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지역연구 방법론 - 베트남 사례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아시아팀 팀장 손승호
2 주 요 목 차주 요 목 차주 요 목 차주 요 목 차 1. 동아시아 지역연구의 의미 2. 베트남 경제의 성장 가능성 4. 베트남 경제 전망 3. 베트남 최근 시장환경의 변화
3 1. 동남아시아 개요 신흥시장으로 고도성장 기록 - FDI 확대와 역내 분업 촉진 활발한 경제통합 : AFTA - 인구 5.8 억명, GDP 1.5 조 달러 - 석유, 천연가스 등 자원보유 문화 : 대륙문화와 해양문화 - 불교문화권 : 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 보디아, 라오스 - 이슬람문화권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 아, 브루나이 개발격차 축소가 관건 : CLMV
4 1) 안행 (Flying Geese) 형 모델 1960~90 년대 전반 : 고투자 - 수출주도의 추격 (catch up) 형 공업화 과정에서 순차적 발전 (catch up) 형 공업화 과정에서 순차적 발전 선진국에서 발전을 시작한 산업이 경쟁력 변화에 따라 후진국으로 이동 따라 후진국으로 이동 * 일본 => NIEs => 선발 아세안 * 일본 => NIEs => 선발 아세안 ‘90 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세계시장 진출 급증 * 동아시아 (NIEs+ 아세안 ) 국가들과의 경쟁 심화 * 동아시아 (NIEs+ 아세안 ) 국가들과의 경쟁 심화 “ 동아시아 발전 모델 ”
5 2) 대나무 자본주의 (Bamboo Capitalism) 형 모델 1985 년 플라자 합의 이후 동북아 기업의 대동남아 투자 급증으로 역내의 분업이 심화, 확대 투자 급증으로 역내의 분업이 심화, 확대 - FDI 가 사양산업의 단순 이전이 아닌 국가간 공정간 - FDI 가 사양산업의 단순 이전이 아닌 국가간 공정간 분업 행태로 생산부품의 역내교역이 증가 분업 행태로 생산부품의 역내교역이 증가 중국은 기존 일본, 전자산업 위주의 동남아와 동북아간 생산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계기 제공 동북아간 생산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계기 제공 - 그러나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2000 년대 이후 FDI 가 - 그러나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2000 년대 이후 FDI 가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목표로 급격히 증가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목표로 급격히 증가
6 3) 수련 (Water Lily) 형 발전 모델 중국 및 동아시아에서 국경간 집적지역에서 발전한 광역집적지역이 생성 발전한 광역집적지역이 생성 - 생성된 집적지역은 경제성장에 따라 임금 및 지가 상승 - 생성된 집적지역은 경제성장에 따라 임금 및 지가 상승 등이 나타나면 새로운 입지우위 지역으로 찾아 이동 등이 나타나면 새로운 입지우위 지역으로 찾아 이동 향후 동아시아에서 광역집적지역이 수련 (water lily) 의 잎자루처럼 순차적으로 나타날 전망 lily) 의 잎자루처럼 순차적으로 나타날 전망 - 동남아에서는 메콩강 유역, 말레이 반도 등이 중요 - 동남아에서는 메콩강 유역, 말레이 반도 등이 중요 - 한 잎자루는 자체적으로 생성 - 발전 - 성숙 과정 - 한 잎자루는 자체적으로 생성 - 발전 - 성숙 과정
7 * 동아시아의 수련형 광역집적지역 자료 : SERI
8 2. 베트남 성장가능성 경제가 내수경제 기반 의 선순환을 하기 위한 최소단위가 1 억 정도라 는 것이 정설 베트남 현 인구 8,600 만 이며 총 인구의 50% 이상이 30 세 미만 구분면적 (km2) 인구 ( 천명 ) 브루나이 캄보디아 18114,500 인도네시아 1, ,700 라오스 2376,135 말레이시아 33027,200 미얀마 67749,200 필리핀 30091,100 싱가포르 ,500 태국 51366,500 베트남 33086,100 ASEAN4, ,318 1) 인구
9 2) 자원 부국 세계 2 위 쌀 수출국 (1 위 태국, 3 위 미국 ) 1999 년부터 원유 수출이 제 1 위 수출 품목으 로 등장, 점차 비중 확대 (98 년 섬유류 14.4%, 원유 12.8% => 99 년 원유 18.2% => 06 년 원유 21.3%) 정유공장 : 중꽛 정유공장 가동 - 25 억 달러투자, 초기 연 350 만톤 생산 - 필요 원유의 70% Bach Ho 유전, 30% 수입 => 베트남 산업화의 원년 평가
