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어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어의 역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어의 역사

2 * 차례 * 국어의 역사 가. 고대 국어 나. 중세 국어 다. 근대 국어

3 국어의 역사 – 국어의 계통과 변천 국어의 계통 국어의 변천 몽골 어, 터키 어, 만주 · 퉁구스 어 등과
함께 알타이 어족에 속함. 국어의 변천 알타이 조어 북방계어 (고구려어 중심) 고구려어 남방계어 (삼한 지역) 백제어 통일 신라어 신라어

4 국어의 역사 – 국어사 시대 구분 고대 국어: 고조선 ~ 통일 신라 고려 건국 (918년)
중세 국어 전기: 고려 건국 ~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 창제 (1443년) 중세 국어 후기: 훈민정음 창제 ~ 임진왜란 임진왜란 (1592년) 근대 국어: 17세기 초 ~ 19세기 말 갑오개혁 (1894년) 현대 국어: 개화기 ~ 현재

5 가. 고대 국어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암각화 (岩刻畵) 문자 이전의 언어생활 선사 시대 사람들이 자신의 바람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커다란 바위 등 성스러운 장소에 새긴 그림 문자 이전의 언어생활 즉각적인 의사소통 → 음성 언어나 몸짓 언어를 사용 기록 → 자연물(바위, 나무 등)에 그림.

6 소나(素那)[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가. 고대 국어 – 고유 명사의 표기 1. 고유 명사의 한자 차용(차자 표기) 素那(或云金川) 白城郡蛇山人也 소나(혹운금천) 백성군사산인야 소나(素那)[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7 가. 고대 국어 – 고유 명사의 표기 음차 훈차 sarang love 사랑 당시에는 음차(素那)와 훈차(金川)의
훈차 희다 어찌 발음 = 음차 훈차 sarang love 사랑 당시에는 음차(素那)와 훈차(金川)의 발음이 같았음.

8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가. 고대 국어 – 고유 명사의 표기 2. 고유어와 한자어 경쟁 永同郡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영동군 본길동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9 가. 고대 국어 – 고유 명사의 표기 고유 지명의 변화: 길동(永同) > 영동 (永同) → 한자어 증가, 고유어 위축
음차 외래어(한자어) 외래어 sarang love 좋다 발음 = 사랑 러브 고유 지명의 변화: 길동(永同) > 영동 (永同) → 한자어 증가, 고유어 위축

10 가. 고대 국어 – 고유 명사의 표기(확인 문제) 1 ( )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고유 명사 '밤골'을 표기하기 위해
1 ( )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고유 명사 '밤골'을 표기하기 위해 수렁 밤(湴), 뼈 골(骨)을 쓰면 → 한자의 ( )을 빌려 쓰는 것이고, 밤 율(栗), 고을 주(州)를 쓰면 → 한자의 ( )을 빌려 쓰는 것이다.

11 ✔ 가. 고대 국어 – 고유 명사의 표기(확인 문제) 2 다음 중, 고유 지명의 변화 방식이 다른 것은?
2 다음 중, 고유 지명의 변화 방식이 다른 것은? 서울은 신라 시대 서라벌에서 유래한 수도의 의미를 가진 말이나 한양과는 관련 없는 다른 지명이다. ① 서울 → 한양(漢陽) ② 벌말 → 평촌(坪村) ③ 한밭 → 대전(大田) ④ 윗버드내 → 상류천(上柳川) ⑤ 배물다리 → 이수교(利水橋) 한자의 뜻을 빌려 고유 지명을 한자어 지명으로 변경

12 가. 고대 국어 – 임신서기석 임신서기석(보물 제1411호) ① 시기: 신라 시대의 임신년 (552년 또는 612년으로 추정)
② 발견: 1934년 경주군 견곡면 금장리 ③ 특징: - 길이 약 34cm , 윗 너비 11cm, 두께 약 2cm의 돌. - 금석 문서로 총 74자. ④ 내용: 교우이신(交友以信)의 신념을 바탕으로 신라의 두 화랑이 학문에 전념할 것과 국가에 충성할 것을 맹세함.

