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헌. 이유정. 이용주. 이진희
contents Abstract Introduction Effect of Environments on Human Urinary Adrenaline in Male Subjects Effect of a Day Trip to a Forest Park on Urinary Adrenaline and Noradrenaline Levels in Male Subjects Effect of Forest Environments on Urinary Adrenaline Levels in Female Subjects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Decrease in Urinary Adrenaline Levels Effect of Forest Trips on Salivary and Serum Cortisol Levels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versus a City Visit on Serum DHEA-S Levels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versus a City Visit on Serum Adiponectin Levels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versus a City Visit on Serum Insulin Levels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versus a City Visit on Serum-Free Triiodothyronine(FT3)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Levels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the Levels of Estradiol and Progesterone in Serum Conclusions
1. 연구목적 : 인간의 내분비계에 미치는 숲 환경의 영향을 검토 2. 연구결과 : 숲 속 걷기 후, 남녀 모두 소변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과 노르아드레날린의 농도가 상당히 감소 혈청의 코티졸 수준에 대한 영향은 불일치 숲 환경은 아디포넥틴과 DHEA-S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숲 환경은 여성의 혈청 내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남성의 인슐린, 유리트리요오드티로닌 그리고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수치 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 Abstract
Introduction 1. 산림욕 소개 1982 년 일본 산림청이 처음 건강 생활방식을 위한 산림걷기 활동 제안 2. 산림욕 효과 이완과 스트레스 조절 : 교감신경계 활동 감소, 부교감신경계 활성화, 자율신경계 안정 면역체계 긍정적 영향 : NK 세포 활성화, 세포내의 항암단백질 증가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에 영향
1. 실험 목적 : 삼림욕 걷기가 소변 아드레날린 농도 감사를 통해 대상자의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규명 2. 연구 방법 3. 측정도구 소변 검사 ( 실험 3 일 전, 1 차 (2 일째 ), 2 차 (3 일째 )) POMS 검사, WBC(White Blood Cell Count), 수면상태 모니터링 산림걷기 3 일 / 남 12 명 1 일 - 오후 2h, 산속호텔 2 일 - 오전 2h/ 오후 2h, 산속호텔 3 일 - 검사 후 귀가 도심걷기 3 일 / 남 11 명 1 일 - 오후 2h, 도심호텔 2 일 - 오전 2h/ 오후 2h, 도심호텔 3 일 - 검사 후 귀가
5. 연구 결과
산림걷기 그룹의 소변 아드레날린 농도는 산림 걷기 전보다 후에 아드레날린 농 도가 감소. 통계적 유의한 차이 있음 도심 걷기 그룹에서는 실험 전과 후에 농도변화의 경향이 없음,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음 POMS: 실험군, 활력이 상당히 증가 / 불안, 우울, 분노의 점수는 감소 WBC: 실험군, 림프구와 단핵백혈구의 비율 증가, 과립성 백혈구의 비율 감소 6. 연구 결론 소변 아드레날린 검사를 통해 피험자가 숲 환경에서 더 적은 스트레스를 받았음 을 제시 POMS 검사를 통해 숲 환경에서 심리적으로 이완됨 확인 WBC 검사에서 숲 환경이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화시킴을 유추함
연구목적 이전 연구에서 남성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 박 3 일 삼림욕 여 행이 소변의 아드레날린 농도 concentration 를 낮춘다는 결과를 얻었 다. 여성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 박 3 일 여행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연구가설 삼림공원에서 2 박 3 일 여행이 여성피험자의 소변 아드레날린 농 도를 낮출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세의 4-18 년 경력을 가진 건강한 간호사 13 명 2. 연구절차 실험방법, 검사 도구 및 측정방법은 이전 연구와 동일 결과 1. 삼림욕 여행 후 소변의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P<0.01). 그림 4.
