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iPhone 카페명 변경 (모바일 투데이 -> 2008코리아안드로이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모바일 프로그래밍 개론 UNIT 01 로봇 SW 컨텐츠 교육원 조용수. 학습 목표 모바일 프로그래밍이란 ? Embedded System 특성 Mobile OS Hybrid and Native SDK and NDK 2.
Advertisements

Android 소개.  스마트폰의 의미  손 안의 PC 혹은 스마트폰은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이다.  과거 일부 비즈니스 계층과 얼리 어댑터의 전유물에서 최근 일반 대중의 생활로 빠르게 확산 됨. 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은 1992 년 COMDEX 에서 IBM 이.
OLS Team 정수현. 1. 아담과 이브가 먹은 과일 [ 금단의 사과 ] 2.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유추했다는 [ 뉴턴의 사과 ] 3. 혁신의 아이콘인 [ 스티브잡스의 사과 ] 세상을 바꾼 3 개의 사과가 있습니다.
2007 Company Report Infra Information Technology 1 고객감동을 위하여 … 고객과 함께 걷는 기업  서울시 강남구 대치 2 동 511  Tel : (02) Fax : (02)  Homepage :
멀티미디어 배움터 장 멀티미디어와 정보화사회 1.1 멀티미디어의 이미와 특성 1.2 멀티미디어의 발전 배경 1.3 정보화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발전 방향과 역할.
Streaming 과 Adaptive Streaming 티빙 시대 8조. 티빙시대 모니터링팀 8조의 PowerPoint 01 Streaming02 Adobe Flash03 Silverlight04 APPLE’S05 Q&A.
기술분야에너지 관리 연구과제명 Advanced Energy Mgmt. Algorithm 개발 필요성신재생 발전기기, 에너지 저장장치, 에너지 소비장치가 공존하는 Smart Grid Home 환경에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발 플랫폼으로서의 웹의 진화와 향후 전망 류한석 소프트뱅크미디어랩 소장 ZDNET 칼럼리스트 피플웨어 블로그 (peopleware.kr) 스마트플레이스 팀블로그 (smartplace.kr)
Dept. Computer Engineering DBLAB 정보처리개론 담당 교수 : 김정석 2009 년도 1 학기.
01 학습 내용 : 준비학습 : 인터넷 과 웹 01 장. 인터넷 이해하기 02 장. 홈페이지를 만들기 전에.
Page 1 Android Programming November 04 / 2009 S/W Junhyuk Jang.
스마트 TV 동향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연구실 김 홍 기
전자출판 개요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건국대 강의자료 목 차 플랫폼 사업의 이해
Computer Network 임현수 이량경 이가영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한국 IT산업의 발전방향과 과제 Core Logic Inc. May 02, 2006.
Company Introduction Ver 1.2.
1.1 멀티미디어의 이미와 특성 1.2 멀티미디어의 발전 배경 1.3 정보화사회에서 멀티미디어의 발전 방향과 역할
제 09 장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한국대학교 홍길동 교수.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요 멀티미디어 컨텐츠 입문 (2001 Fall).
Rich Internet Application -기획자 & 개발자가 함께 하는 RIA -
【精美 PPT 模板大全 1306 页-共 8 辑】 第 5 辑-目录栏目集. Add your text YourSloganhereYourSloganhere.
PC와 인터넷 정강수 컴퓨터 구조와 웹의 이해 PC와 인터넷 정강수
GTK 프로그래밍 ( 1 ) SNSLAB 발표 : 문동규.
웹 페이지.
HTML5 웹 프로그래밍 입문 (개정판) 1장. 인터넷과 웹환경의 발전.
대·중소기업 상생경영을 위한 SK텔레콤의 기술협력.
6장 인터넷 서비스와 활용 6.1 인터넷의 역사와 사용환경 6.2 웹(WWW)과 홈페이지 6.3 인터넷/웹 기반 서비스
임베디드 SW 시스템 소개 - 임베디드 운영체제 - 임베디드 리눅스 - 임베디드 인터넷
3.1 그래픽스/영상 데이터 형 3.2 널리 사용되는 파일 형태
3장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7. 인터넷 환경과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의 이해 임순범.
Smartphone / Tablet PC 조 방 제.
1장 유닉스 소개.
한국통신 멀티미디어연구소 김 영 환 인터넷 정보검색 제 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인간과 기계와 언어 한국통신 멀티미디어연구소 김 영 환
A n d r o i d Android 2010 년 5월 19일 작성자 : 백 선 재.
SOLID MODELING – 1주차 강의.
Streaming Media Technology
Knowledge Enterprise Portal Solution(iKEP)
Knowledge Enterprise Portal Solution(iKEP)
사업계획서.
Operating Systems Overview
웹 2.0 개요.
DVR HD-1600M 1 제품 소개 시스템 구성도 H 채널 HD-SDI Stand Alone 타입 DVR
6장 차별화전략.
1장. JSP 및 Servlet을 활용한 동적 웹 프로그래밍 소개 제1장.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MapServer를 이용한 지도 서비스
2 장 인터넷의 개요.
W3C CSS 2.1 표준 ‘font-family’ property
9장 자바스크립트.
The next generation Windows-based Terminal
Strategic Management 경영전략 8장 차별화우위와 차별화전략.
2장 운영 체제의 개요 운영체제의 개념 운영체제의 유형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 운영체제의 구성 운영체제 서비스 시스템 구조
2. 컴퓨터 및 HCI의 역사 2010년 2학기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갤럭시K’ Sales Guide (SHW-M130K)
User Interface ? MP3플레이어의 UI 디자인 유형 분석 및 발전 전망
DVR HD-400H 1 제품 소개 시스템 구성도 H.264 4채널 실시간 HD-SDI Stand Alone 타입 DVR
HTML5+CSS3 실무 테크닉 김은기 저.
Operating System System Program OS의 목적 OS의 종류 Application Program과 구별
제9장 네트워킹 숙명여대 창병모 2011 가을.
Microsoft 사례분석.
H2TV ASTB 관리 기능 메뉴얼 제이웨이 영상사업실 기술개발팀.
Xen and the Art of Virtualization
Lecture 1. Overview of the Course
Internet Multimedia Solutions (Video Web Call Center)
제8장 네트워킹 숙명여대 창병모
1장 WEB 프로그래밍 기초 이 서식 파일은 그룹 환경에서 교육 자료를 프레젠테이션할 때 시작 파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Ⅲ. Web Design Tool 및 특성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까지 제 1장을 통해 모바일의 정의와 개념, 시작과 발전, 기술과 서비스 및 그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모바일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쌓았습니다. 이번시간 부터는 제 2장 모바일 기술을 통해, 무선 인터넷을 위한 컨텐츠 제작 기술, 네트워크.
Presentation transcript:

모바일 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iPhone 카페명 변경 (모바일 투데이 -> 2008코리아안드로이드) 2nd MobileWebAppsCamp 모바일 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iPhone 2007. 9. 20. 카페명 변경 (모바일 투데이 -> 2008코리아안드로이드) http://cafe.naver.com/mobitoday.cafe 카.페.지.기. 들풀

Apple Computer Inc. → Apple Inc. 애플 iPhone에 대한 개괄 Apple iPhone에 주목하는 이유 Apple iPhone의 구성 및 차별화 요소 Apple Computer Inc. → Apple Inc. (2007.1.9.)

우리가 iPhone에 주목하는(했던) 이유는? - Hardware 사양 - 사용자 인터페이스 - 탑재된 Software - iPod 성공 이후의 애플 야심작에 대한 기대 - 폰 디자인 프로세스의 변화 또는 혁신

애플 iPhone에 대한 개괄 구 분 구 성 요 소 타사와의 차별화 Point (장점/단점) Hardware 사양 사용자 Candybar style device 320 x 480 touch screen Weight : 135g GSM/Edge cellular radio WiFi, Bluetooth 2.0, 2mp camera No physical keypad No user-replaceable battery 사용자 인터페이스 No stylus, Entirely finger-driven Multi-touch interface (Zoom In/Out) Proximity & Position Sensor Enabling the user to manipulate the interface via gestures (something that Apple says it is patenting) 탑재된 Software Apple’ MacOS X Safari web browser Yahoo email, Google Maps with LBS iPod music & video playback A suite of phone apps. Photo management software Some widget and etc. - A Version of Apple’s MaxOS X with its Safari. Depending on how the browser is implemented, this is potentially a differentiator for Apple. - No support Microsoft Office document. iPod 성공의 후광 Success of iPod + iTunes Steve Jobs Brand - Steve Jobs 폰 디자인 프로세스 Apple operates as a system company, creating integrated hardware, software solutions and iTunes. System design knowledge No ability to install third party applications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 GDI관련 Infra 기술

