 완벽하지 않아도 원어민보다 뛰어난 제 2 언어 구사력을 가진 사람들도 많다 → Arnold Schwarzenegger Effect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다언어 능력에 초점을 맞추자 !

8 Piaget: 어린이의 지적 발달과정 단계 8 ① sensorimotor stage( 감각운동기 ):0~2 세 ② preoperational stage( 전조작기 ):2~7 세 ③ operational stage( 조작기 ):7~16 세 ⅰ.concrete operational stage( 구체적 조작기 ):7~11 세 ⅱ.formal operational stage( 형식적 조작기 ):11~16 세 2.A watched pot never boils : 언어습득을 너무 의식적으로 본다면 몰입, 집중 어 려움 → 의식적이지 않은 어린이가 유리한 이유

9 Equilibration( 균형화, 평형이론 ) 9 : 지식을 단계별로 점차적으로 내적으로 조직화하는 과 정 즉, “ 의심 · 불확실 → 해결 · 확실 → 더 큰 의심 ” 반복 4.Robert Dekeyser: 암시적 학습에서 어린이의 우월성 발 견 (Bialystok 이 이의제기 ) 5.Ausubel 의 유의적 학습과 기계적 학습의 구분 :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이 현존하는 지식, 경험과 관계 없이 단순 · 기계적 학습은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 → 우수성의 원인은 나이가 아니라 학습환경에 있다

10 Bilingualism( 이중언어 사용 ) 10 ① Coordinate bilingual( 등위 이중언어 사용 ) : 상이한 L1 과 L2 의미체계에서 L2 습득, 궁극적 목 표 ② Compound bilingual( 복합 이중언어 사용 ) : L1 과 L2 를 하나의 공통된 의미체계 내에서 습득 → 조기 이중언어 사용이 인지적으로 매우 유리함 → 가능한 한 언어 수업은 목표어로 진행하는 것이 좋음 2.Inter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language : 성인 L2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의 간섭현상多

11 Total Physical Response( 전신 반응 교수법, TPR) 11 ① James Asher: 아동은 언어습득에 있어 말하기 전에 듣고 반응하는 것이 많다 → 교사 = 감독자 / 학습자 = 배우 ②명령법 사용 多 ( 학습자가 움직임으로써 긴장 ↓ ) ③한계 : 학습자의 언어수준이 높아지면 학습효과 감소, 적극적이지 않은 학생에게 효과 ↓, 정확한 언어교 수 힘듦 ⇒오늘날 class activity 로써 많이 활용된다

12 The natural approach( 자연 접근법 ) 12 ① Krashen 의 이론 → Tracy Terrell 이 발달시킴 ②학습자들이 긴장을 풀고, 많은 양의 의사소통과 언어 습득이 이루어져야 한다 ③ comprehensible input=i+1 ( 이해 가능한 입력 ) ④ silent period( 침묵기 ): 입력을 충분히 받아들이는 동 안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 intake 의 과정 → 학습자의 자발적 발화가 이뤄지지 않고 침묵기가 계 속된다면 ? 교사의 효과적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 지나 ?

13 2.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 SLA 연구의 시작 & 언어학습 이론의 변천 1. 행동주의 (Behaviorism) 2. 생득주의 (Innatism) 3. 인지주의 (Cognitivism) 4. 구성주의 (Constructivism) 13

14 3. 보편 문법 ( Universal Grammar; UG)  3.1 Chomsky 의 보편 문법 이론 (Universal Grammar)  언어 습득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이론  인간의 언어 습득 능력은 타고 나는 것  언어 습득 장치 Language Acquisition Device  Questions  보편 문법이 기본적으로 언어 습득을 어떻게 설명할까 ?  보편 문법을 구성하는 두 가지 축은 무엇인가 ?  원리 (principle) 와 패러미터 (parameter) 14

15 언어습득장치 (Language Acquisition Device ; LAD)  Noam Chomsky 가 처음으로 LAD 의 존재를 주장  사람은 언어를 습득하기 위한 “ 내재적 기능 ” 을 타고난다.  LAD 란 ?  우리 두뇌의 어떤 한 부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습득을 위한 장치  아이가 언어를 습득하고 산출할 수 있도록 돕는 본능적이고 정신적인 능력  LAD: ‘a little tiny blackbox’  LAD 안에는 보편문법인 UG 가 내재되어 있다. 15

