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Was Korean Miracle Mad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Korea Office Germany today – 20 years after unification Christoph Pohlmann Resident Representative, Friedrich-Ebert-Stiftung (FES) Korea Hannam University.
Advertisements

동의 / 반대 ? “Professional athletes such as football or basketball players do not deserve the high salaries that they are paid. (2010/07/10 한국 ) 이용 가능한 template.
하 영 석 계명대학교 교수 前 한국해운물류학회 회장 포항 영일만항의 비전과 발전전략.
PART 8 미래 주요 도전과제 기후 변화와 지속가능 발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양이 지속적으로 늘 어남. 산업혁명 이전 280ppm 이던 대기 중 이 산화탄소의 양이 2013 년 400ppm 을 넘어섬 2020 년 까지 지구온도 상승을 2 도.
도와드릴까요 ? 무슨 일 때문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 직 원직 원 직 원직 원 May I help you? Do you need any help? 직 원직 원 직 원직 원 Could I ask what this is regarding?
I’m yours! 현재, 건국대 글로벌농업개발협력센터 국제협력실장(생환대 214호) , 한반도발전연구원 글로벌국토전략실장 , 모라비안 프라트룸 컨설팅, 수석연구원 , Vineyard Technologies,
Cities have always been the fireplaces of civilization, whence light and heat radiated out into the dark. - Theodore Parker ☞ 19C 미국 신학자, 목사 반노예주의 사회개혁가.
2009 년 6 월 28 일 영어 연합예배 설교 English Joint Service: June 28, 2009 성경 : 마 28:16-20 Bible: Mt. 28:16-20 제목 : 삼위일체 하나님의 초청 Title: The God who is the Holy Trinity.
Spring in North Korea, a time for farmers to harvest their crops 농부들이 추수를 하는 봄의 계절이 왔다.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제5장 경제성장 정책.
Theory of Financial Structure
No More 5번 국도?.
The New Geopolitics of Energy
아시아의 평화문제-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일관계 Korea-Japan Relation for Asian Peace
A: Could you tell me how to make a call from this phone
English Communication R/W
Sources of the Magnetic Field
Financial Environment & Corporate Strategies
Journals & Conferences
현대범죄의 이해 4주차 Psychopath (1).
동남아와 아세안 “동남아 신흥시장의 이해” 아세안비즈니스학과.
성장에 관한 사실 경기변동이 중심인 단기 및 중기의 산출물 결정에 대한 분석에서 성장이 지배하는 장기의 산출물 결정에 대한 분석으로 초점을 이동 성장은 시간에 따른 총산출물의 steady한 증가를 의미한다. © 2006 Prentice Hall Business Publishing.
초일류 기업의 품질혁신 박영택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부 교수).
초일류 기업의 품질혁신 박영택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부 교수)
어떤 과정으로 쓰면 될까.
변화관리의 출발.
한반도 정세와 동북아 안보.
플라톤과 유가의 법사상 비교 학기 법제사 발표수업 정호철 (법학전공 4학년).
제8장 금융구조의 경제적 분석.
공지사항 5월27일 (수) “정당개혁: 저자와의 대화” 행사 5월 28일 (목) 4시 30분 법학과 401호
소재제거 공정 (Material Removal Processes)
외국인과 대화를~~ 대학에서 교환학생을~~
RESENT ISSUE Asian Games
Chapter 3 Classic Theories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Chapter 1 거시경제학 입문.
Current clinical practice for cholecystectomy after ERCP
제 14 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1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Trends and Features of Urban Decline in Korea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김경환 도시경제학 제 1 강의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김경환
분사 분사의 성질 분 사 구 문 현재분사용법 과거분사용법.
PART 8 미래 주요 도전과제
KMS 구현 및 활용사례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02년 5월 28일(화) 김 연 홍 상무 / 기술사
Student A Say “I’m going to ask you some questions about The Internet and Technology.” Are you ready?
EnglishCare 토.마.토. 토익 L/C 일상 어휘 ④ 강 사 : 김 태 윤.
The Best Thing I've Learned This Year
제 15 장 거시경제의 측정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Write and say bye to friends,
에너지산업의 장기전망과 에너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Recommendations for Policy Options
제4장 : 노동력 구조 1. 한국의 노동력 구조 2. 일본의 노동력구조 3. 유럽의 노동력 구조 4. 노동력 구조의 변화와 정책방향 동영상 학습과제 1. 노동력 구조와 의미는? 2. 각국의 노동력 구조를 조사하는 방법은? 3. 각국의 노동력 구조의 변화추이는? 4.
지난주 Quiz와 이번주 Reading Q3. 한국정치학 연구는 유럽정치학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 놓여 왔다고 종종 비판 받는다. 참 ( O ) 거짓 ( O ) 이번 주 Reading Anthony Downs (1957) Ch 8. 일부.
: 부정(negative)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
CEO가 가져야 할 품질 혁신 마인드.
Speaking -두 번째 강의 (Part 1 실전테스트 1,2) RACHEL 선생님
제 세 동.
CHAPTER 6 국제은행업무와 국제단기금융시장
2005년 3분기 경영실적(잠정) October, 2005.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Presented by An Min-ho ( )
점화와 응용 (Recurrence and Its Applications)
The World of English by George E.K. Whitehead.
• I was touched by my friends’ effort.
소프트웨어 종합설계 (Software Capstone Design)
Presentation by Timothy Kane
Moral Decision-Making
빈칸에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골라 문장을 완성하시오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and the economy
에너지 위기 대처 방안 없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미래에너지비전
Speaking -여섯 번째 강의 (Review ) RACHEL 선생님
Presentation transcript:

