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종합적 설비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Korea University Student IT Management Society.
Advertisement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9 월 On/Offline 미팅 9.15 활동 아이디어 제안 프로젝트 수정 CW 마스코트 제작 참여 9.23 프로젝트 주제 선정 티볼리 제품군 선정 9.25 프로젝트 활동 계획 10.2 프로젝트 활동 계획 수립 및 세 부 계획 설정 방문 학교 물색 10.5 새 프로젝트.
안정적 문화 반응적 문화 예측적 문화 탐험적 문화 창조적 문화 과정을 중시 하는 문화 회사의 운명 을 거는 문화 열심히 일하고 잘 노는 문화 강인하고 억센 문화 생산적 문화 관료적 문화전문적 문화 내 부 적 차 원내 부 적 차 원 안정적.
자동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dobe®Clean Site Program
제6장 가치평가.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제13장 종합적 설비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제12장 종합적 품질경영-(2)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설비관리 plant engineering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엔지니어 입장에서 바라본 품질 Quality in Engineering
Operation & Maintenance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0. 코스트의 이해 단가 × 양 = 원가 원가는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이다 단 가 양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생산기술 관리.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제일제당 영등포공장 컨설팅 성과사례 항 목 구 분 단 위 BM(90년) 98년 BM대비 년평균 인당생산성 제분 천Bag/인년
설비보전 관리지표
설비로스와 자주보전 ㈜광성ANV 승 인 지도위원 : 최윤식 핸드폰 :
제13장 종합적 설비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결재 표준시간 (UPH) 관리방안 정보화 추진팀.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 2007년 경영방침의 중점추진사항에 따라 설정한 부서의 경영방침중점추진계획을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작성.
공급사슬 성과평가 차시명을 입력합니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CONTENT CONTENT BPR의 등 장 배 경 BPR의 정 의 BPR의 4 가지 근 간
실물관리의 한계 실물 관리의 한계점에 대한 실례(보이지 않는 것,정량화 될 수 없는 것)
감쇠진동 damping vibration
제3장 스포츠 산업.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왜 왜 분석표 「본연의 모습」에서 어프로치를 할 경우의 「왜 왜 분석 시트」 고장 · 불량 · 잠깐정지 · 재해를 배우자
사람 대책 행동 사고방향 현상 사람이 실수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생산량과 작업시간만 관리할 수 밖에 없다 × 대책 무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수율관리를 위한 POP시스템 목적과 용도 시스템과 구성 POP의 효과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엔프라넷.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두산백화 군산공장 컨설팅 성과사례 항목 구 분 단 위 BM(91년) 94년 BM대비 년평균 인당생산성 공장 본/MH 264.3
1. MTBF의 정의 평균고장간격시간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의미로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생산 운영관리의 기초 공 정 설 계 생산능력계획 및 일정계획 재 고 관 리 노동인력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전 생산의 국제화
‘17년 협력 업체 등급 평가 제도 운영안 2017년 01월 18일.
보험경영론 보험경영론 경일대학교 경영학과.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현장관리 강화를 통한 강한 현장 만들기 < 목 차 > 1. 현장관리의 의의 2. 현장관리의 목표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Anyang Volunteer Center
TPM 추진 목표설정 * 구체적인 목표는 지도 개시후 간부 워크샵을 통해 확정함
제품의 특장점 3상 UPS의 기술 (성능 비교) 가격 경쟁력 국제통신공업㈜ KJU-3000Series UPS Others
IO-Link 통신 기술 소개 산업 Ethernet 필드버스 게이트웨이 접속 IO-Link 마스터 IO-Link 통신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제1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제5판).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설비진단기술의 기본 이념 JIPM(Japan Institute of Plant Maintenance)에 의하면, 설비진단기술이란 말(언어)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현재의 설비량을 파악하여, 이상 또는 고장에 대한 유효한 조치를 강구하기 위하여 원인 및 장래의.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생산성 증대 효율성 향상 측정 수행 능력.
Presentation transcript:

제2장 종합적 설비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Ks.ksa.or.kr 공업경영과 경제 제2장 종합적 설비관리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넷째 수준 다섯째 수준 이 경 행 KS 인증 본부

1. 설비관리의 의의와 기능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1.1 설비관리의 의의 1.2 설비보전의 내용 1.3 설비보전의 기능 광의의 설비관리 : 설비의 계획/조달에서부터 운전/유지를 거쳐 폐기에 이르기까지 설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관리 협의의 설비관리 : 설비의 설치가 끝난 후 행하는 보전활동의 관리 (설비보전관리라 함) 1.2 설비보전의 내용 고장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사전보전(예방보전, 예측보전), 사후보전으로 구분 생산보전의 내용 ① 예방보전 : 정기적인 점검과 조기수리를 행하는 보전방식 ② 사후보전 : 설비의 노화 또는 고장으로 인한 정지 후에 행하는 보전방식 ③ 개량보전 : 설비 자체의 체질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보전방식 ④ 보전예방 : 고장이 적거나 조기 수리가 가능한 설비의 설계를 통한 보전방식 1.3 설비보전의 기능 직접기능 : 예방검사기능, 일상보전기능, 예방보전기능, 사후보전 기능, 개량보전기능, 확인보전기능 - 관리기능 . 기술적 기능 : 작업표준의 설정, 계획, 실시, 기록, 보고 등 . 경제적 기능 : 보전방침의 설정, 보전 활동에 따른 경제성 계산, 예산편성 및 통제 등

