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농식품 시장조사 보고 2007. 8.22 해외마케팅팀 1. UAE 국가개요 2. UAE 농식품 수입규모 3. 우리 농식품 수출현황 4. UAE 농식품 유통매장 및 소비패턴 5. 한국 농식품 Positioning 6. 유망 품목의 시장진출 착안점 7. 장애요인 분석 8. 단계별 지원방안 9. 지원사업 다각화 방안 2007. 8.22 해외마케팅팀
UAE는 매년 8~9%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향후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두바이는 탈 석유화 정책의 일환으로 중동지역의 허브화 추진 <일반현황> <경제지표> 중동국가 중 GDP 3위 - 1위 : 이란, 2위 : 사우디 중동국가 중 1인당 GDP 2위 (단위:USD) 면 적 : 83,600㎢ (남한의 4/5) 행 정 : 7개의 에미레이트 연합국 - 아부다비, 두바이, 샤자, 아즈만, 라스알카이마 푸자이라, 움무까이와인 정 치 : 연방 대통령제(아부다비) 민 족 : 에미레이트인(19%), 아랍.이란인(23%) 서남아시아인(50%), 기타(8%) 인 구 : 4.1백만명 - 연평균 인구증가율 : 7.5% 언 어 : 아랍어(공용어), 영어(상용어) 종 교 : 이슬람(57%), 기독교(30%), 힌두(11%) 기 후 : 고온다습 사막성 기후(최고53도) 카타르 : 47,518 UAE : 27,700 쿠웨이트 : 24,940 바레인 : 16,681 사우디 : 13,594 오만 : 12,548 중동국가 중 원유생산량 3위 - UAE 원유생산의 90%는 아부다비에서 생산
UAE 농식품 수입규모는 ’05년 39억불로 전체 수입량의 7.9%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자체 시장 뿐만 아니라 인근지역으로의 재수출 활성화가 기대됨 2002 2003 2004 2005 2,147 2,616 3,244 3,876 조제식품 축산가공식품 과일, 채소류 산동물 < Dubai Department of port & custom > <단위 : 백만불> 전체 농식품 수입물량 중 과일, 채소류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전체 수입액의 20~30%는 재수출 - GCC국가,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열악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대추야자를 제외한 전 품목을 수입에 의존 자체적인 식품 가공산업 기반 미비 인구의 80%가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외국식품에 대한 수요 및 수용성 높음
우리 농식품 전체 수출액 중 90%이상 연초류에 편중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3. 우리 농식품 수출현황 우리 농식품 전체 수출액 중 90%이상 연초류에 편중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제과류, 음료류 등의 일부 가공식품이며, 신선농산물의 수출액은 미비함 <단위:천불> `03 `04 `05 `06 103,150 82.106 117,788 124,853 273 255 127 112 4 185 57 20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연초류는 중동인근 국가로의 물류기지 역할 (KT&G의 적극적인 현지 시장 Marketing 주요) 연초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출품목은 제과류, 음료류 등의 가공식품이 차지 GCC 6개국 한국 농식품 주요 수출 품목 UAE(125백만불) : 연초류, 츄잉검, 과즙음료 쿠웨이트(1,612천불) : 건빵, 츄잉검, 연초류 사우디(10,926천불) : 조제분유, 츄잉검, 과자류 오만(1,394천불) : 기타돔, 초콜렛, 음료류 카타르(1,576천불) : 합판, 음료류, 국수 바레인(325천불) : 국수, 츄잉검, 라면 품 목 2005 2006 필터담배 108,577 119,695 츄잉검 2,562 2,009 과즙음료 4,224 799 제과류 349 530 라면 419 200 캔디류 303 193 신선농산물의 중동지역 수출은 거의 전무함 쵸콜렛류 81 189 음료류 348 71 기타장류 31