결과 2. 삼림욕 여행 후 여성이 남성보다 소변의 아드레날린 수치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56.5%vs27% on day1, 68.0% vs37.9%on day2). 3. POMS 검사결과 삼림욕 여행 후 활력 vigour 점수는 증가하였고, 불안, 우울, 화, 피로 그리고 혼란 점수는 감소하였다. 그림 1A- 남 그림 4- 여
결론 삼림욕하는 동안 실험참가자들은 심리적 이완을 경험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이완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소변의 adrenaline 과 noradrenaline 수치에 대한 삼림공원에서 당일치기 여행의 효과 - 남성을 중심으로 -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 도쿄의 큰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세의 건강한 남성 12 명 ( 평균연령 44.4±5.7) 연구절차 1. 실험방법 삼림공원에서 오전, 오후에 각 2 시간씩 총 6km 를 걸은 후 집으로 돌아감. 2. 검사도구 및 측정방법 - POMS 검사지 : 걷기 전, 걷는 동안, 걸은 후에 측정 - pedometer : 일일 신체 활동 관찰 - HPLC : 여행전후에 소변의 아드레날린 수치와 혈청 serum 의 코티졸 수 치를 측정 소변의 adrenaline 과 noradrenaline 수치에 대한 삼림공원에서 당일치기 여행의 효과 - 남성을 중심으로 -
결과 1. 여행전후 아드레날린 수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다 (p=0.71). 2. 여행에 대한 반응에서 개인차가 있다.( 그림 2A) 3. 2 를 바탕으로 아드레날린 농도가 증가한 그룹 (2 명 ) 과 아드레 날린 농도가 낮아지거나 변화가 없는 그룹 (10 명 ) 으로 나누었 을 때, 후자 그룹에서는 아드레날린 농도의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10 subject, p=0.04) 소변의 adrenaline 과 noradrenaline 수치에 대한 삼림공원에서 당일치기 여행의 효과 - 남성을 중심으로 - 그림 2
소변의 adrenaline 과 noradrenaline 수치에 대한 삼림공원에서 당일치기 여행의 효과 - 남성을 중심으로 - 그림 2
결론 숲여행을 하는 동안 심리적 이완을 경험하며, 더 낮은 수준의 느낀다. 소변의 adrenaline 과 noradrenaline 수치에 대한 삼림공원에서 당일치기 여행의 효과 - 남성을 중심으로 -
비뇨기 아드레날린 농도 감소에 대한 메커니즘 문제의식 산림의 어떤 요소가 비뇨기 아드레날린 농도 감소에 주된 이유가 되는가 ? 연구목적 나무로 부터 추출된 피톤치드가 비뇨기 아드레날린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피톤치드가 비뇨기 아드레날린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시상하부 교감신경 부신피질 SAM 축 HPA 축 부신수질 아드레날린, 노르아 드레날린, 도파민 뇌하수체
연구가설 피톤치드가 비뇨기 아드레날린 수치를 감소시킬 것이다. 연구 대상자 도쿄에 있는 의과대학 12 명 남자 연령 : 평균 51.8(±7.3) 세, 사회인구학적 정보 ( 나이, 생활습관 포함 ) 조사
연구 절차 첫째날 07:00 소변 채취 ( 각자 집 ) 08:30 혈액 채취 ( 병원 ), 자가측정 설문지 작성 (POMS 포함 ) ~ 일상 근무 19:00 도쿄에 있는 동일한 호텔에 투숙 (3 일 동안 ) 23:00 취침 <- 가습기로 피톤치드 오일을 기화시켜 흡입 둘째날 ~ 07:00 기상 -> 소변 채취, 설문지 작성 -> 아침 식사 ~ 일상 근무
그림 5. 피톤치드 노출이 비뇨기 아드레날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그림 6. 피톤치드 노출이 비뇨기 노르아드레날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통계 방법 대응 t 검정 (paired t-test) 같은 집단내 2 개 평균 비교 사전, 사후 비교 독립 t 검정 (independent t-test) 다른 집단 평균 비교 대조군, 실험군 동질성 검증, 사후 비교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 ANOVA) 같은 집단내 3 개 이상 평균 비교 사전, 사후, 추후 ( 지속효과 검증 )
산림욕이 타액 및 혈청 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 이론적 배경 박범진 등 (2010) 은 산림 경관 감상과 걷기 후 타액 코티졸 농도가 감소한다고 보고 연구목적 이를 검증해보기 위하여 산림욕이 혈청 코티졸 농도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
그림 7. 산림욕이 혈청 코티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타액 코티졸은 숲 방문 후에 즉시 채취하였으나, 혈 청 코티졸은 다음날 아침에 채취 혈청 코티졸도 숲 방문 후에 즉시 채취할 필요가 있 음
