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3)청산별곡.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3)청산별곡."— Presentation transcript:

1 (3)청산별곡

2 학습목표 시어의 의미를 이해하며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고려 가요에서 민요적 전통과 관련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3 미리 생각하기 1.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나타난다. -3음보의 율격이 나타난다.
-거의 모든 작품에 후렴구가 있으며, 후렴구에는 음악성이 나타난다 2. 산이나 바다 같은 속세의 삶을 벗어난 자연 무릉도원이나 용궁 같은 추상적이고 환상적인 공간 무인도나 율도국 같은 육지에서 떨어진 섬

4 ☆. 고려 속요란? ☆ 1. 속요의 개념 및 명칭 고려 시대에 평민들이 부르던 노래여서 통상 ‘고려 속요’라 부른다. 달리 ‘고려 가요(高麗歌謠)’ 또는 ‘고속가(古俗歌)’, ‘장가(長歌)’,’여요(麗謠)’라고 부른다 .

5 2 형성: - 민요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 구전되어 오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했다. - 향가가 쇠퇴하면서 귀족층의 漢文學이 고려의 문학을 이끌어 가게 되자 평민층에서 새로이 나타난 노래가 고려 가요인 것이다. -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문자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라고 하여 개작 또는 삭제되어 현재 전하는 것은< 악학궤범>에 4편, <악장가사>에 8편, <시용향악보>에 위 두 책에 없는 것으로서 2편이 전한다.

6 ‘속요’의 특징 1. 배경 : 평민들이 향유한 평민문학 (당시의 사회상이 잘 반영됨. 구전되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문자로 정착되었기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 2. 형식 : 대부분 연시(聯詩) - 분장체(分章體) 3․3․2조, 3․3․4조 4․4․4조 등(후렴구 가짐)  3. 내용 : 현세적 / 향락적 / 남녀간의 솔직한 애정. 4. 표현기교의 특징 : 3음보가 주조를 이룸. 음운의 교묘한 배합, 유음과 유성음의 조화, 동음이나 첩어의 반복 등 비유법과 상징법 구사 .

7 살리 살리랏다, 靑山에 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靑山에 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8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래 살어리랏다.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짐ㅅ대예 올아셔 奚琴(금)을 혀거 드로라. 가다니 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리잇고.

9 ☆.작품 해제☆ 작자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로 순 우리말로 된 시가이다.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 성종 이후 한글로 정착됨.
뛰어난 문학성, 상징성, 유려한 음악성 등으로 [서경별곡]과 더불어 고려 속요의 쌍벽을 이룬다.

10 ☆. 청산별곡 ☆. 효과적인 비유와 상징적인 기법으로 삶의 고독과 비애를 노래한 고려가요의 하나로, 고달픈 현실에서 벗어나 이상 세계를 찾으려고 하는 화자의 소망이 간절하게 형상화되어 있다.

11 ☆. ‘청산별곡’의 시대 배경 ☆ [청산별곡]의 창작 시기는 고려 후기 무신의 집권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하여 고려 전체가 內憂外患으로 시달리던 시기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는 무신들의 횡포와 원의 세력에 기댄 권문세족들의 수탈이 막심하여 많은 백성들이 농토를 버리고 떠나 사방으로 유랑하던 시기이다. 또한 양심적 지식인들도 입신양명하고 제 뜻을 펼칠 수 없는 현실에서 많은 좌절을 겪어야 했던 시기이다. 그리하여 세속을 떠나 은둔하기도 하였던 것이 고려 후기의 현실이었다.

