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1절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신경증적 장애 사회복지학과 김규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1절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신경증적 장애 사회복지학과 김규희"—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1절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신경증적 장애 사회복지학과 김규희
적응문제와 정신건강 제 1절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신경증적 장애 사회복지학과 김규희

2 신경증적 장애 신경증적 장애 : 현실과의 접촉은 유지가 되나 정상적이고 건전한 적응에는 지장을 줌.
ICD-10 신경증적 ( neurotic) DSM-4 불안장애, 신체형장애, 해리장애

3 1. 불안의 이해 1) 불안의 정의 (1) 보편적 정의 : 임박한 또는 예상되는 불행에 대해 느끼는 불쾌하고 막연한 염려 (2) 정신역동적 정의 : 받아들일 수 없는 무의식적 내용이 의식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신호 2) 정상적인 불안 정상적인 적응 기제이다.

4 1. 불안의 이해 3) 신경증적 불안 -이유나 대상을 알수 있는 불안이지만 이것이 일상생활이나 대인관계에 심한 장애를 줄때 - 막연한 불안감.

5 2. 불안장애 (강박장애) 1. 개념 1)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한 생각 (강박사고 obsession)이나 행동(강박행동 compulsion)을 반복하는 상태 2)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반복하지 않을 수 없다. 3) 강박사고나 강박행동 중 하나만 나타나기도 하나, 둘 다 나타내기도 하다.

6 2. 불안장애 (강박장애) 2. 역학 1) 유병률 2~3% , 정신과 치료받는 환자 중에 10% 2) 발병시기 : 사춘기, 성인초기 3) 남녀비는 비슷 4) 학력이나 지능이 높은 편 5) 주요우울증이나 사회공포증과 공존

7 2. 불안장애 (강박장애) 3. 원인 1) 생물학적 이론 (1) 강박장애 환자들의 1차 가족 중에 강박장애 유병률 35% (2) serotonin 감소 내지 조절장애 (3) 외상으로 인한 뇌기능장애

8 2. 불안장애 (강박장애) 3. 원인 1) 사회심리학적 이론 (1) 정신역동적 개념 충동과 감정은 고립, 억압되고, 감정없는 사고만 의식화되는 것 계속 의식화되려는 충동과 감정은 취소 에 의해 더욱 방어되어 강박장애가 출현

9 2. 불안장애 (강박장애) 4. 진단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있다.
2. 불안장애 (강박장애) 4. 진단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있다. 현저한 불안과 고통을 일으키는 반복되고 지속되는 사고, 충동 혹은 영상 이런 것들은 실제적인 삶의 문제에 대한 과도한 걱정만은 아니다. 이런 것들을 무시하거나 억제하려고 시도하거나 혹은 다른 사고나 행동으로 중화하려고 한다. 이런 것들이 자기 마음의 산물인 것을 안다. 강박적 행동은 강박적 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또는 엄격히 지켜야 할 것 같다고 느껴 반복하는 행동(손씻기, 헤아리기, 검토하기) 이 행동이나 정신적 활동은 고통을 줄이거나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10 2. 불안장애 (강박장애) B. 개인은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과도하거나 비이성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2. 불안장애 (강박장애) B. 개인은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이 과도하거나 비이성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C. 개인의 정상적 일상생활에 영향을 줌 D. 이 장애는 물질 혹은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의한 영향이 아니어야 한다.

11 2. 불안장애 (강박장애) 5. 경과 및 예후 1) 발병은 대개 급성 2) 발병해도 곧 정신과 치료를 받지 않고 평균 5~10년만에 병원에 온다. 3) 만성적으로 되기 쉽고 다른 불안장애보다 경과가 나쁜 편이다. 4) 우울증을 동반하게 되고, 때로는 정신분열 증으로 이행되기도 한다. 5) 치료후 20~30% 호전되며, 40~50%가 약간 호전되며, 20~40%가 악화된다.

