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0-7 부동소수점 (Floating-Point) 계산  컴퓨터에서 숫자를 표기하는 방법  가수 (Fraction) : 부호화된 고정소수점 숫자 지수 (Exponent) : 소수점의 위치를 표시 ( 예 )10 진수 를 표기하면 Fraction Exponent.
Advertisements

제 4 장 화폐의 시간가치 단일시점의 현금흐름 평가 4.2 여러 시점의 현금흐름 평가 4.3 특수형태의 현금흐름 평가 4.4 이자지급횟수의 변경과 복리계산 제 4 장 화폐의 시간가치.
Add Your Text 5.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 지수함수 2. 로그함수 · 지수함수와 그 그래프 ·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 · 로그 함수와 그 그래프 · 로그방정식과 로그부등식.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제8장 이산 푸리에 변환.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Numerical Analysis of Nonlinear Equation)
공차 및 끼워맞춤.
수치해석 6장 예제문제 환경공학과 천대길.
Report #2 - Solution 문제 #1: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Final] 기말고사
제12주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제 6 장. 수치미분과 수치적분.
Chapter 02 순환 (Recursion).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Ⅲ부 상미분 방정식의 근사해법과 유한요소해석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예: Spherical pendulum 일반화 좌표 : θ , Ф : xy 평면으로부터 높이 일정한 량 S 를 정의하면
Tail-recursive Function, High-order Function
CH 4.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4.1 확률 확률실험 (Random Experiment, 시행, Trial) : 결과를 확률적으로 예측 가능, 똑 같은 조건에서 반복 근원사상 (Elementary Event, e) : 시행 때 마다 나타날 수 있는 결과 표본공간.
행렬 기본 개념 행렬의 연산 여러가지 행렬 행렬식 역행렬 연립 일차 방정식 부울행렬.
일차방정식의 풀이 일차방정식의 풀이 순서 ① 괄호가 있으면 괄호를 먼저 푼다.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Ⅲ. 이 차 방 정 식 1. 이차방정식과 그 풀이 2. 근 의 공 식.
1.4 중첩된 한정기호 (Nested Quantifiers)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어서와 C언어는 처음이지 제14장.
수학 I Week 7. Differentiation
Term Projects 다음에 주어진 2개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시오. 기한: 중간 보고서: 5/30 (5)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보고서 (due 5/8)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시오. 문제 분석 알고리즘 작성 프로그램 작성 테스트 및 검증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Frequency distributions and Graphic presentation of data
제어시스템설계 Chapter 4 ~ Chapter 5.
합집합과 교집합이란 무엇인가? 01 합집합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모든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을 A와 B의 합집합이라고 하며, 기호 A∪B로 나타낸다. A∪B ={x | x∈A 또는 x∈B}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 a > 0, b > 0 일 때, √ 3 √ 5 √15 3 √ 5
1. 2진 시스템.
Fitting / Matrix / Excel
보고서 #7 (기한: 6/2) 2개의 스택, stk1, stk2를 이용하여 큐를 구현하라.
⊙ 이차방정식의 활용 이차방정식의 활용 문제 풀이 순서 (1)문제 해결을 위해 구하고자 하는 것을 미지수 로 정한다.
1. 일반적인 지수.
Thevenin & Norton 등가회로 1등 : 임승훈 - Report 05 - 완소 3조 2등 : 박서연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미분방정식.
Keller: Stats for Mgmt & Econ, 7th Ed 회귀모형의 정형화 Model Building
01 로그의 정의 ⑴ 일 때, 양수 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실수 는 오직 하나 존재한다. 이때 를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축의 위치 관계 이차방정식 의 그래프와 축이 만나는 점의 좌표는 이차방정식
Window, Viewport Window, Viewport.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에어 PHP 입문.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Support Vector Machine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1. 접선의 방정식 2010년 설악산.
쉽게 배우는 알고리즘 2장. 점화식과 점근적 복잡도 분석
제 6 장 화폐의 시간가치.