13 가. 고대 국어 – 임신서기석 서기체 표기 방식의 특징 壬申年六月十六日 임신년육월십육일 二人幷誓記 이인병서기 天前誓 천전서
임신년 6월 16일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고 기록한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서기체 표기 방식의 특징 ①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표기. (목적어+서술어, 부사어+서술어) ② 우리말의 형식 형태소(조사, 어미)는 표기하기 어려움.

14 가. 고대 국어 – 임신서기석 한문 서기체 서술어 부사어 誓 天 前 맹세하다 하늘 앞 우리말 영어 서기체 부사어 서술어 주어
목적어 실질 형식 I you love 하늘 맹세한다 사랑하다

15 가. 고대 국어 – 임신서기석(확인 문제) 1 다음은 '결초보은(結草報恩)'을 서기체로
1 다음은 '결초보은(結草報恩)'을 서기체로 나타낸 것이다. <표>를 참고로 서기체의 특징과 한계를 각각 한 문장으로 써 보자. ① 특징: 한자를 빌려 우리말의 어순으로 표기함. ② 한계: 우리말의 형식 형태소를 표기하지 못함. 한문 서기체 표기 어순 서술어 목적어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은혜를 꼭 갚는다는 의미.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16 가. 고대 국어 – 서동요 핵심 정리 ① 갈래: (형식상) 4구체 향가 (내용상) 참요 연대: 신라 진평왕(599년 이전)
작가: 백제 무왕 출전: 삼국유사(三國遺事) 의의: 현존 최고(最古) 향가 주제: - 표면적: 선화 공주의 은밀한 애정 - 내면적: 선화 공주에 대한 서동의 연모의 정

17 가. 고대 국어 – 서동요 ① 해독(양주동): 선화공주니믄 ② 현대어: 선화공주님은 ① 해독(양주동):  그지 얼어 두고
향찰 착하다 되다 숨다 향찰 착하다 변하다 숨다 ① 해독(양주동): 선화공주니믄 ② 현대어: 선화공주님은 향찰 그윽하다 단지 어루다 어질다 두다 향찰 그윽하다 단지 어루다 어질다 두다 ① 해독(양주동):  그지 얼어 두고 ② 현대어: 남 몰래 결혼하고

18 가. 고대 국어 – 서동요 ① 해독(양주동): 맛둥바 ② 현대어: 맛둥서방을 ① 해독(양주동): 바 몰 안고 가다
향찰 아이 향찰 아이 ① 해독(양주동): 맛둥바 ② 현대어: 맛둥서방을 향찰 어조사 토끼 안다 보내다 가다 같다 향찰 어조사 토끼 안다 보내다 가다 같다 ① 해독(양주동): 바 몰 안고 가다 ② 현대어: 밤에 몰래 안고 가다.

19 가. 고대 국어 – 서동요 향찰 표기 방식의 특징 ① 한자의 음과 뜻을 모두 사용해 우리말 어순으로 문장 전체를 표기함.
② 주로 실질적 의미(체언, 어간)의 실질 형태소는 한자의 뜻을 적음. ③ 주로 문법적 기능(조사, 어미)의 형식 형태소는 한자의 음을 적음. ④ 표기 문자는 한자이지만 당시 신라인은 우리말로 읽음.

20 가. 고대 국어 – 서동요 향가(鄕歌) ① 시기: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 초까지 ② 작가: 주로 승려, 화랑 등 귀족 계층
③ 형식: 4구체, 8구체, 10구체 ④ 문헌: 삼국유사(14수), 균여전(11수), 삼대목(향가집으로 전하지 않음) ⑤ 의의: 국문학상 최초의 정형화된 서정시, 향찰은 외래문화의 주체적 수용

21 가. 고대 국어 – 서동요(확인 문제) 1 서동요에서 다음 한자의 기능을 쓰고, 이를 바탕으로 임신서기석보다 발달한
1 서동요에서 다음 한자의 기능을 쓰고, 이를 바탕으로 임신서기석보다 발달한 향찰식 표기의 특징을 쓰시오. ① 기능: 隱, 乙, 矣 – ( ) 只, 良, 古, 遣 – ( ) 조사 어미 ② 특징: 조사, 어미 등 문법적 요소까지 표기해 우리말 문장 전체를 적을 수 있다.