12 2. 불안장애 (강박장애) 6. 치료 1) 단기간 치료는 어려움. 2) 약물치료 3) 일상생활을 유지하며 인지행동치료 병행

13 2. 불안장애 (공황장애) 개념 공황장애 : 이유없이 갑자기 불안이 극도로 심해지며 숨이 막히거나 심장이 두근대고 죽을 것만 같은 극단적인 공포증세 광장공포증 : 공공장소, 특히 급히 빠져나갈 수 없는 상황에 도움없이 있게 되는 것에 대한 공포 광장공포증이 있는 사람의 2/3가 공황장애를 가지고 있다. 회피행동 : 광장공포증이 발생하여 그 장소를 피하는 행동

14 2. 불안장애 (공황장애) 2. 역학 평생유병률 : 인구의 1.5%~3%
2. 불안장애 (공황장애) 2. 역학 평생유병률 : 인구의 1.5%~3% 심장내과와 기타 일반내과 환자의 다수가 공황장애를 가지고 있음. 여자가 남자보다 2~3배 많음 평균발병연령 : 25세

15 2. 불안장애 (공황장애) 3. 원인 1)생물학적 원인 유전적 요인 : 1차 가족에 공황장애가 있을 확률은 다른 정신과적 장애에 비해 4~8배 크다.

16 2. 불안장애 (공황장애) 2) 심리학적 원인 정신분석 이론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에 대한 방어기제가 성공 하지 못하여 발생
2. 불안장애 (공황장애) 2) 심리학적 원인 정신분석 이론 -불안을 야기하는 충동에 대한 방어기제가 성공 하지 못하여 발생 -이별불안때 어린이가 보이는 불안증상과 공황 발작시의 증상이 유사함. 공공장소에 혼자 있는 것은 버림받았다는 소아기때의 불안의 재현

17 2. 불안장애 (공황장애) 2) 심리학적 원인 (2) 인지적 모델 - 환자들이 느끼는 신체감각이나 증상을 지나치게 과장해서 해석하고 파국화의 사고가 개입되어 불안이 크게 발전함.

18 2. 불안장애 (공황장애) 4. 임상양상 첫 공황발작은 피곤, 흥분, 성행위, 감정적 외상 등이 있었던 후에 오기도 하나 이와 상관없이 발생하기도 함. 예기불안 : 발작이 없는 중간시기에 그런 일이 또 발생할 것 같은 불안감 건강염려증 : 심장병이 아닌가 걱정 회피행동 광장공포증 : 혼자 있는 것을 싫어함. 외출을 피함.

19 2. 불안장애 (공황장애) 5. 진단 공황발작 다음 증상 중 적어도 4개 이상이 갑자기 생겨 10분 내에 최고조에 이른다.
2. 불안장애 (공황장애) 5. 진단 공황발작 다음 증상 중 적어도 4개 이상이 갑자기 생겨 10분 내에 최고조에 이른다. 심계항진,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림, 심장박동이 빨라짐 땀을 흘림 몸이 떨림 혹은 흔들거림 숨이 막히는 또는 숨이 답답한 느낌 질식감

20 2. 불안장애 (공황장애) (6) 흉통 또는 흉부 불쾌감 (7) 오심 또는 복부 불쾌감
2. 불안장애 (공황장애) (6) 흉통 또는 흉부 불쾌감 (7) 오심 또는 복부 불쾌감 (8) 현기증, 비틀거리는 느낌, 어지러움, 또는 기절할 것 같은 느낌 (9) 비현실감, 이인증(자신으로 부터 분리된 느낌) (10) 통제력을 잃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11) 죽을 것 같은 두려움 (12) 지각이상 (둔하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13) 오한 또는 열감

21 2. 불안장애 (공황장애) 2) 광장공포증 탈출이 어려운 장소, 또는 예측할 수 없이 나타나거나 상황에 의해 나타나는 공황발작이나 공황발작 같은 증상이 생길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은 장소에서의 불안. 이런 상황을 회피하거나 현저한 고통을 느끼면서 이런 상황을 인내한다. 사회공포증, 특정공포증, 강박성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이별불안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것이어야 함.