Chapter 7 – Curves Part - I
상관계수.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 술어와 한정기호 (Predicates and Quantifiers)
I. 수와 식 1. 유리수와 순환소수.
수치해석 ch3 환경공학과 김지숙.
수학 2 학년 1 학기 문자와 식 > 부 등 식 ( 1 / 2 ) 일차부등식의 풀이.
수학 2 학년 1 학기 문자와 식 > 미지수가 2개인 연립방정식 ( 3 / 4 ) 대입법으로 풀기.
컴퓨터는 어떻게 덧셈, 뺄셈을 할까? 2011년 10월 5일 정동욱.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II-1 단항식의 계산 01 소인수분해 지수법칙 지수법칙 지수법칙⑴ 3개 2개 5개 3+2 m개 n개 (m+n)개 합.
강화학습: 기초.
Ch8.기본적인 RL, RC 회로 자연응답, 강제응답, 시정수, 계단입력과 스위치 회로
Presentation transcript:

제10장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개요(introduction) - 앞 장에서는 다항함수 또는 유리함수에서 하나의 선택 변수를 갖는 경우 극값의 문제 해결에 중점 - 본 장에서는 이러한 논리를 지수함수나 로그함수에 적용함. - 지수함수나 로그함수는 경제학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됨 (특히, 경제성장 문제, 동태분석 등). - 여기서는 선택변수가 시간(time)이 되는 최적화문제를 다루는데 응용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 지수(exponent)는 변수가 거듭제곱될 때, 그 멱(the power)을 나타내는 지표임. - 일반적으로 멱이 x3, x5에서 지수는 상수(constant)임. - 그러나 멱이 3x, 3t과 같이 가변적인 지수, 즉 3은 가변 적인 멱에 의해서 거듭제곱됨. - 이처럼 함수의 독립변수가 지수의 역할을 하는 함수를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라고 함. - 즉, 지수가 상수가 아닌 변수인 경우를 지수함수라 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 지수함수는 간단히 다음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음. y=f(t)=bt (단, b1, b0) 여기서 y와 t는 각각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이며, b는 밑수 (base), t를 지수(exponent)라고 함. - 그런데 왜 b1이라는 제약을 가하는가? ⑴ 만약 b가 음이면(b0), 예로 b1/2은 음수의 제곱근을 취하게 됨.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것은 복잡 하고 어려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⑵ 만약 0b1이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면 y=(1/5)t=1/(5t)=5-t 즉, 밑수가 1보다 작은 함수인 경우는 밑수가 1보다 큰 함수로 다시 변환할 수 있음. ⑶ 만약 b=1이면, y=1t=1이므로 사실상 지수함수는 상수함수가 됨. - 따라서 지수함수는 b1이라는 제약이 필요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y y=bt (0b1) y=bt (b1) 1 t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 지수함수의 graph는 일반적으로 [그림 10.1]과 같은 곡선형태로 나타남(여기서는 b=2인 경우임). - 앞에서 지수함수는 b1이므로 항상 증가하는 형태임. - 그러나 0b1이면 지수함수는 항상 감소하는 형태임. 지수함수 graph의 세 가지 특징(salient features) ⑴ 지수함수의 graph는 모든 점에서 연속이며 매끄러움. 따라서 모든 점에서 미분이 가능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⑵ 지수함수의 graph는 강증가하고, 사실상 y는 모든 영역에서 기울기는 체증함. ⑶ 지수함수의 정의역이 양수뿐만 아니라 음수라도, 즉 독립변수 t의 부호에 관계없이 종속변수 y의 값은 항상 양(+)임[정의역은 (-, ), 치역은 (0,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의 성질(the nature of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지수함수가 강단조성을 갖는다는 의미 ⑴ 지수함수는 반드시 역함수를 가지며, 그 역함수 역시 강단조성을 가짐. 