12 핵심 정리 갈래 : 고려가요 성격 : 현실 도피적, 애상적, 체념적 운율 : 3음보 3,3,2조 배경 : 고려 시대 주제 : -삶의 고뇌와 비애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 -실연의 슬픔 -삶의 터전을 잃은 유랑민의 슬픔

13 특징 - 현실도피적이며, 현실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 나타남 - 상징적 수법, 음악적 효과가 뛰어남
- 내우외환 현실에서 생(生)의 고뇌를 잊으려는 선인들의 낙천성이 드러남

14 앞 4연 뒤 4연 시상 전개 한눈에 보기 1연 : ‘청산’으로 표상되는 ( 자연 )에 대한 동경
1연 : ‘청산’으로 표상되는 ( 자연 )에 대한 동경 2연 : 새의 울음에서 연상된 삶의 비애와 고독 3연 : 날아가는 ( 새 )에게서 연상된 현실 세계에 대한 미련 4연 : ( 절망적인 고독과 비탄 ) 앞 4연 5연 : 삶의 운명에 대한 체념 6연 : ‘( 바다 )’로 표상되는 자연에 대한 동경 7연 : 삶의 고뇌를 잊기 위해 유희에 탐닉 8연 : ( 술)로써 고뇌와 번민을 잊고자 하나 어찌할 수 없는 삶의 고독감 뒤 4연

15 ‘청산’과 ‘바다’의 의미 공간의 의미 청산 바다 실존하는 공간이 아니라, 화자가 지향하는 ( )을 의미함. 이상향

16 후렴구의 기능 -각 연을 ( )함. 분절 -울림소리( )인 ‘( )’ 음이 연속적으로 사용되어 음악적 효과와 율동감을 주어 ( ) 느낌을 줌. ㄹ,ㅇ 유성음 ( ) 얄리얄리 얄라성 얄라리 얄라 경쾌하고 명랑한 -노래의 전체적인 ( )을 형성하고 ( )을 돋움. 운율

17 ‘청산별곡’과 민요의 관련성 후렴구 음보 구조 ‘청산별곡’의 후렴구 : ( )
‘청산별곡’의 후렴구 : ( ) 다른 민요의 후렴구 : ‘쾌지나 칭칭 나네’, ‘에에헤헤 옹헤야 어절시구 옹헤야 잘도 한다 옹헤야’,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 주소’ 등 얄리얄리 얄라성 얄라리 얄라 후렴구 음보 ‘청산별곡’의 음보 : ‘살어리 / 살어리 / 랏다 // 청산애 / 살어리 / 랏다’와 ‘우러라 / 우러라 / 새여 // 자고 니러 / 우러라 / 새여’의 ( )음보 다른 민요의 음보 : ‘아리랑’, ‘밀양 아리랑’, ‘아리랑 타령’, ‘도라지 타령’ 등도 ( )음보임. 3 3 ‘청산별곡’의 구조 : ‘살어리(a)-살어리랏다(a)-쳥산애(b)-살어리랏다(a)’와 ‘우러라(a)-우러라 새여(a)-자고 니러(b)-우러라 새여(a)’와 같은 ( )의 구조 다른 민요의 구조 : ‘시집살이요’의 ‘형님 온다(a)-형님 온다(a)-분고개로(b)-형님 온다(a)’도 ( )의 구조 구조 a-a-b-a a-a-b-a

18 ‘운율’에 의한 아름다움   ‘운율’이란 소리의 일정한 규칙적 질서로서 동일음, 일정한 음절수, 일정한 음보, 일정한 통사 구조 등의 반복으로 생긴다. 한국 시가는 3음보 또는 4음보의 음보율이 중심을 이루어 시적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 3음보 : 예) 말없이 / 고이 보내 / 드리오리다. //   <김소월, 「진달래꽃」>   - 4음보 : 예) 간밤의 / 눈갠 후에 / 경물이 / 달랃고야//  <시조, 「어부사시사」>

19 ☆. 말소리에 의한 아름다움 ☆ ① 유음(流音)의 반복은 아늑하고 은근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예) 살어리 살어리랏다. (ㄹ음 반복) ② ㅇ, ㄴ, ㅁ 등의 울림소리의 반복은 부드러운 여성적 어조를 형성한다. ③ 양성 모음의 반복은 밝고 작은 느낌을 준다 바다 앞에 내 자신이 너무 작아 흐르는 눈물 두 손 주먹 쥐고 닦아                             이적, 「내 낡은 서랍 속의 바다」 →양성모음 ‘ㅏ’의 반복으로 작은 느낌을 줌

20 ☆. ‘종결어미’에 의한 아름다움 ☆ ‘-오리다’, ‘-소서’ 등의 어미를 구사하여 간절하고 서정적인 정서를 자아낸다.
  예)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아름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죽어도 아니눈물 흘리오리다. .

