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ilities & Environment Divisio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문의전화 ~7 fax ( 한국안전관리협회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법 적용시기 1,000 억 이상 부터 1,000 억 이상 부터 500 억 이상 ~1,000 억 미만 부터 500.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불특정 공격에 무너진 H 사 업무 시스템 서서히 저하 내부에서 원인 불명으로 네트워크의 속도가 서서히 저하 되는 현상이 발생 공격의 발생 핵심 장 비 서비스가 되다 되지 않는 현상이 심해지고 결국 핵심 장 비는 장애가 발생하게 됨 장비 장애 발생 핵심 장비 장애 전체.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유쾌한 리서치 ’ - 불법 다단계업체 관련 조사 - 엠브레인 December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식생활지침 ..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Facilities & Environment Division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퇴행성 신경질환.
2012년도 교직이수자 2차선발자 대상 인•적성 검사 실시 안내
GHS MSDS 제도 경과와 전망 및 정책방향.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비판적 사고와 논리 (우루사CF ‘간 때문이야’)
2018 YTN ∙ HUFS 학생영어토론대회 - 대회규정 준수 및 심사결과 동의서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담배! 그 정체를 알자.
피임이란?.
2011년도 건강검진 안내.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면책 동의서 보호자 동의서 (탑승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환경부 화학물질안전TF.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Loading 생명의 시작.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Micro Array 활용분야 발표자 : 김민정.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외과병동에서 시행되는 Wound dressing시 처치/재료 입력 누락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산업안전보건법 2016.
또 한 번의 인재(人災)! 지하철 공사장 사고 직업안전.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입사지원자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 정보제공목적 달성 후 및 관련법령에 따름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 사업주는 아래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접속 ->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1. 로그인하기 아이디 : 사번 입력 비밀번호 : 인턴근무 관리 클릭.
융복합 교과목 건강한 미 식사일지 작성법.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TrustNet 전자 협조전 사용설명서 목 차 작성,수정,삭제 결재함 처리현황 발송대장,접수대장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작성지침] 1. 본 양식은 수기(Hand Writing)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및 인플루엔자 사업 참여 매뉴얼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첨부#2] 검토일: 년 월 일  구 분 내 용 공 사 명 업 체 명 공사예정 기간 견적안내부서 확 인 사 항 견적부서(견적)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안전교육 이수방법 사무국 시설과.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Facilities & Environment Division 2017년 2월 정기안전보건교육 Facilities & Environment Division This is a One Line Title Slide, used as a second slide option.

Agenda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 관리 2. 생활습관과 건강 This is an Agenda Slide. Click on the text box, remove existing content and add your agenda content.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 관리 This is a Section or Segue slide. If you use this sample slide you can paste a photo onto the slide and send it to the back so it appears behind the blue bar.

Chapter1. 사업장 산업안전보건관리가 왜 필요한가?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Chapter1. 사업장 산업안전보건관리가 왜 필요한가? 1.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 산업재해는 재해를 당한 본인은 물론 그 가정에 불행을 안겨주고 기업과 국가는 인력 손실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안겨줍니다. (’14년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약19조6천억원, 근로 손실일 수는 49,398천일) 2. 산업 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합니다. 3. 산업안전보건관리란? 산업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유해·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재해 및 직업병을 예방함으로써 근로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기업에서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4. 산업재해발생 현황 5. 산업안전보건법 6. 산업안전보건법 검색 방법 전 산업에서 하루 평균 재해자는 약 250명, 사망자는 약 5명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령은 고용노동부 소관 법령으로서 1개 법률, 1개 시행령, 3개 시행규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 검색 방법 국가법령정보센터 접속(www.law.go.kr) > 검색창에 산업안전보건법 입력 고용노동부 접속(www.moel.go.kr) > 법령마당 > 현행법령 > 산업안전보건관련 안전보건공단 접속(www.kosha.or.kr) > 정보마당 > 법령/지침정보 > 산업안전보건법령 검색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Chapter2. 