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빼고 <습지연구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Advertisements

시스템 분석 중간고사 1. 호수에서의 물 및 물질수지식을 설명하고, Vollen-Weider 모델을 유도하라 환경공학과 김현태.
흙과 물에 따른 보리의 성장 초등과학 궁내초 4 학년 이주형, 김민재, 박지우 지도교사 궁내초 채현우, 이경자.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1 제 6 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2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한 하수처리 계통도. 2 (1) 활성 슬러지법의 원리 하수를 폭기하면서 하수중의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각종 호기성 미생물이 번식하는데 그동안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고 폭기에 의한 교반작용으 로 하수중의.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1. 제품 소개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강우시 일정량의 빗물을 담수하여 서서히 침투수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유·출입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적층식 제방블록 사진 1. 적층식 제방블록.
Ⅰ Ⅱ Ⅲ Ⅳ 발표순서 과업의 개요 달성 논공 장치형시설 (환경시설관리공사) 구미 원평 장치형시설 (금오공과대학교)
인간과 환경 수자원 및 수질오염.
Photography by lee jongjin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연속고속탄화장치 도 모 에 공 업 주 식 회 사.
환경계획론 제4주제 : 도시의 물관리 (2).
제5장 호수의 부영양화 개발로 인해 바람이나 노을과 같은, 자연이 사라져 버리기 전까지, 우리는 이들의 소중함을 알지 못한다.
신재생 에너지의 정의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사용하거나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서 이용하는 11개 에너지 분야”
고농도 유기성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개발 인하대학교 지구환경공학부 교 수 배 재 호 안녕하십니까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1)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4-6. 광합성 작용(1).
Hydrogen Storage Alloys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 과학  1학년  Ⅳ.생명>1-3.광합성과 호흡(1/5) 광합성 수업계획 수업활동.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6장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회 사 소 개 서 선 경 워 텍 ㈜.
지구온난화 보고서.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3장 정수장 설치.
수생식물의 수질정화작용.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Stream Ecology Lee, Hwang Goo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13 폭기조.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교과명 : 고도처리 교수명 : 권재혁교수님 학 번 : 성 명 : 김 미 정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세종시 중앙호수공원정화 사업계획서 엔티큐 주식회사
제 4 장 수질화학 환경보건과 김해숙.
수력에너지.
국내환경문제 1 물부족 문제 현안 및 대처방안.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1-5 용해도.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슬기로운 생활 1학년 1학기 1. 봄나들이 > 산과 들의 모습 관찰하기 (9-10/10 ) 산과 들의 모습 관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환경보건학 개론 제3장 아래용어를 꼭 이해하시고, 서술해 보세요!!! 학습기간: 상하수도 관리 part 1. 상수관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발달ㆍ정신지체장애인의 취업지원 강화 방안 행정복지위원회 이정인
감리실무사례발표 공 사 명 : 하수처리장 과업분야: 품질관리 과업주제: 시설물 검측 기준 설정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제 19장 물의 오염도와 오염물질의 종류 김기호 정남진.
생물막 (Biofilm).
해양수산부 주관 <HEBEI SPIRIT호 유류오염 생물정화기법 적용관련 토론회> 발표 자료
우리나라 매립지 메탄가스 처리방법 9조 강택원 연주상 오명석.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Watershed Management.
생태복원 공정(2) Ecological Restoration 1. 도시생태계 복원 ▣ 도시지역 복원공법의 개요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하ㆍ폐수처리시설 기본배출부과금 수질총량관리과 / 이 승 현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빼고 <습지연구회>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인공습지 개념과 기능 Ⅲ. 이서천 인공습지 현황 Ⅳ. 이서천 수질정화 능력 연구 Ⅴ. 성과와 개선방안 글머리 숫자를 로마 대문자자로 글 앞 줄 맞추기(왼쪽)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과 평가 인공습지의 물 흐름 상태 파악과 개선사항 도출 습지식물 적정 관리 방안 제시 습지 생태 안정화 정도 조사 겨울철 습지 기능향상 방안 제시 이서천 인공습지의 종합평가와 기능향상 방안 제시