22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핵심 정리 * 해례본: 1446년(세종 28년)에 창제된 글자를
반포하기 위하여 만든 한문본 '훈민정음' ① 시기: 1459년(세종 5년) ② 판본: 언해본 '세종어제훈민정음' ③ 주제: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 우리말에 대한 주체적 자각을 바탕으로 백성들이 편하게 문자 생활을 하게 하기 위함. → 창제 정신: 자주 정신, 애민 정신, 창조 정신, 실용 정신

23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15세기 국어의 특징 ① ㆆ(여린히읗), ㅿ(반치음), ㅸ(순경음 ㅂ),
ㆍ(아래아), ㆁ(옛이응)’ 등이 모두 사용. 예) 수·(15C)>쉬이(쉽게) 단어의 첫머리에 오는 둘 이상의 자음의 연속체. 현대 국어에서 된소리로 변화함. ② 어두 자음군 표기 예) 들(15C)>뜻을, 메(15C)>씀에

24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③ 모음 조화를 철저히 지킴. 예) 字(15C) > 자를
앞 음절의 모음과 뒷 음절의 모음이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음운 현상. ④ 역행 동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음. 예) 펴디(15C) > 펴지 'ㅣ' 계열 모음에 선행하는 설음 'ㄷ, ㅌ'이 구개음 'ㅈ, ㅊ'로 변하는 현상.

25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⑤ 원순모음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음. 예) 예) 스믈(15C) > 스물
자음 순음(ㅂ, ㅃ, ㅍ, ㅁ) 아래에 모음 평순음 'ㅡ'가 원순음 'ㅜ'로 변하는 현상 ⑥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음. 예) 니르고져(15C) > 이르고자 단어의 첫소리에 'ㄹ'이나 'ㅑ, ㅕ, ㅛ, ㅠ, ㅣ'와 결합하는 'ㄴ'이 탈락하는 현상

26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⑦ 성조를 나타내는 방점이 존재했음. - 평성: 낮은 소리, 방점 없음.
- 상성: 낮다가 높아지는 소리, 방점 2개 - 거성: 높은 소리, 방점 1개 - 입성: 빨리 닫는 소리, 방점 개수 관계없음. 글자 왼쪽에 점을 찍어 성조(소리의 높낮이)를 표시 ⑧ 현대 국어와 다른 조사 사용 - 에(부사격 조사): 비교나 기준을 나타냄. - 와로(비교격 조사): 동등 비교의 의미 - 주격 조사: 자음 + '이', 모음 + 'ㅣ‘, ‘∅’

27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⑨ 현대 국어와 다른 어휘의 의미 - 의미 축소:
어린 → 어리석은(15C) > 나이가 적은, 어엿비 → 가엾게(15C) > 불쌍하게, 예쁘게 - 의미 이동: 놈 → 사람(15C) >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 의미 확대: 영감 → 당상관 이상의 높은 벼슬하는 사람 > 남자 노인을 두루 가리키는 말

28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⑩ 이어 적기가 원칙 15C 16C 이어 적기(연철) 이어적기 + 끊어 적기(분철) 말미
말미 + 말이 17C ~ 19C 한글맞춤법통일안(1933~) 이어 적기 + 끊어 적기 + 거듭 적기(중철) 끊어 적기 말미 + 말이 + 말미 말씀이

29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⑪ 받침 표기: 8 종성법 1445년 용비어천가 '곶' 15C~16C 종성부용초성
모든 자음을 종성에 사용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17C ~ 19C 한글맞춤법통일안(1933~) 7 종성법 ㄱ, ㄴ, ㄹ, ㅁ, ㅂ, ㅅ, ㅇ

30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 ⑫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 한자를 중국 원음에 가깝게 표기
-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표기 예) 世·솅 - 초성의 ‘ㆆ’사용 예) 音· - 이영보래(以影補來): 한자의 ‘ㄹ’받침은 ‘ㆆ’을 덧붙여 입성으로 발음 예) 彆·