10 3) 지정학적 위치 인도차이나 반도의 중 심에 위치 미국의 대 중국 견제정 책에서 유일한 지정학 적 취약 지역 ( 과거 월남시절 미국이 사용하였던 깜란 만 )
11 4) 국민성 더운 지역 사람들과 달리 독한 측면을 가 지고 있음. 근면, 성실, 외세 침략에서 승리한 자긍심 5) 세계 경제에 성공적 편입 2006 년말 WTO 가입, PNTR 획득 => 경제성장을 위한 양대 축
12 6) 국가의 “ 운 ” 이 좋음 과거 한국의 경제성장은 세계 무역의 급 속한 확대와 시기가 일치 ( 보호무역 가능 ) 베트남도 2000 년 이후 세계 경제 성장의 최대 수혜국중 하나 2007 년 중간선거, 미국의 공화당 몰락, 민 주당 득세 => 대베트남 유화정책 추진
13 1986 년 : 도이머이 정책 도입 1987 년 : 외국인투자법 제정 1988 년 : 중앙은행에서 상업은행 분리 1992 년 : 신헌법 제정 1994 년 : 미국, 대베트남 경제제재 해제 2001 년 : 미․베트남 무역협정 발효 (NTR) 2006 년 11 월 : WTO 가입 2006 년 12 월 : 미국 PNTR 지위 부여 2007 년 6 월 : Triet 대통령 ( 주석 ) 미 공식 방문 2009 년 2 월 : 베, 중국과 국경 경계선 확정 “ 베트남의 주요 약사 ”
14 7) 주요 투자 대상국이자 전략적 파트너 우리기업의 투자 실적 ( 말 ) - 승인 제 4 위, 유입 제 2 위 기록 - MPI 기준 ( 승인 : 165 억 $, 유입 : 59 억 $) 포스트 BRICs 진출 및 생산 기지로서의 베트남 활용 자원 협력 및 개발 지원 베트남은 북한의 교과서 역할 수행
15 구 분구 분 f 경제성장률 (%) 재정수지 /GDP(%) CPI(%) 제 2 위 수출 품목인 섬유 및 직물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제조업 부문이 5 년 연속 10% 이상 성장 - 개인 소비와 고정투자가 확대되면서 연평균 7.8% 에 달 하는 고도 성장을 지속한 것으로 추정됨 년 상반기중 고인플레로 인한 경제불안 심화로 물 가 상승, 주가지수 폭락, 상품수지 적자 확대 발생 - 베 정부의 긴축정책과 세계경기 침체로 경기 둔화 전망 “ 최근 5 년 동안의 주요 경제 지표 ”
16 3. 베트남 최근 시장환경의 변화 - 주가지수 (VN index) 폭락 - 소비자물가상승률 2008 년 6 월 27%, 7 월 28%, 연평균 24% 2008 년 6 월 27%, 7 월 28%, 연평균 24% - 상품수지 적자 확대 ‘ 08. 1~6 월중 153 억 달러, 연중 164 억 달러 ‘ 08. 1~6 월중 153 억 달러, 연중 164 억 달러 ’ 일 260P ( 최고점대비 77% 하락 ) ’ 일 260P ( 최고점대비 77% 하락 )
17 1) ’08 년 상반기중의 물가상승은 공급 요인 식료품 및 원유 등 원자재 가격 폭등 => 식료품이 베트남 소비자물가지수 구성의 34.2% 를 차지 (08. 5 월 식료품 42.4% 인상 ) => 식료품 가격이 물가에 절대적 영향 미 달러화에 연동 (peg) 된 환율 체계 => 달러 표시 수입물가 상승의 효과가 거의 그대로 베트남 물가지수에 전가 => 수출 경쟁력과 딜레마 관계
18 1-1) 소비자물가 (CPI) 폭등 원인 베트남 국내신용 (Domestic Credit) 확대 => 2007 년중 국내신용 150% 증가 (IMF) 1) 2006 년말 WTO 가입 이후 국제적 기준에 맞는 경제 규모를 위해 과도한 기업 공개 및 확대 추진 2) 투자 환경 개선으로 2007 년중 사상 최고치인 203 억 달러의 외국인투자 (FDI) 승인액 기록 => 유동성 증가 및 수입증가로 상품수지 적자 확대 3) 해외교포 (Viet Kieu) 의 국내 송금 ( 약 70 억 달러 / 연 ) 4) 해외 근로자의 송금
19 2) 상품수지 적자 확대 2008 년 상반기중 수출증대에도 불구하고 수입 확대로 상품수지 적자 급증 => 미국의 경기 둔화에도 불구, 수출대상국을 중국, 호주 등으로 다변화 시도, 그러나 => 유가 상승으로 인한 석유제품의 수입액 증대 => 외국인투자 확대로 인한 자본재 수입 증대 => 고도 경제성장 지속으로 인한 자동차 등 고급 소비재 수요 증가 => WTO 가입 및 AFTA 추진으로 인한 관세율 인하 등으로 수입 수요가 크게 증대
20 2-1) 주요 대외거래 지표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f 경 상 수 지 ,993-12,059 경상수지 /GDP 상 품 수 지상 품 수 지 -2,287-2,439-2,776-10,360-16,463 수 출 26,48532,44739,82648,56161,263 수 입 28,77234,88742,60258,92177,726 외 환 보 유 액외 환 보 유 액 7,1869,21713,59123,74822,169 총외채잔액 18,04919,21220,20221,83123,214 총외채잔액 /GDP D. S. R