지수함수의 역함수는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임. ⑵ 강단조성은 주어진 y의 값에 대해 유일한 t값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 지수함수의 치역은 개구간 (0, )이기 때문에, 어떤 양수라도 1보다 큰 밑수 b의 유일한 멱으로 나타낼 수 있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 밑수변환(base conversion) 예를 들어, 함수 y=9t의 경우, 이것을 y=(32)t=32t으로 변형이 가능함. 그러나 밑수변환이 반드시 새로운 형태의 함수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님. 왜냐하면, w=2t로 놓으면, y=32t=3w은 여전히 앞의 그림 형태와 같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그러나 한 함수 y=f(t)=bt이고, 다른 함수 y=g(t)=b2t 이면, 두 함수의 밑수가 같기 때문에 함수 g에 임의의 값 t=t0를 주고, 함수 f에 t=2t0를 주면, 두 함수의 값은 반드시 같아야 함: f(2t0)=g(t0)=b =y0 2t0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 이는 [그림 10.2]에서 거리 y0J는 y0K의 절반이 됨. - 마찬가지로 y의 어떤 값에 대해서도 함수 g는 함수 f와 세로축 사이의 중간에 위치함. - 그러므로 지수를 두 배하는 것은 y축쪽으로 원래의 지수함수를 절반으로 축소(compress)하는 효과를, 그리고 지수를 반 배하는 것은 y축으로부터 수평거리로 두 배 확대(extend)하는 효과를 가져옴.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 한편, 두 함수는 모두 세로축의 같은 절편을 가짐. 즉, f(0)=g(0)=b0=1 - 또 하나의 방법은 밑수 bt과 2bt에 계수를 붙이는 경우임. y=f(t)=bt, y=g(t)=2bt 이 경우에는 지수곡선을 축소 또는 확대하는 효과도 나타나지만, 그 방향이 수직이 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 앞의 함수에서 t의 모든 값에 대하여 후자[y=g(t)=2bt]는 전자[y=f(t)=bt]보다 y의 값이 두 배이기 때문에, 후자는 전자의 두 배 높이에 위치함(t0J=JK). - 이 경우는 세로축 절편도 바뀜: f(0)=b0=1, g(0)=2b0=2 - 결국, 계수를 두 배한다는 것은 곡선을 가로축으로부터 수직거리로 두 배 확대, 계수를 반 배하는 것은 반감하여 축소하는 것이 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일반화된 지수함수(generalized exponential function) - 일반적인 지수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y=abct 여기서 a, b, c는 파라미터이며, a와 c는 graph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인수들임. - 만약 a와 c가 양이면, 지수함수의 형태는 [그림 10.2]와 유사하지만, a와 c가 음이면, 지수함수의 graph는 근본적으로 수정해야 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바람직한 밑수(a preferred base) - 미적분학에서는 기호 e(exponential: e=2.71828)로 표시되는 특정한 무리수가 밑수인 지수함수가 가장 널리 사용됨. - 밑수 e가 지수함수에 사용될 때, 그 함수를 자연지수 함수(natural exponential function)라고 함. -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음. y=et y=e3t y=Aert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바람직한 밑수(a preferred base) - 또한 이 함수들은 다음과 같은 표기법으로도 나타냄. y=exp(t) y=exp(3t) y=Aexp(rt) - 단, 약어 exp(지수 exponential을 표시)는 밑수 e가 그의 지수로서 괄호 안의 표현을 갖는다는 의미임.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함수의 성질 바람직한 밑수(a preferred base) - 함수 y=et의 도함수는 그 함수 자체임. 즉, et=et ex=ex - 이 미분법칙을 이용하면, 함수 y=Aert 의 도함수는 우선, w=rt라 하면, 함수는 y=Aew가 됨(A와 r은 상수). 그러면 연쇄법칙에 의해 = =Aew(r)=rAert 즉, Aert=rAert d dt d dx dy dt dy dw dw dt d dt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정의(the number e) f(m)=(1+ )m - 만약 m이 점점 더 큰 값을 가지면, f(m)도 역시 더 큰 값을 가짐. - 더욱이 m이 무한히 증가하면 f(m)은 수 2.71828e에 수렴함. 1 m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정의(the number e) - 따라서 e는 m일 때 앞의 식의 극한값으로 정의할 수 있음. 