DHEA 와 DHEA-S 는 부신샘의 주요 분비 물질이다. 그림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림욕 여행은 혈액의 DHEA-S 수준을 상 당히 증가시켰으며, 이는 숲 환경이 혈액 DHEA-S 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1600ng/ml→1700ng/ml) 숲 공원과 도시지역을 산책하는 것 사이에는 의미 있는 신체활동의 차이는 없어, 두 여행에서 혈액 DHEA-S 의 차이는 신체 활동에서 기 인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혈청 DHEA-S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그림 8. 남성 피험자들의 DHEA-S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의 효과.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제시되었다 (n=16). *:p<0.05, 비교 t 검정에 의하면 산림욕 여행 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혈청 아포디넥션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아포디넥션 ( 또는 ARCP30, AdipoQ 로 부른다 ) 은 지방조직에 의해 생산되는 호르몬이다. 그림 9 와 같이, 산림욕 여행은 특히 혈청 내 아디포넥틴의 수준을 증 가시킨다. 그러나 도시지역을 산책하는 것은 효과가 없어, 숲 환경 이 혈청 아디포넥틴 수준에 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 되었 다.(7.6ug/ml→8.4ug/ml)
혈청 아포디넥션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그림 9. 남성 피험자들의 혈청 아디포넥션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의 효과.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제시되었다 (n=16). *:p<0.05, 비교 t 검정에 의하면 산림욕 여행 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혈청 인슐린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그림 10 에서 보여주듯이. 1 일 숲 공원 여행은 남성 피험자들의 혈청 인슐린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혈청 인슐린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그림 10. 남성 피험자들의 혈청 인슐린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의 효과.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제시되었다 (n=16).
혈청 유리 트리요오드사이로닌 (FT3) 과 갑상샘 자극 호르몬 (TSH)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그림 11 과 같이, 1 일 숲 공원 여행은 남성 피험자의 혈청 FT3 와 TSH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혈청 유리 트리요오드사이로닌 (FT3) 과 갑상샘 자극 호르몬 (TSH)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 대 도시 방문의 효과 그림 11. 남성 피험자들의 혈청 FT3 와 TSH 의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의 효과.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제시되었다 (n=16).
혈청의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의 효과 여행을 하는 동안 또는 후에 혈청의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는 유의미 한 변화가 없었다. 1 일과 2 일은 혈청의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여행하기 전 보다 높아 졌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 그림 12)
혈청의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수준에 미치는 산림욕 여행의 효과 그림 12. 여성 피험자들의 혈청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의 수준에 미치는 산림 욕 여행의 효과.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제시되었다 (n=13). #:p=0.084, $ :p=0.090, 각각 비교 t 검정에 의해 전과 첫째날 사이와 전과 둘째날 사이를 비교하 였다.
결 론결 론 숲 환경은 소변의 아드레날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과 침 코디졸 수준을 감소시켜 긴장완화 효과가 있다. 나무에서 발생한 피톤치드는 이러한 효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한다. 숲 환경은 혈청 DHEA-S 와 아디포넥틴 수준에 유익한 효과를 미 칠 수 있다. 그러나 남성 피험자의 FT3, TSH 농도와 여성 피험자 의 혈청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 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