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란? - 하드웨어 - nlip.pcu.ac.kr.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생성 과정 프로젝트 생성 프로그램 실행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주어진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 – 컴퓨터에 설치 혹은 저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Advertisements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제 10 강.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Chapter 01. 컴퓨터 기초와 윈도우 XP. 2  학습목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개념 컴퓨터 본체의 내부 구성 윈도우 XP 의 프로그램 실행 및 제거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치 하드디스크의 추가 및 최적화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유용한 프로그램.
전산팀 업무보고 ► 보고일 :2016 년 5 월 24 일 ( 화 ) 1. PC 세부사양서 구분세부사양수량 ( 대 ) PC 제조사 : 삼성, HP ( 조립 PC 제외 ) 운영체제 : Windows 7 Pro 64bit 이상 CPU : Intel i5 6 세대 3.2Ghz(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제 19 강.
적용제품 : Intemec PC4 용도 : 바코드출력 메뉴(다비젼) : 운영 내역 제품명 : EasyCoder PC4 특징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
컴퓨터와 인터넷.
컴퓨터란 무엇인가? 컴퓨터란 입력, 출력, 계산, 논리 처리 등을 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의 구성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안성시립도서관 무선랜 사용자 Mac 확인 및 설정방법
Part 4 장치 관리하기 Chapter 13. 주변 장치 관리하기 Chapter 14. 하드디스크 관리하기
PC정비사 2급(필기) 제6강 기타 주변장치 예상문제.
CPU 품 명 PERSONAL COMPUTER 모델번호 HP 6000Pro 제 조 사
<<< 시스템등록정보 “하드웨어-장치관리자” 설정 >>>
자바실험실 이동준 우리 곁으로 다가온 사물 컴퓨팅 자바실험실 이동준.
IoT(사물인터넷) 보안 2016년 2학기 2. 라즈베리파이 준비.
1. Windows Server 2003의 역사 개인용 Windows의 발전 과정
(목) 초등 ICT 교육 방법론 2013년 봄학기 허 민 오
1장. 이것이 C 언어다.. 1장. 이것이 C 언어다. 프로그래밍 언어 1-1 C 언어의 개론적 이야기 한글, 엑셀, 게임 등의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하는 언어 ‘컴퓨터 프로그래머’라는 사람들이 제작 C 언어(C++ 포함)를 가장 많이 사용함.
램( RAM ) 램의 개념 램 선택법 듀얼채널의 의미.
PC를 구성하는 기본 부품들.
독립형 모션제어기 사양 - Catalog (optional) XMC-PO04-MOD
컴퓨터 기억장치 문수영 ` = ,./][.
ServerGuide CD를 이용한 xSeries 설치가이드
FTP 프로그램 채계화 박재은 박수민.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2 : printf(), scanf()
PC 정비 양산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트랙)                               퍼스널 오라클 9i 인스톨.
부트로더와 Self Programming
버스카드 시스템 1조 하경록 : 작품 제작, 파워포인트 김태승 : 작품 제작, 파워포인트 최성호 : 작품 제작, 프로그래밍
제15강 PC정비사 1급(필기)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S-Link 사용자 매뉴얼.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 마이크로컨트롤러 + 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제 1장.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요.
메인보드(main board) 대전직업전문학교 Carpe diem!!.
케이스( Case ) 파워( Power ) 랜카드( Lan Card ) 사운드 카드( Sound Card )
P2P시스템에 대해서 (peer to peer)
디지털회로설계 (15주차) 17. 시프트 레지스터와 카운터 18. 멀티바이브레이터 * RAM & ROM.
디 지 털 공 학 한국폴리텍V대학.
플랫폼의 개념 클럭, 버스, 대역폭의 의미 64비트 PC
WindowsXP 설치와 동시에 해야 할 일 Windows XP 완벽한 설치
제품명 제품설명 제품규격 CPU: STM32F103VCT6-LQFP 100 Pin 256KB FLASH 48KB RAM
임베디드 시스템 개론 임베디드 타겟 보드 포팅 및 H/W 제어 3일차 강의 자료 Embedded System Lab.
체크포스 설치 안내서 ㈜ 체크빌.
Adobe 제품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안내 Adobe Creative Cloud Adobe License 권한을 받으신 분
제2강 PC정비사 1급(필기)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5주차.
컴퓨터 시스템 하드웨어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C P U Control Unit 입 력 장 치 출 력 장 치 ALU
GM7 PLC 모니터링 프로그램 한국 폴리텍 항공대학 항공정보통신과 송 승 일.
Teaming pms.
Kernel, Ramdisk, JFFS2 Porting
청각장애인용 APP 구성 및 사용법.
수동 설치시는 설치 방법 1. 두번에 설치 CD 속에 fscommand 폴더 밑에 Osstem 이라는 폴더를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ATX Main Board.
AT MEGA 128 기초와 응용 I 기본적인 구조.
Ⅰ 전자기초 Ⅱ 디지털 논리회로 Ⅲ C언어 기초 Ⅳ AVR 마이크로 컨트롤러 Ⅴ 마이크로 컨트롤러 개발환경
컴퓨터 구성요소와 사용 컴퓨터 문서 작업 인터넷 활용
농구 로봇 따라해 보기.
무선랜 사용자 설명서 (Windows Vista 사용자).
Installation Guide.
제품명 제품설명 제품규격 CPU: STM32F103VCT6-LQFP 100 Pin 256KB FLASH 48KB RAM
인하공업전문대학 (2018-2학기) ATmega128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보통신과 박기식 교수.
핸드터미널 조작 및 S/W 업그레이드 통신 확인하기.
6 객체.
Presentation transcript:

컴퓨터란? - 하드웨어 - nlip.pcu.ac.kr

목 차 1. 컴퓨터 장치 2. 컴퓨터 조립 nlip.pcu.ac.kr

1. 컴퓨터 장치 H/W 하드웨어란 컴퓨터를 구성하거나 보조하는 물리적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물리적 장치'란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컴퓨터 하드웨어 중앙처리장치 인텔(Intel) : 주력형(펜티엄), 보급형(셀러론) 에이엠디(AMD) : 주력형(애슬론), 보급형(듀론) 기억장치 주기억 장치 : 램(RAM), 롬(ROM) 보조기억장치 : HDD, FDD, CD-ROM 입출력장치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등 출력장치 : 프린터, 모니터, 스피커 등 기타장치 전원공급장치, 냉각 송풍기, Lan Card, Sound Card 등 nlip.pcu.ac.kr

1.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현재 PC 시장은 'Intel'과 'AMD' 두 회사의 대립경쟁 nlip.pcu.ac.kr

                                                                                                                                        2. 기억장치(Memory) 2-1. 주기억장치(Main Memory)란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입력자료를 기억하는 영역, 출력자료를 기억하는 영역, 작업을 실행하여 중간계산결과를 기억하는 작업영역으로 구성된다. 램(RAM) 기억된 내용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저장할 수 있으나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지워진다. nlip.pcu.ac.kr

                                                                                                                                        2. 기억장치(Memory) 2-2. 보조기억장치(Sub Memory)란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아닌 외부에 존재하여 주기억장치의 한정된 기억용량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된 내용이 상실되지 않는다. 플로피 디스크 (FDD) 하드 디스크 (HDD) CD-ROM (Floppy disk drive) (Hard disk drive)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nlip.pcu.ac.kr

3. 입력/출력 장치(Input/Output Device)                                                                                                                                         3. 입력/출력 장치(Input/Output Device) 3-1. 입력장치(Input Device)란 컴퓨터에 자료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Input System) 키보드 (Keyboard)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명령어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즉 기계적으로 글자를 찍는 타자기 방식을 개선한 전자적인 방식의 입력장치. 일반 키보드 내츄럴 키보드 무선 키보드 마우스 (Mouse)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의 일종으로 외관이 꼬리 달린 쥐와 흡사하다는 이유로 붙여진 이름. 일반마우스 휠 마우스 센서 & 5버튼 nlip.pcu.ac.kr

3. 입력/출력 장치(Input/Output Device)                                                                                                                                         3. 입력/출력 장치(Input/Output Device) 3-2. 출력장치(Output Device)란 컴퓨터로 처리된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출력장치의 종류 : 모니터, 프린터, XY-플로터, 마이크로 필름 출력 장치, 카드 천공기 등 모니터 (Moniter) CRT형태의 평면모니터 TFT LCD 모니터 프린터 (Printer) 프린터는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종이에 인쇄해주는 장치. nlip.pcu.ac.kr

