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컴퓨터 교육 교수-학습 4. 가상 학교(Cyber School)
4.1 가상 학교의 등장 배경 및 정의 디지털 혁명과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축 가상 학교 가상 학교의 특성 교육 정보화 시공간에 구애 받지 않는 평생 학습 기회 제공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가상 학교 가상 공간에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 가상 교실을 사용 가상 학교의 특성 다수 대 다수의 통신 환경 공간을 초월한 통신 환경 시간을 초월한 통신 환경 즉시 응답 문제: 학습 흥미 저하 가능 현재 학습 주제 진도 문제 컴퓨터 매개 학습: 하이퍼 미디어 환경
가상 학교와 학교 교실의 비교 가상 학교와 학교 교실 시공간 문제가 극복 문맹이나 지적 수준이 저조한 학생은 학습 불가능 학습자간의 인간적 관계 형성 곤란, 학습자의 내적/외적 상태 파악이 곤란 게시판/대화방을 통해 원거리 학습자간의 협력 학습 가능 교실 학습은 타지역 학습자간의 협력 학습 곤란 학습자 중심의 창의력 신장 학습에 효과적 학교 교실은 교사 중심의 학습 정보통신망 환경의 미흡으로 실제적 학습은 아직 미흡 평가 대상자의 신원확인과 평가 방법이 미흡 학교 교실은 다양하고 정확한 평가 가능
가상 학교의 구성 요소 학습 공간 교실 일정표 매체 센터: 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모든 참여자가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 토론실 및 개별 토론 제공 학생과 교사간의 통신 공간 제공: 게시판 등 일정표 매체 센터: 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학습자 정보: 학습자 개인 정보 및 홈페이지 등 평가 관리자 퀴즈나 평가 문제 제공 및 결과 피드백 디지털 도서관 인터넷 연결: 주요 관련 사이트 자료
가상 학교의 구성 요소(1/2) 이동 컴퓨팅: 노트북과 무선통신 활용 주문형 학습 상담 및 서비스 안내실 학습 및 기타 상담 각종 강좌 정보, 진행 중인 강좌, 담당 교사 등 정보 제공
가상 학교 현황 국내 운영 방식에 따른 종류 열린 사이버 대학 등 5개 시범 운영 기관(19개 대학 참여) 한국대학가상교육연합 등 10개 실험운영기관(46개 대학) 운영 방식에 따른 종류 통합형: 한 웹사이트에서 통합 운영, 열린 사이버 대학(www.ocu.ac.kr 등) 연합형 각 대학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면서 학점 교환 등 협력 부울 가상대(부산대 등 4개 대) 등 지역 별 협력 단독형 독립 운영 서울대 등 출석 수업과 병행 보완 수업으로 활용 중
국내 가상 학교 현황 Open Cyber University 강원 인터넷 대학 동아일보-나우누리 사이버 캠퍼스 목원대학교 가상대학 서강 멀티넷 가상대학교 서울대학교 가상대학 캠퍼스 21: 컨텐트 개발업체인 네티스트가 개설 유니텔 사이버 멀티캠퍼스 숙명여자대학교 가상교육센터 한국사이버대학 충남대학교 가상대학
국외 가상 학교 현황 피닉스 대학 온라인 캠퍼스 아테네 온라인 가상대학 서부 가상대학 박사과정 개설 미국 서부 지역 주정부 연합 대학 박사과정도 제공
가상 학교의 장점과 문제점 장점 컴퓨터 매개 공간적 독립 시간적 독립 플랫폼 독립: 웹 기반, H/W적 친숙한 인터페이스: 사용이 용이 상호작용의 증가 향상된 학습자 통제 능력 정보기술을 활용 출석수, 게시판 게시물 수, 질문 수, 접속 시간 등 정교한 평가 가능
가상 학교의 장점과 문제점 단점 접근과 자원: 기술적인 문제와 컴퓨팅 환경 비용: 인터넷 서비스 사용료 훈련 학교의 규칙 및 규정 적용 등의 문제 새로운 방법에 대한 적응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학생/교사가 새 환경에 적응하는 문제 하부구조, 지원 및 행정적 절차 새로운 자원 할당 및 행정 절차의 변화 요구
5. 컴퓨터 교육 환경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 목적 정보 및 자원의 공유 신뢰도 향상 정보의 수집 및 교환 협동 작업 분산 처리 시스템의 융통성 부분적인 장비의 추가와 교환으로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제고
학교급 단위의 인프라 교실망의 필요성 교실망의 구성 파일 공유에 따른 복사와 관리 용이 프린터 공유 학생과 교사간의 통신 및 원격 제어 학내 행정 업무 정보화 교실망의 구성 네트워크 운영체제 파일 서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전송 케이블: Twisted Pair, Coaxial Cable, Fiber Optics
국가적 수준의 인프라 교육전산망 연구전산망 인터넷 망 KREN(Korean Education Network), 서울대 중앙교육연구전산원 9개 지역센터(지방 국립대)와 45Mbps, 국외는 미국과 45Mbps로 연결 전국의 교육관련 기관 연구전산망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대전 SERI(시스템공학센터) 각 연구소 및 대학 인터넷 망 한국전산원, 한국통신을 통해 국내 교환 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