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이 주호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이 주호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Presentation transcript:

1 2014.12.22. 이 주호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고령화와 인적자본 정책 이 주호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 목차 교육 거품과 고령화 교육 다양화 개혁 고령화와 인적자본 정책의 새로운 과제 (Diversification)

3 교육 거품과 고령화 교육 거품의 정의 교육 거품의 형성 교육 거품의 결과 교육 거품의 원인

4 교육 거품은 인적 자본의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는 교육 지출의 지속적인 증가 현상으로 정의
교육 거품의 정의 교육 거품은 인적 자본의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는 교육 지출의 지속적인 증가 현상으로 정의 교육 거품의 사례로는 사교육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 질 낮은 대학으로의 진학이 지속적으로 증가

5 Educational Investment as a percentage of GDP
(%) This slide shows the trend of Private tutoring together with government’s education budget and tuition payment by household, all as a percentage of GDP. ### This slide confirms that Korea is investing a huge portion of its GDP in education. In addition to 4.5 % of GDP that is invested through government’s education budget, another 2% of GDP is paid by households in the form of tuition. On top of that, Korean parents are spending another 2% of GDP for private tutoring. Although private tutoring as a percentage of GDP has started to decline after reform, this decrease should be accelerated given that the level of private tutoring is still very high. Govn’t Budget Tuition Payment by Household Private Tutoring

6 교육거품의 형성 고졸자의 대학 진학률이 1990년의 33.3%에서 2008년의 83.9%로 급증
대학의 전반적 질 향상의 속도가 느린 가운데 대학 간의 수직적 차별화는 강화 실업계(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자의 취업률이 1991년의 80.1%에서 2009년의 16.8%로 급락 사교육 종사자의 수가 1993년 69,000 명에서 2010년 317,000 명 으로 증가하면서 학교 교사 수의 77%에 육박

7 Percentage of New High School Graduates who Enter Colleges (Advancement Rates)
note: those enlisted were excluded from graduates. . source: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8 Table: Vertical Differentiation among Universities : general and financial Indicators(2013)
Decile Mean Percentile Enrollment (000) % Faculty Research Funding (Billion, W) Papers 국내논문 1 96.1 153 9.7 11.4 16.1 1,849 37.9 8,101 34.0 5,854 14.7 2 91.3 125 8.0 6.0 8.6 469 9.6 2,117 8.9 4,395 11.1 3 86.2 152 6.1 8.7 487 10.0 2,417 10.1 3,730 9.4 4 79.8 123 7.9 5.7 8.1 268 5.5 1,974 8.3 3,348 8.4 5 73.1 160 10.2 7.0 9.9 476 9.8 2,305 4,001 6 65.6 138 8.8 6.2 319 6.5 2,023 8.5 3,444 7 58.6 134 5.1 7.3 124 2.5 888 3.7 2,891 8 51.8 136 7.8 150 3.1 949 4.0 3,203 9 45.2 110 72 1.5 478 2.0 2,396 10 31.7 117 7.5 4.1 5.8 95 343 1.4 2,126 5.3 total 69.9 1568 100.0 70.4 4,878 23,833 39,759 n/a 219 14.0 9.3 13.3 567 11.6 2,239 4,372 11.0 482 12.9 48 132 1731 (KRW 0.1billion) decile Expenses for Education, Research, and operation (a) Total Tuitions (b) Gov’t Subsidy (c) Net Expenses (d=a-b-c) 1 2,952.7 2,005.0 178.9 768.9 2 1,380.1 1,146.0 125.2 108.9 3 1,293.2 1,139.4 114.4 39.4 4 903.3 750.3 90.1 62.9 5 951.5 730.4 81.1 140.0 6 861.4 676.4 85.2 99.7 7 869.5 727.3 114.7 27.5 8 1,139.2 926.9 136.5 75.8 9 865.3 733.3 124.5 7.5 10 790.2 669.5 124.9 -4.3 n/a 1,533.2 1,277.2 203.4 52.5 all 13,539.5 10,781.8 1,378.9 1,378.8 3,325.0 2,919.3 515.2 -109.4 note: (a): 인건비, 운영비, 교육연구비 (d): 순지출. 학생으로부터의 등록금 수입과 국가로부터의 보조금 수입 대비해서 대학이 실제 교육과 연구활동에 투자한 금액. 4년제 10분위와 전문대 평균은 순지출이 음수로 나타남. 국립대학(법인화 대학 제외)은 note: 55 universities with no KSAT record were excluded. Incomes and expenses data were based on school accounts of 107 private universities, in which 9 campus (in parenthesis) were combined to main campus.