                                                                                                                                        4. 기타 장치(ETC Device ) 4-1. 메인보드(Output Device)란 컴퓨터 내에서 기본회로와 부품들을 담고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물리적인 하드웨어로서 주기판(主基板)이라고도 한다. 4-2. 사운드카드(Sound Card)란 소리와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장치로,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하여 소리를 출력·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4-3. 그래픽 카드(Display Card)란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케이블을 통해서 모니터로 보내는 컴퓨터 전자부품이다. nlip.pcu.ac.kr

2. 컴퓨터 조립 주의 사항 조립시 주의 사항 제품 구입시 주의 사항 전기적인 극성 주의 자신감을 가져라. 전기적인 충격 주의 주변의 도움을 받아라. 자신에 필요한 부품을 선택하라. 운영체제를 선택하라. 충동구매는 금물 조립시 주의 사항 전기적인 극성 주의 전기적인 충격 주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 nlip.pcu.ac.kr

2-1. 조립준비 - 공구 조립 준비 공구 일단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케이스를 열고 보드 및 기타 장치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 드라이버가 꼭 있어야 한다. 전선을 묶을 타이 등이 있으면 좋다. 조립 후에 케이블을 내버려 두면 자칫 CPU 쿨러에 걸리는 등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펜치의 경우는 끝이 뾰족한 일명 '라디오 펜치'를 준비 한다.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의외로 가끔 필요할 때가 있다. nlip.pcu.ac.kr

2-2. 조립준비 –케이스와 파워 조립 준비 케이스와 파워 케이스는 컴퓨터의 모든 부품들을 담고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수명과 직결된다. 파워의 종류에는 AT와 ATX가 있는데, 현재 나오는 제품들은 거의 ATX제품이다. 요즘에는 운영체제에서 종료를 하면 자동으로 본체 전원까지 꺼지는 ATX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nlip.pcu.ac.kr

실습1- 메인보드 케이스에 부착 전원 및 기타 연결 nlip.pcu.ac.kr

실습2- CPU 1. CPU 메인보드 장착 2 1 2. CPU에 쿨러 결합하기 3. CPU 파워케이블 연결하기 4 nlip.pcu.ac.kr

실습3- RAM RAM을 DIMM에 꼽는다. 장착된 RAM의 모습. 일반적인 168pin 의 SDRAM 을 설치하는데, 이때 메모리의 홈과 보드의 메모리 소켓의 홈을 확인하여 지긋히 눌러준다. 홈이 있어서 잘못 꽂으면 들어가지 않는다. 제대로 꽂히면 메모리 소켓의 홀더가 정 위치로 이동을 하여 메모리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nlip.pcu.ac.kr

실습4- 그래픽 카드 1. ‘ATI’ 그래픽 카드의 모습. 2 1 2. 카드 장착 방법. 3. 나사를 조여 단단하게 고정. 4. 장착된 카드의 모습. 1 2 3 4 nlip.pcu.ac.kr

실습5- HDD,FDD,CD-ROM(1) 1. HDD 1 2 1. 점퍼 설정법 2. 점퍼 셋팅1 3. 점퍼 셋팅2 4.데이터 케이블 연결 3 4 nlip.pcu.ac.kr

실습5- HDD,FDD,CD-ROM(2) 2. FDD 3. CD-ROM FDD 의 경우에는 케이블의 위치가 HDD 와 시디롬과 반대로 된 경우가 많다. 물론 이것도 세부적으로 확인할 사항으로 케이블의 빨간 선 부분이 FDD 의 커넥터 부분의 0 혹은 1번의 위치로 향하게 연결을 해야 한다. 그 외 전원은 반대로 꽂을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외형을 잘 확인하고 꽂도록 한다. 3. CD-ROM 모든 데이터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이 연결이 완료되었다면, 시디롬의 오디오 커넥터와 사운드 카드의 CD-IN 혹은 AUX-IN 등과 같은 곳에 연결을 하여 시디롬 재생에 사운드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nlip.pcu.ac.kr

실습6- 외부장치 장착 & 마무리 케이스를 닫은 후. 컴퓨터의 후면 즉, 백 패널을 보면 PS/2 포트는 일반적으로 두 개가 제공된다. 하나는 PS/2 는 키보드 커넥터이고, 하나는 PS/2 포트는 마우스 커넥터이다. 잘 살펴보면 기호들이 있으므로 찾아서 꽂으면 된다. 나머지 외부 장치들도 메뉴얼을 보고 제자리를 찾아 꽂으면 완성된다 nlip.pc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