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DENTIAL Overall 2009년 9월
Must go with “Leadership” … 기업 CPO(구매총괄임원)의 역할 기업의 전략수립에서 실행 및 지원까지를 포괄적인 시각으로 아우르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매조직 내에만 국한된 Leadership이 아닌, 전사에 영향력이 미칠 수 있는 Leadership을 확보하고 있음 CPO Role CPO Agenda Strategist Emerging Trends 약진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원칙과 트랜드에 대한 고려 Planner Multi-year planning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목표에 부합하는 계획을 전략적으로 수립 Must go with “Leadership” … Controller Total cost focus 단순 비용 요소 이외, Risk/혁신/서비스 비용까지 고려 … Inside the procurement group AND outside the group Innovator Supply base rationalization 구매액과 전략적 계획에 근거한 Supplier 수 합리화 Integrated systems and processes 효율적인 프로세스 확장과 이를 가능케 하는 IT 기술의 도입 Supporter Supplier & Staff development 전략적 Supplier와의 관계 강화 & 구매 인력의 역량 강화 Source by: Accenture CPO Community 2008 Autumn Session
CPO 체제 도입 기업 현황 해외, 국내 선두기업 들은 산업구분을 망라하고 CPO를 도입을 통해 전사 구매활동을 합리화하고 비용을 최적화하고 있음 국내 CPO 도입사례 글로벌 기업 CPO 도입사례 LG 전자 삼성전자 LG 디스플레이 LG 생활건강 조달청 (예정) 한국타이어 현대차그룹 삼성석유화학 LS전선 KT 자동차 / 자동차 부품 물류 Toyota Volvo VW Audi Good Year Fedex 항공 전자 / 소비재 United Airline IBM Lucent Nortel Tyco Sara Lee 금융 ABN Amro Deutche Bank HFC Bank / Dow 화학 / 정유 / 제약 Aventis Astra Zeneca Arcelor BP Castrol
HMM CPO (Chief Procurement Officer) Vision & Mission HMM CPO는 전사 비용절감을 위한 비용 최적화와 함께 구매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는 Vision과 Mission을 수행함 “ 세계수준1)의 Cost Leadership2) 달성을 위한 전략적3) 동반자4) ” Vision Cost Optimization 비용 최적화 Visibility Enhancement 투명성 제고 Mission CPO 역할 고도화 Mission 수행을 위한 CPO 전략방향 비용 최적화 소싱역량 강화 1) 세계수준 : 글로벌 선사로서 해외 주요 선사와 대등한 경쟁을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수준의 비용관리 필요 2) Cost : CEO 직속 경영지원 조직으로서 Cross – BU TCO (Total Cost Ownership) 최적화 책임과 역할을 수행 3) 전략적 : 단순 구매, 정산처리 업무에서 고부가가치 (High Value) 전략소싱 업무를 수행하는 전략조직으로 전환 4) 동반자 : 전사 비용최적화를 위한 협력자이자 동반자로서 사업본부간 통합적 노력 (Collaboration) 을 이끌어내는 Coordinator 역할 수행
CPO 혁신 프로젝트 CPO 프로젝트는 08년 하반기 Pilot 수행 결과의 시사점을 기반으로 1st Wave를 통해 전략 구매 및 서비스 구매 관리 체계 기반을 수립하였으며, 2nd Wave를 통한 확산 안정화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 2009 1~2Q 2009 3~4Q 2010 ~ CPO Mission CPO Transformation Wave I “기반 및 체계 수립” CPO Transformation Wave II “안정화 및 확산” CPO Transformation Wave III “고도화 및 통합/완성” 1 서비스 구매 관리 체계 수립 4 전략 구매 내재화/안정화 7 전략 구매 고도화 전사 비용 최적화 -구매 Policy 적용 기반 수립 8개 서비스 대상 구매 프로세스 및 R&R 수립 전략 구매 체계 