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국민의 행복한 삶에 공헌하는 100세 시대 국민행복 파트너 국회의원 이 명 수 (충남 아산, 새누리당)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Advertisements

지역사회를 행복하게 하는 기업 키우기 프로젝트 기업명 : 대표자명 : ( 총 20 페이지 이내로 작성해 주세요 )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문의전화 ~7 fax ( 한국안전관리협회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법 적용시기 1,000 억 이상 부터 1,000 억 이상 부터 500 억 이상 ~1,000 억 미만 부터 500.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1 『능동적 복지』를 실현하는 복지정책의 추진방향 『능동적 복지』를 실현하는 복지정책의 추진방향 보건복지가족부.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오 건 호 [ 내가만드는복지국가 ] 공동운영위원장 ☞ 자료 : [ 내가만드는복지국가 ] 블로그.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2009년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가난한 이들의 건강권 김 창 보 2009년 9월.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국민연금법.
사회복지법제론 제 11장 사회보험법.
제3장 노인소득보장정책 대구산업정보대학 보건복지경영과 송미숙 한국사회의 노인소득보장제도는 첫째.공적 연금이 성숙되지 않은 실정
공무원연금 문제의 진실과 우리의 대응 연금을 연금답게! (농진청지부)
재난 종합상황보고 66초 마다 1건 접수 119신고접수 현황 총 건 수 1,306건 현장출동 502건 (38.4%) 의료상담
제6장 가치평가.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PE HOSE 개선대책 대아수지공업(주) D.A.C.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개요 2006년 230여개 골프장 -- 2010년 400여개 이상의 골프장 운영 예정
제1장 병원 경영의 이해 및 병원 환경의 변화.
?blogId=babiana_she&logNo=
장애인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비장애인에 비해 54%에 불과. 장애인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비장애인에 비해 54%에 불과.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노후 대비에 관한 조사 -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제9장 국민연금.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월별 외국인 입국통계와 국내에서의 card 이용액
UNISDR ONEA-GETI 안내.
자산운용사 건전성 감독 체계 개편 현 황 개선방안 영업용 순자본비율 (NCR) 경영실태 평가 적기시정조치 단 기
늘 언제나 여러분을 사랑합니다♡ 올해도 이제 딱 한달 남았습니다. 마지막 12월은 올해 채우지 못한 행복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2015 1인 청년 가구 수 65.5만 50.4만 1인 청년가구 중 여성 비중 (%)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현 재 미 래 Global 저성장과 다극체제 고령화와 개발도상국 인구증가 기후변화와 Energy 수급 불확실성 증가
청소년복지관계법 11강 제10장 청소년복지관계법 광주여자대학교 오상수 교수 청소년.
의약품 유통구조의 난맥상과 의약품 가격 (금) 국회의원 김 용 익.
㈜엔프라넷.
미래에 부자가 되는 길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여성들의 음주 변화 남성 음주률 기준 규격화 (배) 출생년도
제2부 각론: 사회복지법률 제12장 국민연금법.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변액연금 동행 Hot! 1. 사망보장 없어 무심사 + 환급률 높음. Hot! 2. 추가납입시 업계유일 추가납입수수료 0%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 자산군 비즈니스 전략 현황 향후 전략 • 국내 자산군 대비 해외 자산군 규모는 크지 않은 편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1/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2/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MBC 손에 잡히는 경제 ‘유쾌한 리서치’ - 기념일 관련 조사 엠브레인.
남양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0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국민연금공단 국민의 행복한 삶에 공헌하는 100세 시대 국민행복 파트너 국회의원 이 명 수 (충남 아산, 새누리당)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2014 국민연금공단 국민의 행복한 삶에 공헌하는 100세 시대 국민행복 파트너 국회의원 이 명 수 (충남 아산, 새누리당) www.mslee.co.kr

국민연금의 기능과 역할 재검토 및 개혁 □ 당초 시행 배경 및 여건 변화 국회의원 이명수 국민연금의 기능과 역할 재검토 및 개혁 □ 당초 시행 배경 및 여건 변화 ○ 노후생활대비 수단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추적 역할로 「국민연금제도」 시행 ○ 단순히 「재정건전성」이라는 근시안적 시각으로 접근 IMF 등 경제 위기시 재정자금보다 연금기금을 방만하게 투입, 만성적자 구조 ○ 정부차원의 복지체계 강화와 신규 노후생활대비 제도 지속 제기 □ 역할 재검토 및 개혁 추진 방안 강구 ○ 국민입장에서 다양한 노후대비 방안 중 「기본적 수단」되도록 국민연금의 경쟁력·차별화 추진 ○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설계와 재원운용방안 강구 ○ 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학연금 등과 연계, 수요자 중심으로 통합적·실질적 연금확충 (단순 비교·연계 부적절)

