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인천석유화학 건강영향 평가 2015 . 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Advertisements

기업형 슈퍼마켓(SSM)입지 관리방안. SSM 갈등발생 원인과 예방 대책 모색 방향 1  SSM 점포수 267개 ('05)  986개 ('10.10) : 269% 증가  SSM 입점 시 주변 소규모점포 1일 평균 매출액 34.1% 감소 SSM의 무분별한 진출로 영세상인들의.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SNS ! 건대 ▶ 오리 정보 제공 : 해당 지역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서비스, 제품의 기업에게 정보 제공.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고도 미세먼지 발생 시 대응요령... 미세먼지 … 예보 시행 ( )  아울러, 환경부에서는 국민건강보호를 위해 올 해 8 월부터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예 보를 시범실시하고 있으며, 내년 2 월부터 전국 을 대상으로 정식예보를 실시할 예정임.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환경보건정책 현황 및 정책방향 환 경 부 환경보건정책과 안녕하십니까.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 오종극 입니다.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수질유해물질 적정관리를 위한 배출허용기준 설정 연구 (9차년도)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지하철 등 대중운송수단의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화학물질 배출량정보를 이용한 초기위해성평가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어린이 위해성 평가․관리를 위한 어린이 시설 유해물질 오염 실태 조사 사업 -어린이 놀이터
특정수질유해물질 적정관리 방안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1. 초기위해성평가 절차 – 노출평가(환경배출)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Non-Halogen,Toluene Free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건강영향평가 제도 소개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 명 노 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제품위험분석을 통한 유모차의 안전성 평가 및 개선방안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UNISDR ONEA-GETI 안내.
국민 혈중 중금속농도 조사결과 환 경 부.
In-situ Reaction Raman 의 소개 및 응용
Project Leader [DMAIC] : O O O.
기상 레이더 정보를 이용한 획기적인 LID시설 제어 방법 GIST대학 물리학부 정희원 GIST대학 기초교육학부 박연준, 기태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합동설명회 또는 합동공청회 (사업시행자-사전환경성검토 및 영향평가)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Ch.4. 화석 연료로 인한 기타 환경 문제들 도시 오존 Urban ozone 분진 기타.
기술보증기금.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Clean blue sky 우리손으로 만듭시다!.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중국 미세먼지   환경공학과  심동진.
자원 개발 계획 광체 조사 광체 경제성(feasibility) 평가 광업권 및 채굴권 등록 광산 디자인 및 개발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잠실 파크리오 2008년 완공 66개 동, 6864세대 구성 18평, 25평, 32평, 33평, 45평, 46평, 51평
보험경영론 보험경영론 경일대학교 경영학과.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B-10 사업장 미세분진(PM2.5) 제어를 위한 고효율 세정/여과 장치의 개발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TPM 추진 목표설정 * 구체적인 목표는 지도 개시후 간부 워크샵을 통해 확정함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서울 미세먼지 경보 센터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나무꾼을 위한 선물 S T E A M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EAM 연구회-
I. SciVal: 연구성과 분석 솔루션 1. 연세대학교 의학분야 연구성과와 역량 분석
Watershed Management.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전문교양 DU생활설계(1)
하ㆍ폐수처리시설 기본배출부과금 수질총량관리과 / 이 승 현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염색/피혁가공공정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및 공정수 재활용 기술의 개발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SK인천석유화학 건강영향 평가 2015 . 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과업추진 배경 환경보건법의 주요내용 법률의 주요 내용 건강영향평가의 필요 총 칙 위해성평가 등 환경관련 건강피해의 예방·관리 총 칙 위해성평가 등 환경관련 건강피해의 예방·관리 어린이 건강보호 보 칙 벌 칙 환경보건 종합계획 위원회 환경유해인자 의 위해성 평가/관리 건강영향 항목의 추가 국민환경 보건기초조사 역학조사의 실시 및 청원 배상책임 및 국가지원 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 관리 어린이용도 유해물질 관리 어린이 위해성 정보 제공 환경보건센터 지정 및 운영 환경보건 전문인력의 육성 및 지원 보고 및 검사 벌칙 양벌규정 과태료