22 2. 불안장애 (공황장애) 6. 경과및 예후 30~40%는 결국 회복되나,
2. 불안장애 (공황장애) 6. 경과및 예후 30~40%는 결국 회복되나, 50%는 생활에 유의한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경도증상을 보이고, 10~20%는 유의한 증상을 가진체 만성화 우울증이 합병되고 자살의 우려도 있음 알코올과 약물을 남용하기도 함.

23 2. 불안장애 (공황장애) 7. 치료 철저한 진찰과 검사 시행하여 신체장애를 확인한다.
2. 불안장애 (공황장애) 7. 치료 철저한 진찰과 검사 시행하여 신체장애를 확인한다. 병의 개념과 발작증상, 예기불안에 대한 정확한 교육실시 사소한 신체변화를 공황장애와 연관시키지 않도록 한다. 생명의 지장없음을 확인 자극에 노출시킴 사회적응

24 2. 불안장애 (공황장애) 인간극장 No 1137~1140. 내 남편에게 생긴일 1,3,4화

25 2. 불안장애 (공포장애) 1. 정의 1) 사람 대하기를 두려워하는 증상 2) 피해의식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이 아님 (자신에 대해 음모한다는 망상장애와 다름) 3) 자신이 얼굴이 붉어지고, 표정이 딱딱해지고, 떨리고, 시선이 날카롭다고 생각함. 4) 대인상황에서만 발생. (혼자서는 증상없음)

26 2. 불안장애 (공포장애) 2. 증상 유형 1) 적면공포 : 얼굴이 붉어질까 불안함. 창피함. 이로 인해 남들이 경멸하고 비웃는다고 생각 -> 여러가지로 위장, 안그런척 -> 대인상황 기피 2) 시선공포 : 자기 시선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 내 시선이 남들에게 불편감을 준다고 인식 -> 타인이 자신을 기피한다고 생각 -> 죄책감 ->대인관계 기피

27 2. 불안장애 (공포장애) 3. 임상적 특성 1) 남 : 여= 16 : 1 2) 학력이 높고 학생이나 무직이 많음 3) 서서히 발병 (64%), 우연히 발병(29%) 4) 평균 6~7년 뒤에 치료받음 5) 성격 : 내향적, 자신감 결여, 지나친 수치심, 지나친 배려심리.

28 2. 불안장애 (공포장애) 4. 증상의 결과적 양상 1) 자가당착의 모순 :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함. 혼자서 고민, 더욱 불안하고 어색함. 2) 주변 사람에 대한 회피 : 불안하고 긴장되어 피하는 것이 편하나, 이런 자신을 원망함. 3) 위장, 연출, 연기 : 오히려 말을 많이하고, 재미있는 행동을 과장함. 4) 자기 개조 : 성형수술에 집착

29 2. 불안장애 (공포장애) 5. 치료 1) 약물치료 2) 집단치료 3) 사회기술훈련 4)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5) 체계적 둔감화

30 3. 신체형장애 Somatoform disorder 신체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하나 의학적 증거를 찾을 수 없음.
신체화장애, 전환장애, 건강염려증

31 3. 신체형장애 (신체화 장애) 일반적 특성 및 원인 1) 40~50대, 여성,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계층 빈번히 발생
2) 심리사회적 원인 : 고통스러운 결혼생활(외도, 고부갈등), 사업실패 (사기), 가정문제(사별, 자녀의 속썩임), 사회적 좌절 3) 성격적 특성 : 일방적으로 참음. 4) 억울함, 분함, 화남 등의 주요 감정반응 5)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으나, 불완전하게 억제됨

32 3. 신체형장애 (신체화 장애) 2. 증상 1) 우울, 사는 재미가 없음. 2) 불안, 짜증 3) 수면장애, 4) 소화장애 5) 온몸이 쑤심. 6) 가슴이 답답하고, 열기가 있고, 속에 열이 참. 7) 목이나 가슴에 덩어리가 뭉쳐 있는 것 같음.