『2060년 국민연금 고갈 등 국민 불안』 해소 [정책백서] 국회의원 이명수 『2060년 국민연금 고갈 등 국민 불안』 해소 [정책백서] ○ 국민연금 2대 난제 「저부담-고급여」구조, 고령화에 따른「후세대의 부담 증가」 ○ 적립기금, 2043년 최대 2,561조 원, 2044년 수지적자 발생 2060년「고갈」전망 ○ 연금수급자, ‘00년 61만8천명,‘13년 1천311만2천명 복지혜택 급증, 21.2배 증가 ○ 국민연금 불신이유 기금 고갈 우려(70.4%)·잦은 제도변경(24.2%)·강제가입(19.6%) 順 < 제3차 국민연금 재정계산 > $ $ 「문제없다」는 일방설득 보다, 현재의 「불신」해소와 미래 대책 제시

기초연금 등 중복급여 불가 관련 이해와 설득 강화 국회의원 이명수 기초연금 등 중복급여 불가 관련 이해와 설득 강화 ○ 기초생활보장제도, 저소득층에 대한 「최후의 사회안전망」 최저생계비 차액지원제도 ○ 정부, 일선 현장 혼란과 불만 자초 지난해 기초생활보장 대상자도 월 20만원 지급 발표 ○「중복급여 불가」대상자 대부분 가난한 어르신(약 36만 명) 「기초생활보장법」국회 표류 기초생활수급자 중 기초연금 차감 수급자 보장시설수급자(정액지급) 32,860명(8.4%) 중복급여 대상자(차감) 356,515명(91.6%) 민원 발생 시 충분한 설명과 적절한 홍보 등으로 불만 최소화 및 제도개선

연금 사각지대 -「적용제외자 및 저출산·고령화·양극화」 해소 국회의원 이명수 연금 사각지대 -「적용제외자 및 저출산·고령화·양극화」 해소 ○ 국내 생산가능 인구(만 18∼59세)의 절반 가량 국민연금 不혜택 상황 (국회입법조사처 ‘13년) ○ 실제 운영과정에서 제외된 1,645만 명 수령개시년 기준 49.9%, 국민연금 혜택에서 제외 의미 ○ 비경제활동인구 1,034만명(31.4%)·납부예외자 457만명(13.9%), 장기체납자 107만명(3.2%) 不혜택 ○ 공단,‘07년부터 비자발적 실업자 대상 「출산 및 군복무 크레딧(Credit)」제한적 도입 ○ 내년 7월, 「실업 크레딧」도입 보험료(25%) 납입시 가입연장(1년), 年82만명 혜택 예상 credit 복지선진국 「크레딧 및 면제제도」 도입·운용 대표 사례 - 자녀 양육 및 입양, 출산 크레딧 - 국가 군 복무, 의무 사회봉사 크레딧 - 16∼18세 청년 및 대학 장학생 크레딧 - 질병, 장애, 산재, 간병인 돌봄 크레딧 - 저소득층 법정면제 및 재난 피해자 신청면제제도 - 실업, 전일제 직업훈련 및 교육 크레딧 - 배심원, 잘못된 투옥기간 크레딧 - 60-64세 남성을 위한 크레딧 「국민연금 가입구조 단순화·선진국형 크레딧 제도 도입 확대」등 사각지대 지속적 해소

베이비부머 세대, 「노령연금 수급권」 확대 및 개선 국회의원 이명수 베이비부머 세대, 「노령연금 수급권」 확대 및 개선 ○ 베이비부머 세대(1955~63년 출생, 51세∼59세) 전체인구의 15%, 약 800만 여명 차지 ○ 향후 10여 년간 본격적인 은퇴 이행 문제는 국민연금 가입률 38.5%, 他공적연금 7.1%에 불과 ○ 노후 준비율도 절반 이하 수준 ‘준비 안 함’ 53.7% (복지부 국민인식조사, 2011) ○ 여성 베이비부머 세대 수급률(16∼32%), 남성 수급률(60∼82%)에 비해 매우 낮아 평균 46% 1955~1963년생 기준 인원 (만명) 비중 가 입 자 현재 보험료 납부중 373 49.2% 실직·사업중단 등으로 납부 예외(미납중) 101 13.3% 공무원 군인 등 특수 연금 가입 40 5.3% 미 가입 조기노령연금수급 30 0.4% 전업주부 등 미가입 대상 241 31. 이모씨의 국민연금 가입사례 (베이비부모세대의 평균에 해당) 현재 연령 …… (62년생) 만49세 연금 납부기간 (10년8개월분) ………… 128개월 현재 월소득 신고액 … 168만원 매월 납부 보험료 …… 15만1,200원 연금 수령시작(60세까지 납부) … 63세 매월 수령액 ……… 45만8,000원 「수급개시 연령도달 前, 최대 납부이력 확대 위한 성별·소득수준별 가입 활성화 대책」 등 마련 서둘러야

