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와 교육 10. 31 현대교육사상
마르크스(맑스) 하면 떠오르는 것은? 공산당? 계급? 사회주의? 빨갱이? 좌파? 마르크스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마르크스(맑스) 사상이 사회, 교육 분석에 영향을 준다? 현상학에서처럼 마르크스 사상에 대한 판단을 잠시유보하고 일단 그 이론 자체를 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현실에서도 마르크스적 분석이 많이 이루어진다? 교육에 대한 여러 이론들도 맑스의 영향을 받은 이론이 많다? (갈등이론, 탈학교이론?)
마르크스가 틀렸다고? 마르크스는,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하고 생산과정에 대한 관리권 없이 그저 관리의 대상물로 전락한 노동자가 결국 상품이 된 그 노동과 함께 자신도 상품화되어 인격체로서의 인간다운 삶을 누리지 못하고, 절대적으로도 상대적으로도 빈곤화된다고 주장했다. 마르크스의 말대로 인간의 모든 것이 물화되어 거래 대상으로 전락한 것은 우리 사회의 누구나 볼 수 있는 현실이다. <한겨레 박노자 칼럼. 2011. 10. 27>
10·26은 '계급' 투표? '오버'하지 마라!(프레시안.10. 28) 지금 젊은 세대가 이명박 정부에 등을 돌리고, 성장보다는 분배를 선호하고, 나아가 '탈지역주의' 색깔을 분명히 하게 된 것은, 경제적 이해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2011년 대한민국에서 '세대는 경제적 이해관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단위인 동시에, 정치적 성향과 선호가 분명한 집단이다. 2011년 현재, 세대는 계급이다.“ (유창오) 과연 2011년 서울 시장 선거에서 20~40대는 계급 투표를 한 것일까? 지금의 20~40대가 분명히 '불안' 속에 살아가는 것은 맞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했듯이 그것은 그들이 한 덩어리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이다. 과연 20~40대가 공통의 경험, 공통의 취향 그리고 공통의 이해관계를 매개로 한 덩어리로 뭉칠 수 있을까? (강양구)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노동자와 자본가는 생각이 같을까?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노동자와 자본가는 생각이 같을까? 경총 "시민운동 가장한 `정치 버스` 즉각 멈춰라" 희망버스·민주노총 “한진중 정리해고 철회만이 해법”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31일 성명을 통해 "희망버스는 노사문제를 구실로 한 사실상의 정치투쟁으로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매일경제, 7.31) 희망버스 기획단과 전국민누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에게 정리해고 철회를 다시 한 번 촉구했다. (매일노동뉴스, 2011.8.11)
마르크스의 생애 카를 마르크스 (1818년 5월 5일~1883년 3월 14일) - 프로이센(독일) 변호사 아들로 태어남 카를 마르크스 (1818년 5월 5일~1883년 3월 14일) - 프로이센(독일) 변호사 아들로 태어남 - 베를린 대학 : 법, 철학, 역사 연구 공산당 선언(1947년) - 영국으로 망명(1947년) - 런던에서 경제학, 역사학 연구 - 자본론(1967년) 출간 - 런던에서 어렵게 살다 1883년 사망
마르크스 주의 마르크스 주의의 이론적 토대 유물론 : 관념론 비판 변증법 노동가치설 사회주의 사상 물질 세계의 우선성 물질 세계는 정신이나 의 식에 관계없이 존재한다. 변증법 사물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 발전 한다. 정반합의 원리 마르크스 주의 노동가치설 인간의 노동만이 가치를 창출하며, 노동이 이윤 창출의 유일한 수단 잉여가치설 : 노동의 가치 중 잉여 가치를 지배계급이 착취=> 계급 발생 사회주의 사상 산업혁명으로 인한 자본주의 생산방식, 노동자계급 , 봉건시대 계급 철폐 민주주의 혁명
유뮬론 유물론 물질 존재의 우선성 물질 세계는 정신이 나 의식에 관계없이 존재한다. 존재의 의식 규정 물질 세계는 정신이 나 의식에 관계없이 존재한다. 존재의 의식 규정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 다. 존재에 따른 의식의 상이성 노동자와 자본가 의 의식 유뮬론 의식의 생활 규정 의식이 생활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이 의식을 규정한다. 인식론 모든 인식은 감각(실천)을 통해 나온다. 실천의 핵심은 노동이다. 노동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고, 새로움을 창조한다.