과업추진 배경 ‘환경보건법’ 內 건강영향평가 관련 조항 제2조 (용어정의) 환경보건 : 환경유해인자가 사람의 건강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평가하고 이를 예방․관리하는 것 제13조 (개발사업 등의 건강영향 검토․평가) 사전환경성검토 및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개발사업에 대해서는 검토․평가항목에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하여 협의 (대상계획․사업) 주민건강영향에 대한 민감도 등을 감안하여 단계적으로 확대하되, 소각장․매립장․산업단지 등을 우선 적용할 계획 (평가절차․방법) 초기선별(Screening) ⇒ 범위설정(Scoping) ⇒ 평가 ⇒ 저감방안 ⇒ 모니터링 순으로 평가하며, 초기선별 단계에서 건강영향평가 수행여부 결정

과업추진 배경 환경보건평가의 이론적 방법론 환경보건평가와 건강영향평가 위해성 평가 Biomarker 조사 역학연구 질병부하-편익평가 환경보건평가와 건강영향평가 환경보건평가 : 현안(주로, 지역단위 또는 project)에 대한 사전/사후 보건평가 (문제확인/해결방안모색) 건강영향평가 : PPP(정책, 프로그램, 프로젝트)에 대한 정책적 건강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기본 목차 건강영향평가 내용 건강영향평가 기본 목차 1. 건강영향 분석 및 평가 1.1 건강관련 기초자료 분석 1.2 스코핑 1.3 건강영향 평가 1.4 저감대책 수립 1.5 모니터링 계획 수립 건강영향평가 내용 건강영향평가 기본 목차 내용 항목 1. 현황조사 가. 조사항목 나. 조사범위 2. 건강영향 예측 가. 예측 항목 나. 예측 범위 다.예측방법 1) 범위설정(스코핑)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가) 대기질(악취) 나) 수질 다) 소음․진동 3. 저감방안 4. 사후환경영향조사 5. 불가피한 건강영향 1. 현황조사 가. 조사항목 나. 조사범위 o 사업지역 및 주변지역의 인구, 사망률, 유병률, 인구집단분석(인구추이, 연령별․성별 인구), 어린이, 노인 등 환경취약계층의 분포 현황 o 사업시행으로 인하여 건강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지역의 범위를 과학적으로 예측․분석하여 평가대상지역을 설정한다. 2. 건강영향 예측 가. 예측 항목 o 예측항목은 당해 사업의 시행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 중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로서 아래와 같다. < 대기질 > ․ 산업단지 :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오존(O3), 납(Pb), 벤젠, 일산화탄소(CO), 포름알데히드, 스티렌(C8H8), 시안화수소(HCN), 염화수소(HCl),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니켈(Ni), 6가크롬(Cr+6), 염화비닐, 카드뮴(Cd), 비소(As), 수은(Hg) ※ 산업단지 내 석유정제시설의 경우 톨루엔, 에틸벤젠, m-자일렌, n-헥산, 시클로헥산을 추가 ․ 화력발전소 :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오존(O3), 납(Pb), 벤젠, 일산화탄소(CO), 비소(As), 베릴륨(Be), 카드뮴(Cd), 6가크롬(Cr+6), 수은(Hg), 니켈(Ni) ․ 소각장 :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오존(O3), 염화수소(HCl), 납(Pb), 벤젠, 일산화탄소(CO), 다이옥신,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아세트알데히드, 수은(Hg), 비소(As), 카드뮴(Cd), 6가크롬(Cr+6), 니켈(Ni) ․ 매립장 :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 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염화비닐, 사염화탄소 ․ 분뇨처리시설,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 복합악취,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C8H8) < 수질 > ․ 구리(Cu), 납(Pb), 수은(Hg), 시안(CN), 비소(As), 유기 인, 6가크롬(Cr+6), 카드뮴(Cd),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트리클로로에틸렌(TCE), 페놀, 폴리크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클로로포름, 안티몬 ※ 당해 사업의 시행으로 발생되는 폐수의 처리수가 상수원보호구역이나 취수장, 정수장이 있는 하천․호소로 유입되는 경우에 한하여 평가 (단, 처리수를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유입․처리하는 경우나 공업용상수원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외) 나. 예측 범위 o 예측범위는 조사범위를 준용한다. 다.예측방법 1) 스코핑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가) 대기질(악취) 나) 수질 다) 소음․진동 o 스코핑 매트릭스(표 5, 7 참조)를 이용하여 설정한 평가항목, 내용, 방법 등을 서술한다. o 사업 시행이 야기할 수 있는 잠재적인 건강영향을 검토하여 긍정적․부정적 건강영향 종류, 정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표 11, 13 참조) o 건강결정요인별로 정량적으로 평가한다.(4장 2절 참조) -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물질별 배출량 산정 - 영향 예상지역에서의 오염물질 농도 예측(대기확산모델 이용) - 대기오염물질별 C-R함수를 이용하여 건강영향을 개략적으로 검토 - 국내 역학조사 결과와의 비교 검토 - 비발암성 물질의 경우 위해도 지수 산정 - 발암성 물질의 경우 발암위해도 산정 - 수질오염물질 발생량 산정 - 상수원보호구역이나 취수장 원수 중 건강영향 추가평가 항목의 현황 농도 확인 - 상수원보호구역이나 취수장에서의 오염물질 농도 예측(수질모델링 등을 이용) - 오염물질별로 평가기준과 비교하여 위해도 지수를 계산 ※ 정량적 평가자료가 부족할 경우 정성적으로 평가 - 사업시행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소음 예측(소음예측모델을 이용) - 산출된 예측소음도와 소음환경기준을 우선 비교하여 소음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분석 3. 저감방안 o 건강결정요인(대기질, 수질, 소음·진동)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감대책을 수립한다. - 발암성 물질은 발암위해도가 10-6을 초과할 경우, 비발암성 물질은 위해도 지수가 1을 초과할 경우 저감대책을 수립한다. 단, 발암성물질의 경우에 국내수준을 고려하여 가능한 모든 저감방안을 시행한 이후에도 10-6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5을 적용할 수 있다. 4.사후환경영향조사 o 모니터링 계획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방법내용 사후환경영향조사계획의 내용을 준용한다. 5. 불가피한 건강영향 o 대상사업의 시행에 따라 건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항 중 그 저감대책이 현실적으로 곤란한 사항에 대하여는 항목별로 구분하여 분석․기재한다.