실행 확산 전략 구매 시스템 구축 기반 확보 - 전략 구매 체계 확산 완료 8 SRM* System 구축 5 Visibility 확보 강화 2 전략 구매 실행 - 전략 구매 시스템 구축 도입 - 구매 Policy 정착화 및 실행 체계 설계 - 컨테이너 장기 임차 / 선박 입거 수리 대상 전략 구매 실행 9 CPO EIS** 체계 구축 CPO 역할 고도화 3 전략 구매 체계 수립 - 경영진 정보 보고 시스템 구축 5개 서비스 영역 대상 전략 구매 방법론 정립 *SRM :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 6 구매 인원의 전문 역량 강화 구매 비용 관리 비중 (19개 Category) 12,982억 (38.1%, 8개) 34,127억 (100.0%, 19개) 비용 관리 고도화 및 완성 CPO 서비스 구매 비용 최적화 효과 대상: 5개 서비스(누적 1,005억) 기대 인하: 누적 140억(13.96%) CPO 2nd Wave 추진 이후 산정 예정 CPO 3rd Wave 추진 이후 산정 예정
구매 투명성/ 공정성에 의한, 업체들간 경쟁체제 활성화 CPO 활동의 가치 창출 모습 CPO 활동 중 Policy 도입은 전사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업체 선정 및 계약 업무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이의 적용에 따라 도출되는 개선 사항에 대해, 구매팀이 전략구매 방법론 제공 및 구매전략 수립을 지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HMM 전체 비용 절감 및 수익성 극대화에 기여하게 될 것임 Cost Visibility 확보 개선 사항 도출 Value Add 비용 경쟁력 확보 기업 수익성 증대 HMM 비용이 어느 업체에게, 어떠한 방식과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지불되고 있는가? 비용과 구매 투명성에 있어 개선할 사항은 무엇인가? 전략구매 지식을 수반한 구매 Policy Owner부서로서, CPO가 줄 수 있는 가이드는 무엇인가? 비용 최적화를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은 무엇인가? CPO Vision과 Mission 달성을 통해 기업의 전체 수익성 증대에 기여 Policy Gate Truck Feeder Depot M&R 연료 자재 … 업체 평가 방식 업체 운영 및 차별화 전략 Volume Allocation 정책 기타… “HMM 수익성 증대” CPO 조직이 개선 사항 별 전략 구매 Value를 내부 유관 부서에게 전파 In-house Consultant 역할 수행 비용 최적화 CPO Vision & Mission 달성 구매 투명성/ 공정성에 의한, 업체들간 경쟁체제 활성화 업체 평가/선정/계약의 투명성, 공정성 확보
What is Policy? “구매”의 정의 구매 Policy 도입 목적 Policy 영역 세부 영역 HMM에서 필요로 하는 물자 및 서비스를 외부 비즈니스 개체로부터 협상 및 계약, 또는 구매주문 (Purchase Order) 발행을 통해 취득하는 행위 구매 Policy 도입 목적 구매 활동에 대한 가시성(Visibility) 확보로 위험의 사전 관리 및 개선 기회 파악으로 구매 효과를 극대화 공급사들간 경쟁 체제 도입을 통한 HMM Value 극대화 전략적 공급사(Supplier) 관리를 통한 구매 업무 집중력 재고 외부와의 계약 관계에 의해 내/외부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험(Risk)을 최소화 Policy 영역 세부 영역 1 구매 주체 및 역할 정의 (Procurement Ownership & R&R) 구매 실행 주체 / 구매 실행 주체의 변경 / CPO 조직의 역할 2 구매의 과정 (Procurement Process) 협력사 검증 / 입찰 및 협상 / 협력사 선정 / 계약 관리 / PO (구매 주문) 관리 3 협력사 관리 (Supplier Management) 잠재 협력사 발굴 / 협력사 평가 / 협력사 차별화 관리 / 특별 대상 관리 4 위기 관리 (Risk Management) 책임의 분리 (SOD: Separation of Duties) 5 정보 관리 (Information Management) 구매 IT 시스템