33 3. 신체형장애 (신체화 장애) 3. 진단 1) 우울장애 + 불안장애 2) 신경성 화, 울화병, 화병 .

34 3. 신체형장애 (신체화 장애) 3) 다음 증상 중 하나라도 6개월 이상 지속 - 가슴이 매우 답답함을 느낀적이 있다.
- 숨이 막히거나, 목 명치가 뭉쳐서 덩어리가 느껴진다 - 열이 치밀어 오른 것을 느낀다. - 가슴이 심하게 두건거리거나 뛴다. - 목이나 입이 자주 마른다. - 두통이나 불면증 - 억울하고 분한 감정을 자주 느낀다. - 마음의 응어리나 한이 있다. - 뚜렷한 이유 없이 화가 나고 분노감이 생긴다. - 자주 두렵거나 깜짝깜짝 놀란다.

35 3. 신체형장애 (신체화 장애) 4. 치료 및 예후 1) 만성화 되기 쉬움 2) 신뢰를 기반으로한 공감적 관계 제공
3) 장기적인 지지적 심리상담

36 3. 신체형장애 (전환장애) 정의 1) 심리적인 갈등에 의해 감각기관이나 운동 기능에 극적인 기능 상실
2) 신체적인 이상음 없음. 3) 일시적인 환경의 자극이 원인 4) 자신에게 도움이 될때 주로 발생(무의식적)

37 3. 신체형장애 (전환장애) 2. 원인 1) 성격적 원인 : 의존적, 수동공격적, 히스테리성 성격 2) 자율신경계의 과민성, 강한 피암시성 3) 고통을 참을 능력이 없는 사람 4) 자존심, 체면을 손상시키거나, 이해관계에 손해를 주는 어려움이나 자극이 촉발요인 5) 주위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자기에게 유리 하게하거나, 불리한 상황 회피.

38 3. 신체형장애 (전환장애) 3. 증상 1) 경련 : 운동장애로 손발이나 전신이 떨리거 나 마비되며 경련을 일으켜 쓰러짐. 2) 마비 : 피부의 감각 마비 (무릎이하 감각 없음)

39 3. 신체형장애 (전환장애) 4. 경과 및 예후 1) 급작스럽게 발생, 2) 치료하지 않아도 해소 3) 자주 발생 -> 생활에 지장 초래

40 3. 신체형장애 (전환장애) 6. 치료 1) 2차적 이득을 차단함과 동시에 면담을 통해 문제를 파악하고, 갈등 해소 2) 약물치료는 일시적 효과

41 3. 신체형장애 (건강염려증) 1. 정의 1) 자신이 중병을 가지고 있다는 공포나 믿음 에 사로잡혀 있음. 2) 일상적인 신체증상이나 감각을 정상이 아니 라고 생각함. (중병의 신호로 인식) 3) 주관적으로 느끼는 신체적 장애를 의학적 검사로 입증할 수 없음. 4) 사회생활이나 직업에 지장 5) 6개월이상 지속 6) 자신은 합당하고 충분한 진료를 받지 못했 다고 인식

42 3. 신체형장애 (건강염려증) 2. 경과 1) 불안, 우울, 강박적 성향을 가져 반복되는 검사실시 -> 시간 경제적 자원낭비 2) 실제 신체적 병을 놓치거나, 위험한 수술 3) 과거의 자신, 혹은 가족이 질병을 앓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한경우 발생 4) 만성적 : 좋아지고 나빠짐을 반복

43 3. 신체형장애 (건강염려증) 3. 치료 1) 신체적 질환의 유무 확인 2) 평소 운동이나 취미 생활을 통해 가볍게 마음의 안정 유지

44 4. 해리성 장애 1. 정의 1) 환경의 심한 자극을 계기로 급격한 기억상실, 둔주, 인격의 변화 발생 2) 회복된 후에 해리상태에 대한 기억 못함. 3) 갑작스럽게 발병 4) 갑작스럽게 회복