Ⅱ. 인공습지 개념과 기능

은 식생, 물, 하부층, 미생물이 중요한 인자 유입 유출 흡착/축적 광합성/호흡 개방수역 (태양에너지) O2공급 용존성오염물 생물섭취 미생물분해 토양층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혐기성 분해 폐쇄수역 유입 (오염된물) 유출 (맑은물) 적용식물 정수식물 부엽식물 침수식물 부수식물 퇴적층 흡착/축적 입자성오염물 침전/응집 흡착/여과 수층 은 식생, 물, 하부층, 미생물이 중요한 인자

수질정화 기능 자연학습 기능 야생 동·식물 서식환경 제공 막대한 탄소저장고 수문학적 기능

Ⅲ. 이서천 인공습지 현황

동복천 수정 면적 : 36,000㎡ 위치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처리용량 : 10,000㎥/day(강우시 30,000)

침전지 침전지 얕은습지 얕은+깊은습지 깊은습지 얕은+깊은습지 침강지 수초 : 노랑어리연꽃 얕은습지 전습지 얕은+깊은습지 침강지 면적: 1,050㎡ 얕은습지 면적: 1,385㎡ 수초: 노랑어리연꽃 얕은+깊은습지 면적: 1,670+2,530㎡ 수초: 갈대 침강지 전습지 얕은습지 깊은습지 침전지 얕은+깊은습지 면적: 2,575+3,225 ㎡ 수초: 노랑어리연꽃 침강지 면적: 1,550 m2 수초 : 노랑어리연꽃 얕은+깊은습지 면적: 1,860+2,390 ㎡ 수초: 노랑꽃 창포 전습지 면적: 4,450 ㎡ 수초: 갈대

Ⅳ. 이서천 수질정화 능력 연구

우수관로 유입구 우수관로 유입구 하천수 유입 최초침강지 하천유입수와 우수의 불충분한 혼합 문제 전습지 얕은습지 깊은습지 침전지 우수관로 유입구 우수관로 유입구 최초침강지 하천유입수와 우수의 불충분한 혼합 문제 : 물넘이 구조물 설치  혼합효과 향상,저수용량 2배상승 최종침전지 수질농도 역전현상 개선 : 수심1m 30cm로 복토 실시 번호주기1 하천수 유입

68.8% 64.4% 총 질소, 인 제거율 : 64.4%, 68.8% 녹조발생 억제 질소, 인 제거율 T-N T-P 7월1일 5월22일 T-N T-P 68.8% 12.496 0.032 0.023 0.019 0.012 0.010 0.013 0.722 0.025 64.4% 2.715 1.984 1.701 1.677 1.574 0.945 0.967 부영양화 물질 정화 농도역전현상 1-1 1-2 2 3 4 5 6 7 총 질소, 인 제거율 : 64.4%, 68.8%

지점별 BOD 농도 지점별 COD 농도 1-1 1-2 2 3 4 5 6 7 1-1 1-2 2 3 4 5 6 7 5월22일 1.38 1.71 2.07 1.64 1.60 1.78 1.84 3.03 5월22일 7월1일 1-1 1-2 2 3 4 5 6 7 지점별 COD 농도 3.18 2.88 2.69 3.09 3.28 3.31 5.41 5월22일 7월1일 유기물 정화(제) 1-1 1-2 2 3 4 5 6 7

지점별 부유물질(SS) 농도 지점별 총유기탄소(TOC) 농도 부유물 제거율 :66% 1-1 1-2 2 3 4 5 6 7 4.6 2.7 3.2 1.2 1.6 2.2 1.1 부유물 제거율 :66% 5월22일 7월1일 1-1 1-2 2 3 4 5 6 7 지점별 총유기탄소(TOC) 농도 총유기탄소 제거율 :20.88% 5월22일 7월1일 1.895 2.107 1.984 1.824 1.738 1.667 1.686 2.305 부유물 및 총유기탄소 정화(제) 1-1 1-2 2 3 4 5 6 7