9 Table: Vertical Differentiation among Universities : Education and Research Indicators (2013)
decile 교원당 연구비 국제논문 국내논문 교수당 학생 학생당 교육비 등록금 교육비/등록금 중도 탈락율 취업률 기취업자 비율 취업률2 진학자 1 162.6 0.71 0.51 13.4 21.6 12.7 1.7 62.3 0.9 61.9 18.2 2 77.7 0.35 0.73 20.7 11.5 9.1 1.3 2.4 57.7 57.0 10.2 3 79.4 0.39 0.61 24.7 11.3 8.8 2.6 55.7 54.8 10.0 4 46.9 0.59 10.9 7.9 1.4 3.3 55.0 5.9 51.8 7.8 5 68.4 0.33 0.58 23.0 12.8 6.8 1.9 3.4 55.5 3.1 53.9 6 51.3 0.32 0.55 22.1 10.3 7.1 2.5 50.4 7.6 7 24.1 0.17 0.56 26.2 9.4 7.2 4.8 51.4 5.1 8 27.5 24.8 10.4 7.3 5.3 55.9 2.3 54.7 5.5 9 18.0 0.12 0.60 27.6 9.0 7.0 6.4 56.9 55.2 4.6 10 23.5 0.08 0.52 28.9 6.6 59.0 7.4 3.7 n/a 60.7 0.24 0.47 13.2 56.0 4.7 53.5 total 69.2 0.34 22.3 12.0 8.1 1.5 4.1 54.4 8.4 0.01 0.13 37.4 8.2 6.1 11.0 55.3 5.2 note: Grouped by admission result of year as in <Table 1(a)>

10 Percentage Change in Enrollment from 2000 by Decile Groups of Colleges
학부생 Top10 Others Top 10 (%) Others (%) ranked Ranked (%) 순위권 대학 2000 1,290,893 184,619 1,106,274 14.3 85.7 2001 1,335,348 189,716 1,145,632 14.2 85.8 2002 1,355,454 190,316 1,165,138 14.0 86.0 2003 1,395,795 192,093 1,203,702 13.8 86.2 2004 1,406,381 190,901 1,215,480 13.6 86.4 144,374 10.3 8 2005 1,403,373 189,237 1,214,136 13.5 86.5 142,373 10.1 2006 1,425,438 189,978 1,235,460 13.3 86.7 165,275 11.6 9 2007 1,447,554 188,918 1,258,636 13.1 86.9 139,798 9.7 2008 1,454,846 188,314 1,266,532 12.9 87.1 138,669 9.5 2009 1,472,738 190,317 1,282,421 165,966 11.3 2010 1,498,654 190,444 1,308,210 12.7 87.3 10 2011 1,536,776 191,937 1,344,839 12.5 87.5 213,238 13.9 11 2012 1,562,390 192,163 1,370,227 12.3 87.7 *ARWU: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by Shanghai Jiaotong University - No. of universities ranked in ARWU : 8(2004), 8(2005), 9(2006), 8(2007), 8(2008), 9(2009), 10(2010), 11(2011), 10(2012)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TOP10 2.76 0.32 0.96 -0.65 -0.90 0.40 -0.57 -0.33 1.08 0.07 0.81 0.12 top 20% 2.63 3.74 5.42 5.05 4.98 5.88 5.52 4.57 5.72 6.21 7.07 7.38 21-40% 3.59 3.60 6.84 7.90 8.45 10.73 11.96 13.45 14.89 17.23 20.63 22.95 41-60% 3.19 4.59 8.33 9.72 10.00 10.70 12.39 14.39 16.99 18.09 20.01 21.48 61-80% 4.03 7.22 11.71 14.04 13.48 16.33 18.94 19.84 21.03 23.05 25.81 27.20 81-100% 3.88 6.58 9.39 8.72 6.83 9.15 12.97 12.69 12.83 16.60 19.95 21.54 81-100% & n/a 4.01 6.69 9.90 10.10 8.69 11.26 15.23 14.94 15.39 19.97 23.99 27.18 Top10 184,619 189,716 190,316 192,093 190,901 189,237 189,978 188,918 188,314 190,317 190,444 191,937 192,163 top 20% 303,789 311,767 315,139 320,261 319,132 318,907 321,638 320,565 317,685 321,157 322,661 325,255 326,223 21-40% 231,967 240,296 240,311 247,831 250,300 251,565 256,853 259,713 263,166 266,502 271,933 279,833 285,192 41-60% 265,316 273,776 277,506 287,418 291,111 291,839 293,715 298,198 303,493 310,400 313,307 318,413 322,319 61-80% 222,607 231,577 238,674 248,671 253,852 252,604 258,952 264,772 266,781 269,430 273,916 280,053 283,158 81-100% 224,708 233,429 239,501 245,812 244,309 240,051 245,274 253,849 253,229 253,529 262,014 269,547 273,119 81-100% & n/a 244,177 253,961 260,506 268,358 268,843 265,402 271,669 281,355 280,663 281,746 292,939 302,763 310,551

