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분포·분석 결과 - ‘99년도 조사 ·분석·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손 병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중소기업의 녹색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사업. CONTENTSⅠ Ⅱ 지역에코혁신사업 소개 참여방법Ⅲ 사업 추진 내용.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PLAN ㈜에스더블유몰드텍. Agenda 1. 회사 소개 2. 제품 소개 3. 기술 현황 4. 오시는 길.
2003 년 ¼ 분기 경영실적 April, 본 자료는 2003 년도 ¼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서 투자자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 중 일부는 회계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양지하여.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국민여행실태조사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실태 추가분석 보고서.
2011 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1 Ⅰ. 조사 설계 제 1 장. 조사 개요 구분 업무별 조사설계 환경산업분야해외진출 ( 수출 ) 지원분야 환경 R&D 분야 환경인증평가 녹색경영 분야 환경정보 분야 환경벤처 기업육성 환경 전문인력 양성 환경산업 육성자금.
시간세부내용비고 ~ 13:30 참석자 접수 등록 13:30 ~ 14:00 (30 分 ) `15 년 지원사업 안내 - 추진배경, 주요사업 내용, 신청방법, 일정 등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4:30 ~ 15:10 (70 分 ) 출자기관 소개 - 출자기관 개요, 주요 투자분야.
회사소개.
2014 서울 희망보따리 동경 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일본 동경(‘정치·경제·문화 중심지’, ‘최대 소비지’)에서
“Challenge LG Chem, Challenge the World”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2차 Genesis 연구과제 운영 계획 목적 정의 대상 : 국내 4년제 대학 교수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KHRD컨퍼런스2010 HRD컨퍼런스&엑스포 제8회 한국HRD대상 KHRD컨퍼런스2010 참가 신청서
멀티스케일 에너지 강좌 교육과학기술부 글로벌 프론티어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서울대학교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서울대학교
2015년도 신기술 공공서비스 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안내 설명회개요 세부 일정 오시는 길
<부산대학교 건설관 오시는 길>
`'15년 산 • 학 • 연 • 지역 연계 중소기업 신사업 창출 지원사업 주관기관(창업기업/팀) 선정을 위한 사업설명회 안내문
교육과정 안내 주 차 교 육 내 용 1 ◦ 개강식 및 교육목표, 진행, 일정소개
이 장 재 평가사업실장·한국과학기술평가원 TEL: FAX:
4G LTE 시대를 선도해나갈 LG유플러스에서 여러분의 꿈을 펼쳐보세요.
신기술 장비 공모제도 LG 디스플레이는 업계, 학계 및 연구소와 긴밀하게 협업해서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Korea Industrial Technology Foundation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년도별 거래량 추이 50 만 35 만 25 만 (상) 년도별 가격 추이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대한민국 정부예산규모 추이 대한민국 정부예산 (案 2017)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UNISDR ONEA-GETI 안내.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제3장 스포츠 산업.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국가연구개발과제 회의비 가이드라인 연구활동비(회의비) -시간 회의비 시간 11시 5시 밤 11시~오전 5시대까지 회의비
대 남 학 영 교 Y E T U S N R G V I A M 신소재가 변화시키는 미래사회 (복합 재료)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엔프라넷.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해양학과 발전 방안 2012, 2.
Bizforms PowerPoint 네트워크, 시스템4 파워포인트 디자인
※ 필요시 칸 추가하여 작성 (여러장 작성 가능) ※ 각 기술별 개발단계, 희망 협업형태 상이할 경우 표현 必
CSPN Program 2017 국보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양성 과정 개설
지방자치제도.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Presentation transcript: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분포·분석 결과 - ‘99년도 조사 ·분석·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손 병호 2000. 6.30(금)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손 병호 Tel) 02-589-2243, Fax) 02-589-2246. E-mail: bhson@kistep.re.kr * 동 자료는 ‘9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 data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동 자료의 인용시 자료원을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1

목 차 1. 분석대상, 단위 및 방향 2. 사업목적별 투자현황 3. 기술분야별 투자현황 목 차 1. 분석대상, 단위 및 방향 2. 사업목적별 투자현황 3. 기술분야별 투자현황 4. 연구개발단계(기초/응용/개발)별 투자현황 5. 연구수행주체별 연구비 사용현황 6. 중소기업 수행 연구과제 연구비 투자현황 7. 주요 이슈별 투자분석 2