31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확인 문제)
1 다음은 세종 대왕이 훈민정음에서 새로 만든 28자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자음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기본자 가획자 ㄷ, ㅌ ㅂ, ㅍ ㅈ, ㅊ ㆆ,ㅎ 이체자 모음 기본자 초출자 재출자

32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확인 문제)
1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기본자를 만들고 획을 더해 글자를 만들었다. 해당하는 기본자를 찾아 쓰시오. ①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 ) ②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 ( ) ③ 입의 생긴 모양: ( ) ④ 이의 생긴 모양: ( ) ⑤ 목구멍의 둥글게 생긴 모양: ( )

33 나. 중세 국어 – 세종어제훈민정음(확인 문제)
2 모음은 성리학에서 우주의 기본 요소인 삼재, 즉 천지인(天地人)을 본떠 기본자를 만들었다. 해당하는 기본자를 찾아 쓰시오. ① 천(天): ( ) ② 지(地): ( ) ③ 인(人): ( ) 3 이 28자 중 오늘날 사라진 글자를 찾아 쓰시오. ( ) ᅙ , ᅀ , ᅌ , ㆍ

34 나. 중세 국어 – 소학언해 핵심 정리 ① 시기: 1586년(선조 19년) ② 원전: 소학(小學)
③ 주제: 효행(孝行)의 시작과 끝 ④ 내용: - 효의 시작: 신체보중(身體保重) - 효의 끝: 입신양명(立身揚名), 유방백세(流芳百世)

35 나. 중세 국어 – 소학언해 16세기 국어의 변화 ① ‘ㆆ, ㅿ, ㅸ’ 거의 소멸 * 종성‘ㆁ’ 사용: 오디(16C)
받(어간)+(객체높임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 받(15C) > 받온(16C) * 객체높임선어말어미 ‘,  ,’ 양성(ㅗ,ㆍ,ㅏ)+옴, 음성(ㅜ,ㅡ,ㅓ)+움 ② 모음 조화의 문란 예) 비르수미오(15C) > 비르소미오(16C) → 비릇(어간)+움(명사형어미)+이오(서술격조사) = 비르소미오(15C)

36 나. 중세 국어 – 소학언해 ③ 끊어 적기(분철) 확대 *이어 적기: 거시라(16C)
예) 모미며(15C) > 몸이며(16C), 얼구리며(15C) > 얼굴이며(16C) ④ 명사형 어미 ‘옴/움’의 사용이 문란 예) 비르소미오(16C), 미니라(16C)

37 나. 중세 국어 – 소학언해 ⑤ 용언의 ‘ㄹㅇ’형 활용형이 ‘ㄹㄹ’으로 변화 예) 다르(어간)+아(어미) = 달아(15C)
⑥ 당시 현실의 한자음으로 표기함. 예) 孔子(15C 동국정운식) > 孔子(16C)

38 나. 중세 국어 – 소학언해(확인 문제) 1 '세종 어제 훈민정음'과 '소학언해'는 약
1 '세종 어제 훈민정음'과 '소학언해'는 약 130년의 차이가 있는 자료이다. 그 차이에 해당하는 단어를 <보기>에서 찾아 써 보자. <보기> 세종 어제 훈민정음 (1459년) 소학언해 (1586년) 수, 들, 메, 말미,  받온, 비르소미오, 몸이며

39 나. 중세 국어 – 소학언해(확인 문제) <차이점> 세종 어제 훈민정음 소학언해 ‘ㅸ’ 존재 수 ‘ㅸ’ 소실
받온 모음조화 규칙적 들 모음조화 불규칙 비르소미오 명사형 어미 ‘옴/움’ 규칙적 메 ‘옴/움’ 혼란 이어 적기 보편적 말미 끊어 적기 확대 몸이며 ‘ㆆ’ 유지 ‘ㆆ’소실 X 세종 어제 훈민정음 소학언해 ‘ㅸ’ 존재 ‘ㅸ’ 소실 모음조화 규칙적 모음조화 불규칙 명사형 어미 ‘옴/움’ 규칙적 ‘옴/움’ 혼란 이어 적기 보편적 끊어 적기 확대 ‘ㆆ’ 유지 ‘ㆆ’소실