11 Mean KSAT Percentile Scores of 4-year and 2-year colleges (1994-2003)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top 5% 98.2 96.1 98.8 98.7 97.3 98.3 96.5 97.4 97.2 6-10% 95.4 93.9 95.5 94.9 94.4 94.8 94.3 95.0 top 10% 96.9 95.2 97.6 95.7 96.6 95.3 96.3 11-20% 93.4 91.2 93.0 91.7 91.6 91.0 90.1 91.8 91.3 21-30% 89.6 88.7 88.8 86.8 86.2 85.3 85.1 83.8 88.0 31-40% 86.5 85.2 85.7 83.1 83.0 81.3 80.3 78.6 79.3 79.8 41-50% 83.3 81.7 82.8 78.3 77.3 76.8 74.6 75.2 73.1 51-60% 80.6 78.7 76.6 72.4 70.9 70.8 67.8 70.1 65.6 61-70% 74.3 75.0 70.6 66.6 66.5 62.6 64.5 58.6 71-80% 75.1 70.2 70.3 65.9 62.8 62.5 61.3 58.5 51.8 81-90% 70.5 65.5 66.3 59.4 55.3 55.8 53.7 52.9 49.3 45.2 91-100% 63.5 56.1 57.7 47.2 43.8 41.5 41.6 39.5 35.0 31.7 대학수 153 128 149 177 170 157 165 173 169 163 총합계 83.5 80.0 78.5 74.9 74.1 73.2 69.2 72.8 69.9 avg. 2-yr College 48.012 avg. top 50% 2-yr C 58.858 58.262 Mean KSAT Percentile Scores of 4-year and 2-year colleges ( ) (%) 대학별 신입생 입학성적(수능 정시 평균 기준) 상위대학부터 낮은 순서로 계산하면, 상위 대학의 수가 매우 작아짐.

