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기 고창영 염기웅 최현우 이영구 안순홍.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측정 시스템 분석. 측정 시스템 분석 (Data Collection) PURPOSE: 측정 시스템의 신뢰 정도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제시 OBJECTIVE: 1. 측정시 발생하는 변동의 요인을 이해하고 명확히 한다. 2. Minitab 으로 Gage R&R Study 를.
6 시그마 GB 자격증 과정 논리적 과학적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 프로젝트 수행능력 확보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및 기업 입사지원시스템 검색 / 등록 가능한 자격증 We know the company & Job [ 서울본사 ]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난초빌딩 4.
-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 삼성 6 시그마아카데미 DMAIC 기본 Tools DMAIC 기본 Tools 대외비 Green Belt 교재 ( Ⅱ )
0 참가안내참가안내 ◀ 일 시 : 6 월 27 일 ( 월 ),28 일 ( 화 ),29 일 ( 수 )/ 3 일간 ◀ 장 소 : 본원 서울 연수 센터 ◀ 강 사 : 본원 수석컨설턴트 - 품질관리, 품질경영의 국내 최고 권위자 - 삼성전자, 삼성테크원,LS 전자, 현대중공업등.
한림대학교 2012 년도 핵심직무 취득과정 제안서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장호 B/D 4F T F 맞춤형 취업 경쟁력 제고 !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핵심인재 육성.
Champion/BB/GB 상세 Curriculum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주)금성정공 Single PPM 테마활동 추진사례
Ⅳ. Improve Ⅳ. 개선(Improve) (1) 실험계획법 핵심요약 (2) 22 실험계획법 (3) 23 실험계획법
3일차 - 가설검정.
경영혁신 전략경영 경영혁신.
1. 활동 목적의 비교 Six Sigma의 목적은 산포를 줄여 제품 및 서비스의 결과가 완벽하게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임
요약: 염기웅, 서경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경영학과 6시그마전공
Ⅱ. 측정(Measure) (2) Gage R&R (Crossed) – ANOVA 방법 [1] Data 입력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6 Sigma 개선 프로세스 6 Sigma 개선 기대효과 6 Sigma 개선 필요성 6 Sigma의 전사적 추진전략
UNIT 15 Timer & Watch Dog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6 Sigma Pilot Project APC 검사 신뢰성 향상 1. Pilot Project 추진 목적
DFSS와 DMAIC와의 비교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변화혁신 [ 연구소 DFSS 도입 검토를 위한 자료 ]
Lean Six Sigma 도입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시스템경영학부 산업공학 전공 이 은 정
알기쉬운 DMAIC/DFSS Concept 6.
1. 지도업체 개요 1-1. 선정배경 1-2. 연 혁 ㈜화동은 Rotary Compressor용 부품을 제조하는 정밀가공 전문업체로 다양한 정밀가공설비를 보유하고 있어 고객의 NEED에 항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및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기술개발, 우수인력.
Review 논문 명 : 중소기업을 위한 6시그마 모형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Medical Instrumentation
1. 6시그마의 개요.
I.3 실험계획법 1 I.3 요인배치법.
2조 통계학교 Report 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경영학과 2조 ▷ 유 성 우 김 성 환 권 석 권 혁 범 박 재 득 김 영 순.
DFSS를 적용한 기능성 유형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공정능력과 공정실적.
일(Work)과 역학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
6시그마 경영개념 소개.
8차시: 측정시스템 분석(MSA) 학 습 목 표 학 습 내 용 1. 측정시스템 분석(MSA) 개념 이해
모의 과제 실습 1.
6시그마 그린벨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요약) 2006년 5월 20일 손 동 진 논문이력
일반물리 General Physics 6 장 운동량과 충돌.
Deformity Correction Simulation
TPM 과 Six Sigma 연계를 위한 활성화 방안
TPM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6시그마 적용 방안 연구
▣ Horizontal Stopper Cylinder
10장 고정축에 대한 강체의 회전.
주제 : TOC 후가공 In Line 타당성 검토
DMAIC Template (제조).
경영혁신 방법론 6시그마 활동이란 무엇인가 ?.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 결과
Modeling one measurement variable against another Regression analysis (회귀분석) Chapter 12.
(independent variable)
6 Sigma 테마 Guideline.
현장관리 모범 사례.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단순회귀분석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Project Leader [DMAIC] : O O O.
제4장 검사 및 품질인증 II Topic: 품질관리 Q: 대량생산되는 부품의 품질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운동법칙과 운동량 힘(force) - 물체에 변형을 일으키거나 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크기, 방향)시키는 원인
Result of Coilgun Simulation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Modeling one measurement variable against another Regression analysis (회귀분석) Chapter 12.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최소의 실험 횟수에서 최대의 정보를 얻기 위한 계획방법 분석방법: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CH3. 데이터의 기초적 정리방법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 (Population) , 표본 (Sample, 시료) 그림 3.1
6시그마및품질관리 과제 – Measure의 적용.
CH3. 데이터의 기초적 정리방법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 (Population) , 표본 (Sample, 시료) 그림 3.1
프로젝트 실행 오류와 해결.
Work SMART, Smart CammSys
Presentation transcript:

투석기 고창영 염기웅 최현우 이영구 안순홍

D0.Define 목차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D1 문제의 정의

D1.문제의 정의 더 멀리!!! 5m 이상 더 정확히!!! ±5cm 이내

D2.현수준 및 문제점 파악 주요인자 Setting치 볼의 위치 6 후면 고무줄 핀 4 당김각 180도 투석기 정지 위치 3 No. 고창영 염기웅 최현우 이영구 안순홍 1 200.0 201.0 190.0 197.0 2 198.0 202.0 195.0 3 198.5 199.0 4 200.2 197.5 194.5 5 199.2 204.0 196.0 196.5 6 198.3 199.5 201.5 195.5 194.0 7 200.5 203.5 8 199.7 9 198.7 10 201.2 주요인자 Setting치 볼의 위치 6 후면 고무줄 핀 4 당김각 180도 투석기 정지 위치 3 전면고무줄 위치

D2.현수준 및 문제점 파악 분석결과 -평균거리: 198.4cm -표준편차: 2.7cm -관리도분석결과 일부가 관리상태에서 벗어나고 있음 -정규성 분석결과 P-value=0.772로 정규분포함. 분석결과

D2.현수준 및 문제점 파악 2.73시그마 중심치 및 산포 개선이 필요함

M0.Measure 목차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M1 시스템 원리의 이해 M2 Process Map M3 C&E Matrix M4 Logic Tree M5 측정시스템 분석 M6 현수준 및 목표 설정 M7 4 Block Diagram

M1.시스템의 원리 이해 투석기의 에너지 변환 메카니즘 θ ■ 원리(에너지 보존 법칙) ; 에너지 in = 에너지 out V2 ■ 각 에너지의 크기 ① 고무줄의 탄성 에너지 = ½*K*X2 ; (K :탄성계수, X : 고무줄의 늘어난 길이) ② Arm의 회전 에너지 = ½*I*ω2 (I : 관성모멘트, ω : 회전각속도) ③ 공의 운동 에너지 (충돌 전): ½*m*V12= ½*m*(r*W)2 (m : 공의 질량, r : 회전 반경) ④ 공의 운동 에너지 (충돌 후) : ½*m*V22 (m : 공의 질량, V2 : 공의 발사 속도) 고무줄의 탄성 에너지 Arm의 회전에너지+공의 위치에너지 공의 운동에너지+공의 위치에너지+기타에너지 기타 (Arm과 Stopper의 충돌에 의한 소리 에너지, 열 에너지, 쿠션 변형 에너지 등.)

M2.PROCESS MAP 투석기 System 1)상위 PROCESS MAP INPUT OUTPUT 사 람 투석기 거리 사 람 투석기 고무줄/골프공 투석방법 거리 투석기 System 정확도 진동 풍향/풍속 온도

M2.PROCESS MAP 2)하위 PROCESS MAP Input Process Output Input Process -사람 -줄자 -기록Sheet -즉정방법 U C 투석지점 확인 -거리 -방향 -볼컵의 지름 -볼컵의 깊이 -볼의 지름 -볼의 무게 C 골프공 SETTING -볼컵과 볼의 밀착력 -볼컵의 위치 -후면고무줄핀 위치 -투석기 정지위치 -전면 고무줄핀 위치 -전~후면핀고무줄 길이 C 투석 조건 SETTING -목표조건 SETTING값 -발사자 -발사시간 -발사자세 -발사도구 -ARM~고정핀의유격 C 발사한다 -발사 볼의 속도 -발판 고정 위치 -발판과지면간접촉면적 -발판고정 중량 C 투석기를 고정시킨다 -지면과 조정력 -사람 -줄자 -기록 Sheet -측정방법 C 착지점을 확인한다 -위치, 정확도 -ARM당김각도 -ARM의 당김방법 C ARM을 당긴다 -고무줄 장력