즉, e f(m)= (1+ )m - 실제로 e는 무리수이며, 그 값은 대략 2.71828임. lim m lim m 1 m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정의(the number e) - e의 근사값은 함수 (x)=ex의 매클로린급수를 통해서 구할 수 있음. 즉, ex=(x)=(0)+(0)x+ x2+ x3+  + xn+ xn+1+Rn =1+x+ x2+ x3+  + xn+Rn - 여기서 n일 때 Rn0이므로 (0) 2 (0) 3 (n)(0) n (n+1)(0) n+1 1 2 1 3 1 n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정의(the number e) - 따라서 ex의 값은 다음과 같은 수렴하는 무한급수 (infinite series)로 표시할 수 있음. ex=1+x+ x2+ x3+ x4+  - e의 값을 구하기 위하여 x=1을 대입하면, e=1+ + + + +  =2.7182819 1 2 1 3 1 4 1 2 1 6 1 24 1 120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경제적 해석(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e) - 이자율의 복리계산에 이용됨. - 연이자율 100%로 원금 1원을 은행에 예치한 경우 - 단, 괄호 안의 수는 1년간에 이자가 원금에 산입되는 회수임. V(1)=초기의 원금(1+이자율) =1(1+100%)=1[1+(1/1)]1=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경제적 해석(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e) - 그러나 이자가 6개월마다 원금에 산입된다면, 원금의 50%(100%의 절반)에 달하는 이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에 산입될 것임. - 따라서 다음 6개월 기간의 새로운 원금은 1.50원이 되고, 이자는 1.50원의 50%로 계산됨. - 결국, 연말의 자산가치는 1.50(1+50%)가 됨. 즉, V(2)=원금(1+50%)(1+50%) =1[1+(1/2)]2=2.25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경제적 해석(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e) - 마찬가지로 3회, 4회인 경우는 다음과 같음. V(3)=[1+(1/3)]32.37, V(4)=[1+(1/4)]42.44 - 따라서 m회인 경우를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음. V(m)=[1+(1/m)]m 여기서 m은 1년간 이자가 원금에 산입된 회수임.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e의 경제적 해석(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e) - 이제, 이자가 1년간 연속적으로 원금에 산입될 경우, 즉 m이 무한대로 커지면 연말에는 1원의 자산가치는 V(m)= (1+ )m=e(원) 이 됨. - 1년 후에 1원이 e원이 되는 경우, 100%의 이자율은 명목이자율(nominal interest rate)이고, 그것은 1년 후 e=2.71828원이 된다면 실효이자율(effective interest rate)은 연간 약 172%임. lim m lim m 1 m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복리(interest compounding)와 함수 Aert - 앞의 복리계산 문제를 일반화하면, 즉 ⑴ 복리계산 년수를 t년, ⑵ 원금을 A원, ⑶ 명목이자율은 r%임. V(m)=A(1+ )mt - 여기서 =w( m=rw)라 하면, V(m)=A(1+ )wrt=Aert r m m r 1 w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순간성장률(instantaneous rate of growth) - 함수 V=Aert이 주어지고, 그것이 t의 각 시점에서 V값을 나타내면, V의 변화속도는 다음과 같은 도함수가 됨. =rAert=rV - 어떤 주어진 시점에서 V의 성장률은 다음과 같음. V의 성장률 = =r - 위의 정의에 의한 성장률 r을 순간성장률이라 함. dV dt dV/dt V rV V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연속적 성장 대 이산적 성장(continuous vs. discrete growth) - 앞의 논의는 수학적으로는 흥미가 있지만 현실 경제에 결부시키기에는 문제가 있음. - 왜냐하면, 실제로 경제성장(또는 복리이자율)이 항상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임. - 그러나 변화가 순간 순간이라기보다는 어느 기간당 한 번만 발생하는 이산적 성장의 경우라도 연속적 지수성장함수(continuous exponential growth function) 로 사용될 수 