16 3.1 보편문법과 언어습득  사람들이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나는 언어 능력  If not?  주위에서 보고 듣는 입력만으로 어떻게 인간의 언어 처럼 복잡한 능력을 습득할 수 있을까 ?  자극의 빈곤 (Poverty of the stimulus)  언어지식은 인간이 받는 입력에서 넘어선다. 16

17 Wug Test (1958) 촘스키의 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이 론을 지지하는 근거 17

18 3.1 보편문법과 언어습득  언어능력 (Competence)  * 화자 / 청자가 가진 기저 언어 지식  언어수행 (Performance)  * 화자 / 청자의 실제 언어 사용 18

19 모국어 습득과 보편문법의 작용  모국어 습득  보편 문법이 작용한다.  선천적으로 타고난 듯한 인간의 언어 능력  보편문법  모든 가능한 인간의 언어에는 모두 동일한 보편적인 문법 이 있다.  대부분의 언어  주어, 목적어, 동사  UG 안에는 언어 습득에 있어 매개 변수를 조절하는 기능 을 하는 P&P (Principles and parameters) 가 있다. 19

20 3.2 원리 (Principles)  언어 습득의 주요 관심  원리 (Principles) 와 매개변항 ( Parameters) 에 집중  원리 (Principles)  사람이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나는 언어 능력의 일부 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추상적인 규칙의 집합 20

21 3.3 매개변항 ( 변수 ) (Parameters)  매개변항 (Parameters)  각 언어마다 차이점을 가져 오는 것은 매개변항의 작용  모국어의 입력을 접하게 되면서 정해진 패러미터의 값을 습득하게 되는 것  Principle ( 원리, 규칙 ) 은 절대 변하지 않는 반면 Parameters( 매개 변수 ) 는 스위치처럼 변하게 할 수 있다.  매개변항의 선택 값 : (+) 혹은 (-) 21

22 3.3 매개변항 ( 변수 ) (Parameterss)  예 : 한국어  철수는 영희를 사랑한다  문장순서는 주어 + 목적어 + 동사  UG 의 구성요소인 P&P 에서 Parameter( 매개변수 ) 가 스위치처럼 한번 걸러낸 결과물 주어 + 동사 + 목적어 (-) 주어 + 목적어 + 동사 (+) 동사 + 주어 + 목적어 (-) 동사 + 목적어 + 주어 (-) 목적어 + 주어 + 동사 (-) 목적어 + 동사 + 주어 (-) 22

23 3.3 매개변항 ( 변수 ) (Parameters)  예 : 영어  John loves Mary.  문장순서는 주어 + 동사 + 목적어  UG 의 구성요소인 P&P 에서 Parameter( 매개변수 ) 가 스위치처럼 한번 걸러낸 결과물 주어 + 동사 + 목적어 (+) 주어 + 목적어 + 동사 (-) 동사 + 주어 + 목적어 (-) 동사 + 목적어 + 주어 (-) 목적어 + 주어 + 동사 (-) 목적어 + 동사 + 주어 (-) 23

24 24

25 3.4 보편문법과 제 2 언어 습득  제 2 언어 및 외국어의 습득의 경우에 보편문법이 작용할까 ?  근본적 차이 가설 (Fundamental Difference Hypothesis: FDH) 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습득은 근본적으로 많은 차이점 존재  보편 문법이 작용하지 않는다. 25

26 3.4 보편문법과 제 2 언어 습득  근본적 차이 가설  (Fundamental Difference Hypothesis: FDH)  모국어 습득의 경우와 달리 외국어 습득은 거의 대부분 완전한 모국어 수준으로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2. 화석화 (fossilization ) 현상 3. 외국어 습득은 학습자들이 도달하는 수준이 모두 다르 다. 26

27 3.4 보편문법과 제 2 언어 습득  Mitchell 과 Myers(1998): 보편 문법과 외국어 습득의 관 계  No access hypothesis  Full access hypothesis  Indirect access hypothesis  Partial access hypothesis 보편 문법이 작용을 하지 않을 것 모국어 습득에서와는 다른 양상으로 작용을 할 것 학습자가 이미 습득한 모국어가 영향을 미칠 것 27