How Was Korean Miracle Made? Jang Ok Cho Department of Economics Sogang University August, 2015

Korean Miracle The rapid growth of Korean economy has been dubbed as a miracle. It was one of the poorest country in the world up to 1965. However, it is entering an advanced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한국경제성장의 요약 1953년 한국의 1인당 GDP는 66달러로 미국의 2.7%($2,433) 1962년 한국의 1인당 GDP는 90달러로 미국의 2.8% 10년간 따라잡기(catch up)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 1962년 이후 한국의 선진국 따라잡기는 매우 빠르게 일어났음. (a) 실질 GDP (b)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1953년 1년 간 생산한 1인당 GDP를 2014년에는 1주일에 생산 한국경제성장의 요약 1953년 1년 간 생산한 1인당 GDP를 2014년에는 1주일에 생산 이 과정에서 빠른 투자증가율, 교육, 무역, 정책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나 그 바탕에는 잘 교육된 풍부한 노동력이 존재하였음. 노동이 풍부하여 임금의 상승 없이 추가적인 고용이 가능한 경우 자본의 한계생산이 체감하지 않기 때문에 1968년에서 1990년 사이 한국이 경험한 바와 같은, 성장률이 감소하지 않는 매우 빠른 경제성장이 가능함.

Korean Miracle Is the Korean miracle unique? Probably it is not. There have been many analogous miracles. However, the (Korean) pattern of miracles emerged after WWII. Before the war, we cannot find the miracles similar to the ones taken place after WWII.

Two Miracles After WWII Two Miracle Patterns since WWII German and Japanese Pattern The economic successes of the two countries after WWII have been dubbed “MIRACLES”. Considering the wartime destruction, they are indeed miracles. However, their growth paths were quite distinct.

German Economic History

German Miracle after WWII

German Miracle after WWII German Growth after World War II Although the business cycle fluctuations are prominent, the long run trend can be easily identified even with the naked eye. Converged from below steady state to the steady state(balanced growth path). Solow(1956) or optimal growth explains German growth well.

German Miracle after WWII German Growth after World War II 5 year average rate of per capita GDP growth 1951-1955: 8.6% 1956-1960: 6.0% 1961-1965: 3.7% 1966-1970: 3.5% 1971-1973: 4.1%

Japanese Economic History

Japanese Miracle After WWII

Japanese Miracles After WWII For about twenty years, per capita GDP growth rate did not decline. 5 year average rate of Japanese per capita GDP growth 1951-1955: 7.6% 1956-1960: 7.6% 1961-1965: 8.3% 1966-1970: 10.4% 1971-1973: 5.6% So-called Era of High Speed Growth

Japanese Miracle After WWII Not the growth predicted by Solow(1956, 1957) or optimal growth Looks like an endogenous growth for about twenty years. Then since early 1970s, transition to a steady state predicted by Solow. The first oil shock has been implicated as the cause for the transition. I doubt it and will come back this issue later.