1. 분석대상, 단위 및 방향 분석 대상 ’99년 정부연구개발예산 분석대상 (총 3조 2,740억원) (총 2조 7,013억원) (+) 정보화 촉진기금 (+) 원자력 연구개발 기금 (- ) 인문사회계, 국방연구사업 (- ) 미집행 예산 등  분석대상 2조 7,013억원 중 과기부(7,795억원, 28.9%), 산자부(4,635억원, 17.2%), 정통부(3,531억원, 13.1%), 국무조정실(3,254억원, 12.0%)이 71.2%를 차지 3

분 석 단 위 (계속) 분석 단위 관계부처 대분류사업 연구사업 연구과제 과기부 산자부 특정연구 개발사업 선도기술 개발사업 감성공학 기술개발 과기부 감성 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산업기술 개발사업 중기거점 기술개발사업 공장자동화 센서개발 산자부 실리콘 압력 센서 개발 4

(계속) 분석 방향 ◆ 정부연구개발예산의 투자현황을 7개 분야별로 1차원적으로 분석 ◆ 정부연구개발예산의 투자현황을 7개 분야별로 1차원적으로 분석 - 사업목적별,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단계(기초/응용/개발)별, 기술분야별 등 ◆ 정부연구개발예산의 투자분포를 2차원(2x2)적으로 분석 - 부처의 사업목적별, 부처의 기술분야별, 기술분야의 사업목적별, 연구수행주체의 연구개발단계별, 산업별 민간대비 정부 연구개발투자 등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중소·벤처 기업 지원, 국제화, 지방화, 과학기술계 연구회 등과 관련된 투자 분포 조사·분석 5

2. 사업목적별 투자현황 ‘99년도 사업목적별 투자분포 기반조성사업 25.2% (6,811) 연구개발사업 48.5% 국공립 및 ‘99년도 사업목적별 투자분포 기반조성사업 25.2% (6,811) 연구개발사업 48.5% (13,097) 국공립 및 출연연구기관사업 26.3% (7,105) - 중장기산업연구 22.9% (6,196) - 단기산업연구 10.6% (2,863) - 공공기술연구 7.0% (1,888) - 기초기술연구 5.4% (1,460) - 복지기술연구 2.6% (690) - 기반구축 12.1% (3,263) - 인력양성 10.0% (2,692) - 국제협력 1.1% (285) - 조사정책 등 1.2% (318) - 기술이전확산 0.9% (253) - 출연(연) 15.9% (4,302) - 국공립(연) 10.4% (2,803) 총 연구비: 27,013억원 (연구비) 6

(계속) (계속) ◆ 앞으로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효율적 창출·유통·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계속 강조될 것으로 예상 - 따라서 정부는 연구수행주체들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력양성, 대형공동시설 확충, 연구기반 구축 등 연구기반조성 부문에의 투자 확대 필요 - 또한,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기획·평가와 연구개발성과를 효과적 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연구성과의 이전 및 확산 부문에 대한 지원 강화 필요 ◆ 연구개발 측면에서는 민간이 담당하기 어려운 기초·원천기술, 공공복지·대형 복합 기술 등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함. 7

(계속) 부처의 사업목적별 투자분포 8 (단위: 억원) 기 반 조 성 사 업 연구개발사업 국공립• 출연(연) 사업 1,448 기반 구축 1,448 894 기 반 조 성 사 업 인력 양성 1,523 904 기술이전 확산 조사 정책 연구기획 평가 국제협력 연구 중장기 산업 2,659 1,462 1,798 연구개발사업 단기 산업 1,328 복지기술 연구 기초기술 연구 공공기술 연구 1,120 국공립• 출연(연) 사업 국공립 및 출연(연) 924 3,254 1,399 보건 복지부 산 림 청 정 통 부 해양 수산부 8 환 경 부 건 교 부 과 기 부 교 육 부 국무 조정실 기 상 청 노 동 부 농 림 부 농 진 청 문 광 부 산 자 부 중 기 청

주): 연구개발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인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함. 3. 기술분야별 투자현황 ‘99년도 기술분야별 투자분포 건설 1.0% (124) 해양/기상 1.5% (184) 환경 3.7% (466) 화학/화공 4.1% (515) 기계공학 8.2% (1,041) 기초과학 4.5% (570) 정보/전자/통신 31.2% (3,941) 농수산 5.1% (641) 보건의료 5.5% (702) 생명공학 5.2% (657) 소재 6.1% (766) 원자력 10.3% (1,307) 수송 8.9% (1,119) 에너지/자원 4.9% (614) 총 연구비: 13,097억원 주): 연구개발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인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함. 9

(계속) 미 연방정부의 기술분야별 투자분포(’80-’97) 10 생명과학 수학/ 물리/ 천문 화학/화공 환경 항공우주 기계공학 재료공학 도시공학 기타공학 컴퓨터 /전기전자 10 <자료원>: NSF, “Federal Funds Survey, Detailed Historical Tables”, 1998.