45 4. 해리성 장애 2. 증상 1) 심인성 기억상실 = 뇌의 기질적 손상없이 개인의 중요한 사항에 대한 기억 회생
능력이 급작스레 마비 (기억회생장애) = 일반적 망상보다는 범위가 크다. = 당황, 방향감각 상실, 목적없는 행동이 발생 2) 심인성 둔주 = 도주를 수반하는 건망상태 = 주체성에 대한 기억을 상실, 전혀 다른 사람으로 가정이나 직장을 떠나 예정에 없던 여행을 갑작스레 떠남.

46 4. 해리성 장애 2) 심인성 둔주 3) 다중인격 = 둔주기간에 발생한 일은 기억 못함.
= 수시간, 수일, 수주가 보통, 수개월 지속되기도 함. 3) 다중인격 = 고유의 인격 이외, 전혀 다른 인격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 = 만성적 경과 = 하이드와 지킬박사 = 한 인격이 지배하는 동안 다른 인격이 우세할때의 기억은 하지 못함.

47 4. 해리성 장애 3. 원인 1) 생명의 위험이 있는 상황 2) 심리적 충격이 가해졌을때 (이혼, 부부싸움) 3) 통상적인 심리적 방어로는 감당키 어려워 비정상적인 자기 방어방법을 무의식적으로 사용 4) 위험한 외부 자극을 차단하여 자기 보호 자신의 병적 갈등 해서

48 4. 해리성 장애 4. 치료 1) 급작스럽게 완전히 회복되고 재발은 극히 드물고 합병증도 없음 2) 심리치료, 약물치료

49 5. 심인성 건망증 1. 정의 1) 과중 업무, 걱정이 누적 -> 일에 흥미가 없어지고 -> 남의 이야기나 주변상황에 집중 어려움 -> 기억해야 할 일들이 머리에 남아있지 않음. -> 기억력이 감퇴된 것으로 인식

50 5. 심인성 건망증 2. 원인 1) 기록의 단계 : 밖에서 들어오는 모든 자극을 받아들이는 기능 - 주의력 부족으로 기록의 장애 - 주의를 집중시키지 못하게 하는 정서적, 생리적, 사회환경적 요인 2) 저장의 단계 : 들어온 정보를 뇌에 저장 - 기질적 손상

51 5. 심인성 건망증 3) 재생기능 : 저장된 기억을 떠올리는 것 - 대부분의 건망증 - 무의식적인 힘에 의해 방해 (약속어김)

52 5. 심인성 건망증 4. 예방 및 치료 1) 적절한 휴식, 가벼운 운동이나 취미생활 2) 메모하는 습관 3) 두뇌 회전을 촉진시킨다. (전자게임, 바둑) 4) 정신분석 치료 상담

53 기분장애 기분 : 외적 자극과 관계 없이 , 자신의 내적 요 인에 의해 결정되는 정동상태 우울증 : 기분이 저조한 상태
조증 : 기분이 들뜬 상태 슬픔 : 시련과 상실에 대한 서러움과 연민을 느끼는 상태, 인간의 정상적인 정서 기분장애는 단순한 의지의 문제가 아님. 기분장애의 방치시 자해나 타해의 위험.

54 주요우울증 다음 중 5가지가 동일한 2주기간에 지속 (1) 거의 하루 내내 우울 (슬프다, 공허하다, 눈물글썽)
(2) 거의 매일, 모든 것에서 현저히 흥미 감소 (3) 식이문제로 체중감량, 체중 증가 (1개월 내 체중 5%변화) (4) 거의 매일 불면 또는 과수면 (5) 거의 매일 정신운동 흥분 또는 지체 (6) 거의 매일 피로 또는 에너지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함 또는 과도하고 부적절한 책망 (망상) (8) 거의 매일 사고나 집중력의 감퇴 또는 결정 곤란 (9)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구체적인 계획 없는 반복적 자살 사고, 자살에 대한 구체적 계획