차후 문제될 수 있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건강영향평가의 배경 및 목적 배경/목적 SK p-X공장 건강영향평가의 목적 주변유해요인조사 -- 건강평가/위해도관리 환경유해물질 모니터링 주변 오염부하 평가 지역주민 건강영향평가 결과 도출 목적 인천 SK p-X 공장주변지역 유해환경/악취 및 인체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합리적인 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차후 문제될 수 있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과업추진 필요성 SK 에너지㈜ 인천 COMPLEX 고도화사업 주민건강확인 및 관리방안 도출 사고위험으로 인한 주변 민원 제기 P-Xylene 제조 공정으로 인한 인근 주변 유해물질 파악 필요 미세먼지, VOCs, Aldehyde 등 주변주민 유해물질 위해성평가필요 사고위험 유해물질 주민건강확인 및 관리방안 도출

지역적 특성 – 인구 서구 : 49만명 SK 인천공장 주거지역 주변 산업지역 12,901 13,028 25,929 14.304 서구 : 49만명 12,901 13,028 25,929 SK 인천공장 14.304 13,978 28,282 12,265 11,710 23,975 8,463 7,661 16,125 주거지역 주변 산업지역

지역적 특성-취약시설 취약시설 개 수 (1 km ) (2 km) 초등학교 3 4 중·고등학교 1.1 kM 1.2 kM 개 수 (1 km ) (2 km) 초등학교 3 4 중·고등학교 가현중학교 1.2 kM 신현여자중학교 890 M 1 kM 800 M 740 M 1.6 kM 700 M 가석초등학교 1.5 kM 202 M 1.5 kM 1.5 kM 1.7 kM 1.6 kM 가석초등학교

업체/지역주민/학계/지자체간 의견차이 조율 과업수행 방법 <인천 SK 건강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위해도 관리 환경 모니터링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지역 모니터링 결과 및 모델링 결과에 대한 건강영향 평가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업체/지역주민/학계/지자체간 의견차이 조율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관리대상물질 측정 및 분석 SK인천 공장 주변 건강영향평가

과업수행 방법 최적관리방안 도출 노출평가 위험성확인 위해성평가 SK 인천 공장 인근 대상물질 인체 위해성 평가 위해도관리 Core-1 노출평가 환경오염 대상물질 자료 연구진 모니터링 국내 문헌발표 독성정보 review 위해성 DB 검색 US EPA IRIS TOMES Plus WHO/IPCS ATSDR 용량-반응 자료 구축 가스상물질: VOCs, Aldehyde 입자상물질: PM10, 중금속 SK 인천 공장 인근 대상물질 인체 위해성 평가 배출원 검토 기타 오염원 위해성 평가 비교 최적관리방안 도출 SK 인천 공장 인근 대상물질 오염 DB 구축 Core-2 위험성확인 Core-3 위해성평가 Core-4 위해도관리