2. 설비관리의 관리특성과 성능열화의 특성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2.1 설비관리의 목표와 관리특성 설비관리의 목표 . 설비의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향상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 향상 설비관리의 관리특성 ① 신뢰성 : 고장이 없고, 신뢰할 수 있는 것. ② 보전성 : 고장이 발생하면 단시간에 복구할 수 있는 것. ③ 경제성 : 신뢰성, 보전성 향상에 최소한의 비용을 사용하는 것.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의 향상수단 . 관리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 - 생산보전(Productive Maintenance : PM) 즉 보전예방, 예방보전, 개량보전, 사후보전의 수행 . 관리특성의 평가척도 - 신뢰성 : 고장도수율 = 고장건수 / 단위운전시간 - 보전성 : 고장강도율 = 고장휴지시간 / 단위운전시간 - 경제성 : 제품단위당 보전비 = 보전비총액 / 생산량

2. 설비관리의 관리특성과 성능열화의 특성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2.2 성능열화의 특성 성능열화곡선 최적보전계획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설비의 성능이 저하되는 열화현상을 나타낸 것 수 리 현 설비성능열화곡선 상대적 열화 (구식화) 절대적 열화 (노후화) 현 설비의 표준성능 성 능 시간 최적보전계획 . 매기간 마다의 열화손실과 보전비를 합계하여 최소비용점을 구해 최적수리주기를 선정 단위기간당 보전비 비 용 시간 또는 처리량 단위기간당 열화손실 합계(설비비용) 최소비용점 최적수리주기

3. 생산설비의 수명과 설비보전제도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3.1 생산설비의 수명 3.2 설비보전의 제도 설비의 라이프사이클은 설비투자계획과정, 건설과정 및 조업과정으로 구분됨 조사 연구 설계 제작 설치 운전 보전 폐기 투자계획과정 건설과정 조업과정 PE (Project Engineering) PM (Productive Maintenance) 취득과정 (계획과정) 보전과정 (사용과정) 협의의 설비관리 광의의 설비관리 3.2 설비보전의 제도 ① 예방보전제도 : 고장의 배후 또는 결점을 발견하기 위해 검사를 제도화 ② 공사관리제도(수리) : 검사에 기인한 수리요구나 정기정비의 실행을 결정, 보전계획으로서 공사 요구상의 계획/실시/실적기록 등의 일련의 제도 및 수속을 명확히 함 ③ 보전자재의 관리 : 필요시 보전자재를 즉각 입수하여 보전작업이 가능토록 관리제도와 절차를 명확히 함 ④ 보전작업관리제도 . 보전작업의 관리향상을 위한 관리제도 . 설비보전의 성과 : 유용성 = 신뢰성 * 보전성 ⑤ 예산제도와 보전비관리 : 기업의 이익확보를 위해 전사적 차원에서 보전예산제도를 합리화

4. 설비열화와 성능열화 대책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4.1 설비열화의 분류 4.2 성능열화의 원인과 손실 기술적 열화 절대적 열화 (성능저하) (노후화) 경제적 열화 상대적 열화 (가치감소) (구식화) 4.2 성능열화의 원인과 손실 4.2.1 성능열화의 원인과 요인 마 모 사용에 의한 열화 (마모, 부식) (운전보건, 조작방법) 성능열화 파 손 자연열화, 강제열화 (충격피로) (녹, 고장, 노화) 오 염 재해에 의한 열화 (원료부착) (폭풍, 침수, 지진)

4. 설비열화와 성능열화 대책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4.3 설비효율화 4.2.2 성능열화에 의한 손실 P(생산량) 저하 감산량 * (판매단가 – 변동비) = 생산감소손실 Q(품질) 저하 낮은 품질의 판매로 인한 가격차이 손실, 회사의 신용저하 C(비용) 증대 원재료비, 동력비, 노무비 등 D(납기) 지연 일정 불안정에 의한 손실, 수납지연의 손실, 신용저하 S(안전) 저하 재해손실 M(의욕) 저하 (환경조건의 악화) 작업능률의 저하, 결근, 지각 등 지역사회에의 영향 4.3 설비효율화 4.3.1 설비효율화의 목적 - 설비 가동상태를 양적, 질적인 면에서 부가가치를 만드는 양과 질을 향상시키는 것 - 효율화의 지표 .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 x 성능가동률 x 양품률 . 시간가동률 = (부하시간 – 정지시간) / 부하시간 . 성능가동률 = 정미가동률 x 속도가동률 . 양품률 = 양품수 / 투입수량 생산량 * 실제 사이클 타임 기준 사이클 타임 부하시간 – 정지시간 실제 사이클 타임 = x