12 Percentage of New High Schools Graduates Employed
note: those enlisted were excluded from graduates. . source: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13 Number of institutions and employees in private tutoring business
year 업체수(a) 증가율 종사자(b) 교원(c) (b/c, %) 1993 15,638 68,752 332,988 20.6 1994 17,836 14.1 75,215 9.4 335,935 22.4 1995 20,345 91,171 21.2 337,367 27.0 1996 20,958 3.0 98,296 7.8 339,431 29.0 1997 20,956 0.0 93,404 -5.0 341,005 27.4 1998 17,255 -17.7 74,111 -20.7 342,082 21.7 1999 22,800 32.1 148,115 99.9 336,125 44.1 2000 24,680 8.2 175,487 18.5 336,940 52.1 2001 28,234 14.4 201,433 14.8 340,414 59.2 2002 32,947 16.7 226,958 12.7 357,084 63.6 2003 37,562 14.0 235,810 3.9 369,621 63.8 2004 39,795 5.9 242,734 2.9 375,237 64.7 2005 44,551 12.0 264,153 8.8 380,389 69.4 2006 48,522 8.9 273,908 3.7 388,497 70.5 2007 52,846 288,974 5.5 395,379 73.1 2008 58,176 10.1 304,733 403,796 75.5 2009 61,532 5.8 308,936 1.4 409,217 2010 64,723 5.2 317,014 2.6 411,958 77.0 2011 67,349 4.1 311,380 -1.8 422,364 73.7 2012 68,120 1.1 301,821 -3.1 425,392 71.0 자료: 학원 사업체수 및 종사자는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1993~2012). 교원수는 교육통계연보 매해. 주) 학원은 일반 교습학원 기준(입시, 언어, 방문 및 통신교육 학원 포함). 조사가 시작된 1993년 이후 증가하다가 1997년 경제위기로 감소. 그러나 이후 1999년부터 급속하게 증가. 2008년에는 일반 교습학원 종사자 숫자가 초중고 교사의 75.5%까지 육박하게 됨. 그러다 2010년을 정점으로 2011년부터 종사자의 규모가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음. source: National Business Survey by Statistics Korea, and Educational Yearly Statistics note: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14 교육 거품의 결과: 노동시장 대졸자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임금의 증가 속도는 감소하고 임금 불평등은 증가 대졸자 임금 분위별 임금프리미엄이 확산(fanning-out)되면서 대졸자 간 임금불평등 확대 고졸 평균임금보다 낮은 보수를 받는 대졸자의 지속적 증가

15 Compositional Change of the Workforce Toward Higher Education

16 Growth and Inequality of Korean Wage

17 4-Year College Premium by Wage Decile Groups

18 2-Year College Premium by Wage Decile Groups

19 Share of Wage-deficient Young 4-year College Workers

20 Share of Wage-deficient 2-year Young College Workers

21 교육 거품의 결과: 인지 역량 및 비인지역량 사교육의 급격한 증가는 인적자본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 못함
자기주도적 학습에 비하여 사교육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함 사지선다형 평가가 가능한 인지적 역량에 집중하면서 다른 중요한 역량(6Cs)을 제대로 길러내지 못함 OECD 국가 중에서 학생들이 학교에서 행복하지 못하다는 답변이 가장 높으며, 교사들의 자기 효용감에 대한 답변이 가장 낮음

22 21세기가 요구하는 6C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ve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Citizenship Character Skills

23 Figure 12: High Scores by Unhappy Students (PISA 2012)
cnt I feel happy at school* Math2012 c Switzerland 87.1 525.8 OECD Korea 60.4 520.2 Estonia 66.6 510.2 Poland 68.4 507.8 Germany 79.4 506.8 Japan 85.4 506.4 Finland 66.9 504.6 Canada 80.9 501.1 Netherlands 82.3 499.8 Austria 79.9 497.6 Slovenia 78.5 488.6 Denmark 86.1 Australia 79.7 485.9 Portugal 86.4 483.7 Belgium 84.5 481.0 Ireland 81.9 480.1 Luxembourg 476.2 New Zealand 81.2 475.6 Czech 63.4 Iceland 90.4 474.6 France 81.0 469.7 UK 83.2 467.8 Spain 87.3 Sweden 85.0 467.2 Italy 75.6 466.0 Norway 86.9 464.0 Israel 88.6 460.8 Slovak 64.4 460.2 USA 454.7 Greece 74.6 451.1 Turkey 83.1 440.8 Hungary 80.1 440.1 Chile 411.7 Mexico 90.9 407.5 Shanghai-China 84.6 575.5 Partners Singapore 87.9 537.1 Hong Kong 86.3 526.0 Taipei 86.5 523.8 Liechtenstein 86.6 507.7 Macao 81.8 504.8 Latvia 67.7 486.8 Viet Nam 85.8 485.1 Russia 72.2 468.6 Lithuania 77.9 468.5 Croatia 87.0 457.5 Serbia 440.7 Romania 77.5 439.5 Bulgaria 80.4 428.4 Kazakhstan 90.5 422.4 UAE 83.7 414.5 Thailand 93.5 413.0 Uruguay 87.5 407.0 Costa Rica 90.6 406.5 Montenegro 81.5 403.1 Albania 94.0 396.5 Malaysia 91.4 393.8 Brazil 84.7 388.7 Tunisia 386.4 Jordan 83.8 382.2 Argentina 77.0 376.6 Colombia 92.2 371.1 Indonesia 95.7 365.2 Peru 93.6 358.6 Qatar 75.2 350.9 “I feel happy at school”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port being happy at school Math Scores OECD countries Partners source: PISA 2012