21 ☆. ‘청산별곡’ 주제에 관한 다양한 해석 ☆ (1) 유랑민의 삶을 노래한 민요
자신의 삶의 터전인 농토를 잃고 청산에 들어가 머루나 다래를 따먹고 살아야 하는 민중의 괴로운 삶, 특히 유랑민의 처지를 노래한 작품으로 보는 경우. (2) 실연한 사람의 노래    실연의 슬픔을 잊기 위해 청산으로 도피하고 싶어하는 사람의 노래로 보는 경우. (3) 현실의 고뇌를 잊으려는 지식인의 노래    현실적인 고민을 해소하기 위해 청산을 찾고 기적과 위안을 구하면서도, 고뇌와 비탄에 가득 찬 현실을 잊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술뿐이라는 생각을 나타낸 지식인의 노래로 보는 경우.

22 ☆. 특 징 ☆ (1) 3음보와 3. 3. 2조의 음수율을 보임 예 : 살어리(1음보)/ 살어리(1음보)/ 랏다(1음보)/
☆. 특 징 ☆ (1) 3음보와 조의 음수율을 보임   예 : 살어리(1음보)/ 살어리(1음보)/ 랏다(1음보)/         (3)           (3)           (2) (2) ‘a-a-b-a’의 운율 구조를 지님   전체 네 마디 중에서 같은 뜻의 말이 세 차례 반복되고, 네 마디 가운데 셋째 마디는 다른 말이 오는, 이른바 a-a-b-a 형식을 지닌다. 이런 반복은 민요의 기본적 표현이며, 우리 노래에서 많이 보이고 있다.   형님 오네 형님 오네 분고개로 형님 오네   가시리 가시리잇고 리고 가시리잇고

23 (3) 후렴구를 사용하여 음악적 효과를 높임   이 작품의 여음인 ‘얄리얄리 얄라(랑)셩 얄라리 얄라’는 음악의 리듬을 돋우기 위해 악기 소리를 본떠 쓴 것으로 보인다. ‘ㄹ, ㅇ’음의 반복이 부드러움과 경쾌함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이러한 흥청거림의 느낌은 ‘괴로움으로부터의 탈출’이라는 이 노래의 정서적 지향과 일치한다. (4) 의미상의 대칭 구조를 보임 5연과 6연을 바꾸어 볼 수 있는 대칭 구조 5연과 6연을 맞바꾸어 놓으면 이 노래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구조화할 수 있다. 제 1~4연 : 청산노래   현실과 대칭되는 의미로서의 이상향 제 5~9연 : 바다노래   시적 자아가 평안과 안식을 얻을 수 있는 공간

24 후렴구의 기능 각 연을 분절함 노래의 전체적인 운율을 형성하고 흥을 돋음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돕는 구실- 노래의 리듬을 맞추기 위함 ㄹ, ㅇ(유음, 두드러진 활음조 현상)의 연속으로 부드러운 음악적 효과를 나타내며, 낙천적이고 명랑한 느낌을 줌 낙천적 기질의 반영

25 ☆. 구 성 ☆ 연 소재 소재의 함축적 의미 서정적 자아의 태도 1 청산 현실 도피처 청산에 대한 동경 2 새
☆. 구 성 ☆ 소재 소재의 함축적 의미 서정적 자아의 태도 1 청산 현실 도피처 청산에 대한 동경 2 시적 자아의 감정 이입물 삶의 비애, 고독 3 자아의 분신 속세에의 미련 4 절망적인 고독 고독, 괴로움, 절망 5 운명 생에 대한 체념적 절망 6 바다 또다른 현실 도피처 새로운 세계를 동경 7 사슴 비애의 감정을 이완 절박함, 기대감 8 강술 비극 초극의 매개체 고뇌의 일시적 해소

26 살리/ 살리//랏다,/// 靑山에/ 살리// 랏다.///
살리/ 살리//랏다,/// 靑山에/ 살리// 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靑山에 살리랏다.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이상향, 현실도피처 = 바다 머루랑 다래랑 삶의 근심과 비애로 인해 이상향을 찾음 청산에 대한 동경 감정이입 대상, 동병상련 일어나 너보다 근심 많은 삶의 고독과 비애

