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솔로 성장모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제 6 장 생 산.
제6장 가치평가.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생산과 성장.
15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생산비용.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제 7 장 공급곡선의 이면: 투입과 비용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2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제 7 장 생산비용.
제6장 장기적인 경제성장.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예제] 의사결정나무 현재의 공장을 기술적 진부화에 대비하여 현대화하는 문제를 고려 중인 상태에서,
제4장 효용과 소비자선택 제1절 효용과 소비자선택 1.총효용과 한계효용 2.효용극대화 제2절 수요곡선 1.수요곡선의 도출
생산요소시장.
생산과 성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두 모집단에 대한 검정.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ecision Tree & Ensemble methods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20장 내생적 성장이론 제1절: 자본스톡의 재해석 제2절: 기술진보의 내생화 제3절: 맺음말.
학과 : 국제개발 협력 대학원 과목명 : 국제 경영학과 담당 교수 : 백종희 학번 : 성명 : 샤르마 샤르원 발표 일 : 제 2 장 경제학 연구의 방법 경제학 들어가기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국제무역론 10 판 도미니크 살바토레 John Wiley & Sons, Inc.
무차별곡선의 도출 무차별곡선의 도출 학 과: 경제학과 학 번: 이 름: 양아란 학 과 : 경제학과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17 투자함수론.
홍수추적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생산과 성장.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1. 노동시장의 개념 “노동시장(labor market)이란 노동공급과 수요가 상호작용하여 임금과 고용이 결정되는 메커니즘”
부분균형과 무역.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기술진보와 성장률 12-1 기술진보의 다양성은 다음을 의미함: 보다 많은 생산물을 생산 보다 나은 품질의 제품 새로운 제품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비자 선택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제 6 장 생 산.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 2 장 경제모형: 상충관계와 무역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생산과 성장.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강화학습: 기초.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BCG Matrix 분석.
Presentation transcript:

14 솔로 성장모형

들어가기에 앞서… 솔로(Robert M. Solow)의 성장모형 솔로 성장모형은 총공급 측면만을 이용하여 경제성장을 설명 현대 경제성장이론의 출발점 생산요소인 자본, 노동 및 생산요소들을 결합하는 기술로 구성 솔로 성장모형은 총공급 측면만을 이용하여 경제성장을 설명 장기에 산출량은 완전고용수준에서 달성되므로 총수요부문을 도입하여도 중요한 질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Chapter14 에서 다룰 내용은…. 솔로 성장모형 솔로의 경제성장모형의 구성요소 솔로 모형의 기본방정식 정상상태의 균형과 성장률 저축률 및 감가상각률의 변화와 정상상태의 균형 인구와 경제성장 자본축적의 황금률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솔로 경제성장모형의 구성요소 총생산함수 K는 경제 전체의 자본량, L은 노동량 경제성장 : 자본량 K 혹은 인구 L이 증가하거나 기술 F(.,.)가 개선되어야 함. 솔로의 성장모형은 위의 세 가지 요인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생산기술 생산함수에서는 규모에 대한 수익이 중요하다. 솔로 성장모형에서는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을 가정한다. 생산함수에서는 규모에 대한 수익이 중요하다. 생산요소의 양을 λ배 증가시키면 산출량은? z > λ : 규모에 대한 수익증가 (IRTS: Increasing Return To Scale) z < λ : 규모에 대한 수익감소 (DRTS: Decreasing Returns to Scale)) z = λ :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 (CRTS: Constant Returns to Scale)) 솔로 성장모형에서는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을 가정한다. CRTS의 가정은 장기에 현실적인 가정 CRTS를 가정하면 모형의 분석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생산기술 Under the CRTS assumption, MPK(marginal product of capital) Inada condition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생산기술 1인당 생산함수 생산함수는 위로 볼록 하다. 