Japanese Miracle After WWII Neither Solow nor endogenous growth cannot explain the Japanese growth path since 1950. Solow growth theory cannot explain the high and sustained growth between 1951-1970. Endogenous growth theory cannot explain the transition from high and sustained growth to a steady state of low growth. What changes in the endogenous growth factors caused the break from high and sustained growth to the transition to the steady state of low growth?

What made the difference? Note that the patterns are not related to the war. The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were distinct between the two countries. Why? Germany fully industrialized Japan largely agrarian

What made the difference? In 1950, West Germany Primary sector employment: 24.6% of the labor force Secondary sector: 42.9% Tertiary sector: 32.5% Very industrialized economy Heavily employed in industrial sector

What made the difference? In 1950, Japanese employment Primary sector: 48.5% Secondary sector: 21.8% Tertiary sector: 29.6% Not much industrialized Heavily employed in primary sector : Conclusion made by The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What made the difference?

What made the difference? Urban (rural) population in 1950 Hirshleifer (1963) West Germany: 71.1% (28.9%) Japan: 37.5% (62.5%)

In sum West Germany Solow economy with low capital/labor ratio Highly industrialized Industrial capital was not destroyed much. However, heavy destruction of transport system and urban housing, which disabled the production after the war Hugh influx of immigrants Solow economy with low capital/labor ratio The growth path is well predicted by Solow(1956).

In sum Japan Arthur Lewis economy with abundant labor Much less industrialized than West Germany Industrial capital was destroyed not much. Hugh reserve army of workers in primary sector Large influx of immigrants Arthur Lewis economy with abundant labor The transition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econom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is predicted. However, no prediction on the growth pattern in the paper

A Few Quotes “Labour is prior to, and independent of capital. Capital is only the fruit of labour, and would never have existed. Labour is the superior to capital, and deserves much higher consideration.” - Abraham Lincoln(1861) -

A Few Quotes “… by and large, population appears to have been tougher than property under physical blows like bombing or combat damages.” - Hirshleifer (1963, p.121) -