21 3) 주가지수 폭락 최고점인 P 대비 (‘07.5) 77% 하락한 314P(’09.4.8) 기록 => 그동안의 주가상승은 유동성 팽창에 의한 유동성 장세 => 2007 년말 이후 정부의 긴축 정책 실시로 주가 폭락 => 펀드 손실뿐 아니라 베트남 국내의 사회문제화 => 시가총액 /GDP : 11%
22 3-1) 베트남주가지수 추이 (’06.5~’09.4)
23 3-2) 베트남 관련 펀드 현황
24 4) 2008 년 하반기 이후 경기 둔화 경제불안 해소를 위한 베트남 정부 조치 - 중앙은행 기준금리 14% 로 인상 - 13 억 달러의 금융 1 증서 발행 - 국영기업의 신규투자 금지 - 환율변동폭 확대 2008 년 하반기 이후 긴축정책이 효과를 발휘 - 물가 안정, 2009 년중 4.9% 전망 -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4/4 분기 이후에는 오히려 경기부양책을 실시
25 4. 베트남 정부 대응 및 향후 전망 - 국영부문의 지출 축소 - 인플레 억제를 위한 고금리정책 단행 ’ 08 년 이후 8.75% => 14.0% 로 인상 ’ 08 년 이후 8.75% => 14.0% 로 인상 - 국내외화대출 규제 ’ 중앙은행 고시 ’ 중앙은행 고시 지출축소로 인한 경기 안정화 도모 지출축소로 인한 경기 안정화 도모
26 1) 2008 년중의 경제 불안은 경기 조정 과정 => 베트남은 지난 10 년간 연평균 7% 가 넘는 고도성장 => 특히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인 2000 년대 들어 신규 유망 투자지역으로 부상하면서 대규모 FDI 유입 => 다국적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와 국영기업들의 신 규 투자가 확대되면서 내수경기가 상승하고 주가 지수가 2006 년 8 월이후 6 개월만에 2.5 배나 급등 => 최근의 베트남 경제 불안은 그동안의 경기과열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정 과정
27 2) 물가 안정 및 상품수지 적자폭 축소 전망 => 물가상승은 유동성 증가, 고정환율 (peg) 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국제유가 상승 등이 주요 요인 * 긴축금융정책 및 세계 경기 침체로 2009 년중 4.9% 상승에 그칠 듯 => 상품수지적자는 FDI 유입으로 인한 시설재 수입 급증, 베트남 최초 정유공장의 운영을 위한 원유 비축 및 이에 따른 원유 수출 축소, 식품류 가격 안정을 위한 쌀 수출 금지 등에 기인 * 해당 요인 해소 및 수입 급감으로 대폭 축소
28 3) 향후 전망 외환위기 가능성은 크지 않음. (1) 베트남은 개방경제체제의 초기 단계로 아직 외환 자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어서 민간 부문 에서의 대외 채무 비중이 적음. (2008 년 단기외채 비중 25% 불과 ) (2) 2008 년말 대외채무 비중이 GDP 대비 27% 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고, 외채원리금상환비율 (DSR) 도 1.3% 에 불과해 대부분의 외채가 중장기 공적채무임.
29 (3) 베트남 정부가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하향 조정하는 등 경기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 (4) 무엇보다도 베트남의 경제 규모 및 체제가 아직은 베트남 정부의 통제를 벗어날 만큼 크지도 않고 자유화되어 있지도 않아 베트남 정부의 제반 경제 정책들이 시장에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됨. (5) 단기적으로는 베트남의 수출규모가 GDP 의 70% ( 한국 43%) 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베트남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 일, EU 등 선진국들의 경기침체가 심화되고 있어, 섬유, 봉제 등 주요 수출산업이 본격 적으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듯
30 4) 대응 전략 베트남 경기 둔화에 대한 대비 => 베트남이 심각한 경제위기는 아니더라도 상당기간 경기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베트남 내수 시장을 목표로 들어간 기업들은 내수 위축에 대한 대비책 필요 ( 신규 수출시장 모색 등 ) 베트남 현지 금융리스크 증대 => 투자시 현지 금융 조달을 계획했던 경우, 현지 금리 상승으로 현지자금 활용이 어려우므로, 한국내 해외 투자자금 또는 본사 자금 이용이 바람직
31 Thanks for Your Attention! for more information; 손승호 아시아팀장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