한계생산이 체감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생산기술 Example :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 (CRTS) 1인당 생산함수 자본의 한계생산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축적 No Government, No Foreign sector 재화시장의 균형 : 가정1 : 투자 가정2 : 자본을 증가시키는 행위 생산설비 확충 및 기계 설비 등에 재화와 서비스 사용을 의미 가정2 : 총자본의 증가량 :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노동(인구 증가) 가정 : 인구(노동량)의 증가율이 일정함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솔로 모형의 기본 방정식 1인당 자본량의 증가율 솔로 성장모형의 기본방정식(Fundamental equation of the Solow model) 1인당 자본이 증가할 조건 1인당 자본이 감소할 조건 1인당 자본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투자 (break-even investment)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정상상태의 균형과 성장률 점 E에서 균형은 항구적으로 유지 : 정상상태의 균형 한 경제가 처음 정상상태보다 1인당 자본량이 적거나 큰 상태에서 출발하더라도 항상 정상상태의 1인당 자본량으로 수렴한다. 정상상태는 경제의 장기균형이며, 안정적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정상상태의 균형과 성장률 정상상태(Steady state Equilibrium) : 1인당 자본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균형 정상상태의 성장률 : 총자본량과 총산출량은 인구증가율과 같은 비율로 성장 \ 정상상태에서의 1인당 자본량은 일정하다. 인구 L은 n의 비율로 증가 총자본량과 총산출량은 인구증가율 n으로 증가 균형성장경로(balanced growth path) : 모든 성장하는 변수들이 같은 비율로 성장하는 경로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전이경로에서의 성장률 전이경로(transition path) : 경제가 정상상태에서 벗어나 있을 때 정상상태로 수렴하는 경로 전이경로에서의 성장률은 정상상태에서의 성장률과는 다르다. Ex) 그림과 같이 1인당 자본량이 정상상태보다 작기 때문에 이 성립한다.이 때 자본의 한계생산이 체감하므로 자본량의 증가율은 1인당 자본량이 증가하면 감소한다.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전이경로에서의 성장률 1인당 자본량 증가율 APK=y/k는 자본의 평균생상 ε(k)=MPK/APK는 자본에 대한 산출량의 탄력도(output elasticity) ε(k)가 k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면, 1인당 산출량의 증가율은 앞의 그림의 1인당 자본량의 증가율과 유사한 모양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Example : 콥-더글러스 생산기술 솔로 성장모형의 기본방정식 정상상태에서의 1인당 자본량 ks 는 s나 A가 증가하면 증가하고, δ나 n이 증가하면 감소한다. A : 생산요소의 생산성, 총요소생산성, 솔로 잔차(Solow residual) Steady State에서의 1인당 산출량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Example : 콥-더글러스 생산기술 Steady State에서의 1인당 소비와 투자 Steady State에서의 is는 s와 A의 증가함수 cs는 A의 증가함수이지만 s의 증가함수는 아님에 주의 cs는 s가 0이거나 1이면 0이다. 0<s<1이면 cs는 양의 값을 가진다. Ex) θ=0.5이면 cs를 극대화하는 저축률은 0.5가 된다.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Example : 콥-더글러스 생산기술 Steady State에서의 1인당 소비를 극대화하는 저축률이 존재하는 이유 저축률이 증가하면 직접적으로 소비가 감소 투자가 증가하여 자본량이 증가하므로 산출량과 소비가 증가 낮은 저축률에서는 후자의 효과가, 높은 저축률에서는 전자의 효과가 크다. 두 효과가 균형을 이루는 저축률이 존재 : 황금률 수준(golden rule)의 저축률 전이경로에서의 1인당 자본량 증가율 자본의 평균생산과 1인당 자본량에 대한 산출량의 탄력성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Example : 콥-더글러스 생산기술 전이경로에서의 1인당 산출량의 증가율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에서 1인당 산출량의 증가율은 자본이 증가할 수록 감소 전이경로에서의 성장율은 경제가 정상상태에서 아래로 멀리 떨어져 있을 수록 높고, 정상상태에 접근할 수록 낮다. 즉, 경제가 정상상태에서 아래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빠르게 성장하고 정상상태에 가까울수록 느리게 성장함을 의미한다. 두 나라가 같은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1인당 자본량에서 차이가 있을 경우 수렴현상(convergence) : 1인당 자본량이 적은 나라의 1인당 소득이 1인당 자본량이 많은 나라의 1인당 소득을 따라잡는 현상이 일어남. 