A Few Quotes “…the speed and success of recovery in the observed historical instances have been due in large part to the proportionately smaller destruction of population than of material resources” - Hieshleifer (1963, p.121) -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한국경제성장의 요약 1953년 한국의 1인당 GDP는 66달러로 미국의 2.7%($2,433) 1962년 한국의 1인당 GDP는 90달러로 미국의 2.8% 10년간 따라잡기(catch up)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 1962년 이후 한국의 선진국 따라잡기는 매우 빠르게 일어났음. (a) 실질 GDP (b)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1953년 1년 간 생산한 1인당 GDP를 2014년에는 1주일에 생산 한국경제성장의 요약 1953년 1년 간 생산한 1인당 GDP를 2014년에는 1주일에 생산 이 과정에서 빠른 투자증가율, 교육, 무역, 정책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나 그 바탕에는 잘 교육된 풍부한 노동력이 존재하였음. 노동이 풍부하여 임금의 상승 없이 추가적인 고용이 가능한 경우 자본의 한계생산이 체감하지 않기 때문에 1968년에서 1990년 사이 한국이 경험한 바와 같은, 성장률이 감소하지 않는 매우 빠른 경제성장이 가능함.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생산함수가 Cobb-Douglas형으로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론 생산함수가 Cobb-Douglas형으로 주어져 있다고 할 때, 노동력이 풍부하여 임금이 로 일정하다면 고용은 다음과 같이 노동의 한계생산이 임금과 일치할 때 결정됨. 이를 노동(N)에 대하여 풀어 생산함수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축약형 생산함수(reduced form production function)를 얻을 수 있음.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설명 노동이 풍부한 경우 자본의 한계생산은 투자와 함께 감소하지 않음 한국이 1968년과 1990년 사이 경험한 바와 같이, 높은 투자율과 성장률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됨 노동이 완전고용에 가까워지고 임금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한국이 1990년 이후 경험한 바와 같이, 자본의 한계생산과 성장률은 감소하기 시작함 그러나 풍부한 노동이 빠른 경제성장의 충분조건은 아니고 필요조건임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설명 풍부한 노동이 적절히 이용되고 투자가 바르게 증가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이용가능성 기술을 운용할 수 있을 정도의 인적 자본 기술도입을 위한 사회적 능력(social capacity) 시장이 작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와 사유재산권의 보장 적절한 정책 무엇보다도 이들 조건들이 작동하도록 하는 리더십이 핵심임 2차 대전 이후 여러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형 경제발전 한국의 경우가 예외가 아님 다른 개발도상국에서도 풍부한 노동이 존재하는 경우 같은 유형의 경제발전이 가능함을 보여줌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정책함의 1962년 경제개발계획 이전 한국은 노동은 풍부하나 물적 자본이 부족하여 노동생산성이 매우 낮았음. 1953년 평균소비성향이 86.5%, 저축률과 투자율은 각각 10.9%, 14.7%. 1962년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시 평균소비성향, 저축률, 투자율 각각 83.1%, 10.1%, 13.1%. 한국은 인력 이외에는 다른 자원이 없었으나 한국은 풍부한 노동이라는 빠른 경제성장을 위한 필요조건을 갖추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음 해외로부터 도입한 기술을 운용할 수 있는 인적 자본의 축적이 중요 교육을 통한 인적 자본의 축적이 선행하여야 함 인적 자본이 갖추어진 풍부한 노동이 존재하는 경우 자본의 한계생산이 체감하지 않기 때문에 빠른 투자증가와 경제성장의 필요조건이 갖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음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정책함의 인적 자본이 갖추어진 풍부한 노동력이 존재하는 경우 빠른 성장을 위해서는 투자의 빠른 증가가 필수적 투자를 위한 국내저축이 부족 두 가지 경로를 통해 투자재원을 마련: 국내저축의 증진, 외자도입 외자도입은 차입과 외국인의 직접투자임. 그러나 초기 발전단계에서 자본의 생산성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외국 자본가들의 직면하는 발전의 불확실성 때문에 외자 도입이 어려움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정책함의 경제발전의 불확실성은 불완전한 제도에서 기인 재산권을 비롯한 제도의 정립이 우선하여야 함 때로는 기업의 사적 해외부채를 정부가 보증하는 것과 같은 과감한 외자도입정책이 필요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수 도입된 외자는 낭비되지 않고 적절히 배분되도록 하여야 함 이를 위해서도 바른 제도와 시장 그리고 강력한 리더십이 필수 도입한 자본은 생산시설 등 물적 자본의 축적, 도로, 항만, 공항 등 사회간접자본의 축적, 교육과 연구와 개발 등 인적 자본의 축적 세 가지 가운데 하나에 투자되어야만 함 투자 배분은 자본의 생산성이 가장 높은 분야에 투자가 먼저 이루어지는 경제원리에 따라야 함.

3장. 한국의 기적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정책함의 산업정책을 통해 발전시킬 산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함 한국의 경우에는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부처를 두었음 수입대체보다 대외개방정책이 중요 국내시장을 해외로 확장 외국의 선진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외환   무엇보다도 정치적인 안정성 적절한 제도 리더십이 필수 그런 의미에서 리더십과 할 수 있다는 정신(can-do spirit)은 가장 중요한 초기 경제발전의 정책이라 할 수 있음

Now, Korea Which pattern? Look at modern Korean economic history

Korea: Economic History since 1911

Korea: Economic Growth since 1954

Korean Economic Growth since 1965 Korean economy was largely agrarian, Lewis economy. Population was highly educated, compared to other less developed economies then and now. Lack of capital

Korea: Primary Sector Employment

Korea: Sectoral Employment Primary Secondary Construction Tertiary 1963 63.4  8.7  2.5  25.4 1970 50.4 14.3  2.9  32.4 1980 34.0 22.5  6.2  37.3 1990 17.9 27.6 7.4  47.1 2000 10.6 20.4 7.5 61.6 2004 8.1 19.1 64.8

Korea: Sectoral GDP Composition Primary Secondary Electricity, Construction etc. Tertiary 1953 47.3 10.1 2.6 40.0 1960 36.8 15.9 4.1 43.2 1970 29.2 19.6 6.5 44.7 1980 16.2 26.4 10.2 1990 8.9 28.1 13.4 49.5 2000 4.9 29.8 11.0 54.4 2004 3.7 29.1 11.7 55.5