산업안전보건법은 근로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Chapter2. 산업안전보건법은 근로자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1. 근로자의 의무 근로자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며, 사업주가 실시하는 산업재해예방에 관한 조치를 따라야 합니다. 2. 근로자의 의무사항 - 근로자는 사업주가 행한 안전보건상의 조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사업주가 실시하는 근로자 건강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사업주가 제공한 안전모, 안전화 등 보호구 착용 의무가 있습니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Chapter3.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Chapter3.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1.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용어 정의 구분 내용 산업재해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함 중대재해 산업재해 중 사망 재해 정도가 심한 것으로서, 다음의 재해를 말함 사망자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2.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사항 및 처리절차 2-1. 재해자 발견 시 조치사항 - 재해발생 기계의 정지 및 재해자 구출 - 긴급병원 후송 :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와 동시에 119구급대, 병원 등에 연락하여 긴급 후송 - 보고 및 현장보존 : 관리감독자 등 책임자에게 알리고, 사고원인 등 조사가 끝날때까지 현장 보존 2-2. 산업재해 발생 보고 - 산업재해(3일 이상 휴업)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 중대재해는 지체 없이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전화, 팩스 등으로 보고 ※ 보고사항 : ①발생개요 및 피해상황 ②조치 및 전망 ③그밖의 중요사항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2-3. 산업재해 기록ㆍ보존 : 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록하고, 3년간 보존 ①사업장의 개요 및 근로자의 인적사항 ②재해발생 일시 및 장소 ③재해발생 원인 및 과정 ④재해 재발방지 계획 2-4. 재발방지 계획에 따른 개선 활동 실시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2-5. 산업재해 발생 시 처리절차 재해발생부서 (팀/파트) 안전관리부서 및 건강관리실 인사관리부서 재해사실통보 건강관리실 재해자 긴급조치 재해자 긴급조치 지 정 병 원 병원 후송 공상보고서 접수 및 검토 공상보고서 작성 및 보고 재해 현황보존 및 재해조사 (동종, 유사사고 방지) 48시간 이내 접수 48시간 이내 공상보고서 사고방지 대책보고서 목격자 진술서 작성 대 책 수 립 공 상 사 고 산 재 사 고 회사 자체 처리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및 근로복지공단 신청 시정지시 및 개선 실시 1개월 이내 제출 무재해회의 시 재해현황보고 개선완료 확인 및 최종 보고 산재 승인확인 및 재해자 사후 관리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재해발생 및 현황 및 대책보고) (안전보건관리위원장에게 보고)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3. 산업재해 발생 원인의 분석 및 검토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합니다 제 1 단계 발생까지의 과정을 파악한다. 물적, 인적, 관리적 측면에서 사실을 수집 한다. 재해발생 과정확인 제 2 단계 물적, 인적, 관리적측면에서재해요인을 찾는다. 재해요인의 파악 제 3 단계 재해요인의 결정 재해요인의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고려해 직접원인 및 간접원인을 결정한다. 제 4 단계 계획(대책)의 수립 근본적인 문제점 및 재해원인을 근거로 동종 또는 유사재해방지계획을 구체적 으로 수립한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Chapter4. 화학물질 사용 시 물질안전보건 자료를 작성·비치해야 합니다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Chapter4. 화학물질 사용 시 물질안전보건 자료를 작성·비치해야 합니다 1.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란?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명칭·성분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안전·보건상의 취급주의 사항 등을 설명해 주는 자료를 말하며, 소비자가 의약품을 구입하면 그 성분 및 함량, 효능, 부작용 등을 알려 주는 설명서가 있듯이 화학제품의 안전한 취급·사용을 위한 정보 자료가 바로 물질안전보건자료라 할 수 있습니다. 2. 물질안전보건자료(MSDS)구성항목 ①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② 유해성·위험성 ③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④ 응급조치 요령 ⑤ 폭발·화재 시의 대처방법 ⑥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⑦ 취급 및 저장방법 ⑧ 누출방지 및 개인 보호구 ⑨ 물리화학적 특성 ⑩ 안정성 및 반응성 ⑪ 독성에 관한 정보 ⑫ 환경에 미치는 영향 ⑬ 폐기 시 주의사항 ⑭ 운송에 필요한 정보 ⑮ 법적 규제현황 및 그 밖의 참고사항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3.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조치사항 의무주체 주요내용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의 작성 및 제공 제조· 수입자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를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는 이를 양도 받거나 제공받는 자에게 화학물질의 명칭, 구성성분, 안전·보건상의 취급주의 사항, 건강 유해성 및 물리적 위험성 등 16가지의 항목을 기재한 물질안전보건 자료(MSDS)를 작성하여 제공하여야 함 (MSDS)의 비치 사업주 화학물질을 취급하려는 사업주는 제공받은 물질안전보건자료를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장 내(화학물질 취급공정)에 갖춰두어야 함 경고표시 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는 이를 담은 용기 및 포장에 붙이거나 인쇄 하는 등 유해·위험정보에 대한 경고표시를 하여야 한다. 