있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할인과 음의 성장(discounting and negative growth) 이라는 개념임. - 복리계산에 있어서는 원금 A의 미래가치 V에 관심을 가지며, 할인은 t기 이후에 이용가능한 금액인 V의 현재가치(present value) A는 얼마인가에 관심을 가짐. -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의 원금 A의 t기 이후의 가치는 연이자율 i, 연간 1회의 복리로 계산하면, V=A(1+i)t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할인과 음의 성장(discounting and negative growth) - 즉, 현재가치 A원은 t기 후의 미래가치 V와 같음. - 여기서 양변을 (1+i)t로 나누면, 다음의 식을 얻음. A= =V(1+i)-t - 이 공식에서 미래가치 V와 현재가치 A의 역할은 반대임. - 이제는 위 식에서 V는 주어지고, A는 i(할인률)와 년수 (t)로부터 계산되는 미지수임. V (1+i)t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할인과 음의 성장(discounting and negative growth) V=Aert 에 따라 이자율 r로 연속 복리계산된 t년 후에 Aert이 되고, 위의 방정식의 양변을 ert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연속적인 할인공식을 얻음. A= =Ve-rt - 여기서 e-rt는 흔히 할인요인(discount factor)이라 함. V ert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자연지수함수와 성장의 문제 할인과 음의 성장(discounting and negative growth) - 한편, 앞의 식을 지수성장함수로 보면, -r은 A의 순간 성장률로 볼 수 있음. - 그런데 여기서 이 성장률이 음이기 때문에 감모율 (rate of decay)이라고도 함. - 결국, 복리계산 방식이 양의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반면, 할인과정은 음의 성장과정을 보여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로그의 의미(the mean of logarithm) - 예를 들어, 방정식 42=16으로 상호 관련되는 두 수 4와 16이 있을 때, 그 식의 지수 2를 밑수 4에 대한 16의 로그라고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표기함. log416=2 - 즉, 로그는 밑수(4)가 어떤 특정한 수(16)를 얻기 위해 거듭제곱되어야 하는 멱수(the power)임. -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냄. y=bt  t=logby  y=b logby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로그의 의미(the mean of logarithm) - 지수함수는 강증가함수이므로, 이것은 y의 어떤 양의 값에 대해서 y=bt를 만족하는 유일한 지수 t(반드시 양수일 필요는 없음)가 존재함을 의미함. - 또한, y의 값이 커지면 t의 값도 더 커져야 함. 따라서 y가 커지면 y의 로그도 커져야 함. - y는 지수함수 y=bt에서 반드시 양임. 그러므로 음수나 0은 로그(logarithm)를 가질 수 없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상용로그와 자연로그(common log and natural log) - 로그의 밑수(base)는 어떤 특정한 수로 제약할 필요는 없지만, 실제로 로그계산에서는 두 개의 수(10과 e)가 밑수로 가장 널리 사용됨. - 밑수가 10(십진법)인 로그를 상용로그(common logarithm)라 하고(log10로 표기), 밑수가 e인 로그를 자연로그(natural logarithm)라 함. - 특히, 자연로그는 loge 또는 ln(natural logarithm을 의미) 으로 표기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상용로그와 자연로그(common log and natural log) - 상용로그의 표(예) log101,000=3 ( 103=1,000) log10100=2 ( 102=100) log1010=1 ( 101=10) log101=0 ( 100=1) log100.1=-1 ( 10-1=0.1) log100.01=-2 ( 10-2=0.0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상용로그와 자연로그(common log and natural log) - 그러나 분석작업에서는 상용로그를 사용하는 것보다 자연로그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편리함. -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y=et  t=logey (또는 