Korean Primary Sector Employment

Korea: Import and Export 1953 1960 1970 1980 1990 2000 2004 Export/GNP 3.2  4.1 15.6 35.1 29.1 42.3 45.4 Import/GNP 9.8 12.7 24.4 44.9 30.2 39.6 40.9 Foreign Dep. 13.0 16.8 40.0 80.1 59.3 81.9 86.3

Korea: Export Composition 1970 1980 1990 2000 2004 Textile 40.8 28.6 21.6 10.3 5.6 Wig & Eyebrow 12.2 0.3 0.2 0.0 Plywood 11.0 2.0 0.1 Electronics 3.4 11.4 23.1 36.0 34.6 Iron 1.6 9.4 8.3 6.6 7.3 Chemistry 4.6 4.3 12.5 Ships 3.5 4.8 6.0 Cars 0.6 9.7 Semiconductor 3.0 7.0 15.1 10.4 Computer 3.9 8.4 6.5

Korea: What was different? Abundant labor High human capital Lack of physical capital To mobilize high-quality labor Planning and Institutional reform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to import capital Leadership played a key role.

Korea: What was different? Not much All post WWII miracles are of Korean type. Abundant labor ⇒ induces capital inflow High human capital ⇒ facilitates manufacturing investment Of course, planning, institution and leadership are needed for a quick start. Whenever we have abundant quality labor, we can have miracles.

Is Korea unique? Not at all Whenever we have abundant quality labor together with right institution and leadership, we have miracles. More examples

U.S.

U.K.

France

Italy

Taiwan

China

India

Poland

Slovenia

What the miracle did? Obviously increases material standard of living enormously. Korea produces these days in less than a week as much as it produced in 1953 for whole year.

What the miracle did? Catch-up to the leader (U.S.) Catch-up after WWII Germany: Retrieve the relative level (about 80% of US per capita income) before the WWII Japan: Genuine Catch-up (from 30% of US per capita income) to 80% Almost all the catch-up by Germany and Japan (and other advanced economies) was done during the Miracle years after WWII.

What the miracle did? Convergence Selection problem: Maddison’s 16 Depending on the grouping, convergence may or may not take place

Club A: Leaders before 1900

Club B: Industrialized before 1900

Club C: Laggards before WWII

Switzerland

16 Advanced Economies

East Asian Tigers

Discussion Span of High Speed Growth The factors determining the initial state from the steady state The speed (rate) of growth In most of the cases, it is less than 30 years The Lewis turning point is around 20% of the primary sector employment.

Discussion Growth Accounting Paul Krugman (1994) Call East Asian tigers as “Paper tigers”. Kim and Lau (1994a, 1994b) Young (1992, 1994, 1995, 2003)

Discussion Growth Accounting Young(1992, 1994, 1995, 2003) "⋅⋅⋅ labor-deepening (the rise in participation rates, transfer of labor out of agriculture, and improvements in educational attainment) and not capital-deepening is the key force explaining the extraordinary improvement in per capita living standards, in the presence of moderat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achieved by the high growth economies of East Asia." (2003, pp.1258-1259)

Discussion Growth Accounting Young(1992, 1994, 1995, 2003) "Despite the popular academic emphasis on industry and export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uccess of the world's most rapidly growing economies may lie in that most fundamental of development topics: agriculture, land, and the peasant." (2003, p.1260)

Discussion Convergence Abramovitz(1986), Baumol(1986), Barro(1991, 1997), Barro and Sala-i-Martin (1992), Mankiw, Romer and Weil (1992) Madison’s sixteen Selection bias

Discussion Why after WWII? Abramovitz(1986), Abramovitz and David(1996) Before the war Key concern: distribution rather than growth Available technologies after WWII

Discussion Institution leadership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경제위기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경제위기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경제위기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성장률하락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소득불평등심화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청년실업증가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가계부채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양극화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인구고령화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노사갈등

우리나라의 경제문제: 국제원자재가격상승

저성장기의 경제활력 경제의 유연화 시장기능의 제고 자원배분의 효율화 재정의 건전화 미국과 일본의 비교 노동개혁 필수 정부개입의 축소 자원배분의 효율화 금융의 기능제고 재정의 건전화 성장과 복지의 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