28 Mitchell 과 Myers(1998): 보편 문법과 외국어 습득의 관 계 No access hypothesis Full access hypothesis  사람의 일반적인 인지 작용에 의한 문제 해결 능력 등이 작용  보편 문법은 아무런 역할도 하 지 않는다.  많은 실험 연구들이 보편 문법 의 원리나 패러미터들이 제 2 언 어 습득의 과정에는 개입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제시  모국어 습득과 마찬가지로 제 2 언 어 습득에 있어서 보편 문법이 절대 적으로 작용  결정적 시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모국어 습득은 물론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도 보편 문법은 작용한다. 28

29 Mitchell 과 Myers(1998): 보편 문법과 외국어 습득의 관 계 Indirect access hypothesis Partial access hypothesis  모국어 습득 시에 한번 적용이 된 원리와 매개변항을 제 2 언어 습득에 또 다시 적용할 수 있다.  제 2 언어가 학습자의 모국어와 관련이 없는 원리나 매개변항과 전혀 다른 경우 ?  보편 문법이 작용한다기보다는  일반적인 문제 해결 능력 등의 인 지적 작용에 의하여 습득이 이루 어진다.  모국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리나 패러미터  어떤 것들은 외국어 습득 과정에서 작동을 하나  어떤 것들은 또 전혀 습득을 하지 못함. 29

30 4. 모국어의 역할 (Role of Native Language)  4.1 대조분석 가설  4.2 오류분석  4.3 학습자 언어 30

31 4. 모국어의 역할 (Role of Native Language) 4.1 대조분석 가설 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모국어의 역할을 가장 먼저 체계적 으로 언급  모국어 : 외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가장 큰 원인 31 나는 장미를 좋아한다 I roses like  모국어가 외국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 나는 장미를 좋아한다 I roses like  모국어가 외국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

32  모국어의 전이 현상  외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연구  모국어의 학습 경험은 외국어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 촉진 (facilitation) & 간섭 (Interference)  촉진 : 모국어의 학습 경험이 외국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 긍정적 전 이  간섭 : 학습에 방해가 되는 부정적 전이 32

33 구조의 동일성 ⇒ 긍정적 전이 ⇒ 용이한 습득 ⇒ 정확한 제 2 언어 발화 ( 규범적 언어사용 ) 구조의 상이성 ⇒ 부정적 전이 ⇒ 난이한 습득 ⇒ 부정확한 제 2 언어발화 ( 오류의 발생 ) 구조의 동일성 ⇒ 긍정적 전이 ⇒ 용이한 습득 ⇒ 정확한 제 2 언어 발화 ( 규범적 언어사용 ) 구조의 상이성 ⇒ 부정적 전이 ⇒ 난이한 습득 ⇒ 부정확한 제 2 언어발화 ( 오류의 발생 ) 33

34 4.1 대조분석 (Contrastive Analysis) 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모국어의 촉진 및 간섭 작용을 학습에 이용하고 자 하는 이론  심리학적으로는 학습의 전이를 주장하는 행동주의에 바탕  언어학적으로는 구조주의에 근거  언어 : 소리, 음운, 문법 구조들의 집합  구조주의  모든 언어들을 분석하여 대조  모국어와 외국어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모두 찾아냄.  외국어 학습자들이 겪게 될 모든 어려움을 예측 가능  교사 : 모국어와 외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구조 등을 대조 : 유사한 것들은 학습자들이 쉽게 습득을 하는 것들이므로 가르치지 않아도 됨 : 차이가 나는 것들은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 34

35 4.1 대조분석 (Contrastive Analysis)  제 2 언어습득의 난점  제 2 언어의 특성에 있지 않고 제 1 언어 특성의 영향에 있다  모국어 간섭현상에서 오는 어려움  비판  오직 언어학적 바탕과 행동주의 이론에만 입각하였다.  제 1 언어 전이 및 간섭이 지나치게 압도적 역할을 한다.  외국어학습에서의 비언어적 요소들을 등한시했다. 35


Download ppt "Linguistics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언어습득론 1."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