M3.C & E Matrix / 예비인자(Xs)선정 후면 고무줄핀 위치 투석기 정지 위치 전면 고무줄핀 위치 전면핀~후면핀 고무줄 길이 발판과 지면간 접촉 면적 발판 고정 중량 ARM 당김 각도 발사자 발사 시간 발사 도구 볼컵의 지름 ARM과 고정핀간 유격 12개 예비 인자

M4.Logic Tree CTQ Y CTQ y X인자 투석거리 탄성력-(고무줄길이) 관성력-(축으로부터의 길이) ARM당김 각도 전면 고무줄핀 위치 후면 고무줄핀 위치 투석기 정지 위치 관성력-(축으로부터의 길이) 홀컵의 위치 Stopper 위치 당김각 각도 충격력-(동하중) Stopper위치 당김각 각도 정확도 앞/뒤 마찰력-(ARM-Guide유격) ARM과 고정핀간 유격 발사자/ 발사도구 탄성력-(고무줄 길이) 발사대기시간 전면핀의 회전수 좌/우 유격(1)_볼↔컵간 유격 볼컵의 지름 / 볼컵의 깊이 ARM고정핀간 유격 발사자/ 발사도구 유격(2)-ARM유격 완충력-(투석기 이동 거리) 발판고정중량 지면과 발판간의 접촉 면적

M5.측정시스템 분석 -Gage name : 줄자 -측정자: 이영구, 안순홍, 최현우 -샘플수 : 10 EA -반복 측정수 : 2회 -측정값 : 투석거리 Gage R&R Study - ANOVA Method Gage R&R StdDev Study Var %Study Var %Tolerance Source (SD) (5.15*SD) (%SV) (SV/Toler) Total Gage R&R 0.07385 0.3803 3.46 3.80 Repeatability 0.06055 0.3118 2.84 3.12 Reproducibility 0.04227 0.2177 1.98 2.18 operator 0.00000 0.0000 0.00 0.00 operator*sample 0.04227 0.2177 1.98 2.18 Part-To-Part 2.13197 10.9796 99.94 109.80 Total Variation 2.13325 10.9862 100.00 109.86 Number of Distinct Categories = 41 %Tolerance(SV/Toler)값이 3.80%로 측정시스템 양호하고, Number of Distinct Categories가 41로 측정능력 있다고 판단된다.

M6.현수준 및 목표설정 Y1(거리) 17.7σ Y2(정확도) 3.39σ 현 수준 목표 수준 σ수준 3.39σ 6.00σ

A B C D M7.4 BLOCK DIAGRAM Y1 Y2 POOR 현수준: 개선 활동의 방향: 3.0 A B C D 현수준: 개선 활동의 방향: -Y1: 공정관리 향상 FOCUS -Y2: 기술력 향상 FOCUS Y1 Process Control 2.5 CTQ y Zst Zlt Zshift 거리 18.7 16.2 2.5 정확도 4.38 3.39 0.99 2.0 Zshift 1.5 Y2 1.0 0.5 GOOD 1 2 3 4 5 6 POOR Zst GOOD 수행능력(Performance)

A0.Analyze 목차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A1 FMEA(즉실천) A4 예비 VITAL FEW선정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A1. FMEA(즉실천) 통계적 분석:5개 즉실천:9항목

A2. 공정능력 분석 10.38 시그마

A3. 유의차 검증 X 인자 가설 실험 조건 검정 방법 P-value 검정 결과 조건 1 조건2 후면고무줄핀 위치 후면고무줄핀 위치는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가 1 4 t 검정 0.000 유의하다 F 검정 0.005 투석기정지위치 투석기정지 위치는 거리에 0.744 유의하지 않다 전면고무줄핀 위치 전면고무줄핀 위치는 거리에 0.061 Arm 당김 각도 Arm 당김각도는 거리에 130 150 0.487 발사시간 발사시간은 거리에 3 8 0.027