구매 Policy 도입에 따른 업무 변화 모습 구매 Policy 도입에 따라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공급사 선정 및 평가 부분에 있어 Policy 적용여부 및 준수 정도에 대한 Self-Check 기능을 통해 Compliance를 강화하고자 함 주요 변화 업무 조직간 업무 역할 Do (Operate) Self-Check Verification 공급사 선정/평가 (복수 견적) 1 Self-Check 내용에 대한 확인/검증, 개선 사항 정의 공급사 선정 및 계약 / 공급사 관리 업무 수행 공급사 선정/계약/ 관리의 Policy 준수 여부 Check 복수 견적과 정해진 절차에 따른 공급사 평가 및 선정 작업 [Case 1 : 지역본부 운영 사항] 통보 Zoom In next Page 지역본부 지역 CPO or 본사 CPO 공급사 정기 평가 2 [Case 2 : 지역본부 운영 & 본사 승인 사항] 통보 공급사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정기 실태/실적 평가 시행 지역본부 지역 CPO or 본사 CPO 승인/Confirm 본사 통보 신규 공급사 검증 [Case 3 : 본사 운영 사항] 3 통보 본사 본사 CPO 신규 거래선에 대한 Risk 최소화를 위한 거래선 등록 최소 기준 평가 [Case 4 : CPO 운영 사항] 통보 지역 / 본사 CPO 본사 CPO
Policy 업체 평가의 활용 모습 예시 Policy를 통한 Gate Keeper역할 중 업체 평가 부문은 현업 부서가 주도적으로 실행하여 핵심 업체 선정, 물량 집중, 주도적 협상 실행 및 업체 Risk 관리에 있어 활용하게 될 것임 2 [ Zoom In - 업체 평가의 활용 모습 ] [ Supplier Assessment – 현업팀 주도] Supplier Result 결과 활용 가치 증대 Score Grade 차별화 [평가 양식] 올바른 거래 업체 선정 ‘A’ ‘B’ ‘C’ ‘D’ ‘Y’ ‘Z’ … ‘A’ ‘B’ ‘C’ ‘D’ ‘Y’ ‘Z’ … 93 Excellent 우수 그룹 핵심 전략 업체 선정 Volume Integration 물량 배분 정책 수립 업체 개선 사항 파악 협상의 근거 자료로 활용 업체 평가 결과 공유 및 업체간 경쟁 구도 조성 업체 부도/파산 조기 경보 자본 적정성, 자산 건정성, 수익성, 유동성 재무 평가 실태 평가 실적 평가 정보 관리 능력, 시설/설비 및 서비스 보유 수준, 품질 관리 수준, 고객 관리 수준, 시스템 수준 등 제공 가격 이력, 제공 재화 및 서비스 품질 이력, OTD 이력 등 거래 업체 차별화 관리 90 Excellent 우수그룹 핵심 업체 위주 운영 86 Good 우수그룹 거래 업체 Service Level 향상 79 Normal 이머징 그룹 Supplier Collaboration 강화 Supplier Competition 유도 69 Bad 개선 그룹 Fact Based 전략적 협상 능력 증대 계약 체결/갱신/종료의 관리 강화 63 Bad 개선그룹 시장에 선대응 구매 활동 강화
구매 Policy의 효율적 운영 방안 현실성 있는 구매 가치 동인의 확인 및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업무 특성을 고려한 Policy 운영 관리를 실시할 것임 HMM 구매 Policy 운영 특징 “구매 Policy는 전체 구매 행위에 대하여 100% 적용함이 원칙”이나 1. 일회성 업체/ 소액 거래 업체 및 계열사 및 관계사 등의 존재하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전체 구매 비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업체들을 관리 대상으로 구매 Policy를 적용 [업무 현실 반영] “구매 Policy에 따른 업체 평가 결과가 실 업체 선정/ 관리 및 협상에 실효성이 있을 수 있도록..” 1. 기존의 평가 체계와 전략 구매 방안에 따른 선진 업체 평가 방안을 접목하여 Category 특성에 따른 업체 실태/실적 및 기본 정보 평가 양식을 새로 정립 및 적용하게 될 것임 [업체 평가의 실효성 증대] “ 관리 대상 업체에 대하여 계약상의 복수 입찰 및 업체 평가를 100% 적용함이 원칙” 이나 1. 특수성에 따른 Sole & Single Vendor 현실을 감안하여 복수 입찰은 예외 사항을 두어 관리하고, 업체 평가는 관리 대상 전 업체에 대하여 실시 [Policy 항목별 차별화 반영] “ Policy에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전사 Value증대를 위한 개선 사항을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 1. 평가 업체 구매 비중, 복수 견적율, 업체 평가율 등을 지표로 관리하여 올바른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의 개선을 위한 전략 구매 지원활동을 강화할 것임 [올바른 지표 선정 및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