55 우울증의 증상 신체증상 정신병적 수준 신경증적 수준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죄의식과 무가치감 무력감과 절망감
반복되는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 신경증적 수준 식욕부진이나 과식 불면이나 수면과다 기력의 저하 및 피로감 집중력의 감퇴 일상적인 일에 무관심 신체증상 수면장애 식욕장애 소화불량 두통 성욕감퇴 체중감소나 증가 피로 및 권태감

56 우울한 기분과 우울증의 차이 정상 우울증 사망, 상실 실패, 좌절

57 조 증 (진단기준) 비정상적으로 지속적으로 고양된, 확장된 기분이 분명한 기간이 적어도 1주일 이상 지속
다음의 증상 중 3가지가 지속됨 (1) 팽창된 자존심과 과대성 (2) 감소된 수면요구(3시간으로 만족) (3) 평소보다 더 말이 많아지고, 계속 이야기하려는 압력 (4)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분주하다는 주관적 경험 (5) 산만 (중요하지 않는 자극에 주의가 쉽게 쏠림) (6) 목적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흥분 (7) 고통스러운 결과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은 쾌락활동에 과도한 몰두 (자제없이 물건 구입, 성적 무분별, 어리석은 사업 추진)

58 기분장애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 신경전달물질 (세르토닌) 불균형 (2) 생활사건 : 죽음, 난치성 질병, 실연, 실패
정상적인 슬픔의 과정이 지속. 반복됨. (3) 심리적인 요인 : 대인관계 속에서의 분노 공격심이 자기자신에게로 향함. 자기 처벌 부정적인 자기 이미지 지나치게 완벽한 자기 기대감.

59 기분장애 원인 (4) 유전적 요인 (5) 신체질환 : 갑상선, 부갑상선 질환 등
(6) 약물과 알코올 : 일부 고혈압약, 결핵약 등이 우울증 유발 알코올 중독

60 기분장애 임상적 특징(책 참고) 우울증의 종류 (1) 주요 우울증 (2) 양극성 장애 (3) 우울신경증 (4) 계절성 우울증
(5) 산후 우울증

61 정신분열병 개념 - 뇌의 기질적 장애로 인한 의식혼탁의 징조 없이 사고, 정동, 감각, 의욕, 운동성 행동등의 장애를 가져오는 병 원인 (1) 스트레스-취약성 극복모형 취약성 + 스트레스 + 스트레스 대처능력 부족 현재는 환경적 스트레스는 보조요인

62 정신분열병 원인 (2) 생물학적 요인 -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과다 (3) 유전적 성향 (4) 심리사회적 요인
- 이중구속 하는 어머니 (5) 사회문화적 요인 - 정신질환자의 역학 조사결과 대부분 빈곤 빈곤과 가족 사회기능의 장애-> 정신질환 정신질환 -> 빈곤

63 정신분열병 임상적 특징 (1) 전체적인 태도 및 행동 - 흥분하고 날뛰고 공격적임. - 부동자세 - 괴상한 몸짓, 이상한 말
- 멍하고 감정이 없어 보이고, 자기만의 생각에 몰입

64 정신분열병 임상적 특징 (2) 지각의 이상 - 환청, 환시, 환미, 환촉 - 착각 : 환각 (3) 망상
-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설득으로는 도저히 고쳐지지 않는 ‘병적인 믿음’ -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65 정신분열병 임상적 특징 (4) 언행과 정서 - 욕설을 퍼붓고 거칠어지거나 - 혼자서 히죽히죽 웃거나 중얼거림
- 말의 두서가 없고 뒤죽박죽 (지리멸렬) - 감정표현이 모순됨 - 겉으로는 공격적이나 속으로는 두려움

66 정신분열병 임상적 특징 (5) 운동기능의 장애 - 잦은 얼굴 찡그림, 똑같은 행동의 반복
상동증, 전체적인 근육 경직, 괴상한 자세 유지 자동적 복종, 납굴증

67 정신분열병 다음 증상 중 2개 이상이, 1달간 존재 특징적 증상 (1) 망상 (2) 환각 (3) 혼란스런 언어
(4) 전반적으로 혼란스러운 혹은 긴장성 행동 (5) 음성증상 (감정둔마, 무언증, 의욕없음) 사회적/ 직업적 기능장애 질병의 계속적인 징후가 최소 6개월 이상이어야 함.