t=lny)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상용로그와 자연로그(common log and natural log) - 자연로그의 표(예) lne3=logee3=3 lne2=logee2=2 lne1=logee1=1 ln1=logee0=0 ln =logee-1=-1 - 상용로그와 자연로그는 서로 대체될 수 있음. 1 e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로그법칙(rules of logarithms) 로그는 지수의 성질을 가지므로 앞에서 다룬 바와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일정한 법칙을 따름. - 처음의 세 법칙(법칙 1, 법칙 2, 법칙 3)은 자연로그를 서술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기호 ln이 logb로 대체해도 그대로 성립함. 법칙 1: 곱의 로그 ln(uv)=lnu+lnv (u, v0) - 예 1: ln(e6e4)=lne6+lne4=6+4=10 - 예 2: ln(Ae7)=lnA+lne7=lnA+7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로그법칙(rules of logarithms) 법칙 2: 몫의 로그 ln(u/v)=lnu-lnv (u, v0) - 예 3: ln(e2/c)=lne2-lnc=2-lnc - 예 4: ln(e2/e5)=lne2-lne5=2-5=-3 법칙 3: 멱의 로그 lnua=alnu (u0) - 예 5: lne15=15lne=15 - 예 6: lnA3=3lnA - 예 7: ln(uva)=lnu+lnva=lnu+alnv - 예 8: lnu+alnv=lnu+lnva=ln(uva) [예 7의 역]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로그법칙(rules of logarithms) 법칙 4: 로그밑수의 변환 logbu=(logbe)(logeu) (u0) - 예 9: logeu=(loge10)(log10u) 법칙 5: 로그밑수의 역변환 logbe= = - 예 10: logbb=(logbe)(logeb) 여기서 logbb=1임. - 예 11: loge100=2.3026(log10100)=2.3026(2)=4.6052 역으로, log10100=0.4343(loge100) =0.4343(4.6052)=2 (10의 자연로그값 2.3026, e의 상용로그값 0.4343) 1 logeb 1 lnb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응용(an application) 지수방정식이 다음과 같음. abx-c=0 (a, b, c0) - 위 방정식을 만족하는 x의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로그를 이용하여, 이 지수방정식을 선형방정식으로 변형시킨 후, 그 선형방정식을 풀면 됨. - 우선, c를 우변으로 이항시킴. abx=c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logarithm) 응용(an application) - 앞 식의 양변에 (10을 밑수로 하는) 로그를 취하면, 다음을 얻음. loga+xlogb=logc - 이 식은 변수 x에 관한 선형방정식이며, 해는 다음과 같음. x= logc-loga logb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 - 로그함수는 지수함수의 역함수임. 즉, t=logby  y=bt t=logey (=lny)  y=et - 왜냐하면, 위의 두 로그함수는 그에 대응하는 지수함수 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역할을 역전시킨 결과임. - 로그함수는 강증가함수(지수함수)의 역함수이므로, 로그함수도 역시 강증가함수이어야 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graph 형태 통과하는 45 선에 대해 서로 대칭임(어떤 한 쌍의 역함수의 graph도 일반적으로 이런 성질을 가짐). - [그림 10.3]에서 그림 (b)를 그림 (a) 위에 포개놓고, y축은 y축, t축은 t축에 위치하도록 하면, 두 곡선은 완전 일치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graph 형태의 특징 - 두 곡선은 단조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지수곡선은 체증률로 증가하는 반면, 로그곡선은 체감률로 증가함. - 지수함수는 양의 치역(range)을 갖는 반면, 로그함수는 양의 정의역(domain)을 가짐(로그함수의 정의역이 양이라는 제약은 오직 양수로만 로그를 취함). - 지수함수 y=et은 1에서 세로축 절편을 갖는 것처럼, 로그함수 t=logey는 y=1에서 가로축과 교차함. 이것은 loge1=0이라는 것을 의미함.