예비VITAL FEW : 5개항목 선정!! A4.예비 VITAL FEW선정 예비 VITAL FEW 1) 후면고무줄핀 위치 2) 투석기정지위치 3) 전면고무줄핀 위치 4) Arm 당김 각도 5) 발사시간

I0.Improve 목차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I1 SCREEN DOE I2 Vital Few 선정 I3 최적 실험 I4 최적 조건 설계 I5 최적 조건 공정 능력 I6 회귀 분석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Screen DOE I1-1. Screen DOE MODEL 제어 인자 투척 거리 정확도 잡음 인자 F-PIN 위치 STOPPER 위치 ANGLE 발사 대기 시간 B-PIN 위치 투석기 Screen DOE 볼 고무줄 투척 거리 고정대 투석자 정확도 발사 방법 에너지 잡음 인자 진동 온도 풍향 풍속

I1-2. Screen DOE 실험 계획 ▶ 실험 목적 : 인자별 수준에 따른 투척 거리 변동 큰 인자 도출 => Vital Few 도출 ▶ 실험 방법 : L8 (25) 부분 실험법 인자 구분 수준 1 수준 2 비 고 1 F – PIN 위치 4 1. 반복 없슴 2. 5인자 2수준 2 B – PIN 위치 5 3 Stopper 위치 ANGLE(O) 140 170 발사 대기 시간(초) 8

I1-3. Screen DOE 실험 결과 분석 1.분석 결과 -주효과는 유의차가 있다 : 당김각, 전면핀위치, 후면핀위치 Fractional Factorial Fit: 결과 versus F-PIN, B-PIN, STOP, ANGLE, TIME Estimated Effects and Coefficients for 결과 (coded units) Term Effect Coef SE Coef T P Constant 219.41 10.83 20.25 0.002 F-PIN 160.12 80.06 10.83 7.39 0.018 B-PIN 145.82 72.91 10.83 6.73 0.021 STOP -55.88 -27.94 10.83 -2.58 0.123 ANGLE 224.42 112.21 10.83 10.36 0.009 TIME -29.57 -14.79 10.83 -1.37 0.306 Analysis of Variance for 결과 (coded units) Source DF Seq SS Adj SS Adj MS F P Main Effects 5 202536 202536 40507.3 43.1 0.023 Residual Error 2 1878 1878 938.8 Total 7 204414 1.분석 결과 -주효과는 유의차가 있다 : 당김각, 전면핀위치, 후면핀위치 - 교호 작용은 유의차가 없다

I2. Vital Few 선정 X 인자 가설 실험 조건 검정 Screen DOE 결과 조건 1 조건2 구분 P-value B-PIN 위치 (후면 고무줄핀) 후면고무줄핀 위치는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가 1 4 t 검정 0.000 0.021 Vital Few 선정 F 검정 0.005 Stopper (투석기정지위치) 투석기정지 위치는 3 5 0.123 4번 결정 (최대 투척 거리 조건) 0.744 F-PIN 위치 (전면 고무줄핀) 전면고무줄핀 위치는 2 0.018 0.061 ANGLE (Arm 당김 각도) Arm 당김각도는 140 170 0.009 0.487 발사 대기시간 발사시간은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가 8 0.306 3초 결정 (산포 개선 조건) 0.027

Full Factorial DOE I3-1. 최적 실험 MODEL 고정 인자 제어 인자 투척 거리 정확도 잡음 인자 F-PIN 위치 ANGLE B-PIN 위치 투석기 Full Factorial DOE 볼 고무줄 투척 거리 고정대 투석자 정확도 발사 방법 에너지 잡음 인자 고정 인자 진동 온도 풍향 풍속 STOPPER 위치 발사 대기 시간

