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과의 질관리 2009 웹 기반 심사프로그램 소개 CHA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김 광 일
질관리 웹프로그램 개발 목적 병리과의 질관리, 수탁인증, 조기암검진 심사의 연계 및 통합 시스템 구축 qa.pathology.or.kr 질관리 웹프로그램 개발 목적 병리과의 질관리, 수탁인증, 조기암검진 심사의 연계 및 통합 시스템 구축 심사기관, 심사위원 통합 관리 객관적 심사 자료 입력 및 분석 통계자료 관리 보고서 관리 비용 절약
심사원칙 검사실에 문서로 된 지침의 내용은 실제 실행되고 있어야 하며 심사원은 이를 확인해야 한다. 성실히 수행되고 있지 못할 경우 정도에 따라 감점하고, 문서만 구비되어 있고 실행의 증거가 없을 경우 0점을 부여한다 (기관 군 기준 변경 등에 따라 올해부터 신규로 포함된 문항의 경우는 양식 구비로 만족) 정기적 관리 자료를 확인: (예. 회의, 온도점검, 장비 점검 등), 관리 실적이 20% 이상 ~ 80% 이하로 지켜질 경우는 반점을 부여하고 20% 미만은 0점, 80% 초과는 만점을 부여한다. 부분점수를 부여할 경우 그 이유를 함께 기술한다.
심사원칙 심사용 [기초자료]는 심사 전 해의 1년간 실적으로 한다. 다만 [장비, 시설, 환경] 등은 심사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내부질관리] 자료는 심사 전 해부터 심사 시점까지를 심사한다. 검사자나 책임자의 서명이 필요한 장부의 경우 반드시 자필서명과 날짜가 기록되어 있어야 한다. 서명이 없는 경우는 0점을 부여하고, 날짜가 없는 경우는 반점을 부여한다.
심사원칙 검사자나 책임자의 서명이 필요한 장부의 경우 반드시 자필서명과 날짜가 기록되어 있어야 한다. 서명이 없는 경우는 0점을 부여하고, 날짜가 없는 경우는 반점을 부여한다. 각 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검사실에서 시행하고 있지 않거나,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 "해당없음"에 표시한다. 다만, 반드시 구비하거나 시행해야 함에도 시행하지 않는 내용에 대해서는 "아니오"에 표시한다. “해당없음”에 표시한 항목은 총점에 포함하지 않는다. ‘해당없음’에 표시할 경우 그 이유를 함께 기술한다.
2009 레드북 변경사항 지면 기록이 아닌 웹 기반 설문/심사 기관 군 분류 변경 및 다양화 부검, 전자현미경 추가 (시범실사 항목으로 실사는 하되 통계에는 반영되지 않음) 중복 문항 통합 문항 해설 추가 및 보완 ‘해당없음’ 선택 가능 문항 대폭 증가 (심사위원의 현장 판단이 중요)
기관 군 구분 2008 2009 구분1. 가: 전문의 1-2인 병원 가: 대학병원 나: 3-4인 병원 나: 수련종합병원 2008 2009 구분1. 가: 대학병원 나: 수련종합병원 다: 비수련병의원 라: 수탁전문검사기관 구분2. A. 전문의 1인 B. 2-3인 C. 4인 이상 (F. 병리과 없음-조기암검진용) 가: 전문의 1-2인 병원 나: 3-4인 병원 다: 5인 이상 병원 라: 수탁전문검사기관 A. 1-2인 B. 3-4인 C. 5인 이상
정 의 수련기관 : 병리과의 전공의 유무와 무관하게 병원이 수련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를 말한다. 인턴수련병원, 전공의 수련병원 등으로 지정 받을 수 있다. 대학병원 : 법적인 기관분류 규정에 상관없이, 의과대학 혹은 의과대학전문대학원의 전임교수를 겸임한 병리과 전문의가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병리과 외의 전문의 자격 : 부인과 세포병리검사의 경우에 대해서만 대한병리학회/대한세포병리학회의 인증을 받은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를 포함한다.