습지식물은 10과 15종류가 서식 생태계 먹이사슬 형성 우수한 동·식물 서식처 조성당시 식제한 3종류(갈대, 노랑꽃창포, 노랑어리연꽃)에 비해 침입식물이 대폭 증가 습지식물은 10과 15종류가 서식 수서생물로는 달팽이, 다슬기와 같은 패류와 하루살이, 잠자리, 물방개 등의 수서곤충류 15종 붕어, 잉어 등 어류 9종 서식 생태계 먹이사슬 형성 두루미와 물오리 같은 조류와 고라니 같은 포유동물에 먹이 공급 장소로 활용 우수한 동·식물 서식처

2008년 3월 22일 2008년 4월 26일 3차 깊은습지 2차 깊은습지 1차 깊은습지 침전지 4.이서천 인공습지식물 생육상황 2008년 4월 26일

2008년 6월 8일 3차 깊은습지 2차 깊은습지 1차 깊은습지 침전지 4.이서천 인공습지식물 생육상황 2008년 9월 18일

논냉이란? 연구동기 발굴과정 논냉이 적용사례 마디마디 뿌리사진 십자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종류 : 개갓냉이속 겨울철에도 성장하는 식물이 있어 수질정화와 경관을 함께 만족하는 식물 필요 발굴과정 동복호 상류 하천을 모두 탐사하여 겨울철에는 자라는 식물 발굴 5.겨울철 습지정화식물 발굴 및 시범적용 논냉이 적용사례 마디마디 뿌리사진 국내에는 없어 최초 발굴 적용시험

연구소에서 논냉이 연구 이서천습지 논냉이 연구 2008.01.31일 습지이식 2008.04.21일 논냉이 꽃사진 돋보기 안에

영양염류 제거율 : T-N : 88.8%, T-P : 86.9% 1일 후 제거율 : T-N :68.7%, T-P : 76.1% 18.964 68.7% 76.1% 0.056 0.121 0.101 0.086 0.074 0.066 총질소 총인 5.928 3.402 2.230 2.123 2.130 하수처리장 1일 2일 3일 4일 5일 방류수

Ⅴ. 성과와 개선방안

1. 물넘이 개선으로 기능 향상 2. 겨울철 정화식물 발굴 적용 완료 3. 습지의 부가기능 확인 침강지 물넘이 설치 - 하천수와 우수 혼합효과 - 물 흐름 속도,흐름방향 조정으로 정화효과 기능향상 - 저수용량 2배 이상 증가 1. 물넘이 개선으로 기능 향상 겨울철 습지기능 상실 대안 - 논냉이 국내최초 발굴 적용 시험완료 - 습지 현장 시범시험완료 - 하수처리장 방류수 정화 효과 우수성 확인 2. 겨울철 정화식물 발굴 적용 완료 우수한 동식물 서식처 - 식물 : 3종→15종   - 동물 : 다양한 종 구성 수려한 경관 효과 확인 - 노랑꽃창포 만개, 수련 등 연꽃   - 가을철 갈대군락 3. 습지의 부가기능 확인

- 현실적으로 정수사업소에서 습지를 관리하는데 인력 등 어려움이 있어 수계관리기금을 활용하여 전문관리업체에 위탁을 적극 건의 습지의 정화 효과 극대화 : 성장기 습지식물 중간절치 - 여름(7월 중)에 1.5 m 이상으로 자란 식물을 베어내어 식물의 활발한 성장시기에 재성장을 촉진하여 오염물질 제거의 극대화 전문업체에 습지관리 위탁    - 현실적으로 정수사업소에서 습지를 관리하는데 인력 등 어려움이 있어 수계관리기금을 활용하여 전문관리업체에 위탁을 적극 건의    초기강우만 집수할 수 있는 장치 설치 방안    마을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를 습지로 직접 유입하는 방안    습지중간에도 적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물넘이 설치방안    집중 강우에 대비하기 위한 침강저류지 용적의 확대 방안 습지기능향상 개선방안 도출

감사합니다. 광주의 젖줄!! 동복호(同福湖) 상류 인공습지를 친환경 자연생태 정화로 시민과 Happy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