주): 연구개발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인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함. (계속) 부처의 기술분야별 투자분포(’99) (단위: 억원) 기타 263 환경 213 192 216 화학/화공 해양/기상 정보/전자/통신 634 957 2,108 원자력 1,302 에너지/자원 478 수송 681 252 소재 289 358 생명공학 467 보건의료 466 농수산 412 기초과학 534 기계공학 335 480 건설 과기부 산자부 정통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농림부 환경부 기타부처 11 주): 연구개발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인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함.

(계속) 특연사 VS. 산업기술개발사업 기술분야별 투자분포 비교 사업 과기부 특정연구개발사업 (‘99) 산자부 [ 단위 : 억원 (%) ] 사업 과기부 특정연구개발사업 (‘99) 산자부 산업기술개발사업 (‘99) 기술분야 건설 17 (0.5) 0 (0.0) 기계공학 443 (12.6) 246 (10.7) 기초과학 166 (4.7) 0 (0.0) 농수산 9 (0.3) 0 (0.0) 생명·의료 612 (17.4) 193 (8.4) 소재 361 (10.2) 340 (14.8) 수송 705 (20.0) 107 (4.7) 에너지/자원/원자력 293 (8.3) 2 (0.1) 정보/전자/통신 710 (20.2) 852 (37.1) 해양/기상 64 (1.8) 0 (0.0) 화학/화공 216 (6.1) 218 (9.5) 환경 77 (2.2) 178 (7.7) 기타 177 (5.0) 162 (7.0) 합계 3,523 (100.0) 2,298 (100.0) 12 ㈜: 수송에는 항공우주, 조선, 철도, 도로교통 등 포함

주): 연구개발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인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함. (계속) 기술분야의 사업목적별 투자분포(‘99) (단위: 억원) 중장기 산업기술 개발 172 175 612 448 388 807 2,932 82 420 복지기술 연구 225 889 200 단기 산업기술 개발 365 423 345 118 124 기초기술 연구 560 229 413 1,090 공공기술 연구 건설 기계 공학 기초 과학 농수산 보건 의료 생명 공학 소재 수송 에너지/ 자원 정보/ 전자/ 통신 화학/ 화공 기술 환경 원 자 력 해양/ 기상 13 주): 연구개발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인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함.

4. 연구개발단계별 투자현황 ‘99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분포 기초연구 응용연구 19.9% 24.6% (5,370) (6,645) 개발연구 55.5% (14,999) 총 연구비: 27,013억원 주):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기초연구 14.6%(1,912억), 응용연구 21.3%(2,788억), 개발연구 64.1(8,397억원)임.. 14

(계속) 미 연방정부의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추세(’80-’98) 15 투자 56.73% 비율(%) 21.77% 21.5% 연도 15 ㈜: 97년과 98년 값은 잠정치임. <자료원>: NSF, “Federal Funds Survey, Detailed Historical Tables”, 1998.

(계속) ◆ ’99 연구개발활동조사결과, ’98년도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민간+정부) 중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비중은 14.0%(1조 5,845억원)로, - 미국(’98년, 15.6%), 독일(’93년, 21.2%), 프랑스(‘96년, 22.0%) 등에 비해 낮음 ※ 대만(‘98년, 10.2%), 중국(‘97년, 5.7%) 등 보다는 높음 ◆ 기초연구는 장기간을 요하며 성과가 불특정 다수에게 귀속, 활용되는 특성 으로 인해 시장기능에 의하기 보다 정부 지원 및 육성이 필요 - 정부는 기초연구 투자비중의 점진적 확대를 통해 기초 및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해야 함. 16

5. 연구수행주체별 연구비 사용현황 ‘99년도 주체별 사용분포 기타 9.2% (2,497) 국공립연구소 12.1% (3,267) 중소기업 9.2% (2,491) 대기업 6.9% (1,872) 대학 22.6% (6,089) 출연연구소 40.0% (10,796) 총 연구비: 27,013억원 주): 연구개발사업(1조 3,097억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출연(연) 41.2%(5,396억), 대학 20.5%(2,695억), 중소기업 17.6%(2,226억), 대기업 13.7%(1,799억), 국공립(연) 3.0%(389억) 등임. 17