다만, 용기 및 포장에 담는 방법 외의 방법으로 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경우에는 명칭, 그림 문자, 유해·위험문구 등 경고표시 기재 항목을 적은 자료를 제공하여야 함 사업주는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을 담은 용기에 경고표시를 하여야 하지만 용기에 이미 경고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근로자교육 사업주는 화학물질을 취급·사용하는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위하여 근로자를 교육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함 ※ 교육내용 : 취급 화학물질의 종류와 유해성, 작업요령, 보호구 착용, 사고발생 시 응급조치 등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4. 경고표시 (예시) - 명칭 : 대상화학물질의 명칭(MSDS상의 제품명) - 그림문자 : 5개 이상일 경우 4개만 표시 가능 - 신호어 : “위험” 또는 “경고” 표시 / 모두 해당하는 경우 “위험”만 표시 - 유해·위험 문구 : 해당문구 모두 기재, 중복되는 문구 생략, 유사한 문구 조합 가능 - 예방조치 문구 : 예방·대응·저장·폐기 각1개 이상을 포함하여 6개만 표시 가능 (해당문구 중 일부만 표기 시“기타 자세한 사항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참고하시오” 문구 추가) - 공급자정보 : 제조자 또는 공급자의 회사명, 전화번호, 주소 등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Chapter5.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시 과태료가 즉시 부과됩니다 1.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 Chapter5.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시 과태료가 즉시 부과됩니다 1. 과태료 부과 대상 산업안전보건법은 대부분 사업주를 의무주체로 규정하고 있어, 원칙적으로 실제 위반행위자와 관계없이 당해 사업주가 과태료 부과대상이 됩니다. 다만, 개인보호구 미착용 근로자에게는 5~1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 과태료 부과 절차 과태료는 고용노동부장관(지방고용노동관서장)이 부과·징수하며, 과태료를 부과하는 때에는 당해 위반 행위를 조사·확인한 후 위반사실과 과태료 금액 등을 서면으로 명시하여 이를 납부할 것을 과태료 처분 대상자에게 통지하게 됩니다. 3. 즉시 과태료 부과 시행 -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보고를 하지 않거나,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등 - 산업 안전보건법을 위반할 경우 시정기회 없이 즉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This is a Section or Segue slide. If you use this sample slide you can paste a photo onto the slide and send it to the back so it appears behind the blue bar.

2. 생활습관과 건강 Chapter1. 건강의 결정요인 1. 부모로 부터 타고난 유전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캐나다 보건복지부장관이었던 Lalonde는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 4가지를 유전적요인, 환경적요인, 생활습관요인, 보건의료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4 가지 요인 중 자신의 건강을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일이다. 1. 부모로 부터 타고난 유전적 요인 가족 중 유전적 영향을 일으키는 질병을 가진 사람이 있는 경우 그 영향을 받게 된다. 2. 환경적 요인 개인의 속한 사회나 직장에서 유발되는 환경이 질병을 일으키는 데 작용한다. 공기오염, 수질오염, 식품오염, 직장 내 유해한 작업환경이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3. 생활습관 요인 오랫동안 음식을 짜게 먹으면 고혈압이나 각종 암에 걸릴 위험이 매우 높다. 식사 후에 이를 잘 닦는 습관을 가지면 치과질환이 매우 적게 생기거나 생기지 않게 된다. 각종 암의 원인이 되는 요인이 담배인데,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그만큼 암을 예방할 수 있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4. 보건의료적 원인 한 나라의 의료정책에 따라 국민들의 건강수준이 달라진다. 의료정책과 의료수가, 의료서비스 내용과 같은 보건의료적 요인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O’Donell(1998)은 4가지 건강결정요인이 10대 사망 원인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생활습관 요인이 52%로 가장 크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각각 20%로 같고, 보건의료적 요인은 8%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건강결정 요인별 기여비율>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Chapter2. 생활습관의 개념 1. 생활습관의 정의 2. 건강과 밀접한 생활습관 생활습관이란 인간이 일상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환경이나 자극이 나타났을 때 그것에 반복적이고 일관되게 반응하는 양식을 말한다. 올바르게 형성된 생활습관은 개인의 일생 동안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2. 건강과 밀접한 생활습관 미국 Alameda 지방에서 실시된 연구에 의하면 건강수준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건강행위가 7가지 있는데 그것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 음주를 덜 하는 것,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정적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 하루 7~8시간 수면을 취하는 것,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는 것, 간식을 먹지 않는 것이 건강생활습관과 관련하여 널리 알려져 있는 “Alameda 7”이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Chapter3. 