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산업 육성 정책방향 2013. 6. 11. 안녕하십니까? 지식경제부 주력산업정책관 남기만 입니다. 지금부터 해양플랜트 기자재산업 활성화대책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목 차 순서는 문제점과 추진대책, 그리고 앞으로 추진일정 순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Ⅰ 플랜트 시장 현황 및 전망 목 차 Ⅰ 플랜트 시장 현황 및 전망 주요 정책 추진현황 Ⅱ Ⅲ 향후 정책 추진방향 순서는 문제점과 추진대책, 그리고 앞으로 추진일정 순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Ⅰ. 플랜트 시장 현황 및 전망 시장 성장성 1 육상 및 천해 자원 고갈, 에너지 수요 증가 및 가격 상승 예상 세계 에너지 수요는 08~ 35년간 연평균 1.6% 증가 예상(IEA 2010) 세계 플랜트 시장은 07 ~ 17년간 연평균 10.7% 증가 예상 12년 이후 유가안정으로 연평균 5%수준의 안정적 성장세 전망 *BP Energy Forecast, IEA Energy Outook, KOPIA <플랜트 시장 규모, 10억불> < 세계 에너지 수요 전망 >
Ⅰ. 플랜트 시장 현황 및 전망 플랜트 수주동향 2 세계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3년 연속 650불에 육박하는 수주 기록 645억불(10년) -> 650억불(11년) -> 648억불(12년) 아시아, 중남미 등 신흥시장 수주확대로 중동 편중세가 점차 완화 중동플랜트 수주 비중 : 59.1%(10년) -> 38%(11년) -> 32.3%(12년) 고유가 지속에 따른 Oil&Gas, 해양플랜트 수주 약진 해양플랜트 수주 비중 : 14%(10년) -> 26%(11년) -> 30%(12년) 개도국 전력수요 증가로 인한 발전프로젝트 수주 증가
국내 플랜트 업계 및 해외 경쟁 업체들은 플랜트2.0 에서 플랜트3.0 영역으로 이동 Ⅰ. 플랜트 시장 현황 및 전망 플랜트 시장의 트렌드 3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플랜트 산업은 크게 3단계의 발전을 거쳐 왔으며, 앞으로 신흥시장 성장, 자원 개발 방법의 변화, 환경 규제 강화 등의 시장 변화에 대응이 필요 국내 플랜트 기업의 세대별 진화 Plant 1.0 Plant 2.0 Plant 3.0 Conventional Oil Conventional Oil Unconventional Oil Construction 중심 Engineering & Construction FEED, PMC, Developing Onshore / Downstream Offshore / Upstream 양적 팽창 대응설비 신흥국 중심 다변화 플랜트의 대형화 소형화, 다각화, 분산형 환경친화적 설비 (~2005) (2006~2009) (2010~) 국내 플랜트 업계 및 해외 경쟁 업체들은 플랜트2.0 에서 플랜트3.0 영역으로 이동
Ⅰ. 플랜트 시장 현황 및 전망 플랜트 시장의 트렌드 3 세계 플랜트 산업은 개발도상국과 자원 보유국을 중심으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요 발주국의 변동에 따라 지역적, 형태적 변화를 보이고 있음 플랜트 시장의 이동 플랜트 시장 영향도 플랜트 시장 이동의 원인 AS-IS TO-BE 상류부문 하류부문 발전 1 국가 및 경제 성장률 차이 지리적 변화 OECD Non OECD 신흥 시장의 경제 발전에 따른 플랜트 시장 규모 증가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개발과 중동의 산업 다각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Western Eastern North South 2 신규 자원 개발국 증가 남미, 아프리카 국가들의 부상 브라질, 카자흐스탄, 모잠비크 등에서 유전/가스전이 연속적으로 개발됨 Oil Gas 형태적 변화 3 고유가 Conventional Unconventional 역대 최고 가격 경신 $111.26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이에 대한 대체하기 위한 해저 유전 및 가스전 개발이 본격화 되고 있음 Downstream Upstream Upstream 분야가 변화의 중심 Source : KOPIA Research & PwC Consulting Analysis