UAE 식품시장의 50%이상을 대형유통업체가 점유하고 있으며, 점차 그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저가시장과 고가시장이 확연하게 구분되어 있는 양극화 형성 < 농식품 유통매장 > < 농식품 소비패턴 > 식품유통매장의 비중변화 소형매장 → 대형 하이퍼마켓 식품은 On-Site Marketing 효과적 TV, 신문 등의 광고보다는 현장에서 Touch & Feeling 구매패턴 소유 호텔 및 식당의 고급 식자재 수요 증가 두바이 프로젝트로 인한 고급 호텔과 외식 산업의 성장 건강기능성 식품 유행 Organic, Clean, Safe, Green 등의 기능성 식품 유행 식품시장의 양극화 형성 단기간에 유입한 상류층 외국인과 서남아시아 노무인력 시장 상충 - Number of retail stores in UAE(2006) - 대형유통업체(Supermarket, Superstores, Hypermarkets)가 UAE 식품시장 전체 매출의 50%이상을 차지 대형유통업체는 매장 수 증가면에서도 매년 150%이상 성장 아랍계 업체인 Co-operative 가 정부차원의 지원으로 지속적으로 점유율 상승 판매 제품의 80% 정도가 완제 수입식품이 차지 Carrefour, Spinneys 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Vendor를 통해 납품 아부다비, 두바이, 샤자 중심의 점포 형성(인구의 75% 집중)
UAE에서의 한국 농식품은 주로 다품종 소량으로 한인대상으로 판매되어 지고 있으며 5. 한국 농식품 Positoning UAE에서의 한국 농식품은 주로 다품종 소량으로 한인대상으로 판매되어 지고 있으며 주류 시장 진입 품목은 일부 가공식품에 한정되어 있음 구 분 내 용 과실류, 인삼류 : 품질의 우수성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음 가공 식품류(음료류, 장류, 면류, 제과류 등) : 상담 및 취급경험이 없어 낮은 수준 Vendor 인지도 인삼류 : “Korean Ginseng”에 대한 인지도는 높음 과실류, 기타 가공식품에 대한 인지도는 주류시장에 진입하여 판매 되고 있는 제품이 매우 극소수에 불과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됨 소비자 인지도 대형유통업체 입점 현황 음료류 : 웅진_(알로에, 매실음료) 제과류 : 해태, 롯데_(쵸코파이, 칸쵸, 새우깡, 껌) 현지 한국 슈퍼마켓 2곳 해태, 농심, 광동제약(VITA500) 현지 Agent 약 4~5곳 한국식품 취급바이어 주류시장 진입현황 음료, 제과류 일부는 대형유통업체 진입 판매 나머지 물량은 한국 슈퍼마켓 2곳에서 다품종 소량으로 판매
초기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와 영업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프리미엄급 6. 유망 품목의 시장진출 착안점 초기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와 영업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프리미엄급 제품의 출시를 위한 현지시장에 적합한 Product에 대한 초기 투자가 선행되어야 함 품 목 해결 과제 캡슐, 타블렛이 주류시장이며, 제품등록 절차 까다로움 - 인삼고유의 향에 대한 거부감, 동물성 젤라틴 사용 등 제품포장의 유럽화 필요 - 현재의 붉은색 계통은 중국산으로 보여지며, 중국산은 저품질, 저가격의 이미지임 인 삼 류 높은 품질에 대한 높은 구매력 존재 안정된 수급에 대한 보장이 거래 성사의 첫걸음 초기 Test Marketing 추진 필요 - 소량이나마 초기 Test Marketing을 위해 현지유통에 시판되는 것이 관건 과 실 류 버 섯 류 채 소 류 일반 소비자 대상 보다는 식자재 납품 수요가 큼 - 버섯은 요리법을 제대로 몰라 일반 소비자 보다는 호텔, 식당 등 외식업계에 많은 수요 다양한 포장 중량과 포장 용기 필요 - 중동지역은 소량 포장 단위를 Bundle로 구매하는 패턴(문화적 차이) Free Sugar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고조(당뇨, 비만 문제 심각) 제 과 류 B2B 시장의 급격한 성장 - 호텔, 고급식당, 오피스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훼류 수요 급증 화 훼 류
