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과학 속 과학 원리와 현대에 적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통 과학 속 과학 원리를 현대에 적용한 사례 전통과학 속 과학 원리와 현대에 적용한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통 과학 사례 옹기 표면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공기와 습기가 드나들어서 옹기를 '숨 쉬는 그릇'이라고도 함. 보통 옹기에는 김치, 된장, 젓갈 등 발효 식품을 담아 둠.
2. 한지 주재료: 닥나무, 잿물, 황촉규 산화 표백되는 공정으로 섬유가 손상 받지 않는 정교한 기법임. 2. 한지 옛날 책들과 집의 창호지 문 등은 모두 한지로 되어 있음. 요즘 책들은 200년 정도 되면 누렇게 변하다가 가루로 변해버림. →한지는 1000년 넘게 버팀. 주재료: 닥나무, 잿물, 황촉규 산화 표백되는 공정으로 섬유가 손상 받지 않는 정교한 기법임.
3. 메주 (된장) 메주→ 콩으로 만듬. 메주에는 암세포를 없애주는 물질이 들어있음. 또한 혈관에 콜레스테롤이라는 나쁜 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고혈압 예방 노화 방지→우리 몸이 빨리 늙지 않게 방지함.
4. 김치, 숯 김치-최초의 김치는 채소를 짠 소금물에 절인 장아찌임. 이후 고려 시대를 거치면서 김치에 파, 마늘, 생강 같은 항신료 첨가. 임진왜란 이후에 고춧가루와 젓갈이 양념으로 들어가면서 지금과 같은 김치가 탄생. 김치-유산균 유산균은 장속에서 음식물 찌꺼기 배설을 도움. 숯-옛날에는 숯이 장의 부패를 앞당기는 해로운 미생물들을 빨아 들이기 때문에 장 항아리에 숯을 뛰웠다고 함. 우물 바닥에 숯을 깔면 숯에 있는 칼슘, 마그네슘, 철 등 몸에 좋은 미네랄이 물에 녹아들기 때문에 물 맛도 한결 좋아짐.
전통 과학 원리를 현대에 적용한 사례 석빙고 – 한국식 냉동실 개발 맷돌 – 한국식 믹서기 개발 석빙고 – 한국식 냉동실 개발 맷돌 – 한국식 믹서기 개발 구들 – 한국식 난방 시스템 개발 물레방아 - 수력발전기 설피 – 스키, 스노우보드
석빙고
맷돌과 구들
물레방아와 설피 모든 출처: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지식인 정보를 통합시켜서 만들었습니다.
간이 물레방아 실험 준비물과 과정 [준비물 : 스티로폼, 손코팅지나 파일지, 테이프, 빨대, 종이컵, 송곳, 칼, 가위] 1 . 스티로폼을 동그랗게 자름. 2 . 손코팅지나 파일지를 네모로 작게 똑같은 모양으로 6~8개 정도 만듬. 3 . 컷터칼로 스티로폼의 동그라미에 네모의 수 만큼 칼집을 조그맣게 냄. 4 . 칼집을 만든 곳에 파일지를 꽂음. 5 . 스티로폼에 송곳으로 빨대가 딱 맞을 정도의 구멍을 냄. 6. 빨대를 끼움. 7 . 종이컵의 양쪽에 똑같은 구멍을 냄. 8 . 그 곳에 스티로폼 물레방아를 꽂은 빨대를 맞춰 넣음. 9. 글루건이나 테이프로 고정함. 10 . 그 파일지 하나에 물을 붓음. 11 . 간이 물레방아가 돌아가며,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확인시킴.
탐구 활동을 하고 알게된 점과 느낀점 탐구 활동을 통해 알게된 점이나 느낀 점은 우리 조상들의 대단한 과학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 기회가 된 것 같음. 실험을 통해 물레방아의 원리를 익히게 되었고, 정말 유익한 활동이 되었던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