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만성 간염, 간경화 및 간암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 제목: 첫 페이지 휴먼모음T(60), 나머지는 36 본문 내용: 굴림( 첫 페이지만 24) 나머지는 18 첫 페이지: 간단한 설명( 그림 넣어도 good!!!)
발생현황 (I) 전세계적으로 약 3억5천만명의 B형 간염 바이러스(HBV) 보유자가 있고, 2000년경에는 4억 명의 HBV 보유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 현재 세계적으로 매년 100~150만 명이 B형 간염으로 사망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 도서 지역, 중동 지방, 아마존 유역이 유병률이 높음 전세계발생 현황 우리나라 발생현황 계절적 발생현황 고위험위군. 등 언급 내용이 많을 때는 다음 페이지로 넘길때는 제목없이 꽉 차게 해주세요 참고: WHO Health topic에 fact sheet http://www.who.int/health_topics/en/ CDC . Health topic에 fact sheet http://www.cdc.gov/health/default.htm 전염병정보망 전염병별 정보 http://dis.mohw.go.kr/information/info.asp 국가예방접종 홈페이지 전염병별 정보 http://ir.nih.go.kr/support/index.asp
발생현황 (II)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B형 간염표면항원(HBsAg) 양성률이 7~8%였음 수직 감염의 감염원이 되는 임산부의 간염표면항원 양성률이 1990년대 초에 3.4%로 감소
<헌혈자의 간염표면항원 양성률> 국내 발생현황 최근10년간 발생현황 국내발생현황: 전염병 정보망 통계는 전염병정보과에서 일괄적으로 하겠습니다. 혹 각과에서 유용한 통계를 가지고 계시다면 예를 들어 혈청형에 따른 발생이라던지 지역적 발생이라던지… 좋은 자료가 있으면 만들어 주시고 그것도 어렵다면 제목만 달아서 원본 데이터를 주시면 제가 직접 만들겠습니다. <헌혈자의 간염표면항원 양성률>
해외 발생현황 <HBsAg 양성률> <출처 WHO, 2002> http://www.who.int/ith/diseasemaps_index.html: WHO traveller health site 에 지도가 몇 개 있으니 참조하시고 없으면 간단하게 말로 설명해 주세요 서아프리카 어디어디라던가 등등 그림의 출처는 간단하게 텍스트 상자로 표시해 주세요, 다른 그림도 마찬가지로…글씨 굴림 16 굵게 기울임 <출처 WHO, 2002>
병원체 Hepadnarviridae과에 속하는 세포 변성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간 친화성 DNA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청 내에서 바이러스 전에 모습인 지름 42 nm의 Dane particle과 바이러스의 일부(HBsAg)인 지름 22 nm의 구형 입자 또는 막대형 입자로 발견 바이러스 외피는 HBsAg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HBV DNA, HBcAg, HBeAg 이 위치 별로 쓸 말이 없군요… 바이러스나 세균 그림이 있으면 꼭 넣어주세요 바이러스는 여기 가면 웬만한 EM 사진까지 다 있답니다. (http://www.virology.net/Big_Virology/BVFamilyIndex.html) 과에 사진이 있으면 더욱 좋고요 아니면 도식도라도… 구글 이미지 검색에도 꽤 있더군요 그런데 정말 일본뇌염은 없어서….