Ⅱ. 주요 정책 추진현황 해외플랜트 수주지원 1 시장진출지원 (정보제공)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현지 정보 제공 수주지원센터 운영(UAE, 브라질, 러시아, 콜롬비아, 인도) (시장조사) 플랜트 수주확대를 위한 사업타당성조사 및 컨설팅 지원 해외 유망 수주플랜트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조사 (Feasibility Study) 지원 * 02~12년 336건 타당성조사 지원, 총 36.2억불 수주 플랜트 전문가 자문단을 통한 프로젝트 수주컨설팅 제공 (마케팅) 벤더 등록 지원, 발주처 초청 상담회 개최 등 기자재기업 프로모션 및 해외구매상담회 개최 지원(북미,북유럽) 플랜트/해양플랜트 기자재 벤더등록 지원 *해양플랜트: 가스도입계약 등의 Buying Power를 활용, 오일메이저 벤더등록 지원
Ⅱ. 주요 정책 추진현황 기술개발 및 연구기반구축 2 기술개발 연구기반 구축 플랜트 원천기술․심해저 시스템 및 기자재 기술개발 등을 통한 기술경쟁력 제고 플랜트엔지니어링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을 통해 기자재 및 기술 개발 진행 * 13년 플랜트엔지니어링원천기술개발사업 예산(92.8억) 해양플랜트 요소 및 핵심기자재 로드맵 수립(13.5월) Drillship, FPSO, FLNG, Subsea&OSV별 100대 전략기술 선정 연구기반 구축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인증 기반구축 및 기자재 R&D센터 개소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준공(거제, 12년 3월)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개소(부산, 12년 8월) 조선해양플랜트 연구집적화를 위한 연구개발 특구 지정(부산, 12년 11월) 특구 운영 및 지원을 통한 연구개발 집적화 개발을 통한 성과 창출 기대
Ⅱ. 주요 정책 추진현황 전문인력 양성 3 석/박사 플랜트 전문인력 취업대상자/재직자 대상 전문교육 실시 자원개발과 연계한 해양플랜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해양플랜트 특성화대학 운영 *13년 3개 해양플랜트 특성화대학(인하대, 서울대, 해양대) 선정 * 해양플랜트 전문교과과정 설계, 산학협력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17년까지 1,000명의 신규전문인력 양성 취업대상자/재직자 대상 전문교육 실시 해양플랜트 업계 재직자 대상 설계전문교육 실시 * FPSO설계 등 15개 과정 650명 양성(13년) 공과대학 졸업(예정)자 대상 플랜트 설계과정 전문교육 실시 * 전기, 배관, 공정, 토목설계과정 연간 1,500여명 규모 (09년~) 플랜트 업계 재직자 대상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분야별 전문교육과정 운영 * 기계설계 등 6개과정 연간 960명 규모 (11년~) 플랜트 인력 해외 인턴 파견 대학졸업(예정)자 해외인턴 기회 제공, 플랜트 기업 해외지사 채용연계(연간 300여명 규모)
Global Top 플랜트 강국 실현 Ⅲ. 향후 정책 추진방향 비 전 전 략 세 부 목 표 (단 기) 수주확대를 위한 플랜트 금융지원, 수주마케팅 지원 강화 (중장기) 핵심 R&D개발, 전문인력 확충, 기자재경쟁력강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 략 추 진 전 략 세 부 목 표 수주경쟁력 강화 국산기자재 경쟁력 강화 핵심원천기술 확보 전략적 해외진출지원 벤더등록 지원 핵심기자재 R&D개발 플랜트 원천기술확보 전략기술 집중육성
Ⅲ. 향후 정책 추진방향 수주경쟁력 강화 1 전략적 해외진출 지원 정부차원의 산업경제 협력관계 구축을 통한 업계 해외진출 수주기반 제공 자원보유국과의 산업자원협력위원회 구성, 민관합동 사절단 파견 에너지자원 공기업의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와 플랜트 EPC사와의 공동진출 추진 플랜트 고부가가치 시장 진출 활성화 기존 EPC 중심 수주에서 고부가가치 전/후방 영역인 FEED, O&M분야 진출역량 확보
Ⅲ. 향후 정책 추진방향 플랜트 기자재 산업 육성 2 Track Record 확보를 위한 국산기자재 수요기반 확충 기 확보 또는 확보추진중인 해외광구개발에 대한 국내업체 참여를 통해 수행실적 확보 국내 기자재업체의 해외발주처 벤더등록 지원 강화 기자재벤더등록 교육과정 운영확대, 벤더등록 Form 작성 지원 등 미래 유망플랜트에 적용 가능한 핵심 기자재 기술개발 집중지원 해양플랜트 원천 Processing 기술 및 핵심기자재 기술개발 셰일가스 등 비전통 오일&가스 핵심기자재 기술개발 친환경 수자원 플랜트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 FPSO Topside용 Power Package 등 * 셰일가스 시추용 고압 Fracture Pump 등 * 초고순도 산업용수 생산플랜트 등
Ⅲ. 향후 정책 추진방향 핵심원천기술 확보 3 해양플랜트 주요기술분야
감사합니다 경청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