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협상 동향 2008.10.17(금).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7 장 노인가족과 가족복지 당신은 노인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 당신이 가깝게 생각하는 노인은 누구인가 ?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그리고 그 노인이 당신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나 당신의 삶에 끼친 영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당신은.
Advertisements

한국사회 변화와 한국경제 위기 진단 전환기에 변화의 키워드를 찾아내는 것은, 극히 변덕스러운 여름에 정확한 날씨를 예측하는 것 보다 훨씬 어렵고, 대규모 지진이 한차례 휩쓸 고 지나간 지역의 변화 무쌍한 여진을 제대로 알아내는 것 만큼 무모하다 !!
“ 당신은 어떤 노년을 꿈꾸십니 까 ” 노후를 보장하는 기초연금 알아보기 복지여성보건국 ( 노인장애인복지과 )
1 산별노조 ! 갈까 말까 ? 2007 년 9 월 3 일 LG 화학노조 간부교육. 2 민주노조 건설 후 우리 삶의 변화  살 만 하십니까 ? 집도 있고, 아이들 공부도 시키고, 차도 중형급 이상 몰고 다니고 …. 회사도 잘 다니고 … 그런데도 어쩐지 … 좀.. 불안하시죠.
년 경제전망 1 경제대응 역량강화 및 경제영토 확장 정책비전 및 추진전략 · 과제 2 민생경제 안정 일자리 창출 인프라 구축 금융도시 육성 산업단지 조성 도시농업 활성화 2.
우리나라 전체 식량자급도 2007 년 6 월 20 일 동아일보 2007 년 7 월 11 일 중앙일보.
멀티미디어 신기술 세미나 지구 온난화 허찬욱. 목차 지구 온난화란 ? 지구 온난화의 영향 교토의정서 지구 온난화의 대응사업 ( 정부, 기업 ) 지구 온난화의 대책 ( 국민 )
한국행정사 과제 한국 과거 현대정부에 대해 조사하기. 순서 1. 문민정부 ( 김영삼 ) 2. 국민정부 ( 김대중 ) 3. 참여정부 ( 노무현 )
사회학과 김은희. 1. 저출산의 원인 2. 저출산 대책의 현황과 문제점 3. 저출산 제고 대책 5. 저출산 시대의 대처방안 4. 외국의 사례.
4 월 노동자 건강권 쟁취의 달 민주노총 노동안전보건위원 회 4 월은 산재사망 노동자를 추모하는 봄 4 월은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 하는 봄.
대 단원 : I. 가정생활의 설계 중 단원 : 2. 나의 생활 설계 소 단원 : (3) 나의 결혼 설계.
GHG Inventory Verification Process
공공의료 한국의료의 ‘미운 오리새끼’ (목) 김 용 익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여성 고용에 대한 기업의 사례) 아시아나항공 주식회사.
교통안전홥확보정책 전병용.
차 례 I. 전자상거래 분쟁의 특징과 유형 II. 전자상거래 분쟁해결 절차 III. 대표적 분쟁사례 및 그 해결.
From the Blue Sky To the Blue Ocean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2016년 7월1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232.12원/l (7월3일~7월9일) α
2013년 6월 1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696.35원/l (6월2일~6월8일) α
한국 원자력 정책의 네 가지 쟁점 경북대학교 진상현
역량평가아카데미 과 목 교 육 내 용 피 드 백 Oral Presentation (보고자료 작성 및 발표 ) Role-play
재가(독거)노인 결연 사업 중심 보건복지부 노인지원과장 안 창 영 보건복지부.
대통령비서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기획단
세계경제 트렌드와 에너지 이슈 2016년 10월 18일 온기운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일자리 창출과 노동시장 개혁: Job Sharing을 넘어서 Black Swan/ 인식의 범위 밖에 있음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상황에 대비하여 생각하고, 준비해 놓은 것이 있는가? 지금 당신은 몇 살인가?
발전소를 지어라 만든 사람: 서 가 윤, 류경민, 김기현, 전현재, 이호준, 선생님들….
자기 소개서 정보네트워크 임윤택.
사회의학연구소 의사 타무라 아키히코(田村昭彦)
기후변화 대응 국제사회 추세 및 2009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전망 외교통상부
주 무 현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 지역고용사업의 주요 동향 주 무 현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
장자의 핵심사상 중국인의 사상과 지혜 제9주.
공공의료 한국의료의 ‘미운 오리새끼’ 김 용 익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경제활동인구조사 1997년 실업률 조사의 설계 표본추출방법 가중치 부여 표준오차 편의
터프북                   CF-29 CF-18.
국제무역환경.
BONN CLIMATE CHANGE TALKS
포스코의 기후변화협약 대응
ISO/TS 품질경영시스템
기후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최광림 팀장.
G20에 관한 NIE 지구촌 정상들의 모임 년 월 일 학년 반 이름
국토계획 및 도시개발법령 환경부 국토환경정책과.
COPYRIGHT ⓒ ecosense ALL RIGHTS RESERVED.
만 원 100 % 근로자 월평균 가구 소득 (2인 이상 가구) 자영업자 월평균 가구 소득
장애인복지 정책.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5 가을학기 제14주(1)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서울시민 복지기준』설정 청책워크숍 서울시민복지기준설정 추진위원회.
나이로비 유엔 기후변화 결과 및 대응방향 일자 : (금) 장소 : 전경련 대회의실 환경과학협력관 김찬우.
자유주의 여성운동 사회주의 여성운동 급진적 페미니즘 한국의 여성운동 한국 여성노동
50 % 남성 여성 천체 남성 흡연율.
Recommendations for Policy Options
CDM사업 인증사업 안내
PART 한국에서 추락하는 7가지.
최근 사회복지정책/법 동향이해 및 실천방안 모색
CHAPTER 06 청소년의 행동문화 : 폭력(따돌림), 위험행동, 참여.
에너지자원을 둘러싼 인류의 갈등 박구용 이 은.
저탄소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의 과제 - 환경과 경제의 동반성장을 중심으로 -
PI 추진 시 Change Agent의 역할.
화학물질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 설명 대구지방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부패행위 신고와 보호 보상제도 이 지 문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 부대표.
부패행위 신고와 보호 보상제도 이 지 문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 부대표.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런 직업도 있어요^^ 감성인식기술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5.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01.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 02.국경을 넘는 환경 문제 03. 일상생활과 환경 문제
제11장 환경규제.
8강. 투르크메니스탄.
International Finance
제12장 환경문제와 환경법.
Presentation transcript:

기후변화 협상 동향 2008.10.17(금)

Ⅰ 기후변화 Regime Ⅱ Post-2012 협상동향 Ⅲ Post-2012 주요쟁점

Ⅰ. 기후변화 Regime 기후변화협약 주요내용 기본원칙(협약 제3조) -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 및 능력에 입각한 의무부담     -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 및 능력에 입각한 의무부담     - 개발도상국의 특수사정 배려     - 모든 국가의 지속가능한 성장 보장 등 공통의무사항 : 모든 당사국     - 온실가스 배출저감시책의 자체적 수립․시행     - 국가보고서 작성․제출(3,4년 주기) 특정의무사항 : 부속서Ⅰ․Ⅱ국가로 구분, 각기 다른 의무 부담 규정     - 부속서Ⅰ국가 : 온실가스 배출량을 ’90년 수준으로 안정화 노력(비구속적)     - 부속서Ⅱ국가 : 개도국에 대한 재정 및 기술이전의 의무      ※ 부속서Ⅰ국가 : OECD 24개국 및 동구권 11개국 등 총 40개국과 EU          부속서Ⅱ국가 : 부속서Ⅰ국가에서 동구권국가 제외, OECD 24개국과 EU          비부속서Ⅰ국가 : 당사국 중 감축 의무부담이 없는 국가로 주로 개도국 (OECD 국가중 한국․멕시코만 포함)

Ⅰ. 기후변화 Regime 교토의정서 의의 및 주요내용 교토의정서 의의 : 기후변화협약의 시행령 성격(’05.2월 발효)     -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총회(‘97년)에서 채택되어 온실가스 감축목표 구속력 부여   주요내용  ① 선진국의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규정    - 대상국가 : 협약 부속서Ⅰ국가 40개국 중 ‘97년 당시 협약을 비준한 38개국 (터키와 벨라루스 제외)과 EU ※ 미국은 교토의정서 비준거부    - 감축목표 : 제1차 공약기간(’08-’12년)중 온실가스 배출량을 ‘90년 수준대비 평균 5.2% 감축하되 국가별로 차별화(-8%~+10%) ※ 미국( -7%), 일본(-6%), EU(-8%), 러시아(0%), 호주(8%) 등    ② 교토메카니즘 도입 - 의무이행 수단으로 청정개발체제(CDM), 배출권거래제(ET), 공동이행제도(JI) 등 시장원리를 바탕으로 한 시장메카니즘 도입