장애연금 수령 조건 완화 통한 수급 확대 「가입 중」 조건, 연금 납부예외자·적용제외자간 형평성 문제 – 폐지 고려 국회의원 이명수 장애연금 수령 조건 완화 통한 수급 확대 ○ 장애연금, 노령연금·유족연금과 함께 국민연금의 중요한 기능 불의의 사고 대비용 ○ 문제는 연금수급 3대 충족조건 가입 中·신체적 정신적 큰 손상·보험료 지속 납부 ○ 적용제외자 - 배우자·他공적연금가입자(배우자)·기초생활 수급자 등 장애연금 非대상 ○ 영국·독일 등 선진국, 최소기여조건이나 최근 보험료 납부이력 충족時 장애연금 지급 장애연금 수급요건 및 급여 수준 수급요건 장애등급 급여수준 가입 중에 발생한 질병 또는 부상으로 완치 후에도 장애가 있는 자 ※ 초진일로부터 1년 6개월 경과 후에도 완치되지 아니한 경우는 그 1년 6개월이 경과한 날을 기준으로 장애 정도 결정. 다만, 1년 6개월 경과 일에 장애등급에 해당되지 아니한 자가 60세 전에 악화된 경우 청구일 기준으로 장애 정도 결정 1급 기본연금액 100% + 부양가족연금액 2급 기본연금액 80% + 3급 기본연금액 60% + 4급 기본연금액 225% (일시보상금) 「가입 중」 조건, 연금 납부예외자·적용제외자간 형평성 문제 – 폐지 고려

8,999 건 12,308 건 6,261 건 장애 등급심사 형평성 논란 및 장애범주 확대 국회의원 이명수 장애 등급심사 형평성 논란 및 장애범주 확대 ○ 신체적·정신적 손상 정도에 따라 4등급제 1∼3등급 장애연금, 4등급 일시금 지불 ○ 1·2급 장애인 대상, 활동 지원(간호, 목욕, 교통 등) 문제는 재심사로 탈락, 이의신청 속출 ○ 大選 공약, 장애등급제 폐지 통한 장애활동 지원 대상 확대 추진 범정부적 차원에서 검토 중 ○ 장기적으로, 「선진국형 장애범주 확대」검토 사회심리적 질환 - 우울증·알코올 중독 등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 수(단위: 명) 장애인등급 이의신청 2011 2012 2013 2014.5 2012년 5~12월 8,999 건 12,308 건 2013년 2014년 1~6월 6,261 건 억울한 약자 없도록 「장애인 등급심사 – 수혜자 입장에서 지원대상」 확대

선진국형 유족연금의 수급요건 도입관련 쟁점 및 향후 과제 국회의원 이명수 선진국형 유족연금의 수급요건 도입관련 쟁점 및 향후 과제 ○ 유족연금은 가입자(수급자)의 사망에 따른 경제적 상실의 보충, 유족의 안정된 삶을 도모하는 수단 ○ 유족연금 수급요건, 가입 중·10년 이상인 가입자·수급자가 사망하는 경우 유족연금 발생 ○ 지급대상 배우자, 19세↓ (손)자녀, (조)부모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가족 중 최우선 순위자 ·쟁점① 적용제외자, 과거 10년간 보험료 납부시 유족연금 不수급 대상 → 납부예외자는 연금 발생 ·쟁점② 이혼·재혼 급증 현실에서, 배우자 1순위 무조건적인 적용 → 자녀의 수급권 보호문제 발생 < 주요 선진국 유족연금 수급을 위한 가입 요건 > 구분 한국 일본 오스트리아 영국 미국 연금제도 기초·후생연금 소득비례연금 기초연금 사회보장연금 최근 가입 (납부)조건 가입 중 또는 10년 이상 가입자 없음 사망 前 지난 10년간 5년의 기여 15개월간의 기여 21세 이상 사망, 年 1분기 이상 기여 최소가입조건 가입(면제)기간의 합이 가입가능기간의 2/3 이상 1년 이상의 기여 및 근로기간 1/4 이상 기여 적용제외자·유족범위(3대 포괄규정)의 적절성·자녀 동순위 수급권 부여 또는 아동(고아)연금의 도입 등 고려·개선