(계속) (계속) ◆ 국내 연구인력(‘98년 기준 92,541명)의 23.2%, 박사급 연구인력의 78.2%가 대학에 있음을 감안할 때, 대학연구인력의 적극활용이 요구됨 ◆ 대학이 사용하는 연구개발예산 비중 : 미국(‘98년, 33.2%), 영국(‘98년, 43.9%), 프랑스(‘97년 39.0%) ◆ 대학의 연구기능 활성화와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별 연구 특성화, 경쟁 환경조성, 대학·기업간 유기적 연계 강화 등이 필요 - 또한 연구전담 교수제도, 산·학·연간 인적교류, 대학의 우수연구집단 육성 등의 활성화 방안도 검토 필요 18

(계속) 연구수행주체의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분포(‘99) (단위: 억원) 개발 응용 기초 국공립(연) 출연(연) 대기업 중소기업 6,145 2,236 1,617 2,368 1,645 응용 1,566 3,657 기초 3,590 국공립(연) 출연(연)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 기타 19 총 연구비: 27,013억원

(계속) (계속) ◆ 대학은 총 사용연구비(6,089억원)의 59%를 기초연구에, 민간기업은 총 사용연구비(4,364억원)의 91%를 개발연구에 사용 - 출연연구소는 총 사용연구비(1조 796억원)의 34%를 응용연구에, 57%를 개발연구에 사용 ◆ 출연연구소의 개발연구 비중이 높은 것은 구체적 연구성과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 대응한 결과임. -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한 전략기술 개발과 민간의 참여가 어려운 중장기 핵심기술분야 및 미래지향 응용연구에 대한 출연(연)의 기능 정립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함. 20

6. 중소기업 수행 연구과제 연구비 투자현황 부처별 투자분포 (단위: 억원, %) 부 처 ‘98년도 투자 ‘99년도 투자 증감 (단위: 억원, %) 부 처 ‘98년도 투자 ‘99년도 투자 증감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증감율 건 설 교 통 부 27 1.0 26 1.0 1 -3.7 과 학 기 술 부 331 12.5 401 16.1 70 21.1 농 림 부 17 0.6 14 0.5 3 -17.6 농 진 청 5 0.2 5 0.2 0.0 보 건 복 지 부 30 1.1 29 1.2 1 -3.3 산 업 자 원 부 1,283 48.5 1,193 47.9 90 -7.0 정 보 통 신 부 577 21.8 336 13.5 241 -41.8 중 소 기 업 청 326 12.3 440 17.7 114 35.0 환 경 부 49 1.8 48 1.9 1 -2.0 합 계 2,644 100.0 2,491 100.0 153 -5.8 21

(계속) 기술분야별 투자분포(‘99) 22 (단위: 억원) 정보/전자/통신 37.8% (941) 해양/기상 0.04% (1) 원자력 1.9% (48) 화학/화공기술 7.0% (174) 환경 7.4% (185) 에너지/자원 3.9% (96) 수송 3.1% (76) 건설 0.3% (7) 소재 14.5% (361) 기계공학 16.6% (413) 기타 0.2% (6) 생명공학 3.5% (87) 보건의료 3.3% (82) 농수산 0.6% (14) 총 연구비: 2,491억원 22

(계속) 사업목적별 투자분포(‘99) 기반조성사업 10.7% (266) 연구개발사업 89.3% (2,226) 23 (단위: 억원) 기반조성사업 10.7% (266) - 기술이전 및 확산 6.4% (158) - 기반구축 3.6% (91) - 국제협력연구 0.7% (17) 연구개발사업 89.3% (2,226) - 단기산업연구 62.1% (1,549) - 중장기산업연구 21.9% (545) - 공공기술연구 3.6% (90) - 복지기술연구 1.7% (43) 23