변증법 변증법 변증법 자연과 사회 안에 있 는 모든 것(사물)은 고 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 발전 (운동) 한다. 자연과 사회 안에 있 는 모든 것(사물)은 고 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 발전 (운동) 한다. 정반합이론 대립물의 통일과 갈등의 법칙 모든 대상들과 현상들(경향, 힘)들은 서로 배척하면서 서로를 전제함 노동자와 자본가, 아름다움과 추함, 남과 여, 교사와 제자 변증법 양적 변화에서 질적 변화 -물을 끓이면 0~100도까지 계속 끓다가(양적 변화) 100도가 넘으면 수증기가 된다(질적 변화) 부정의 부정 법칙 - 낡은 것으로부터 새로운 것으로 전환 -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썩으면(부정) 많은 열매를 맺는다(새로운 것)
역사적 유물론 (변증법적 유물론을 사회, 경제, 역사 등에 적용) 상부구조 의식, 각종 기구(정부, 교육), 법, 제도 등 토대 경제적 이해관계 생산력과 생산수단(토지, 자본, 정보)의 소유 여부
생산수단과 생산 관계의 모순에 의해 기존 사회 붕괴, 새로운 사회 성립 역사 발전 5단계설 사회 기본 관계 : 생산력과 생산수단의 관계 둘 사이에 통일 되었다가 모순이 첨예화되면 다음 단계로 발전 원시공산제 고대 노예제 중세 봉건제 자본주의 사히주의 공동 생산 계급 사회 프롤레타리아 독재 노동의 잉여 가치 발생 노예 토지 자본 평등사회 노예주-노예 지주-농노 프롤레타리아-브로주와 평등 사회 생산수단과 생산 관계의 모순에 의해 기존 사회 붕괴, 새로운 사회 성립
인간 소외 문제 노동이 분화함에 따라 본질적 성격을 상실하고 인간을 노예 상태로 전락시킴 노동 분업은 노동이 인간의 창조적 활동이라는 본질적 속성 파괴하고 인간 활동을 소외시킴. 노동의 분업과 상품화로 인해 인간은 자신의 본질로부터 분리됨. 인간의 자기실현이며 창조적인 활동인 노동 자체가 상품화되는 것을 소외된 노동
노동 소외의 4가지 형태 - 생산물에서의 소외 : 생산의 의미 상실, 산물에 의한 노동 지배 - 생산행동의 소외 : 생산행위 자체가 생존 수단으로 전락 - 인간 고유의 사회적 본성으로부터의 소외 : 인간의 자유로운 의식이 물리적 생존을 위해 예속됨 - 인간으로부터의 인간 소외 : 인간 간의 지배와 예속의 소외 현상
인간 소외, 노동 소외 해결 방법 원인 : 경제적 토대의 문제 노동의 상품화 생산 수단에 의한 사적 소유와 노동의 분화 인간 소외, 노동 소외 해결 방법 원인 : 경제적 토대의 문제 노동의 상품화 생산 수단에 의한 사적 소유와 노동의 분화 방법 : 경제적 토대를 변화시켜야 함. 사유재산의 사회화, 프롤레타리아 혁명적 의지 인간 소외, 노동 소외 극복 프롤레타리아의 집단화 => 자유로운 노동 실현 노력 => 사회주의 혁명 => 프롤레타리아 독재
마르크스 주의의 한계 존재가 의식을 규정만 하는가? 의식은 존재(토대)의 반영에 불과한가? 의식이 존재를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성은 없는가?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은 적대적인가? 지나치게 갈등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 집단 이기주의의 문제 자초 프롤레타리아 독재? 재산의 사유화로 평등사회 실현이 가능한가? 사회 구성을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른 계급으로만 구분될 수 있는가? 토대와 상부구조의 문제 : 상부구조의 자율성, 능동성 무시 경제관계에 의해서만 의식, 기구들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님. 사회주의 사회의 프롤레타리이아 독재 문제 –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로 나아가야..
마르크스 주의 노동의 교육적 의의 교육(학교)을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 교육제도(학교, 교육내용 등)가 갖는 계급성 비판 노동이 진정한 인간 본질의 실현 : 노동의 소중함, 귀중함 앎(의식)과 행함(실천, 노동)의 일치 = 전인교육적 관점 노동(행함, 실천)을 통한 능동적인 교육 정반합의 과정 : 탐구 과정, 논리논술교육에 영향 교수(학습)와 생산 노동의 결합 : 현재 교육이 지나치게 노동과 멀어짐.
마르크스 주의 교육관의 한계 인간 의식의 수동성의 문제 : 단순 반영이 아니라, 존재를 변화시킬 수 있음. - 자본가라 하더라도, 노동자의 인식에 공감할 수도 있음 – 엥겔스, 버핏, 안철수? 학교(상부구조)는 지배계급의 요구(토대)가 반영된 것에 불과한 기구인가? 학교, 교육에 대해 지나치게 소극적 견해임. 집단, 계급, 노동을 지나치게 강조 : 학교, 교육을 지나치게 갈등 중심으로 파악 교육을 지나치게 사회변혁의 도구로 삼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