68 정신분열병 경과 - 인격의 황폐화를 일으키는 병은 아님 - 잦은 재발이 만성화를 재촉 - 10~60%는 회복

69 정신분열병 치료 약물치료 - 도파민 가설을 바탕 : 도파민 작용을 억제하는 항정신병약물 사용 -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중요
- 임의적인 약물 중단이 재발의 주요 원인

70 정신분열병 약물의 부작용 (1) 졸림 : 보통때 보다 쳐져 보인다. (2) 어지럼증 : 갑자기 일어날때 아찔함.
(3) 근육강직 : 어색한 걸음걸이, 근육경직 (4) 떨림 : 손과 다리의 떨림 (5) 안절부절함 (6) 무동증 : 얼굴 표정과 제스쳐 감소, 팔 흔들림 감소 (7) 식사 증가 (8) 광자극성 : 햇빛에 예민해짐 (9) 입마름, 변비, 시야흐림, 기억장애, 오심, 구토, 성기능장애

71 정신분열병 정신사회재활치료 : 정상인과 더불어 지역사회 내에서 살아갈 수 있는 기술이나 적응력을 길러주는 것 (음성증상에 focus) - 환경요법 : 대형병원 -> 가족적인 분위기의 작은 병원 : 치료공동체의 전신 : (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간호사, 작업치료사)등의 치료진이 환자와 치료적 접촉

72 정신분열병 - 환경요법 : 민주적 병실체계 : 환자들 스스로 병실을 꾸려나감 : 정신치료와 다양한 작업요법 - 정신과 낮병원
: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살림 : 일상생활훈련, 대인관계 훈련, 증상 및 약물훈련

73 정신분열병 - 사회기술훈련 : 환자는 병의 특성이나 오랜 투병생활로 대인관계 형성이나 자기 주장을 잘 하지 못함.
: 자기주장훈련, 대인관계 훈련, 일상생활훈련 : 적응력 증진 - 가족치료 및 교육 : 건강한 가족을 치료진의 일부로 참여 : 퇴원 후의 중요한 역할

74 정신분열병 (지역사회 시설)

75

76 직업재활 체계 사회적응 프로그램 임시취업 워크샵 일시취업 임시취업 : 3-9개월 독립취업

77

78 존 내쉬 수학자이자 경제학자 MIT 및 프린스턴 대학 교수 미시경제학의 내쉬 균형이론 (Nash equilibrium)
1950년 5월에 프린스턴 대학교 박사학위 1994년 <비협력 게임(Non-Cooperative Games)>노벨 경제학상 수상 1958 년 부터 필즈 메달(수학계의 노벨상) 수상 후보로 거론

79 알코올 사용 장애 알코올 남용 : 물질의 반복적이고, 비적응적 사용, 이로 인한 여러 나쁜 결과 발생
알코올 의존 : 알코올 남용의 상태가 지속되어 인지적. 행동적. 생리적 증상들 동반 사회복지 현장과 주변에서 자주 발견

80 알코올 사용 장애 알코올 의존의 원인 (1) 유전적 요인 - 인종간 차이 (유태인과 중국 : 아일랜드 )
- 인종간 차이 (유태인과 중국 : 아일랜드 ) - 가족내 빈도 (일란성 쌍생아 : 이란성 쌍생아) - 알코올 환자의 자녀가 일반 자녀보다 4배이상 중독성에 빠지기 쉬움 - 알코올 분해효소의 정도