조건부 수렴현상(conditional convergence) : 기술 또는 그 밖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 나타나는 수렴현상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 증가의 효과 저축률, 감가상각률 및 인구증가율 같은 파라미터의 값이 변화하면 정상상태가 이동하고 1인당 소득과 소비 및 투자의 시간경로가 변화한다. 저축률 증가와 정상상태의 이동 ※저축률의 증가는 1인당 자본량과 1인당 투자 및 1인당 산출량을 증가시킴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 증가의 효과 t0에서 저축률의 증가 1인당 자본의 증가량 소비 감소, 투자 증가 1인당 자본의 증가량 위로 점프했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1인당 자본의 증가율은 1인당 자본의 증가량과 유사한 시간 경로를 가짐. (1인당 산출량 증가율도 비슷함.) 저축률이 증가하면 소비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저축의 증가 – 소비의 감소 저축의 증가 – 1인당 자본량 증가 – 1인당 산출량 증가 – 소비 증가 두 가지 중 어느 효과가 큰가에 따라 정상상태의 소비가 결정.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의 증가와 소비 저축률 증가 시 소비의 변화 투자(저축)가 일시적으로 증가 : AB만큼 증가  소비의 일시적 감소 정상상태 균형 : 정상상태에서의 소비 소비의 증가분 =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의 증가와 소비 새로운 정상상태 분석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 증가로 인한 소비 감소 : 소비 감소분 = 저축률 증가  1인당 자본량 증가  소비 증가 : 소비 증가분 = 소비의 증가여부는 불확실 두 가지 효과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됨 정상상태의 자본량이 작은 (큰) 경우 자본의 한계생산이 큼(작음) 저축률 증가가 소비를 증가(감소)시킬 가능성 높음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의 증가와 소비 저축률 증가 시, (1인당 소득 성장률) > 0  처음의 정상상태에서 새로운 정상상태에 이를 때까지만 나타남  저축률 증가에 따른 성장효과는 일시적  수준효과(level effect)만 가짐, 성장효과(growth effect)는 없음 저축률 증가가 항상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은 아님  정상상태에서의 자본의 한계생산에 따라 결정됨 팽창적 재정정책  장기적으로 저축률 감소, 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밀어내기 효과 유발  저축률 감소로 인해 정상상태에서 1인당 자본량과 소득 감소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감가상각률 하락의 효과 감가상각률의 하락  1인당 자본증가율에 영향 1인당 자본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투자 = 감가상각률 하락 : 1인당 자본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투자 감소 처음 1인당 자본의 증가량 = AB 새로운 정상상태로 수렴(BC)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감가상각률 하락의 효과 감가상각률 하락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1인당 산출량이 일시적으로 증가  새로운 정상상태에서 다시 증가율이 0이 됨 1인당 생산함수 및 투자함수 변동 없음 1인당 소비는 항상 증가 : 가 자본량 증가함에 따라 단조롭게 증가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증가율 증가의 효과 인구증가율 증가의 효과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1인당 자본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본량 증가 : 1인당 자본량이 초기 정상상태에서 감소 : 초기 1인당 자본량 감소분 = AB 새로운 정상상태 도달 초기 정상상태보다 자본량이 감소함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증가율 증가의 효과 인구 증가율의 증가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정상상태의 자본량 감소  1인당 소득, 소비, 투자가 단조롭게 감소 감가상각률이 증가할 때와 같은 효과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멜서스의 인구론 멜서스(Thomas R. Malthus), 인구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 인구 증가 : 물질적인 제약에 달려 있음 가정 : 인간의 생물학적인 재생산 능력이 물질을 생산해 내는 능력을 초월  재생산에 제약이 없을 경우,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식량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  최소한의 소비가 필요하므로, 인구증가는 식량 생산에 의해 제약됨 부정적인 견제(negative check) : 도덕적인 절제를 통해 출산율을 낮춤 긍정적인 견제(positive check) : 전쟁, 질병등으로 인해 사망률을 높임 멜서스의 덫(Mathulsian trap) 1인당 소비가 생존수준(subsistence level)으로 하락 부정적인 