GUI에 대한 개괄 - 1973년 : Xerox Alto - GUI 최초 구현 (Icon, Window, Mouse, etc) ※ Small Talk 란 프로그래밍언어를 개발한 것으로 유명한 앨런 케이는 1972년 제록사의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GUI에 대한 개념과 기술 구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음. 케이는 1960년대 후반부터 맥루한의 미디어 이론과 제롬 부루너의 인지이론을 점목해 어린이가 컴퓨터와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으로 GUI를 제안했다. GUI는 문자를 대신해 정보를 전달하는 아이콘, 스크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중첩 윈도우, 더글러스 엥겔바트가 개발한 마우스라는 입력장치로 구성되었다. - 1976년 : Apple사 설립 및 AppleⅠ출시, 1977년 : Apple Ⅱ 출시 (큰 성공을 거둠) 1979년 : Steve Jobs Xerox의 PARC 방문, 알토컴퓨터를 보고, 차세대 컴퓨터에 적용할 '데스크탑 메타포'란 개념을 만들어 냄. - 1983년 : Apple사 LISA 출시 - 현재 존재하는 GUI를 사실상 완성 (사업적으로는 실패) 1984년 : 애플사 Macintosh 출시 (큰 성공을 거둠) 1986년 : Steve Jobs Apple사를 떠남 NeXT computer 설립 (→ WWW, Doom, MaxOS X) - 1990년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0 출시 1992년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1 출시 1996년 : 애플사 NeXT 매입, 1997년 : Steve Jobs Apple CEO 복귀 2001년 : iPod 출시, 2003년 : iTunes, 2005년 iTunes Video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http://cafe.naver.com/mobitoday/10 참고하세요

웹 표준 및 브라우저 기술, GUI & GDI / GTK의 발전방향 Web의 성공 전제 조건 HTML : SGML 기반의 쉽고 모호한 마크업 언어 (Compound Document Format의 근간) Internet : TCP/IP기반의 Decentralized Network CSS : HTML로 부터 의미와 스타일의 분리, 그리고 Cascade. DOM : Dynamic한 HTML을 가능하게 함. ECMAScript : 표준 Script 언어. Dynamic HTML의 Interface : Event DOM 과 Keyboard & Mouse Web Browser 기술의 구성요소 Network : Network Performance Issue - Parser : HTML, CSS, JavaScript, XML, 등등 Layout Engine : Block, Inline, Table, JavaScript Engine : JavaScript Interpreter & Executor Performance (JIT Issue) DOM Interface Engine : COM/DCOM, XPCOM Rendering : GDI, GTK 등의 System 영역에 의존 Event Handling : GDI, GTK 등의 System 영역에 의존 GUI & GDI/GTK 발전 방향 – XML 기반의 Vector Processing 활용 Linux : XUL & SVG Support (Cairo, PANGO , FreeType, FontConfig) Window Vista : AVALON(XUL + SVG, METRO) & INDIGO

GUI & GDI 관련 인프라 기술 Font 인프라기술의 중요성 GUI → ZUI(Zoomable User Interface) TrueType에서는 Quadratic Curve를 사용하지만,                                                              Construction of a quadratic Bézier curve Animation of a quadratic Bézier curve, t in [0,1] 1980년대 후반 : Apple TrueType Apple TrueType Hinting 특허취득 MS & Apple 사용권 공유. MS ClearType / OpenType Layout/Rasterisation의 토대, 폰트 CJK Issue 및 CJK Unification. Postscript에서는 Cubic Bezier Curve를 사용한다.                                                              Construction of a cubic Bézier curve Animation of a cubic Bézier curve, t in [0,1] GUI → ZUI(Zoomable User Interface) MaxOS X - Windows Vista Linux KDE & GNOME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http://cafe.naver.com/mobitoday/57 참고하세요