진단건수 권장 기준 변경 (2008년 레드북)
병리과의 질관리 2009 심사순서 피검기관, 심사위원 아이디/비번 발급 (학회); 2009년 신규 등록기관은 개별 가입 가능 qa.pathology.or.kr 병리과의 질관리 2009 심사순서 피검기관, 심사위원 아이디/비번 발급 (학회); 2009년 신규 등록기관은 개별 가입 가능 심사기관 (피검기관) 웹사이트 접속 기관정보 확인 및 변경 (2008년 기초자료 기준) 설문 시작 설문완료 (수정 불가능), 로그아웃 ; 심사 3일전 완료 자체평가점수 확인 (상세내역 다운로드 및 출력) 심사위원 웹사이트 접속/심사 ; 심사 전 2일간 사전 검토 심사점수 확인 최종평가 입력 심사완료 (수정 불가능), 로그아웃 기관장 면담 심사위원 심사평가서 제출
심사기관 (피검기관) 유의사항-1 심사 당일 기관 사정상 전산 심사가 불가능할 경우: 설문완료 후 설문화면에서 상세내역의 각 대항목 (파트) 별 엑셀파일을 즉시 다운로드 (심사당일 이 파일에 직접 입력 권장) 혹은 출력하여 심사에 이용. 자료실의 레드북 2009 배점표 (엑셀공란파일)를 다운로드하여 엑셀파일에 전산 기록. 이것도 불가능할 경우 2008년과 같이 지면 실사 (출력물에 기록). 기초자료에 공란 없이 기입 (해당없으면 ‘0’을 기록)
qa.pathology.or.kr 심사기관 설문 실시간 상세내역 엑셀다운로드
자료실 레드북 2009 배점표 엑셀공란파일
심사기관 설문 유의사항-2 본 문항에 있는 해당없음은 신중하게 판단하여 분명한 사유가 있을 때 체크 (사유를 메모란에 기록); 해당없음에 체크된 문항은 총점 배점에 반영되지 않음. 시행하지 않는 대항목파트 (조직,세포,면역,분자,부검,전자현미경 등) 는 절대 답하지 않는다 (실수로 답할 경우-설문저장 시-점수에 자동 반영).
심사기관 설문 유의사항 -3 각 설문 페이지 (중항목)에 답하고 반드시 설문저장 눌러야 답변이 저장됨 계산식 중 기초자료를 근거로 득점 혹은 참조되는 인력, 공간 문항이 있는 화면은 아래 설문저장 단추를 클릭해야 점수 혹은 참조값이 나옴 부검, 전자현미경은 2009년 실사에서 답변은 하되 총점에 반영 안됨 검체은행은 답변 불필요 가급적 기관장 면담은 실사 후반부에 배치
심사기관 설문 순서 인터넷 연결된 PC (심사위원당 한대씩) 준비 심사기관 (피검기관) 웹사이트 접속 아이디/비번 입력 (학회에서 임의 부여, 개별 공지 예정); 첫 접속 시 비밀번호 수정 권장 2008년 병리학회 질관리 실사를 받지 않은 기관은 회원가입 필요 접속 후 하단의 기관정보를 보고 수정할 사항은 수정 바람 (기관군 중 대학병원은 병원협회등에 등록된 기준이 아닌, 대학전임교원이 전문의로 근무하는 병원) 심사원칙 숙지 기초자료 항목은 빈 칸 없이 모두 기재
심사기관 설문 순서 각 문항에 대한 설명 (해설)은 맨 우측 설명 클릭 (‘예’에 표시 후) 부분점수 입력 가능 (‘예’는 만점, ‘아니오’는 0점 자동 기록) ; ‘부분점수’나 ‘해당없음’ 문항은 문항 아래 메모란에 사유 기록 현재 보이는 화면은 각 파트의 중항목 별로 분리되어 보여짐. 답변이 끝나면 반드시 설문저장 클릭 이미 답변한 문항의 답을 변경한 경우에도 설문저장 클릭 답변하지 않은 문항은 통계에 반영되지 않음 맨 마지막 설문완료 버튼 클릭하면 설문 완료 (완료 버튼을 누르면 더 이상 수정이 불가능함) ; 심사 이틀 전까지 설문완료 바람; 작업 후 로그아웃
대한병리학회 질관리 시스템 포털 qa.pathology.or.kr
qa.pathology.or.kr 심사기관 접속 화면 2008년 실사기관은 가입 불필요
심사기관 접속 후 첫화면 학회에서 관리 가,나,다,라 A, B, C, (F) 선별세포병리사 수탁인증대상여부 서울,경기,… 비밀번호 변경
심사기관 설문시작 첫 화면 현재 진행중인 질관리심사 대항목; 큰 심사 영역
심사기관 설문 문항 구성 중항목; 파트별 심사영역
심사기관 설문시작 각 문항의 설명을 반드시 클릭하여 설문 및 심사에 참고 예)
기초자료 (빈 칸 없이 작성)
심사기관 설문 문항 기본 형식 득점/원 배점 부분득점 시 ‘예’에 표시 후 점수 입력 메모: ‘해당없음’ 혹은 부분득점 사유 기록
답변 변경 후 설문저장 누르지 않을 때 경고창
자동계산식 문항 기초자료에 입력한 수치와 문항에서 기입한 수치에 따라 점수가 자동 계산 (기입형 환산식) Q.01.001~006 학회 참석 기초자료에 입력한 수치를 근거로 점수가 자동 계산되는 문항 (하단의 설문저장을 눌러야 자동 계산됨). 따라서 심사위원은 기초자료 입력사항만 확인하면 됨 (자동 환산식) G.03.003 전문의 진단건수 G.03.004 병리사 업무량 G.03.005 선별검사 세포병리사 업무량… 등 하위 문항이 상위 문항에 합산 (자동합산식) G.05.001-007 각종 장비 G.07.003,005 병리 서식 기재 사항 S.08.003 특수염색 항목별 질평가… 등