기금운용 문제 ① 일본 전범기업 투자와 국민정서와의 상충 국회의원 이명수 기금운용 문제 ① 일본 전범기업 투자와 국민정서와의 상충 ○ 지난 4년간 해외 기금투자, 미국·영국·일본 順 美·日 비중 지속 증가세 ·문제① 민족적 자존감 없이「돈만 벌면 만사형통式 투자」 대표사례, 일본전범기업 투자 ·문제② 직접투자 경우, 기업별 투자판단 없이 기계적 투자(Index Fund) 선별 투자 不可입장 ·문제③ 위탁투자 경우, 기업가치 분석에 비해 저평가 주식에 단기 투자 위탁사항, 관여 不可입장 ·문제④ 일본기업 전체수익률 對 전범기업 수익률 비교 더 낮은 전범기업 수익률, 설득력 없어 국민연금공단 일본전범기업 투자 현황(2014.6월 기준) (단위: 억원) 2011 2012 2013 2014.6 지속적 증가 52 47 40 79 2011 2012 2013 2014.6 투자기업수 투자금액 (단위: 개) 민족적 자존심·高수익 보장 안되는 일본전범기업 주식투자, 재검토 촉구

세계적 연기금으로 거듭나는 기금운용본부 인력증원 등 「시스템 개선 대책」 마련 국회의원 이명수 기금운용 문제 ② 운용인력 1인당 2.16조원 기금 운용, 연금운용 부실 ○ 국민연금 기금 규모 세계 4위(427조,‘13년 말) 일본, 노르웨이, 네덜란드 順 ○ 1인당 기금운용규모는 2.16조 네덜란드(0.72조) 보다 3배, 미국(0.91조) 보다 2.3배 많아 ○ 업무과중에 따른 운용인력 高이직률 '11~'13년(3년간) 45명 이직, 본부 현원 152명의 29.6% ○ 인력부족에 따른 기금 위탁운용 위탁수수료 증가('11년 3,243억원 → '13년 4,938억원) 주요 연기금 기금규모 및 1인당 운용자산규모 수수료 기금운용본부 투자 위탁수수료 현황 (국내/해외 주식·채권) 순위 구분 (2013년 말 기준) 기금규모 (원화) 1인당 운용자산규모 1 일본 공적연금* (GPIF) 1,315조 8.25조 2 노르웨이 국부펀드 (GPF-C) 874조 2.36조 3 네덜란드 공무원연금 (ABP) 470조 0.72조 4 한국 국민연금 (NPS) 427조 2.16조 5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 (CalPERS) 311조 0.91조 6 캐나다 연금투자위원회 (CPPIB) 212조 0.21조 '11년 말 '12년 말 '13년 말 3,243 억원 4,132 억원 4,938 억원 세계적 연기금으로 거듭나는 기금운용본부 인력증원 등 「시스템 개선 대책」 마련

선진국, 인도·베트남 등 신흥시장 「해외사무소 추가 개설 및 해외인력 대폭 보강」 추진 국회의원 이명수 기금운용 문제 ③ 글로벌 투자 확대·강화의 필연성 ○ 연금의 성격상 長期자산배분전략 시급 현 기금委, 中期자산배분 전략(5년 단위)도 기대 난망 ○ 국내경제 저성장의 장기화, 국내투자 기금운용의 뚜렷한 한계 노출 해외투자 확대가 대안 ○ 국내 중점투자時, 내수 충격 등 정치적 작용, 자산 현금화에 불리 해외자산 유동성 확보 용이 ○ 해외 투자(채권·주식·대체투자), 전문성 확보·강화 위한 과감한 투자 해외사무소·인력 확대 등 ○ 최대 문제는 전문가 인력난·과도한 업무·낮은 보수·잦은 이직 따른 업무공백 4중고 상황 < 공적연금기금 운용 선진국 및 한국의 기금운용본부 해외사무소 설치현황 > 본사인력 해외사무소 및 인력 주요 업무와 역할 한국 NPS 152명 (현원기준) 뉴욕(5명), 런던(4명) 등 2개소 9명(5.9%) ▷ 총 자산 4,067억$ 중 해외투자 20%(13년) 채권, 초기단계 네트워크 구축 업무 캐나다 (CPPIB) 886명 홍콩(44명), 런던(64명), 뉴욕(3명), 상파울로(3명) 등 4개소 114명(11.4%) ▷ 총 자산 1,981억$ 중 해외투자 60.3% (13년) 부동산, 인프라, 주식 분야에 책임담당 지역 전문지식과 네 트워크로부터 정보 획득 위해 지역전문 가 구축에 노력 네덜란드 (ABP) 650명 뉴욕(110명), 홍콩(27명) 등 2개소 137명(21%) ▷ 총 자산 4,251억$ 중 해외투자 86.0% (13년) 노르웨이 (GPFG) 239명 런던(63명), 뉴욕(42명), 싱가포르(16명), 상하이(10명) 등 4개소 131명(35%) ▷ 총 자산 8,494억$ 중 유럽 45.2%, 북아메리카 32.8%, 아시아 14.8% (13년) 선진국, 인도·베트남 등 신흥시장 「해외사무소 추가 개설 및 해외인력 대폭 보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