27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속세, 청산, 바다와 의미상 대조되는 공간 이끼 낀 쟁기 속세에 대한 미련 속세에 대한 미련 지내왔지만 이렇게 저렇게 하여 고독과 절망의 시간 올 이도 갈 이도 없는 절망적인 고독과 외로움

28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래 살어리랏다. 화자의 의지와 상관없는 운명적 비애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삶의 운명에 대한 체념 고독- 비애의 원인이 외부에 있음 이상향, 현실도피처, 새로운 이상향 모색=청산 바다에 대한 동경

29 사미 짐ㅅ대예 올아셔 奚琴(금)을 혀거를 드로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미 짐ㅅ대예 올아셔 奚琴(금)을 혀거를 드로라. 가다니 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리잇고. 외딴 부엌 켜는 것을 절박한 심정, 기적이 일어나기를 바람 기적을 바라는 절박한 심정 배가 불룩한 현실적 고통을 잊기 위한 매개체 체념적 자세 매워 붙잡으니 술을 통한 고뇌의 해소

30 ☆. 의미 해석 ☆ (1) 청산에 살어리랏다 - 의지인가, 소망인가, 탄식인가?
   ① 청산에 살리라 : 청산에 살고 싶은 소망, 의지의 표현    ② 청산에 살아야 했을 것을 : 과거에 청산에 들어가 살지 못한 것을 후회함.    ③ 청산에 살아갈 것이로다 : 타의에 의해 청산에서 살 수밖에 없는 탄식과 허탈감.

31 ① 날아가던 새 : 2연과 관련하여, 자신과 같이 슬픈 처지에 있던 새가 날아가 버려 화자는 허탈해 하고 있음.
(2) 가던 새 - 새인가, 사래인가?    ① 날아가던 새 : 2연과 관련하여, 자신과 같이 슬픈 처지에 있던 새가 날아가 버려 화자는 허탈해 하고 있음.    ② 갈던 사래 : 화자를 농경민으로 간주, 경작하던 농토로 보는 관점. (3) 잉 무든 장글란 - 병기인가, 농기인가?    ① 날이 무딘 녹슨 병기 : 고려 후기 여러 전란과 관련, 좇기는 처지에 처하여 청산과 바다를 노래한 것으로 추정.    ② 이끼 묻은 쟁기 : 녹슨 쟁기. 갈던 농토를 잃은 농경민으로 화자를 간주.

32 (4) 사미 짐ㅅ대에 올아셔 히금을 혀거를 듣노라. - 사슴(기적)인가, 광대인가?
   ① 사슴 분장을 한 광대의 산대놀이를 봄 : 흥청거리는 군중 속에서 오히려 고독감을 느끼고 있음.    ② 사슴이 장대 위에 올라가 있음 : 현실에서 일어나지 못하는 기적을 뜻함. 즉 현실의 고통을 해결하지 못하는 화자가 기적을 바라는 심정을 반영한 것.

33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쳥산)애 살어리랏다. :
여기에 나오는 ‘청산(靑山)’은 머루와 다래(쌀과 보리 등의 세속적인 것과 반대되는 개념)가 있는 청산이다. 청산에 대한 작중 화자의 소망은 ‘현실’에서 부딪치는 삶의 괴로움을 청산에서 떨쳐 버리려는 희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청산은 현실 도피처로서의 자연이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① 악률에 맞추기 위한 후렴구, ② 악기의 의성어로서 흥을 돕고(조흥구,여흥구, 여음구), 노래의 절주(節奏)에 맞추기 위한 것, ③ ‘ㄹ, ㅇ’의 연속음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과(두드러진 활음조 현상)를 나타내며 낙천적이고 명랑한 느낌을 준다. ④ 제 2연부터는 ‘얄랑성’이 ‘얄라셩’으로 되어 있다.

34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
‘새’는 비탄에 속에서 통곡하는 서정적 자아의 감정이 이입된 분신(分身)이자 그를 위로해 주는 새가 된다.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 적막한 산중에 홀로 지내는 고독한 새와 자신의 처지를 비교하여 ‘동병상련(同病相憐)’의 감정을 나타낸 구절이다.