심사기관 설문 문항 예시 진단향상- 인력 (Q.01.001); 기입형 환산식 2 3 1
심사기관 설문 문항 예시 운영일반- 인력 (G.03.000); 자동환산식
심사기관 설문 문항 예시 운영일반- 조직장비 (G.05.001); 자동합산식 1 2 3
참조 계산식 문항 기초자료에 입력한 수치를 근거로 실제 기관 수치를 보여주고, 학회 권장 수치 (문항 설명참고)와 비교하여 만족하면 ‘예’에 표시하는 문항 따라서 심사위원은 기초자료 입력사항만 확인하면 됨 G.04.001 전문의 1인당 진단 공간 G.04.004 병리사 1인당 검사실 공간
심사기관 설문 문항 예시 운영일반- 공간 (G.04.001, 004); 참조식 3 1 2 참조값을 참조 후 권장기준에 만족하면 ‘예’에 표시 3 1 2
심사기관 설문 실시간 상세내역 엑셀다운로드
심사기관 설문 실시간 평가서 인쇄
설문 완료- 심사준비 완료 의미 3 2 1 심사 3일 전 완료
설문 이력 조회 설문완료 된 질관리 이력을 조회만 가능
기관정보수정
공지사항/자료실/게시판
심사위원 유의 사항-1 레드북 2회 이상 정독 권장 (특히 심사원칙과 각 문항 해설) qa.pathology.or.kr 심사위원 유의 사항-1 레드북 2회 이상 정독 권장 (특히 심사원칙과 각 문항 해설) 심사 당일 기관 사정상 전산 심사가 불가능할 경우: 심사기관에서 미리 다운로드한 기관 설문 상세내역의 각 대항목 (파트) 별 엑셀파일에 직접 점수 기입 (권장). 이것도 불가능하면 출력물에 직접 기입. 자료실의 레드북 2009 배점표 (엑셀공란파일)를 다운로드하여 엑셀파일에 전산 기록. 이것도 불가능할 경우 2008년과 같이 지면 실사 (출력물에 기록). 위의 경우 심사위원은 엑셀파일 상에서 점수를 확인/기록하고 엑셀파일과 출력물을 최종평가서, 피검기관 의견서와 함께 학회에 송부.
심사위원 유의 사항-2 아이디/비번 보관 주의 (학회에서 임의 부여) 가급적 기관장 면담은 실사 후반부에 배치 피검기관에서 정당한 사유 없이 ‘아니오’에 해당하는 문항을 ‘해당없음’에 기재한 경우에 대한 면밀한 심사 및 판단 필요 (사유를 메모란에 기록); 해당없음에 체크된 문항은 총점 배점에 반영되지 않음. 부검, 전자현미경은 2009년 실사에서 답변은 하되 총점에 반영 안됨 검체은행은 답변 불필요
심사위원 심사 순서-1 심사 2일 전 심사할 기관의 답변 내용 및 상세내역 등 사전 파악 필수 심사자 웹사이트 접속 qa.pathology.or.kr 심사위원 심사 순서-1 심사 2일 전 심사할 기관의 답변 내용 및 상세내역 등 사전 파악 필수 심사자 웹사이트 접속 아이디/비번 입력 (학회에서 임의 부여, 추후 공지) 접속 후 해당 피검기관 선택 심사당일 인터넷 연결된 PC (심사위원당 한대씩) 각 피검기관이 미리 답한 각 문항에 대해 심사 기초자료 항목은 빈 칸 없이 모두 기재 확인 각 문항에 대한 설명 (해설)은 맨 우측 설명 클릭 심사배점에 부분점수 입력 가능 (‘예’는 만점, ‘아니오’는 0점 자동 기록됨) ; ‘부분점수’나 ‘해당없음’ 문항은 문항 아래 메모란에 사유 기록
심사위원 심사 순서-2 심사화면에서 변경사항 있을 시에는 반드시 맨 아래 설문저장을 클릭 답변하지 않은 문항은 통계에 반영되지 않음 최종평가 입력 (총평, 대표적인 미비점 등) 평가서 출력, 서명 심사완료 버튼 클릭 (반드시 최종평가 입력 후 심사완료. 모든 내용 수정 불가) 심사완료 후 로그아웃 심사기관장 면담 심사완료 7일 이내에 심사평가서에 심사위원 성명기재 및 서명 후 학회에 송부
심사위원 접속 화면 학회에서 이메일이나 공문으로 부여 받은 아이디와 비번을 출력하여, 혹은 이메일에 보관하여 피검기관에 qa.pathology.or.kr 심사위원 접속 화면 학회에서 이메일이나 공문으로 부여 받은 아이디와 비번을 출력하여, 혹은 이메일에 보관하여 피검기관에 방문. 심사 당일 학회에 질의하는 것은 가급적 피함.
심사위원 심사기관 선택 심사기관선택; 설문 완료된 기관만 표시
심사위원 심사 시작
최종평가 화면
심사완료 화면 3 2 1
qa.pathology.or.kr 관리자 화면
요약통계
총점 및 분야별 통계
기관군에 따른 검사건수 통계
기관 평가서
심사위원 최종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