40 다. 근대 국어 – 동명일긔 핵심 정리 ① 시기: 1772년(영조 48년) ② 구성: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상의 변화
③ 주제: 귀경대에서 본 일출의 장관 ④ 내용: 해(회오리밤 → 큰 쟁반 → 수레박희) ⑤ 표현: 고유어가 많이 나타나고, 감각어나 색채어가 활발하게 쓰임.

41 다. 근대 국어 – 동명일긔 18세기 국어의 변화 ① 성조(방점) 소실 임진왜란(1592) 이후
② ‘ㆍ’: 음운은 소실, 표기는 잔존 예) 어즐며 ‘한글맞춤법 통일안(1993)’부터 사라짐.

42 다. 근대 국어 – 동명일긔 ③ ‘ㅿ, ㆁ’ 소실 예) 처(15C) > 처엄(16~17C), 반(15C) > 반(18C) ④ 모음 조화 파괴 예) 나(15C) > 나를(18C), 보(15C) > 보는(18C) ⑤ 명사형 어미 ‘기’의 사용 예) 븕기, 통낭기

43 다. 근대 국어 – 동명일긔 ⑥ 끊어 적기(분철)확대, 거듭 적기(중철),재음소화. ⑦ 7 종성법
이어 적기 끊어 적기 믈미, 브트며 믈밋, 븟으며 거듭 적기 재음소화 믈밋, 븟트며 믈밋, 븟흐며 ⑦ 7 종성법 예) 몯 (15C), 벋(16C)>던(18C)

44 ✔ 다. 근대 국어 – 동명일긔(확인 문제) 1 다음 중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단어의 예로 적절한 것은? 끊어 적기
1 다음 중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단어의 예로 적절한 것은? 거듭 적기 <보기> 소리 나는 대로 적는 이어 적기와 원형을 밝혀 적는 끊어 적기를 혼용한 방식으로 17~19C의 근대 국어에 많이 나타나는 과도기적인 표기방식이다. 끊어 적기 이어 적기 ① 븕은 ② 믈밋 ③ 눈을 ④ 황홀이 ⑤ 거 ‘믈미’(이어 적기)과 ‘믈밋’(끊어 적기)의 과도기적 표기 → 거듭 적기

45 다. 근대 국어 – 독립신문 창간사 핵심 정리 ① 시기: 1896년 4월 7일 ② 의의: 한글 전용체와 띄어쓰기 최초 시도
③ 주제: 독립신문의 창간 취지와 의의

46 다. 근대 국어 – 독립신문 창간사 19세기 국어의 변화 ① 띄어쓰기 의식이 덜 발달함. 예) 우리신문, 아니쓰고, 쓰거슨
② ㅅ계 합용 병서, ‘ㆍ’ 표기 잔존 예) 여,  ③ 이어 적기, 끊어 적기, 거듭 적기, 재음소화 사용 예) 일그니(연철), 한문은(분철), 시니(중철), 놉흔(재음소화)

47 다. 근대 국어 – 독립신문 창간사 ④ 한문의 영향을 받은 표현, 한문의 어순을 직역한 문투 예) -고로, -ㄴ즉, 아니쓰고
⑤ 평서형 종결어미 ‘-라’(현대: ‘-다’) 예) 홈이라, 드물미라(19C) > 함이다, 드물다(현대) ⑥ 목적격 조사의 혼란 예) 을, 말마을(19C) > 백사를, 말마디를(현대)

48 다. 근대 국어 – 독립신문 창간사(확인 문제) 1 다음은 '독립신문 창간사'에서 밝힌
1 다음은 '독립신문 창간사'에서 밝힌 국문 사용의 의의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국문 전용으로 ( )을 확보하고, 띄어쓰기로 ( )을 보장한다. 넓은 독자층 독해의 용이성


Download ppt "국어의 역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