35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
여기서의 ‘이끼 묻은 쟁기’란 속세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도구를 의미한다. 이 구절에는 속세에 대한 미련이 나타나 있다.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 ‘이링공 뎌링공’의 ‘ㅇ’음의 반복으로 절망과 체념 속에 엄습하는 고독을 낙천적으로 승화시킨 묘미를 보여준다.

36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서 우니노라. :
방향도 목표도 없이 던져진 돌 →맹목적인 돌→인간의 운명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서 우니노라. : 까닭도 이유도 없이 겪는 그 고통을, 사랑할 사람도 미워할 사람도 없이 혼자 감내해야 하는 극한의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37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 ‘자기, 구조개’는 ‘멀위, 래’와 같이 도피처에서의 양식을 가리킨다.
양식이 ‘자기, 구조개’라는 것은 바다에서의 삶이 풍족, 안락한 것이거나 운치 있는 생활이 아님을 보여 준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멀위, 래’도 고고(孤高)한 생활의 표상으로 볼 수 없다. 여기서의 ‘바’은 새로운 세계를 가리키는데, 속세와 인연을 끊고 ‘청산(靑山)’에 들어가 고독과 절망에 빠지게 되었어도 생(生)의 집념을 버리지 않고 새로운 삶의 세계를 모색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38 사미 대예 올아서 奚琴(금)을 혀거를 드로라. :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 ‘가다가 가다가’의 걸음 행위가 말해 주듯 서정적 자아는 바다에도 안주하지 못하고 떠나게 된다. ‘에졍지’는 ‘부엌’인데, 속세의 비유로 ‘속세를 멀리 피하여 가다가 듣노라’의 뜻으로 풀기도 하고, ‘외딴 부엌’ 즉 속세와 단절된 공간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사미 대예 올아서 奚琴(금)을 혀거를 드로라. : 사슴이 장대 위에서 해금을 연주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기적같이 일어남을 뜻하므로, 기적이 나타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냈다. 가다니, 브른 도긔 셜진 강수를 비조라. : 여기에서의 ‘강술’은 현실적인 고통을 초극하게 하는 매개체로서 구원의 생명수와 같은 것이다. 

39 ☆. 구조 ☆ 청산에 대한 소망 바다에 대한 소망 대칭 관계 삶에 대한 고뇌 삶의 절박감

40 ☆. ‘청산별곡’을 읽고 느낀 아름다움☆ 3음보의 규칙 ‘ㄹ,ㅇ ‘이 밝고 경쾌하다. 후렴구가 있어 신이난다.

41 1. 공간적 측면에서 ‘청산’과 대립되는 시어를 찾아 두 어절로 쓰시오
믈 아래 2. 2연에 나타난 ‘새’와 시의 화자와의 관계에 어울리는 한자 성어를 쓰시오 同病相憐

42 4. ‘절대 고독’ 또는 ‘고독감’이 드러나는 연은?
3. 화자의 이상향 또는 현실의 도피처인 시어는? 청산, 바다 4. ‘절대 고독’ 또는 ‘고독감’이 드러나는 연은? 4연

43 5. 이 시의 갈래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당대에 구전되다가 후대에 문자로 기록, 정착되었다
3 1 평민들의 감정이 솔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2 대부분 분절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지배 계층에 대한 불만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3 당대에 구전되다가 후대에 문자로 기록, 정착되었다 4 민요에서 형성되어 3음보격에 의한 3.3.2조가 주조를 이룬다 5

44 6.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1 민요적 성격이 두드러진다 자연 귀의 의식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서민들의 삶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3 3.3.2조를 기본 음수율로 하는 3음보 율격이다 4 5 ㄹ,ㅇ 음은 경쾌한 리듬감을 준다

45 5. 오늘로 이어지는 한국 문학 ’(4) 관동별곡’ 에 대해 수업합니다. 2. 꿈을 찾는 여행 ’(3) ’ 에 대해 수업 합니다.


Download ppt "(3)청산별곡."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