견제/긍정적인 견제를 통해 덫으로부터 탈출 가능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멜서스의 인구론 자녀에 대한 관점 인구의 장기균형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미래에 노동을 제공하는 자본재 : 정신적 보상을 주는 대상이 아님 자녀를 생산하는 비용이 일정하다고 가정 노동에 대한 수요 증가  자식으로부터의 기대수익> 비용  출산율 증가 미래에 기대되는 노동수요 증가 : 인구의 장기균형으로부터 벗어나게 만드는 요인 인구의 장기균형 생존 임금(subsistence wage) : 인간이 생존을 겨우 유지할 수 있을 만큼 낮은 임금 장기균형 : 임금 수준이 생존 임금일 때 달성  (인구, 실질임금) 평면에서 인구 장기 공급곡선은 수평 (실질임금) > (생존임금)  부정적인 견제의 감소  인구 증가, 실질임금 하락 (실질임금) < (생존임금)  긍정적인 견제 작용  인구 감소, 실질임금 상승  임금의 철칙(iron law of wages) : 임금의 생존비설(subsistence theory of wages)에 바탕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멜서스의 인구론 영향 사회에 대한 전망과 비판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리카도(David Ricardo) 멜서스의 인구 공급곡선 수용 노동에 수확체감의 법칙 적용  식량 생산의 산술급수적 증가를 설명 밀(John S. Mill), 마샬(Alfred Marshall) 경제 발전을 위해 정부정책이나 교육, 종교적•도덕적•법적 압력 행사 주장 출산율을 낮추는 부정적인 견제(negative check)가 필요하다고 주장 사회에 대한 전망과 비판 인간이 가난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다고 예견함 역사적으로, 예견이 현실화 되지 않음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생활 수준이 향상됨 비판 인간의 창의력 과소평가 출산 조절 기술의 진보를 과소평가 (산아제한의 기술진보)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와 기술진보 인구규모와 경제성장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쿠즈네츠(Simon Kuznets) 인구가 많을수록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 많은 인구  경제성장을 촉진시키는 혁신(innovation)의 가능성 높아짐 인구가 완만하게 증가할 때가 인구증가율이 아주 낮을 때보다 장기적으로 더 나은 경제성장 이룩 인구가 감소할 때 경제성장이 부진하다고 주장 리벤스타인(H. Leibenstein) 산아제한의 역효과 산아제한정책  생산성이 높은 중산층에 주로 영향 미침 높은 인구증가율  생산성이 높은 젊은 노동자들이 노령 노동자 대체  경제의 노동의 질 개선 크리머(Michael kremer) 인구 규모의 확대  기술진보 가능성 높아짐  1인당 소득 성장률의 증가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와 기술진보 인구 규모가 크면 기술진보의 가능성 증가로 인해 총산출량 증가하고, 생존비 수준에서 부양할 수 있는 인구 증가 크리머의 실증분석 세계 경제 성장률이 인구 규모와 함께 증가 인구 규모가 기술진보 촉진 구대륙, 신대륙간의 경제성장률들을 비교함으로써 인구 규모가 기술진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줌 현대에서의 인구문제 사회보장제도의 설계 및 유지의 중요성 부각 출산율 문제의 내생화 인구 규모가 크면 기술진보의 가능성 증가로 인해 총산출량 증가하고, 생존비 수준에서 부양할 수 있는 인구 증가 (멜서스 + 크리머)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 증가율의 내생성과 빈곤의 덫 인구 증가율에 대한 견해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쿠즈네츠 & 크리머 처음 소득이 낮은 수준에서 인구증가율 낮게 유지됨 소득 증가와 함께 인구 증가율 증가 소득이 높은 수준에서 인구 증가율 감소 넬슨(Richard R. Nelson) 쿠즈네츠와 크리머의 인구증가율에 대한 모양을 처음으로 가정 인구 규모와 기술진보 사이의 상관관계 존재하지 않음 여러 개의 정상상태 존재 가능성 대두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 증가율의 내생성과 빈곤의 덫 빈곤의 덫(poverty trap, Malthusian trap) 인구 증가율이 1인당 자본량에 따라 내생적으로 결정될 경우, 한 번 낮은 소득의 정상상태에서 균형을 이루면, 그 균형을 벗어나기 어렵게 됨 여러 개의 정상상태가 존재 1인당 자본의 변화 : Case 1) Case 2) Case 3) Case 4)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인구 증가율의 내생성과 빈곤의 덫 빈곤의 덫(Continued) 균형의 안정성 : 안정적 균형 : 불안정적 균형 투자의 큰 충격(big push) : 초기 균형이 일 때, 그로부터 벗어나 높은 1인당 자본량 수준인 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인당 자본량이 를 초과할 수 있는 많은 투자가 필요함 빈곤의 덫 & 큰 충격 이론  후진국들의 빈곤을 설명하는 이론적 기반이 됨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축적의 황금률 저축률의 증가  소비의 감소와 증가를 동시에 가져옴 : 순 효과는 불분명 1인당 소비 : 경제적인 후생수준 결정 정상상태의 소비와 황금률 정상상태의 1인당 자본량 : 저축률의 변화에 따라 정상상태의 소비가 변화 저축률 정상상태자본량 소비량 AB CD