24 Figure 11: Salaries and Self-efficacy of Teachers

25 교육 거품의 결과: 저축과 고령화 대비 중장년층의 교육비 지출이 과도함에 따라서 개별 가구의 고령화 대비 저축이 저조
일반적으로 평균소비 성향은 연령과 관련하여 U자 모양을 나타내는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과도한 교육비 지출로 4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높은 수준을 유지 40대에서 전체 소비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5-20%에 달함

26 Consumption Pattern by Age Groups with and without Education Expenditure (권규호,오지윤, 2014)

27 Proportion of education expenditure out of total consumption by age group (권규호,오지윤, 2014)

28 교육 거품의 원인 낮은 투자수익률(low rate of return)에도 불구하고 교육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대학 졸업장에 높은 가치를 두는 사회심리적 원인 대학 및 학교 간 수직적 차별화

29 교육 거품의 원인 교육의 빠른 양적 팽창에 비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의 속도는 매우 느림
교육 제도는 교육 수요의 변화에 대응 하여 유연하게 변화하는데 한계 다른 경제사회 개혁에 비하여 교육개혁이 더 힘든 정치경제적 이유

30 교육 거품 versus 금융 거품 금융 거품: 금융 거품은 자산 가격이 단기적으로 급등 혹은 급락하며 갑작스러운 붕괴(sudden burst)에 취약 교육 거품: 교육 지출의 증가는 보다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루어짐 경제성장과 불평등에 보다 장기적 악영향을 미칠 우려

31 교육 다양화 개혁 수평적 차별화의 강화 교육의 질 제고 민간의 교육비 부담 경감

32 교육 다양화 개혁 1: 수평적 차별화의 강화 직업교육의 강화 a. 마이스터 고교 정책 b. 진로교육 강화
a. 마이스터 고교 정책 b. 진로교육 강화 4,500 명의 진로진학 상담교사 신규채용 c. “선취업 후진학” 기회 확대 d. 특성화 고교 (350 여개교) 강화

33 교육 다양화 개혁 1: 수평적 차별화의 강화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수업 및 평가 방식의 변화 a.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도입
a.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도입 2012년 전체 신입생의 약 13.5% b. 특목고의 자기주도학습 전형 도입 c. 학교폭력대책 및인성교육강화 학교스포츠클럽, 학생오케스트라, 창의체험활동 d. 스마트 교육 도입 디지털 교과서 

34 교육 다양화 개혁 1: 수평적 차별화의 강화 대학의 교육 및 산학협력 지원 a. 잘 가르치는 대학에 대한 지원
a. 잘 가르치는 대학에 대한 지원 대학교육 역량강화사업 학부교육 선진화선도사업(ACE) b. 대학의 산학협력 지원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LINC) 산학협력 교수(2000 여명) 채용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육성

35 교육 다양화 개혁 2: 교육의 질 제고 학교의 자율성 강화 고교 다양화 300 정책 자율형 사립 고교 기숙형 고교
고교 다양화 300 정책 자율형 사립 고교 기숙형 고교 자율형 공랍 고교 b. 교장 공모 제도 도입 신규 채용 교장의 50% 내외