I3-2. 최적 실험 실험 계획 ▶ 실험 목적 : 최대 투척 거리 및 200mm 투척 거리 인자 수준 설계 ▶ 실험 방법 : L8 완전 실험법 인자 구분 수준 1 수준 2 비 고 1 F – PIN 위치 2 4 1. 반복 2회 2. 3인자 2수준 B – PIN 위치 3 5 ANGLE(O) 140 170 Fractional Factorial Fit: 결과 versus F-PIN, B-PIN, ANGLE Estimated Effects and Coefficients for 결과 (coded units) Term Effect Coef SE Coef T P Constant 240.350 2.214 108.58 0.000 F-PIN 94.525 47.262 2.214 21.35 0.000 B-PIN 32.075 16.038 2.214 7.24 0.000 ANGLE 343.925 171.963 2.214 77.68 0.000 F-PIN*B-PIN -18.350 -9.175 2.214 -4.14 0.003 F-PIN*ANGLE 65.850 32.925 2.214 14.87 0.000 B-PIN*ANGLE 31.300 15.650 2.214 7.07 0.000 Analysis of Variance for 결과 (coded units) Source DF Seq SS Adj SS Adj MS F P Main Effects 3 512993 512993 170998 2E+03 0.000 2-Way Interactions 3 22611 22611 7537 96.13 0.000 Residual Error 9 706 706 78 Lack of Fit 1 101 101 101 1.34 0.281 Pure Error 8 605 605 76 Total 15 536309 1.주효과 : 3인자 모두 유의차가 있다 : 당김각, 전면핀위치, 후면핀위치 2.- 교호 작용 : 유의차가 있다

잔차 분석결과 정규성을 이루며, 특정한 경향은 없음 I3-3. 최적 실험 결과 분석 Pareto 분석 정규성 검사 독립성 검사 잔차 분석결과 정규성을 이루며, 특정한 경향은 없음

I4. 최적조건 설계 평균:200.26 mm 평균:200.58 mm 시그마 수준 : 6.84 시그마 수준 : 10.65 최 대 거 리 최적 설계 1안 최적 설계 2안 F-PIN = 4번, B-PIN = 5번 F-PIN = 4번, B-PIN = 4번 정 확 도 2 cm 170o 515.0 492.5 134.3o 200.0 평균:200.26 mm 평균:200.58 mm 시그마 수준 : 6.84 시그마 수준 : 10.65

I5. 최적조건 공정능력 10.65 Sigma **최적조건 설정** 1. 전면핀위치 : 4번 2. 후면핀위치 : 4번 3. 정지핀위치 : 4번 4. 볼컵 : 6번 5. 당김각 : 137.5도 6. 발사대기 시간 : 3초 10.65 Sigma

I6. 회귀분석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angle versus dist The regression equation is angle = 98.0293 + 0.0372473 dist - 0.0000041 dist**2 S = 2.37941 R-Sq = 98.5 % R-Sq(adj) = 98.3 % Analysis of Variance Source DF SS MS F P Regression 2 4980.15 2490.07 439.818 0.000 Error 13 73.60 5.66 Total 15 5053.75 Source DF Seq SS F P Linear 1 4854.28 340.703 0.000 Quadratic 1 125.87 22.232 0.000 투석 거리 회 귀 식 R-sq 100~370cm angle = 98.0293 + 0.0372473 dist - 0.0000041 dist**2 98.5%

C0.Control 목차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C1 Control plan C3 SPC C4 개선 전후 공정능력 Analyze Improve Control

C1. Control Plan 제품명: 투석기 자자 / 공장 업체 코드 고객 기술 승인 / 일자 (요구 시) 프로세스명 제품명: 투석기 자자 / 공장 업체 코드 고객 기술 승인 / 일자 (요구 시) 프로세스명 관리 항목 SPEC 관리 방법 관리 담당 주 기 투석기 조건 Setting 고무줄 핀 위치 5 번 목시 복창 담당자 1회/일 정지 핀 위치 3 번 고무줄 1000회 원 상태 관리 ARM을 뒤로 젖힌다 Arm 각 180 ˚ Stopper 장치 작업자 1회/월 발사 당김각 200Cm  141도, 최대  180도 매 발사시 1발 발사시 마다 확인 후면 고무줄 위치 핀 5번 발사시 초기 확인 초기 셋팅시 확인 투석기 정지 4번

C2. 표준화 문서 종류 문서 번호 작성.관리 배포 개정주기 내용 발사 지침서 MBA 3조-001 기기창 포수 1년 발사에 관한 제반 사항 구매 규격 MBA 3조- 002 군수창 도면포함 사용 지침서 MBA 3조- 003 기술소 사용방법및 주의사항 정비 지침서 MBA 3조- 004 수리창 역군 제원및 정비 요령 Setting 지침서 MBA 3조- 005 수뇌부 고무줄 교체시 거리별 발사각 조견표

C3. SPC (I-MR Chart)

C4. 개선 전/후 공정능력 개선前 개선後 2.73시그마 10.7시그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