과업수행 방법 환경조사 연세대 14지점 지점 조사 1Km / 2.3Km 지점선정근거 - 환경조사 물질 주변 오염원, 배출원 분포 - 환경조사 물질 ※ SK, 연구진 협의를 통한 조사지점 선정 (주풍향, 기상자료, 민원多지역 근거_주민,서구청 의견수렴하여 위치 재조정 예정) 주소 주변건물 1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중봉대로 SK 서문(동양레미콘 근처) 2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원창로 서구 청소년 수련관 3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 중봉대로 미래 E 비전 4 인천 서구 서구 석남동 중봉대로 232번길 고가도로옆 공원 5 인천 서구 가좌 1동 건지로 공사장(미정) 6 인천 서구 석남동 건지로 도로옆 공원 7 인천 서구 석남동 신촌공원 8 인천 서구 신현동 신현 중계 펌프장 9 인천 서구 가동동 세브란스 산업보건센터 10 석남1동 주민센터 앞 공원 11 인천 서구 원창동 공장부지 내 12 인천 서구 가정동 봉수대로 서인천 순복음 교회 13 인천 서구 경서동 홈플러스 14 공원 주차장 (조형물_상어) S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Km / 2.3Km

과업수행 방법 환경조사 - 환경조사 물질 분류 물질 미세먼지 PM10 가스상 물질 (6종)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오존(O3), 일산화탄소(CO), 황화수소(H2S), 염화수소(HCl) 중금속류 납(Pb), 크롬(Cr), 니켈(Ni), 카드뮴(Cd), 비소(As), 수은(Hg) 휘발성유기화합물 (17종) 1. Benzene 2. Toluene 3. Ethylbenzene 4. Xylene 5. Styrene 6. cyclohexane 7. Chloroform 8. Trichloroethylene 9. Methylisobutylketone 10. Chlorobenzene 11. Tetrachloroethylene 12. 1,4-Dichlorobenzene 13. 1,2-Dichlorobenzene 14. Vinyl chloride 15. m-xylene 16. P-xylene 17. n-hexane 알데히드류 (5종) 1. Formaldehyde 2. Acetaldehyde 3. Acetone + Acorolein 4. Propionaldehyde 5. Butyraldehyde 항목외 추가조사 물질

과업수행 방법 환경조사 추가 DATA BASE 국가모니터링 자료, 지역농도 문헌자료 등 수집DATA를 고려한 DB생성 - 휘발성 유기오염물질 및 알데하이드류 · 휘발성 유기오염물질 / 1일 2회(오전/오후) / 총 지점별 24회 측정 / 계절별 → 측정장비 : Personal air sampler · 알데히드류 / 1일 2회(오전/오후) / - 미세먼지(PM10) · 1회 12시간, 3일 연속 포집 / 총 지점별 24회 측정 / 계절별 · 전후 무게차를 통한 정량 · 동일 시료의 중금속 분석을 병행 - 가스상 물질(직독식) · 1일 2회(오전/오후) / 총 지점별 24회 측정 / 계절별 → 측정장비 : 직독식 측정장비

과업수행 방법 환경조사 분석 [ 중금속, AAS] [ VOC, GC/MS]

<대상 지역 환경 오염에 의한 인체 위해성 평가 과정> 과업수행 방법 건강영향평가 예측방법 <대상 지역 환경 오염에 의한 인체 위해성 평가 과정> 환경오염 인체유해영향평가 인체노출평가 정보수집 기존 보고서 + -최근 자료보완 = 정보수집 및 신뢰성 검토 노출 시나리오 노출계수 결정 KEFH활용 + -최근 자료보완 = 자료수집 및 선정절차 수립 인구집단 노출 대상지역의 노출 특성 반영노출 시나리오 정립 노출 계수 확률분포 KEFH(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한국노출계수핸드북 인체 위해도 평가

과업수행 방법 용량-반응 평가 <발암> <비발암> 주요 과정 NOAEL 결정 불확실성 상수 결정 종내 (민감성) / 종간 노출기간 LOAEL, NOEL 적용 주요 결과 독성 참고치, RfD, RfC (Reference Dose) 주요 과정 고->저농도로의 외삽 동물->사람의 용량전환 주요 결과 발암 잠재력(cancer potency factor, q1*) 단위위해도(unit risk) 실제적 안전용량(virtually safety dose)