36 교육 다양화 개혁 2: 교육의 질 제고 학교의 책무성 강화 a. 학교정보공시 제도 도입
학교의 책무성 강화 a. 학교정보공시 제도 도입 b. 국가단위 학업성취도 평가에 따른 기초학력미달학생 학습지원 c. 교원평가(학생, 학부모, 동료교사, 등에 의한) 제도 도입

37 교육 다양화 개혁 2: 교육의 질 제고 연구 대학의 질 제고 a. 국립대학 지배구조 개선 서울대 법인화
연구 대학의 질 제고 a. 국립대학 지배구조 개선 서울대 법인화 국립대학 총장직선제 폐지 b.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사업 (World Class University: WCU) 30개교에 340 명의 해외 석학 초청 c. 대학 교수 연구 지원 확대 이공계 교수의16% (2008)에서 32% (2013)까지 2배 확충 d. 국제과학비지니스밸트 사업 기초과학연구원 (IBS): KAIST, GIST, DGIST, POSTECH 캠퍼스 연구소 설립 중이온 가속기 (Heavy-ion Accelerator) 건립

38 교육 다양화 개혁 2: 교육의 질 제고 대학 구조개혁 a. 대학 구조개혁을 위한 정보공시체제 구축 b. 대학구조개혁위원회 설립
대학 구조개혁 a. 대학 구조개혁을 위한 정보공시체제 구축 b. 대학구조개혁위원회 설립 c.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학자금대출 제한대학, 혹은 퇴출대학 발표 6개 대학교 퇴출

39 교육 다양화 개혁 3: 민간 교육비 부담의 경감 사교육비 부담의 경감 a. 방과후 학교 확대
a. 방과후 학교 확대 b. 지역사회 및 산업계의 교육기부 장려 c. 국영교육방송 EBS의 수능강의 강화 d. 학원 운영시간 및 교습비 규제

40 교육 다양화 개혁 3: 민간 교육비 부담의 경감 등록금 부담 반으로 줄이기
a. 한국장학재단 (KOSAF)의 설립을 통한 국가장학제도 출범 b. 소득연계형 학자금 대출 제도(든든 학자금 제도) 도입 c. 대학의 등록금 인상 억제를 위한 유인 정책

41 고령화와 인적자본 정책의 새로운 과제 저조한 성인 역량 군 인력 제도의 개혁 해외 인력 개방을 위한 제도 개혁
조직 개방성 및 노동시장 이동성 제고

42 저조한 성인 역량 (Adult Competencies)
년 시행된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역량은 16-19세에는 OECD 최고 수준이나 25-29세에는 OECD 평균 수준이고 35-39세에는 OECD 최하위 권으로 낮음을 지적 (The Learning Curve, 2014)

43 The Learning Curve: Education and Skills for Life (2014 Report, Pearson)

44 고령화와 성인 역량 우리나라에서 낮은 성인 역량의 문제가 해소되지 못한다면,
향후 인구 변화에 따라서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고령 인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인적자본이 위축되고 성장 저하의 근본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

45 인적자본 정책의 새로운 과제 우리나라 성인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강화를 넘어서
보다 근본적으로 군 인력 활용에 대한 제도 개혁 및 해외 인력 개방을 포함하여,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조직의 개방성(Openness)을 확대하고 노동시장의 이동성(mobility)을 높이는 제도 개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공론화가 필요

46 Reference Lee, Ju-Ho, “Making Education Reform Happen: Removal of Education Bubble through Education Diversification,” KDI School Working Paper Lee, Ju-Ho, Hyeok Jeong and Song-Chang Hong, “Is Korea Number One in Human Capital Accumulation? Education Bubble Formation and its Labor Market Evidence," KDI School Working Paper Lee, Ju-Ho et. al. (ed.), Positive Changes, The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Policies of Korea, Korea Economic Daily Inc., 2012. 권규호, 오지윤, “연령별 소비성향의 변화와 거시경제적 시사점,” KDI 경제전망 2014년 상반기 제 31권 제 1호


Download ppt "이 주호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