(계속) 주요 대형사업별 중소기업 사용 연구비(‘98-’99) 24 (단위: 억원) 1,283 (30.8%) 1,193 주요 대형사업별 중소기업 사용 연구비(‘98-’99) (단위: 억원) 1,283 (30.8%) 1,193 (25.7%) 577 (14.6%) 401 (5.2%) 331 (5.1%) 336 (9.5%) 과기부 특정연구개발사업 산자부 산업기술개발사업 정통부 선도기반 및 산업기술개발사업 24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의 기술분야별 투자분포> 7. 주요 이슈별 투자 분석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투자 분석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440억원) 등 ‘99년 정부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목적의 연구 개발사업 투자액은 1,201억원 수준이나, ‘98년에 비해 307억원이 증가 - 기술개발지원(37.3%), 창업기반구축(22%), 창업 및 사업화 자금지원(26.1%) 등에 투자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의 기술분야별 투자분포> 환경 3.4% (40) 건설 0.05% (1) 기계공학 23.9% (287) 화학/화공기술 5.8% (69) 기초과학 0.15% (2) 기타 12.9% (155) 정보/전자/통신 35.2% (423) 에너지/자원 2.1% (25) 소재 8.9% (106) 농수산 0.07% (1) 수송 3.0% (36) 생명공학 2.2% (27) 보건의료 2.4% (29) ‘99 정부 투자비: 1,201억원 25

(계속) (계속) ◆ 최근 민간 벤처자금의 증가추세를 고려할 때, 직접적인 지원보다 창업기반 구축 등 인프라 중심의 투자확대 필요 - 특히, 인력자원, 산업기술 정보제공, 경영관리 지원, 수요자와 공급자 의 네트워크 형성 등 간접적 지원 중심으로 정책전환 필요 ※ 2001년도 신규사업으로 중기청에서 중소기업기술이전지원(115억원), 중소대기업 기술협력지원(200억원), 미래신기술창조기업육성(20억원)의 예산을 요구 ◆ 생명공학, 환경 등의 분야는 투자회수기간이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민간 의 투자가 활발하지 못한 편임. -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미개척 분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 활성화를 유도 할 필요가 있음. 26

(계속) 지방과학기술진흥 투자분석 ◆ ‘98년 국내 총 연구개발비의 79%, 연구인력의 68%가 수도권과 대전지역에 편중 ◆ ‘99년 중앙정부의 지방과학기술진흥 목적의 연구개발사업 투자액은 670억원 수준 45 40 38.3% 35 30 28.1% 25 23.6% 22.7% 23.1% 20.9% 20.1% 20 18.4% 16.5% 15 12.8% 11.3% 10.3% 10.4% 10.1% 10 9.1% 7.2% 6.5% 5 3.4% 3.8% 2.3% 0.9% 27 서울 인천 • 경기 대전 • 충남북 대구 • 경북 부산 • 경남 광주 • 전남북 강원 • 제주

(계속) (계속) ◆ 지방자치단체의 연구개발예산규모나 총 예산 규모에 대비한 연구개발예산 비중도 적음 - ‘99년 지방자치단체의 총 예산 대비 연구개발예산 비중이 광역시는 평균 0.3%, 도단위 지자체는 1.2% 수준임. ◆ 지방과학기술의 균형적 육성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지방과학기술진흥 예산 확대, 지역별 특화기술개발거점 육성 등이 필요 ※ 2001년도 신규사업으로 과기부의 지방과학기술혁신사업(200억원) 예산 요구 28

<‘99년도 과학기술계 연구회 재원 구성> (계속) ‘99년도 과학기술계 3개 연구회 예산 분석 <‘99년도 과학기술계 연구회 재원 구성> (단위: 억원) 100% = 3,742 100% =1,865 100% = 5,369 5.6% 4.1% 기타 17.1% 20.6% 공기업 및 민간수탁 12.8% 9.4% 40.1% 국가연구 개발사업 34.0% 52.0% 50.2% 36.0% ( 출연금 중 기관고유 사업 29.1% ) ( 출연금 중 기관고유 사업 25.5% ) 출연금 18.1% ( 출연금 중 기관고유 사업 32.9%) 공공기술연구회 기초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29 ㈜ *기타 : 정부 및 지자체의 용역사업, 시험.평가.분석수입, 이자수입, 기술료 수입, 기금 등 포함

(계속) (계속) ◆ 출연연구소의 안정적인 연구환경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정부출연금 비중의 단계적 확대 필요 - 독일 막스프랑크 연구기관은 사업비의 90%를 연방정부에서 지원 ◆ 각 연구회 설립취지에 따라 산하 출연연구소의 기능조정, 역할분담 등 연구회간 차별화 필요 - ETRI를 제외하면 산업기술연구회의 출연금 비중은 34.6%로 공공기술연구회와 유사 - 각 연구회 산하 출연연구소의 출연금 비중, 소속 및 기능의 조정 필요 (*: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한의학연구원은 출연금 비중이 86.6%임)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