4. 설비열화와 성능열화 대책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4.4 성능열화대책 4.3.2 6대 손실 설 명 고장손실 수리를 위한 휴지에 의한 손실로 만성손실과 돌발손실이 있다. 설치/조정손실 로트 교체시에 규칙적으로 발생한다. 교체시간의 단축화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시정지손실 설비고장과는 다르며 수리는 필요하지 않다. 단시간의 손실이 많이 발생한다. 속도손실 설계(표준)속도에 대한 실제속도의 차이를 말한다. 불량/개선손실 설비성능열화에 의한 손실 양품률의 저하를 초래한다. 초기손실 매일의 생산활동의 개시시점에 발생하는 시간의 손실을 말한다. 4.4 성능열화대책 - 설비보전의 종류와 기능의 관계 및 열화대책 보전의 종류 설비보전의 세 가지 기능 열화의 방지 열화의 측정 열화의 회복 정상운전 일상운전 (청소, 급유, 조임) 일상점검 소규모 정비 정기점검 예방수리(정기수리) 사후수리(돌발수리) 일상보전 예방보전 정기보전 설비보전 사후보전

5. 고장과 신뢰성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5.1 고장의 정의 5.2 고장의 분류 신뢰성의 대상이 되는 설비가 규정의 기능을 잃게 되는 것 5.2 고장의 분류 분 류 고 장 명 내 용 고장이 일어나는 형태 열화고장 성능이 점차 열화하고, 사전의 검사 또는 감시에 의해 미리 알 수 있는 고장 돌발고장 돌연히 발생하며, 사전검사 또는 감시에 의해 미리 알 수 없는 고장 기능이 상실되는 정도 완전고장 아이템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는 고장 부분고장 아이템의 기능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 부분적인 고장 안전성 면에서 보는 구별 치명고장 인체에 상해를 입히기도 하고 자재에 중대한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는 고장 중고장 규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위 아이템의 능력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고장 경고장 가벼운 고장으로 중고장이 되지 않는 고장

5. 고장과 신뢰성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5.3 고장률곡선 설비 수명특성곡선이라고 하며, 도형이 욕조의 단면과 비슷하여 욕조곡선이라고도 함 고 장 률 유효수명기간 규정된 고장률 초기고장기간 우발고장기간 마모고장기간 설비고장기간별 원인과 대책 구분 고장원인 대 책 초기고장 설계, 제작, 수리착오 사용방법 미숙 결함발견수리, 부식검사 메이커의 품질보증 의존 우발고장 설계한계 초과 진동 및 충격 설비한계의 변경 정상운전 실시 사후보전(BM) 실시 마모고장 마모, 피로열화, 절연열화 등의 특성열화 예방보전(PM) 실시

6. 종합적 생산보전 (TPM)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6.1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의 정의 정의 . 설비효율을 최고로 끌어올리는 것(종합적 효율화)을 목표로 하여 . 설비의 일생을 대상으로 한 PM의 토털시스템을 확립하고 . 설비의 계획부문, 사용부문, 보전부문의 여러 부문에 걸쳐서 . 최고경영자로부터 제일선에 종사하는 작업자에 이르기까지 전원이 참가하여 . 동기를 유발시키는 관리, 즉 소집단활동에 의해 PM을 추진하는 것 6.2 TPM의 목적/목표 목적 : 인간과 설비의 체질을 변화시켜서 기업의 체질을 개선하는 것 목표 : 6대 손실(설비고장의 발생, 작업방법, 조정시간, 설비속도의 저하, 일시 정지의 발생, 불량품의 발생, 초기 손실)을 제로로 하여 설비효율을 최고로 하는 것 6.3 TPM의 도입 Top-Down의 직제상 목표관리와 Bottom-Up의 제일선 소집단활동을 일체화시켜야 함 TPM 전개의 일반적 순서. 도입준비단계, 도입개시, 도입실시단계, 정착단계

6. 종합적 생산보전 (TPM) 제 2장 종합적 설비관리 6.4 TPM의 효과측정 - TPM의 효과측정에 이용되는 지표 . 설비종합효율의 지표 (제4절의 3항 참조) . 신뢰성의 지표 -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 평균고장간격) : 고장도수율과 함께 이용됨 MTBF = 가동시간의 합계 / 정지횟수 고장도수율 = (정지횟수 / 부하시간) x 100 . 보전성의 지표 - MTTR (Mean Time To Repair, 평균수리시간) : 고장강도율과 함께 이용 MTTR = 정지시간의 합계 / 정지횟수 고장강도율 = (정지시간의 합계 / 부하시간) x 100

함께하는 행복한 대한민국이 되는 그날까지 ,,,. Thank you !! 과거는 과거다. 과거보다는 미래가 더 중요하다. 미래보다는 현재가 더 중요하다. 현재보다는 오늘이 더 중요하다. 오늘보다는 지금이 더 중요하다. 지금과 오늘을 소중히 여기고, 이것이 자기 자신을 위해서 있다고 확신하자. - 앙드레 모로아 (소설가) 함께하는 행복한 대한민국이 되는 그날까지 ,,,. Thank you !!