과업수행 방법 건강영향평가 예측방법 평생 초과 발암 위해도 (excess cancer risk) LADD : lifetime average daily dose (mg/kg/day) CR : Contact rate of environmental media (air, drinking water 등) (m3/day, L/day, kg-soil/day, kg-food/day) BW : Body weight (kg) EF : Exposure frequency for 1 year (days/yr) ED : Exposure duration for lifetime (yr/lifetime) AT : Average time for lifetime (days) Conc. : Concentration of pollutant (mg/m3, mg/L, mg/kg) 평생 초과 발암 위해도 (excess cancer risk) Risk = 오염도 X 단위위해도 Risk = 인체노출량(LADD) X 발암잠재력 Risk > 허용위해수준’ 이면 발암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 독성 위험값 (Hazard Quotient) HQ = 오염도 / 독성참고치(RfD,RfC) ‘HQ>1’ 이면 독성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

<인체 노출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노출 관련 계수 및 기본 정보> 과업수행 방법 건강영향평가 예측방법 <인체 노출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노출 관련 계수 및 기본 정보> 노출 변수 구분 위해우려사업 사용 노출계수 한국 노출 계수 국내 적용 노출 계수 권고값 대표값 SD 확률분포 체중(kg) 성인남자 성인여자 성인전체평균 69.2 56.4 60 62.8 10.9 Log - normal 기대여명 (년) 전체 75 78.6 70 - 발암 위해도 산정 호흡량 (m3/day) 15.1 11.5 13.3 15.7 12.8 14.6 15 1.0 환경부(2008) 한국노출계수핸드북(2007)

과업수행 방법 대기 측정망 결과 분석 모니터링 대상 물질 분석 SK 인천 공장으로부터의 환경 영향 비교 검토 분석(인천광역시 서구 대기 측정망 자료 분석) * 인천 서구 석남동 573번지(거북로 116) 석남2동 주민센터 SK 인천 공장 인근 노출평가 결과와 비교를 위해 인근 국가 모니터링 결과 검토 실시 국가 대기 측정망 결과에 따른 위해성 평가 및 오염 물질 노출평가 본 연구 측정결과와 비교 모니터링 대상 물질 분석 (2008년~현재 분석) 위해성 평가 실시 (물질별 발암/비발암 위해도 평가) 오염물질 비교 (인천시 서구 거주 주민 대상 평가) 미세먼지 중금속 VOCs PAHs 인천 서구 대기 모니터링 대상 물질 VOC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1,3-Butadien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1,1-Dichloroethane Chloroform Methylchloroform Carbontetrachloride PAHs Benzo(a)anthracene Chrysene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Dibenzo(a,h)anthracene Indeno(1,2,3-cd)pyrene Benzo(a)pyrene 중금속 Pb Cd Cr Cu Mn Fe Ni As Be 미세먼지 PM10

과업수행 방법 위해성평가 기준(대기질) 구분 평가지표 평가기준 비고 평가 비발암성 물질 위해도 지수 1 - 발암성 물질 발암위해도 10-4 ~ 10-6 10-6이 원칙 10-6 이하 : 자연상태의 수준 10-6~10-4 : 관찰필요 10-4 이상 : 발암성 위해수준 발암성물질 위해도 판단기준으로 10-4 ~10-6까지를 [환경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에서 정하고 있는데 원칙적으로 10-6을 기준으로 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사업규모 축소, 저감시설 설치.운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저감대책을 수립하여 동 기준을 만족하도록 대책을 수립하여야 함. 허나 국내.외 최상의 저감시설 설치.운영을 포함한 모든 저감시설을 설치한 후에도 동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한하여 10-5 기준을 적용. 한편, 10-4 기준은 미국의 사례 등에 비추어 볼 때, 기존의 매립장이나 소각장 주변 지역에서의 시설 확장 등의 경우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적용 ※자료: 환경부 도보자료(여수.광양 산단지역 유해대기오염물질 조사결과, 2009,11,18)

위해도 관리 위해성 평가 및 관리 필요 유해성 확인 (사전평가) 위해성 평가 (사전/사후 평가) Risk Communication & Management (주민건강관리)

과업수행 방법 공정표 환경조사 결과분석 건강영향평가 중간보고 최종보고 공정 M+1 M+2 M+3 M+4 M+5 M+6 M+7

활용 및 기대효과 환경관련 자료 DB 마련 유해물질 건강영향 판단 공장 주변 환경적 자료 축적 SK인천 공장 주변 평가를 통한 위해성 확인 3. SK인천 공장 주변 환경관리방안 도출 4. 건강영향조사 결과 도출 SK 인천공장 관련 근로자 / 지역주민 건강영향 자료 마련 환경관련 자료 DB 마련 유해물질 건강영향 판단