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graph 형태의 특징 - 로그곡선은 어떠한 밑수에 대해서도 다음의 관계가 성립함. 0y1  logy0 y=1  logy=0 y1  logy0 - 그리고 다음의 관계도 성립함. y일 때 logy y0+일 때 logy-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graph 형태의 특징 - 일반적인 지수함수 y=Aert과 이에 상응하는 로그함수를 비교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음. - (양의) 상수 A와 r이 지수곡선을 확대(extend) 또는 축소 (compress)시키는 효과를 갖더라도, 그 곡선의 세로축 절편은 y=1이 아니라, y=A(t=0일 때 y=Ae0=A)임. - 이에 따라, 그 함수의 역함수도 y=A에서 가로축 절편을 가짐.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graph 형태의 특징 - 일반적으로 지수함수와 그에 대응하는 로그함수는 45 선에 대해 대칭이 됨. - 만약 y=Aert의 역함수를 특정 대수식으로 표시할 경우, 이 지수함수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고, t에 관해서 풀면 됨. 즉, lny=ln(Aert)=lnA+rtlne=lnA+rt - 따라서 역함수는 다음과 같음. t= (r0) lny-lnA r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 지수함수 y=Abt은 항상 자연지수함수 y=Aert으로 변형될 수 있음. - 이제, 밑수변환 공식을 도출하기 위해 Abt 대신에 일반적인 식 Abct을 Aert으로 변환하는 문제를 고려 - 문제의 요점은 다음과 같음. er=bc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 앞의 식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er=lnbc - 위 식의 좌변은 r이 되므로 구하려는 식(밑수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음. r=lnbc=clnb - 이것은 함수 y=Abct을 항상 자연로그가 밑수로 주어 지는 형태인 y=Ae(clnb)t으로 변형시킬 수 있음을 나타냄.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예 1 : y=2t을 자연지수함수로 변환하라. 여기서 A=1, b=2, c=1임. - 따라서 r=clnb=ln2임. - 구하려는 지수함수는 다음과 같음. y=Aert=e(ln2)t - 상용로그표를 사용하여 ln2의 값을 계산하면, ln2=2.3026log102=2.3026(0.3010)=0.6931 - 결국, y=e0.6931t으로 달리 나타낼 수 있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예 2 : y=3(5)2t을 자연지수함수로 변환하라. 여기서 A=3, b=5, c=2임. - 따라서 r=clnb=2ln5임. - 구하려는 지수함수는 다음과 같음. y=Aert=3e(2ln5)t - 다시, 상용로그표를 사용하여 ln2의 값을 계산하면, ln2=ln25=2.3026log1025=2.3026(1.3979)=3.2188 - 결국, y=e3.2188t으로 달리 나타낼 수 있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앞의 [로그법칙 4]를 적용하면, 즉 logby=(logbe)(logey) - 이 결과를 주어진 로그함수에 대입하면, 자연로그함수는 t= logey [로그법칙 5에 의해] =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반적인 로그함수 y=alogb(cy)는 다음과 같이 동치인 형태로 변형 가능함. t=a(logbe)(logecy)= loge(cy)= ln(cy) 1 logeb lny lnb a logeb a lnb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예 3 : 함수 t=log2y를 자연로그형태로 변환하라. 여기서 b=2, a=c=1이기 때문에, - 구하려는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음. t= lny - 상용로그표를 사용하여 ln2의 값을 계산하면, ln2=2.3026log102=2.3026(0.3010)=0.6931 - 결국, t=(1/0.6931)lny로 나타낼 수 있음. 1 ln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로그함수(logarithmic function) 밑수변환(base conversion) 예 4 : 함수 t=7log102y를 자연로그형태로 변환하라. 여기서 a=7, b=10, c=2이기 때문에, - 구하려는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음. t= ln(2y) - ln10(10의 자연로그)의 값을 계산하면, ln10=2.3026 - t=(7/2.3026)ln(2y)=3.0400ln(2y)로 나타낼 수 있음. 7 ln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