지리적, 문화적 여건 등이 한국 농식품 수출확대 장애요인으로 분석되며, 점진적으로 7. 장애 요인 분석 지리적, 문화적 여건 등이 한국 농식품 수출확대 장애요인으로 분석되며, 점진적으로 이러한 장애 요인들을 경감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의 모색이 필요함 구 분 내 용 높은 물류비 상대적으로 가까운 유럽, 동남아 제품의 높은 진입장벽 지리적 여건 상이한 식문화로 인해 경쟁력 있는 수출 품목의 제한성 종교적 문제로 인해 알코올 및 돼지고기 첨가 제품 엄격 제한 문화적 여건 비즈니스 문화 Face to Face 를 선호하는 현지 바이어 상담 기회 부족 초기 소량물량 주문 후 Test Marketing 일반화 시장 다변화 욕구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중동지역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 욕구 부족 고정 소비층 부재 유사 식문화를 지닌 구매력 있는 고정 소비층의 부족 (동양계,한국교민 등)
우리 농식품 진출 초기 단계인 중동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정보제공, 상담기회제공 등의 8. 단계별 지원방안(안) 우리 농식품 진출 초기 단계인 중동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정보제공, 상담기회제공 등의 본사차원의 다각적인 수출지원사업 개발을 통해 현지 유통진입 지원에 우선 집중 유통업체 연계 판촉행사 - Promotion 비용지원 바이어 초청사업 범례 Incentive : 1단계 : 2단계(해외조직망검토) : 3단계 상담기회 제공 - 박람회 참가지원 수출비용 지원 - 물류비, 등록비 - Test Marketing 비용 aT 수출업체 Vendor/유통업체 End User Communication 시장정보제공 유망품목발굴 Business Matching 지원 식문화 홍보사업 해외매체 광고 사업
중동지역 수출지원사업의 다각화 검토를 통해 연초류에 편중되어 있는 수출품목의 9. 지원사업 다각화 방안(안) 중동지역 수출지원사업의 다각화 검토를 통해 연초류에 편중되어 있는 수출품목의 다양화 선도 현지유통망 진입을 위한 지원강화 지원사업의 기반확충 < 지원사업 다각화 방안 > 추진 사항 검토 방안 기대 효과 두바이 식품전시회 참가지원 확대 두바이 건강식품전시회 참가지원(신규) 시장진입을 위한 첫 단계인 상담기회 제공 확대 인삼, 버섯 등 기능성 식품 상담기회 신규 제공 전시회 참가확대 Pilot Test Marketing 비용 지원 - 신선농산물(과실류, 버섯류 등) 바이어의 신선농산물 재고에 대한 부담 경감 및 현지 유통매장 내 판매를 통한 제품 경쟁력 검증 현지유통 진입 지원방안 수립 신선 농산물 초기 항공 물류비 지원 시장 내 검증이 필요한 시점에 물류비 일부지원을 통해 가격경쟁력 지원 및 수출업체들의 시장다변화 욕구 유도 관광공사 연계 식문화 홍보사업 정례화 인근 중동국가 참관객들을 대상으로 식문화 홍보를 통한 향후 한국식품 소비저변 확대 식문화 홍보 사업 중동지역 식문화 홍보대사 위촉 유명인사 식문화 홍보대사 위촉을 통해 현지, 국내 언론 노출을 통한 홍보효과 기대
10. 두바이 소재 주요 Trading Spot _ 1 < Dubai Central Fruit & Vegetable Market > 면 적 : 61,000㎡ 냉장창고 : 41개 운영 운 영 : 두바이 정부 입 점 Vendor : 약 140여개 중동/아프리카 지역 과채류 중계무역의 메카 < Dubai Flower Center > 설립목적 : 중동아프리카의 화훼, 신선농산물 허브로 성장 하기 위해 저온 유통 시스템 시설 운영 규 모 : 32,000㎡ (1/3 산식물, 2/3 냉장품 취급) 1층 : 냉장 및 냉동 저장시설 2층, 3층 : 수출입업체 사무실, 포장시설 주요수입선 : 아프리카 동남부, 인도, 스리랑카, 태국,중국
11. 두바이 소재 주요 Trading Spot _ 2 < Dubai Tea Trade Center > 운 영 : 두바이 정부에서 차류교역진흥 정책의 일환으로 운영 회원제로 운영 : 연간 $3,000 - Free Zone warehouse, Blending & Packing 시스템 제공 초기 마케팅 활동 지원 < Dubai Dragon Mart Complex _ 중국상품 전용 쇼핑몰> 면 적 : 150,000㎡(길이 1.2Km, 너비 100m) 점포수 : 3,950개 업체 대부분의 입주 업체가 Trading Company로 상시 중국상품 전시회와 같은 이미지 구축 식품관련 업체는 현재 20여개 이지만 향후 확대 예상 인근에 상주인구 10만명 규모의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