전파경로 수직감염 :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 임신부에서 태어난 영아 오염된 주사기에 찔리거나 투석, 침습적인 검사나 시술 등 피부를 통해 감염 수혈 성교, 친밀한 육체적 접촉 등 점막을 통한 감염
임상증상 및 합병증 (I) 성인: 65% - 무증상 감염 25% - 급성 B 형 간염 회복 성인: 65% - 무증상 감염 25% - 급성 B 형 간염 회복 10% - 만성 B 형 간염 보균자 주산기 감염: 90% 이상 만성 보균자 잠복기 : 45∼108일 임상 사진도 있으면…
임상증상 및 합병증 (II) 급성 B형 간염 황달, 흑뇨, 식욕부진, 오심, 근육통, 심한 피로, 우상복부 압통 무증상 감염도 흔함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임상증상 및 생화학적 이상은 회복됨 생화학적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 되고 HBs Ag 양성을 보이는 경우 만성간염으로 이행 만성 B형 간염 피로, 전신권태, 지속적인 또는 간헐적인 황달, 식욕부진 등이 나타남 합병증 : 간경변증, 정맥류 출혈, 간성 혼수, 혈액응고장애, 비장비대, 복수 등
<급성 간염의 임상적, 혈청학적 경과> 임상증상 및 합병증 (III) <급성 간염의 임상적, 혈청학적 경과>
<만성 간염의 임상적, 혈청학적 경과> 임상증상 및 합병증 (IV) <만성 간염의 임상적, 혈청학적 경과> 만성 간염
진단 (혈청학적 검사)
신고기준 (I) 신고범위 : 환자, 병원체 보유자 신고시기 : 즉시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급성 B형 간염 환자 : 급성 Bgud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HBsAg이 음성이고 IgM anti-HBc가 양성인 자 HBsAg이 양성이고 IgM anti-HBc가 양성인 자 (다만 6개월 이전에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 받았던 자는 제외함)
신고기준 (II) 만성 B형 간염 환자 : 산모 또는 주산기 감염자에 한함 산모 만성 B형 간염 환자: 만성 B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성(간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등)을 나타내면서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산모 주산기 만성 B형 간염 환자: 주산기에 어머니로부터 감염되어 만성 B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간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등)을 나타내면서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24개월 이내의 영•유아 병원체보유자 : 산모 또는 주산기 감염자에 한함 임상소견(간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등)은 없으나 HBsAg 양성인 자. 다만 주산기 감염자인 경우에는 24개월 이내의 영•유아에 한함
치료 급성 B형 간염의 치료 : 대증 요법 만성 B형 간염 :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박멸 방법은 아직까지 없음 알파인터페론을 6개월간 주사하면 30~50% 정도에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음 성인에서 라미뷰딘(lamivudine) 등 항바이러스 억제제를 이용한 치료를 하고 있음
예방 (I) 예방접종이 가장 중요 모든 영유아. HBsAg과 anti-HBs 검사 결과가 모두 음성인 소아와 성인 우선 접종권장 대상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받아야 되는 환자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 주사용 약물 중독자 의료기관 종사자 수용 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예방 (II) 환자 및 접촉자 관리 환자 관리 : HBsAg이 소실되고 항체(Anti-HBs)가 나타날 때까지 혈액 및 체액 격리 및 환자 의 혈액과 체액에 오염된 장비 소독 접촉자 관리 : 노출 후 예방 ※ HBIG: B형 간염 면역 글로블린
예방접종 (I) 표준 접종 시기 (신생아, 영유아) 모체가 HBsAg 양성인 경우 : 출생 후 12시간 이내에 HBIG (Hepatitis B Immuno- golbulin; 0.5㎖)와 함께 다른 부위에 접종을 시작해야 하며 0, 1, 6개월 일정으로 접종 모체가 HBsAg 음성인 경우 : 출생 후 2개월 이내에 접종을 시작하여 3회 접종, 2, 3차 접종은 제품에 따라 초회 접종 후 1, 6개월 후에 접종 모체의 HBsAg 검사 결과를 알지 못할 때 : 출생 후 12시간 이내에 접종을 시작하고 모체의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 HBIG를 가능하면 빨리(늦어도 7일 이내) 주사
예방접종 (II) 접종전후 항체검사 접종전에 일률적인 항체검사는 추천하지 않음 현재 사용되고 있는 B형 간염 백신은 바이러스보유자 에게 특별한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아무런 효과도 없음 이미 B형 간염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 대한 예방접종은 필요가 없지만 해를 끼치지는 않음 건강한 소아나 성인에 대해서 B형간염 예방접종 후 면역 획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일률적인 항체 검사는 추천하지 않음
예방접종 (III) 다만, 다음의 경우에는 3회 접종 후 3개월이 지난 뒤에 반드시 항체 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을 추천 HBsAg 양성 모체에서 출생한 신생아 혈액 투석을 받는 경우 HIV 감염자 의료 종사자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받아야 되는 환자
예방접종 (IV) 재접종을 하는 경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3회 접종 후에도 음성인 경우 아래의 방법으로 재접종을 시행 한 차례 접종을 하고 1개월 뒤에 항체 검사를 실시 하여 anti-HBs 수치가 10mIU 이상이면 종료 10mIU 미만이면 접종일정에 따라서 2회 더 접종 위와 같이 재접종을 한 후에도 예방 가능한 항체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는 무반응군으로 판단하고 추가의 접종은 실시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