EF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축적의 황금률 소비  저축률에 의존 (1인당 소비) = (1인당 산출) – (1인당 저축) 황금률 수준의 자본량 (golden rule level of capital)  정상상태의 소비를 극대화 하는 1인당 자본량 황금률 수준의 자본량 도출 정상상태의 자본이 추가적으로 한 단위 증가 할 때의 소비 변화 소비 극대화 조건 :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축적의 황금률 황금률(Continued)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B점에서 1인당 생산함수의 기울기 AB>CD, AB>EF 가 성립 정상상태자본량 소비량 CD AB EF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축적의 황금률 황금률과 저축률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황금률 수준의 자본량이 솔로 성장모형에서 자동적으로 달성되지 않음 저축률 조정을 통해서 황금률 수준의 자본량을 달성 가능 저축률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축적의 황금률 Example :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생산함수 : 황금률 수준의 1인당 자본량 황금률 수준의 1인당 자본량을 보장하는 저축률 두 식으로부터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의 과다 축적과 동태적 비효율성 자본의 과다 축적  자본의 과다축적 저축률 감소 의 영향 정상상태 변화 : 소비량의 변화 (1) 처음 정상상태에서 AB만큼 소비 증가 (2) 전이경로에서 소비증가 (3) 새로운 정상상태에서 극대화된 소비량을 누림 (황금률 자본량 달성)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의 과다 축적과 동태적 비효율성 자본의 과다 축적 소비와 투자 및 자본 변화량의 시간 경로 저축률 감소 시 황금률 수준보다 높은 수준으로 증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황금률 수준으로 수렴함 전이경로에서 처음의 정상상태보다 소비 수준이 높고, 새로운 정상상태 도달 후의 소비 역시 증가됨 자본 변화량 저축률 감소 시, 일시적으로 음이 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새로운 정상상태로 수렴) 0이 됨 투자 저축률 감소 시, 즉각적으로 소비 증가량 만큼 감소 황금률 수준으로 수렴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의 과다 축적과 동태적 비효율성 동태적 비효율성(Dynamic Inefficiency) 자본의 과다 축적이 존재하는 경우, 아무런 비용 없이 소비 증대 가능 즉, 저축률 감소를 통해 비용 없이 소비 증가라는 편익만 발생 최적적이지 못한 정상상태 균형 (suboptimal steady state equilibrium) 발생 원인 모형이 공급측면만 고려함 효용의 흐름을 극대화하는 최적화의 주체(optimizer)가 존재하지 않음 최적성장이론(Optimal growth theory) 등장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의 과소 축적과 조정 자본의 과소 축적  자본의 과소축적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저축률 증가 의 영향 정상상태 변화 : 소비량의 변화 (1) 처음 정상상태에서 AB만큼 소비 감소 (투자 증가) (2) 새로운 정상상태에서 극대화된 소비량을 누림 (황금률 자본량 달성)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의 과소 축적과 조정 자본의 과소 축적 소비와 투자 및 자본 변화량의 시간 경로 저축률 증가 시 일시적으로 하락 시간이 경과하면서 황금률 수준으로 수렴(증가)함 초기에 저축률 증가로 인한 소비의 감소(희생)이 발생함 자본 변화량 저축률 증가 시, 일시적으로 양이 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새로운 정상상태로 수렴) 0이 됨 투자 저축률 증가 시, 즉각적으로 소비 증가량 만큼 증가 황금률 수준으로 수렴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자본의 과소 축적과 조정 자본의 과소 축적 시, 황금률 수준으로의 조정 저축률이 황금률 수준에서의 저축률보다 낮기 때문에 저축률의 증가가 필요 저축률 증가로 인해 소비가 초기 정상상태보다 하락하였다가 증가 소비가 황금률 수준으로 이동할 때 초기에 ‘소비 감소’ 라는 비용이 발생 동태적 비효율성이 존재하지 않음 (소비 감소라는 비용이 나타나기 때문에) 황금률 수준으로 이동하는 것이 반드시 후생을 증가시킨다고 할 수 없음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황금률과 거시경제정책 정부의 개입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 솔로 성장모형 : 경제가 황금률 수준을 자동으로 조정되어 가는 기제(mechanism)가 없음 정상상태 균형과 황금률 수준이 다를 경우, 정부 개입을 통한 후생증대 가능 자본의 과다 축적 시(동태적 비효율성 문제 발생 시) 저축률을 낮추는 정책 필요 황금률 수준의 전이경로에서 소비 증가 새로운 정상상태(황금률 수준의 정상상태)에서의 소비(후생) 역시 증가 자본의 과소 축적 시 저축률 조정에서의 비용을 고려해야 함 (초기의 소비 감소) 저축률 증가  미래 세대의 후생수준 증가, 현재 세대의 후생수준 감소 세대 간 소득 재분배 문제 발생 각 세대의 후생에 대한 가중치에 의해 정부 정책 결정 제 14 장 솔로 성장모형 MACRO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