GUI & GDI 관련 인프라 기술 Event Handling 기술의 중요성 GUI Event는 기본적으로 Key, Mouse, Action Selection, Timer Event를 포함하며, Network I/O 등과 같은 Interrupt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래의 그림은 GTK/Dillo구조 예임) Timer Image Cache Mechanism A Interface entry open URL A Navigator Push Keyboard GTK Main Mouse A Interface Stop A Navigator Open URL A Capi Open URL A Cache Open URL CCC Selection DI Cache HTTP DwWidget Image Map A Gif Image File (GtkObject) +-DwWidget | +----DwBullet | +----DwContainer | | `----DwPage | +----DwEmbedGtk | +----DwHruler | `----DwImage `----(GtkWidget) `----(GtkContainer) +----(GtkBin) | +----(GtkScrolledWindow) | | `----GtkDwScrolledWindow | `----GtkDwScrolledFrame `----(GtkLayout) `----GtkDwViewport DwImage Image Buffer A Jpeg Image About Image A Png Image DwStyle Plugin Parser A Html Text Length & Percent Parser Stack CCC IO A Plain Text Boxes Process Tag Unknown DwPage Process Space Incremental Process Word Space & Text

Mobile Web 모바일 + 웹(데이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Tim Berners-Lee (1955 ~ 현재) Guglielmo Marconi (1874~1937)

모바일 웹의 시작 : 모바일 + 웹(데이터) 모바일 웹 관련 접근법 모바일과 웹(데이터)의 결합 : Dilemma Miniaturization vs. Mobilization 장애물 : User Interface, Small Screen, Handset computing power, Killer Content, etc. 모바일과 웹(데이터)의 결합 : Dilemma 모바일의 근간은 주파수이며, 이것은 물이나 공기와 같은 공공자원이다. 그리고 그 사용권이 정부의 의해 이동통신사에 부여된 것이다. 즉, 공공자원이 사유화된 것이다. 웹은 앞선 특징에서 언급했듯이, 중앙 집중화된 구조 없이 누구나 쉽게 연결하고 만들 수 있는 구조에 기반한다. 보다 본질적으로는 사적 자원이 모여 공공자원화 된 것이다. - 이 두 가지의 결합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모바일 + 웹(데이터) 관련 3가지 핵심 Issue 1. 망개방 Issue : 정통부, KIBA, 이통3사, 과금대행사 구조로 망개방 가능한가? Q : 정보이용료 없는 컨텐츠! 심사의 대상인가? 과금의 대상인가? 2. 요금제 Issue : 요금제는 정액제나 종량제만으로 가능한가? Q : 고객 → 이통3사 → CP vs. 3rd-Party → CP → 이통사 (MVNO* 대안인가?) 3. 플랫폼 Issue : 이통3사에 의해 수직적으로 계열화된 Platform 바람직한가? Q :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분리, 언제쯤 가능한가? *MVNO :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모바일 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Apple사의 미래 제품은? Phone의 미래 ? 모바일 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래는? - Smartphone vs. Other Market Segments. - WiFi or WiMax vs. Cellular Network. - Cingular vs. Other Mobile Operator. Phone의 미래 ? Computer vs. Appliance Computer : MS Window Mobile 또는 SAMSUNG, LG 부각. Mobile Operator의 힘과 제어권의 강화 Appliance : Apple(MaxOS X), Palm(Palm OS), Nokia(Symbian OS), SonyEricsson(UIQ+Symbian OS), Motorola(Own Linux), RIM(Blackberry OS)의 부각 MS나 Mobile Operator의 마켓에 대한 힘의 약화 모바일 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래는? WiFi (WiMax, Wibro) Cellular Network Computer MS 기반 GUI Operator 기반 GUI Appliance OS/Browser 기반 GUI

감사합니다. 궁금하시거나 연락을 원하시는 분은 언제든지 아래의 카페에 글 남겨주세요. (카페명 변경) 모바일 투데이 -> 2008코리아안드로이드 http://cafe.naver.com/mobitoday.cafe Q&A는 이곳 ( http://cafe.naver.com/mobitoday/68 ) 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