자문위원회 구성 주민위원회 주민위원회, 지차체기관, 학계전문가 등의 자문단 구성 위해관리 전문가 배출원 전문가 보건전문가 인천시/서구청 환경전문가 주민위원회 주민위원회, 지차체기관, 학계전문가 등의 자문단 구성 환경측정, 자료해석 등 결과에 대한 객관성, 투명성 확보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국내 위해성 평가 선도 기관 조직의 전통 – 오랜 전통의 다양한 환경 업무 수행 경험 배기가스 실내유입 인체 위해성 기초연구 연료별 노출특성을 고려한 위해성 및 보건편익 평가 수산물을 통한 중금속 노출 및 위해 평가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평가 생활공감 유해물질의 매체통합 위해성 평가 2013 년 국가우선관리대상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 연구 자동차에 의한 주요 대기오염물질 노출연구를 고려한 위해성 평가 연구 배기가스 실내유입 인체위해성 연구 남양주시 암모니아 노출 사고 후 건강영향 조사 노루 페인트 노출사고 후 건강영향조사 2014 년 조직의 전통 – 오랜 전통의 다양한 환경 업무 수행 경험 풍부한 수행 경험– 매년 5건 이상 다양한 분야의 위해성평가 수행 높은 업무 신뢰도 – 풍부한 경험의 전문적인 업무 수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공해연구소 주요사업부문 - 건강 영향 평가 - 건강 위해성 평가 - 인체 위해성 평가 - 환경 오염 위해성 평가 및 관리 대책 - 위해도 기준 설정 소장 신동천 운영위원 박중원·서일·장준·용태순 감사 노재훈 부소장 임영욱 환경보건연구실장 양지연 환경의학연구실장 김창수 실내환경팀장 김호현 위해성평가팀장 이용진 연구원 장지영·김수환·홍승한·이건우·조재림· 손정우김현수 연구조원 이상규·이한슬·김예림·손혜림· 김효정·김영은김경은·이시은 실험팀장 황지혜 실험실원 김아름둘이 사무팀장 강지연 사무원 김소영

유사 연구평가 사례 연구명 내용 기간 발주처 노루표 페인트 영향조사 및 위해성평가 사고 후 영향범위 모델링 조사 위해성평가를 통한 주변인구 건강영향조사 2014.10~ 현재 ㈜노루표페인트 건강영향평가를 위한 위해도평가 DB구축 및 시범실시를 통한 조사지침 마련 대상물질 위해도 평가 기초자료 구축 배경농도 초과지역 강화방안 마련 2014.4~ 2012.12 환경부 남양주시 암모니아 유출사고 후 영향조사 암모니아 농도 조사(공장내, 주변지역) 인체 위해기반 위해성평가 대기확산프로그램을 통한 확산범위 조사 2014.3~ 2014.4 남양주시청 환경오염물질 노출에 따른 위해성 평가 및 관리 연구 포항 포스코 대상물질 위해성 평가 및 관리방안 제안 2010.4~ 2011.4 ㈜포스코 한국타이어㈜ EHS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공정 내 미세먼지 발생 특성 및 요인 추정 미세먼지 구성 성분 분석 악취 유발 성분 분석 주변 환경 공기질 측정 공정 발생 물질의 주변 환경으로의 확산 가능성 평가 2008.5~ 2011.5 ㈜한국타이어 안동호 유역 환경과 주민건강실태조사 안동댐 유역 환경오염, 주민건강상태 파악 상호 관련성을 기초로 한 건강위해요인 관리방안 제시 2008.10~ 2009.5 국립환경과학원 안산지역 대기중 유해대기오염물질 조사분석, 위해성평가 및 관리체계 구축 안산지역 대기 중 HAPs에 대한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인체 위해중심의 관리안 제안 2007.5~ 2008.3 안산환경기술 개발센터 시흥건강도시 21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총부유분진(TSP), 미세먼지(PM10/PM2.5), 가스상물질(CO/CO2),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2003.8~ 2004.1 시흥시 여천공단지역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 위해성 평가 VOCs 22종, 중금속 9종에 대한 위해성 평가 실시 1996.10~ 1997.11 여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