81 알코올 사용 장애 (2) 신체적 원인 - 뇌세포가 알코올에 적응 -> 술에 의존하여 몸의 균형상태 유지 -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 만들어진 물질이 알코올 내성과 신체적 의존 증가

82 알코올 사용 장애 (3) 심리적 원인 - 어린시절 주의력 결핍 장애, 행동장애, 물질남용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 수치심이 많고, 소외되고, 침착하지 못하고, 자극 과민성, 불안감, 예민하고, 성적 억압 (4) 사회적 원인 - 음주에 허용적인 문화

83 알코올 사용 장애 알코올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소량의 음주 : 대뇌 피질 억제-> 억압된 감정을 자유롭게, 기분이 좋아짐, 많이 많아짐. - 과도한 상습적 음주 : 중추신경계 장애 사고력, 기억력 , 집중력, 판단력 장애 (영구)

84 알코올 사용 장애 (1) 알코올 급성중독 - 신경학적 징후 : 말이 또렷하지 못하고, 운동기능의 협응이 어려움. 섬세한 일 못함. 보행시 비틀거림. 주의력, 기억력 장애. - 심리적 징후 : 기분이 불안정, 변덕스러움.성적/ 공격적 행동 억제 어려움. 말이 많아짐.

85 알코올 사용 장애 -행동 장애 : 싸움을 하거나 판단력 손상, 사회적. 직업적 기능 장애, 책임 완수 못함.
(2) 알코올 금단증상 -장기간 술을 먹고 중단 했을 때 , 손이나 혀가 떨림, 오심, 구토, 무기력감, 나른함, 가슴이 뛰고, 식은 땀이 나며, 불안하거나 우울함, 구갈증,두통, 수면장애

86 알코올 사용 장애 (3) 알코올 금단 섬망 - 5~15년 이상 술을 마신 사람에게 나타남. - 불안, 초조, 식욕부진, 진전(떨림), 공포감에 의한 수면장애 - 망상, 환각, 안절부절 못함. 지남력 장애 (4) 알코올성 환각증 (5) 알코올성 건망증 : 치아민의 부족으로 건망증 발생 : 지남력 장애, 기억의 결핍된 부분에 다른 삽화 삽입, 이로 인한 작화증 (6) 알코올성 치매

87 알코올 사용 장애 알코올 중독증의 단계 (1)1단계 - 서서히 음주의 횟수와 양이 증가 (이유를 계속 찾음)
- 잦은 폭음과 과음 - 작은 스트레스에도 과음 - 5~10년 경과 후 다음단계로 진행 (2) 2단계 - 음주에 지나친 집착 - 음주가 일상적인 생활이 됨. - 가정불화, 사회적응 장애, 심리적인 불안, 우울 증상 - 부분적으로 신체증상( 손떨림) 등이 나타남. - 수년 후 3단계로 진행

88 알코올 사용 장애 (3) 3단계 - 신체적 의존, 금단증상 및 신체 합병증이 나타남. (4) 4단계
- 술을 1~2일 끊으면 금단 증상이 나타나 금주가 불가능

89 알코올 사용 장애 알코올리즘의 치료 - 치료의 목표 : 완전한 중단 또는 조절된 음주 (1) 치료의 과정
- 술과 격리 : 금단증상으로 해독은 입원치료 필요 - 내과질환을 위한 철저한 검사와 진단 필요. - 규칙적인 식사와 생활, 영양공급 - 정신과적 문제 동반시 정신과적 약물 투여 - 2~3주후 해독치료 완료 - 개별면담, 교육, 집단치료, 인지행동치료, 환경치료 실시 - 퇴원 후 재발방지 치료, 가족치료 및 교육

90 알코올 사용 장애 예비기간 기본교육기간 회복훈련기간 병동적응 및 해독기간 AA 시청각교육 단주기본교육 12단계 12전통
의미치료 단주를 위한 사회기술 훈련


Download ppt "제 1절 적응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신경증적 장애 사회복지학과 김규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