생활습관병 1. 생활습관병의 정의 성인병이란 명칭은 일본에서 시작된 용어로, 심장병.당뇨병.고혈압.뇌졸증 등이 40대 부터 발병율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뜻에서 사용 되었으며, 나이가 들면 누구라도 걸리는 병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성인병의 증상이 젊은 층과 어린이들에게서까지 발병하고, 대부분 성인병이 흡연,음주,과식,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의 반복에 의해 발생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1997년 부터 “성인병”을 “생활습관병(Life Style Disease)”이라고 바꾸어 부르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생활습관관련 병” 독일에서는 “문명병”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처럼 “생활습관병”이라는 용어가 현대 질병의 대명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20세기 중반 이후 전염병 등 급성질환이 감소하고 만성질환과 퇴행성질환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생활습관병”이란 쉽게 말해 사람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생활습관을 건강하게 유지해 나가지 못했을 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대표적인 것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 비만 등이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2. 생활습관병의 특징 2-1. 여러가지 원인의 소산 비 전염성, 만성퇴행성 질환인 생활습관병은 감염성 질환보다 그 원인이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대개 환경적인 것뿐만 아니라 인체의 생물학적인 특성과도 상호관계가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고 부정적인 효과를 낼 수도 있다. 2-2. 긴 잠복기간 대부분의 생활습관병은 그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사람들과 환경적인 요인이 서로 접촉하고 반응하는 상당히 긴 기간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잠복기간은 수십 년의 긴 기간이므로 원인 요인을 규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2-3. 질병발생 시점이 불분명 언제 질병이 발생하여 증상을 일으켰는지를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 특히 생활습관병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질병 발생 시점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신속한 질병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2-4. 질병의 발생과 진행 과정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발생요인 질병발생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 질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이 질병을 치료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3. 대표적인 생활습관병 3-1. 고혈압 미국의 국립심장폐혈액연구소(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의 발표에 따르면, 고혈압은 뇌졸중,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신부전 등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고혈압은 치료하지 않으면 50%에서 관상동맥이나 심부전증으로 사망하게 되고, 33%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하게 되며, 10-15%에서 신부전증으로 사망하게 되는 등 심각한 심혈관계 질환을 야기한다. 3-2. 당뇨병 당뇨병이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잘 안되거나 분비가 되더라도 세포에서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몸 안의 당대사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질병이다. 당뇨병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비만, 잦은 임신, 간염, 스트레스, 약물 남용 등으로 알려져 있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3-3. 고지혈증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정상 이상으로 증가되어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증가된 상태이다. 콜레스테롤이 1% 상승하면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 빈도가 2% 상승한다. 고지혈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남자), 연령(고령), 콜레스테롤 섭취, 운동부족, 체중과다, 질병의 합병증(당뇨병, 갑상선, 신장질환 등) 등이다. 고지혈증 검사가 꼭 필요한 사람은 45세 이상의 남성, 55세 이상의 여성, 담배를 피우는 사람,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 고혈압이 있는 사람, 당뇨병이 있는 사람, 가족 중에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사람 등이다. 3-4. 비만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뇌졸중, 고지혈증 및 각종 암질환의 위험 요인이 되고, 통풍, 관절염을 악화시키며 임신과 수술 시 부작용을 증가시키고 더위를 잘 견디지못하게 한다. 비만을 예방하고 체중을 줄이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이다. 뿐만 아니라 비만은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준다. 비만인 사람은 쉽게 피로하고, 심리적으로도 위축된다. 또한 체질량 지수가 35 이상인 비만환자는 전체 원인의 사망률이 2배 이상 높다.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2. 생활습관과 건강 This is a Title and Content slide.

당신의 안전이 가족의 행복입니다. 가족을 사랑하는 당신이 바로 베스트 안전지킴이!!

교안을 닫고 정기안전보건교육 교안 우측 [서명하기]를 클릭하셔야 교육 이수가 완료됩니다. 감사합니다. 교안을 닫고 정기안전보건교육 교안 우측 [서명하기]를 클릭하셔야 교육 이수가 완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