Ⅱ. Post-2012 협상동향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Regime) 논의 사항 교토의정서 1차 공약기간(08-12)의 종료 - 선진국의 추가 감축의무 설정 필요 현 교토의정서 체제의 한계 극복 필요 - 미국 불참으로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30%만 규제 보다 포괄적인 기후변화 체제 형성 추구 -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 및 이전, 재원조성, 산림 황폐화 분야 등 망라 IPCC 4차 보고서(AR4)에 따른 새로운 과학적 사실 대두

Ⅱ. Post-2012 협상동향 선개도국 입장 및 논의내용 Post-2012 협상관련 선진국과 개도국 입장 선진국 : 공동비전, 부문별 접근 등을 통한 개도국의 감축참여 유도 개도국 : 선진국의 재정기술 지원의 우선논의 주장 최근 논의내용 개도국 참여를 위해 개도국을 선진 개도국여타 개도국 등으로 세분화 경향 부문별 접근 즉,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및 부문별 감축방안 논의

Ⅱ. Post-2012 협상동향 Post-2012 협상 Framework Major Economies Meeting

Ⅱ. Post-2012 협상동향 협상관련 각국 입장 선진국그룹(Umbrella Group) 개도국그룹(G77 + 중국) 일본, 호주는 개도국 세분화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면서 OECD 회원국 중에 부속서1 국가가 아닌 국가(한국, 멕시코)의 부속서1 참여 또는 이에 상응하는 구속적 의무 부담을 요구 개도국그룹(G77 + 중국) 발리행동계획의 협상 mandate는 기후변화협약의 완전하고 종합적인 이행을 위한 것이며, 일부 선진국의 부속서1 국가재편 논의보다는 선진국의 확실한 재원기술이전에 대한 의무를 요구 유럽연합(EU) 선발개도국(advanced developing countries)은 BAU에서 상당한 감축과 최빈개도국이나 군소도서국 이외의 개도국 세분화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노력에 대한 sectoral crediting과 trading 제안

Ⅲ. Post-2012 주요쟁점 NAMA (Nationally Appropriated Mitigation Actions) 발리행동계획 결정문 1/COP 13, 1.(b).(ii) 제13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에서 개도국 감축참여 관련 내용 합의 “기술, 재정 및 능력형성 지원에 의한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측정, 보고, 검증 가능한 방법(MRV)으로 국가적으로 적합한 감축 행동” 이에 한국은 지난 6월 28차 기후변화 부속기구회의 및 8월 아크라 기후변화 회의에서 개도국 NAMA에 대한 Credit 부여방안을 공식적으로 제의 NAMA 필요성 개도국을 부문별 접근에 참여시키기 위한 현실적 대안 - 일률적인 목표(target)나 기준(standard) 설정 대신 인센티브를 제공 인센티브로 부문별 감축행동에 대해 탄소Credit 제공으로 탄소시장 활성화 개도국의 탄소Credit 판매와 선진국의 구매(Deeper Cut)를 통한 기술과 자본 효율적 이전 가능

Ⅲ. Post-2012 주요쟁점 SA (Sectoral Approach) 부문별 접근방식 개요 모든 국가의 한 부문별 감축량 설정으로 국가간의 경쟁력 저하 우려를 방지하는 Post-2012 협상에서의 의무 부담방식 중 하나 분야별 목표량을 모든 국가에 적용하는 것은 기후변화협약의 차별화된 공동의 책임원칙을 위반할 수 있는 가능성 내재 현재 변형된 형태로 역사적 형평성을 고려한 부문별 접근방식이 제안 쟁점사항 (아크라 기후변화회의 SA 워크샵 내용) 개도국 입장 - 공통의 차별화된 책임 원칙 반영 - 국가별 상이한 여건 고려 - 선진국의 국가목표 대체가 아닌 보완(complementary) 수단일 것 - 국제 단일 표준설정방식의 배제, SA가 개도국에 대한 기술 이전의 채널 활용 선진국 입장(일본 등) - SA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상당한 잠재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국제적인 에너지 효율 표준의 설정, 기술 협력, MRV 등 강조

Ⅲ. Post-2012 주요쟁점 No Lose Target No lose Target 개요 최근 논의사항 상대적으로 약하게 설정된 절대목표량으로 목표량 초과달성 시 판매 가능하나 목표량의 달성의무는 없음 과거의 교토의정서가 ‘no regret’에 근거한 반면 최근 ‘no lose target’의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 최근 논의사항 Sectoral no-lose target (CCAP) - 개도국의 자발적인 부문별 no-lose target 설정(예. 에너지 집약도 감축목표)으로 Technology & Finance 지원 가능 최근 논의되고 있는 개도국의 자발적 감축노력(NAMA)에 대한 Credit 부여방식과 Extended CDM은 no lose target의 설정방식을 활용하여 추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